KR100786893B1 -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 - Google Patents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893B1
KR100786893B1 KR1020067000273A KR20067000273A KR100786893B1 KR 100786893 B1 KR100786893 B1 KR 100786893B1 KR 1020067000273 A KR1020067000273 A KR 1020067000273A KR 20067000273 A KR20067000273 A KR 20067000273A KR 100786893 B1 KR100786893 B1 KR 10078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tern
sink
mobile uni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898A (ko
Inventor
쿠르트 아렛츠
롤프 비이더만
안톤 크루크
폴커 뫼스커
슈테판 니이더
페터 슐리바
크리스토프 베디
마르코 반 데 로크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9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 소스(MT, MT1, MT2, MT3, BS, I-DQS1, I-DQS2)와 데이터 싱크(MT, MT1, MT2, MT3, E-DQS, I-DQS1, I-DQS2) 사이에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하여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조작자가 조작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 라인 교환된(line-switched) 및/또는 패킷 교환된(packet-switched) 네트워크(LVN, PVN)에 연결되어 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BS) 그리고 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및/또는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서로 연결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MT, MT1, MT2, MT3, STB, MB, MBK, TKHA)로 이루어진 - 바람직하게는 무선-전화 핸드셋 또는 이동 전화로서 형성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이동부(MT, MT3, TKHA)가 제어 명령(STK)을 발생시키고, 무선 통신 또는 원격 통신에 가입한 장치들 간에 이루어지는 메시지 교환 중에 상기 제어 명령을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목적한 바대로 전송하며, 이 경우 상기 제어 명령(STK)에 의해서는 데이터 소스(MT, MT1, MT2, MT3, BS, I-DQS1, I-DQS2) 내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응답되고, 데이터 싱크(MT, MT1, MT2, MT3, E-DQS, I-DQS1, I-DQS2)로의 상기 데이터의 출력(output), 릴리스(release) 혹은 전 송(transfer), 또는 데이터 소스(MT, MT1, MT2, MT3, BS, I-DQS1, I-DQS2)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프롬프트(prompt) 되고 야기된다.

Description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 {METHOD,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ELECOMMUNICATIONS HANDSE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 A “SMART HOME” ENVIRONMENT}
독일어의 "지능적인 집/건물(Intelligentes Haus/Gebaeude)" 또는 "서비스-집/건물(Service-Haus/Gebaeude)"에 해당하는 "스마트 홈(Smart Home)"이라는 용어는, (일가족용-)주택 또는 건물(다세대 주택, 고층 건물, 공장 건물, 사무소용 대형 건물, 주택 가옥군 등) 내부의 부분적인 자동화를 포함하여 전자 오락기, 통신 기술 장비 및 옥내 기술 장비의 토털 네트워킹(total networking)을 의미하는 개념으로서, 이와 같은 토털 네트워킹에서는 집/건물 내에 있는 모든 설비 및 장치들이 국부적인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광역적인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일반적인 기술적 수렴의 결과로서 전술한 네트워킹 기술 장비들이 점점 더 많이 통합되는 추세이다.
가정 분야에 적용되는 상기와 같은 네트워킹 원리에서는, 무선 통신 기술 장비 그리고 특히 상기 네트워킹 원리를 위하여 간단하고, 신속하며, 사용자 친화적이고 특별히 다른 무엇보다도 경제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기술들이 확실하게 키 역할(key role)을 담당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특히, 소위 "핫-스팟(Hot-Spots)"으 로 불리는 300 미터까지의 작은 지역에서, 상기 "핫-스팟" 안에 있는 각각의 실제 거주지로부터 광역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스마트 홈"-소유자로 하여금 고유한 국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무선-기술들이 언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쇼트 구간 무선 영역(short range radio field)을 커버하는 잠재적인 무선-기술로서는 바람직하게 IEEE-스탠더드 802.11 (a...)에 따른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술, ETSI-스탠더드 ETS 300 175-1...7에 따른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기술, Bluetooth-스탠더드 (BT Spec. v1.2)에 따른 Bluetooth-기술, IEEE-스탠더드 802.16에 따른 WiMax-기술, IEEE-스탠더드 802.15.4에 따른 ZigBee-기술 및/또는 GSM- 혹은 3GPP-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 무선 통신-기술이 전술한 쇼트 구간 무선 스탠더드들 중에서 하나의 스탠더드와 연계하여 고려된다.
무선 통신 기술 장비와 네트워킹 된 장치 및 설비들은, 예를 들어 작동 및 조절 기능, 안전 및 모니터링 기능, 건강 및 치료 기능, 제어 기능, 수리 논리 기능 그리고 통신 및 오락 기능과 같은 다수의 기능들을 담당할 수 있는 "지능적인 집/건물"에서 원격 통신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무선 통신 기술 장비에 의해서 지능적으로 네트워킹 된 집/건물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상기 네트워킹 된 집/건물 내부에서(통신) 또는 외부에서(원격 통신) "스마트 홈"-시나리오에 가입한 장치들과 설비들 사이에서 전송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장치 및 설비들은 데이터 소스(data source) 및/또는 데이터 싱크(data sink)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와 데이터 싱크 사이에서 전송되는, "스마트 홈"이라는 주제하에서 논의된 시나리오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조작자 및 조작에 대하여 친화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원격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들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밖에 상기 목적은,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원격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청구항 21에 기술된 특징들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원격 통신 핸드셋과 관련하여 청구항 41에 기술된 특징들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 라인 교환된(line-switched) 및/또는 패킷 교환된(packet-switched)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그리고 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및/또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로 이루어진 - 바람직하게는 무선-전화 핸드셋 또는 이동 전화로서 형성된,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가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고, 무선 통신 또는 원격 통 신에 가입한 장치들 간에 이루어지는 메시지 교환 중에 상기 제어 명령을 예컨대 HF-신호 또는 무선 신호에 내장된 상태로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목적한 바대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서는 데이터 소스 내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응답되고, 데이터 싱크로의 상기 데이터의 출력(output), 릴리스(release) 혹은 전송(transfer), 또는 데이터 소스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프롬프트(prompt) 되고 야기된다.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장치들 자체가 데이터 소스 및 데이터 싱크일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는, 제어 명령의 사용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나타난다:
(ⅰ) 기지국 및/또는 이동부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응답되며, 상기 데이터는 출력, 릴리스 혹은 전송을 목적으로,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해당 제 1 이동부를 구비한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로, 해당 제 2 이동부를 구비한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로 및/또는 기지국과 연결되고 라인 교환된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에 할당된 EXTERN-데이터 소스/-싱크로 직접적으로 - 즉, 예를 들어 추가 이동부, 기지국 및/또는 기타 장치의 중간 접속 없이 - 또는 간접적으로 - 즉, 예를 들어 추가 이동부, 기지국 및/또는 기타 장치의 중간 접속에 의해서 - 전송되고 및/또는
(ⅱ) 이동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응답되며, 상기 데이터는 출력, 릴리스 혹은 전송을 목적으로,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에 할당된 제 1 이동부 또는 상기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에 할당된 제 2 이동부 및/또는 기지국을 통해서 이동부, EXTERN-데이터 소스/-싱크,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로 직접적으로 - 즉, 예를 들어 추가 이동부, 기지국 및/또는 기타 장치의 중간 접속 없이 - 또는 간접적으로 - 즉, 예를 들어 추가 이동부, 기지국 및/또는 기타 장치의 중간 접속에 의해서 - 전송된다.
제어 명령을 형성하고 발송하는 이동부는 예를 들어 종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조작 표면(예컨대 키 패드, 디스플레이, 메뉴 제어부, 음성 제어부 등)이 설치된 무선-전화 핸드셋이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조작 표면이 설치되고 전술한 목적으로 설계된 추가의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이 보완된 무선-전화 핸드셋/이동 전화가 한편으로는 평소와 마찬가지로 이동 통신 기기로서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마트 홈"-환경에서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어기 또는 원격 조작 기기로서 이용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무선-전화 핸드셋 또는 이동 전화의 사용자 혹은 조작자를 위한 조작 편리성이 개선된다. 사용자 혹은 조작자는 예를 들어 전화 통신(telephony), "거주지"-영역(예컨대 SOHO-영역; Small Office/HOme) 등에 있는 장치 또는 설비들의 지능적인 제어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시나리오를 위해서 단 하나의 장치만을 더 필요로 하고, 선행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두 가지 경우, 즉 무선-전화 핸드셋 및 이동 전화에서는 언급된 기지국 이 청구항 6, 7, 26, 27, 46 및 47에 따라 무선-기지국이다. 이 경우, 상기 무선-기지국에 이동 전화를 연결하는 작업은 무선-인터페이스, 예컨대 "블루투쓰(Bluetooth)"-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나머지 종속항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부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이동부의 제어 기능은 제어 명령을 넘어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의 출력, 릴리스 혹은 전송을 위한 조작 편리성을 개선하는 체크 명령(check commands)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청구항 2, 22, 42). 예를 들어 데이터의 재생/출력과 관련된 통상적인 체크 명령은 "전방향 및 후방향", "종료", "중단(Interrupt)/일시 정지(Pause)", "정지", "계속" 등의 명령이고, 릴리스 및 전송과 관련된 통상적인 체크 명령은 "중지(Abort)", "삭제", "복사" 등의 명령이다.
원격 통신 시스템의 "스마트 홈"-환경에서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물리적 자원들(resources)을 전송될 데이터(예컨대 음성 데이터, 패킷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와 일반적으로 연관된 데이터의 양에 맞추어 최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황에 따라서는 전술한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위해 상이한 별도의 공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대역 전송을 위한 공중 인터페이스(예컨대 Bluetooth-인터페이스, IEEE 802.11a/b/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 등) 및 전화 통신을 위한 공중 인터페이스(예컨대 DECT-, WDCT-, GSM-인터페이스 등)가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호환성(compatability) 측면,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측면 및 장애 발생도(susceptibility to interference) 측면 때문에 때때로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단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바람직하게는 광대역 전송에 적합한 공중 인터페이스(예컨대 스탠더드 IEEE 802.11 a/b/g 등을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종할 필요가 있다(참조. 청구항 3 내지 5, 23 내지 25 및 43 내지 45). 그러나 더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WiMax- 및/또는 ZigBee-기술을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와 같은 또 다른 무선-인터페이스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도면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이고,
도 2는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이며,
도 3은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이고,
도 4는 이동부를 구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대기(stand-by)"-모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를 깨워서 작동시킬 때 따르게 되는 제 1 메시지 순서도(message sequence chart)이며(제 1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한 기지국 내에서 종료된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처 리하며,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때 따르게 되는 제 2 메시지 순서도이고(제 2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6은 이동부를 구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다시 말해 상기 이동부에서 종료하고, 디스플레이할 때 따르게 되는 제 3 메시지 순서도이며(제 3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7a 및 도 7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른 이동부로 전송할 때 따르게 되는 제 4 메시지 순서도이고(제 4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비디오-필름을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볼 때 따르게 되는 제 5 메시지 순서도이며(제 5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MP3-파일을 HIFI-장치에서 출력할 때 따르게 되는 제 6 메시지 순서도이고(제 6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 및 광고 블록에 의한 상기 텔레비전 방송의 중단에 대한 정보를 받을 때 따르게 되는 제 7 메시지 순서도이며(제 7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의 이동부 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를 이용하여 "텔레보우팅(Televoting)"에 가입할 때 따르게 되는 제 8 메시지 순서도이다(제 8 "스마트 홈"-시나리오).
도 1은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은 바람직하게 무선-기지국으로서 형성된 기지국(BS) 그리고 무선-이동부 및 유선 이동부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MT)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BS)은 라인 접속부(a/b)를 통해서는 예를 들어 ISDN-네트워크 또는 PSTN-네트워크로서 형성될 수 있는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에 연결되고, 추가의 xDSL-접속부 또는 ETHERNET-접속부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MT)는 EXTERN-통신 -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대한 액세스 - 을 위하여 및/또는 INTERN-통신 -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있는 이동부들 상호 간의 통신 - 을 위하여 각각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 또는 라인 인터페이스(LTSS)를 통해 양방향으로 기지국(BS)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EXTERN-통신은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BS) 및/또는 이동부(MT)와 서비스 센터(DZ) 사이에서 "Short Message Service; SMS"에 따라 전송되는 짧은 메시지 및/또는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에 따라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 내에 있는 한 가입자가 이와 같은 메시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한 원격 통신 가입자에게 발송하고자 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상 기 원격 통신 가입자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이다.
INTERN-통신의 경우에는 상기 통신에 가입한 이동부들이 일반적으로 기지국(BS)을 통해 통신하며, 이 경우 기지국은 상기 통신의 제어(접속) 기능을 담당하지만, 실제 유효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송될 데이터를 단순히 순방향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들이 기지국(BS)을 포함하지 않고서도 소위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접속의 진행 중에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상기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접속의 경우에는 이동부들이 접속의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실제 유효 데이터의 전송 기능까지도 담당한다.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무선-기지국(BS)과 접속된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의 무선-이동부(MT)는 무선 INPUT/OUTPUT-이동 박스(MB), 소위 무선 I/O-이동 박스이거나, 또는 하나의 키 패드 또는 음성 제어부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조작- 또는 사용 표면)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으로 형성된 매우 일반적인 원격 통신 핸드셋(TKHA)인 반면, 라인 인터페이스(LTSS)를 통해 기지국(BS)과 접속된 유선 이동부(MT)는 공지된 기능을 갖는 유선의 셋탑-박스(Settop-Box; STB)이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에 대한 대안으로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 대신에 상기와 같은 핸드셋과 동일한 또는 필적할만한 특징을 갖는 동시에 무선-기지국(BS) 및 다른 무선-이동부(MT)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를 갖춘 이동 전화(예컨대 GSM- 또는 3GPP-핸디)가 이용되는 정도까지 변형된 원격 통신 시스템도 "스마트 홈"-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 변형예에서는, 추가로 무선-기지국(BS)을 이동 무선 통신-기지국으로 대체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대체의 결과로, 상기와 같은 원격 통신 시스템의 INTERN-통신은 오로지 이동 무선 통신-기지국의 개입 없이 포인트-투-포인트-접속의 진행 중에 이루어지는 이동부로부터 무선-이동부로의 무선 통신 또는 무선-이동부로부터 무선-인터페이스를 갖춘 이동 전화로의 무선 통신이 된다. 이동 전화로부터 외부 네트워크로의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의 EXTERN-통신은 이동 무선 통신 영역에서와 같이 이동 무선 통신-기지국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EXTERN-통신은 다른 무선-이동부(MT)로부터 이동 전환 및 이동 무선 통신-기지국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이동 전화는 무선-/이동 무선 통신 컨버터로서 기능한다.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의 다양한 I/O-이동 박스(MB) 및 셋탑-박스(STB)는 다양한 장치 및 설비를 갖춘 "스마트 홈"-환경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제 1 이동부(MT1)로서 형성된 I/O-이동 박스(MB)는 라인 접속부(USB, ETHERNET)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PC)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퍼스널 컴퓨터(PC)를 상기 라인 접속부(USB, ETHERNET)를 통해 제 1 이동부(MT1) 또는 I/O-이동 박스(MB)와 접속하는 대신에, 제 1 이동부(MT1)로서 형성되고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버스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I/O-이동 박스 카드(MBK)를 퍼스널 컴퓨터(PC)의 빈 PCI-카드 슬롯 상에 제공하는 통합 해결 방안도 또한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제 2 이동부(MT2)로서 기능하는 추가의 4개의 I/O-이동 박스(MB)는 하나의 텔레비전 수상기(FA), 하나의 HIFI-장치(HA) 및 2개의 전기 장치(ELG), 즉 세탁기 및 전자 레인지와 연결된다. 텔레비전 수상기(FA)와 제 2 이동부(MT2) 사이의 접속부가 바람직하게는 라인 접속부(SCART), 즉 S-비디오(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ecepteurs et Televiseurs; Super-Video)이고, HIFI-장치(HA)와 제 2 이동부(MT2) 사이의 접속부가 바람직하게는 라인 접속부(CINCH, S/PDIF)(CINCH 사(社)로부터 연원되고, 동축 케이블에 사용되는 전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속부;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인 반면, 상기 2개의 전기 장치(ELG), 즉 세탁기와 전자 레인지 사이의 접속부는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EIB, LON, LCN, KNX)(European Installation Bus - 모든 종류의 기술적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건물 설비용의 표준화된 버스(bus); Local Operating Network - 미국 회사 Echolon의 필드 버스 시스템(field bus system); Local Control Network - Issendorf 사(社)의 버스 시스템; 3개의 버스 시스템 EIB, BatiBus 및 EHS의 파워가 결합됨으로써 상호 운용성이 보장되는 KoNnex-스탠더드, 이 경우 BatiBus는 프랑스에서 개발된 시스템으로서 EIB-버스와 유사하게 구성되었으며, EHS는 "European Home System"이라는 주제하에 구성된 다수의 유럽 회사들의 연합)이다. 지시된 전체 라인 접속부들 SCART, S-VIDEO, CINCH, S/PDIF, EIB, LON, LCN, KNX는 가정용 기술 장비 및 전자 오락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이고 표준화된 스탠더드 인터페이스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I/O-이동 박스 <---> 퍼스널 컴퓨터"의 할당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통합 해결책이 당연히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그리고 전기 장치(ELG)에서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언급되어야 한다.
상기 전기 장치(ELG),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퍼스널 컴퓨터(PC), 기지국(BS)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이동부(MT1, MT2)로 형성된 I/O-이동 박스(MB)도 또한 전류 공급을 목적으로 전류 공급 회로망(SVN)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달리, 제 3 이동부(MT3)로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원격 통신 핸드셋(TKHA)은 배터리 혹은 축전지에 의해서 작동되는 반면에, 제 2 이동부(MT2)에 속하고 라인 인터페이스(LT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셋탑-박스(STB)는 I/O-이동 박스(MB)와 마찬가지로 전류 공급 회로망(SVN)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셋탑-박스(STB)는 DVB-신호(DVB-T/S/C)(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Satellite/-Cable)를 수신하여 이 DVB-신호를 공지된 방식으로 텔레비전 수상기(FA) 및 HIFI-장치(HA)용의 아날로그-신호(Analog-Signal)/디지털-신호(Digital-Signal)(AS/DS)로 변환시킨다.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에서는 "스마트 홈"-시나리오의 결과로서, 이동부들(MT1, MT2, MT3)과 기지국(BS) 사이에서, 이동부들(MT1, MT2, MT3) 사이에서, 및 한편으로는 이동부들(MT1, MT2, MT3)과 기지국(BS) 및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부들과 상기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에 할당된 서비스 센터(DZ)를 포함한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 사이에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전송된다. 데이터가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의 각각 임의의 장치 또는 각각의 임의의 설비로부터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의 다른 장치 또는 다른 설비로 전송될 수 있 고, 그에 따라 상기 장치 또는 설비들이 데이터 소스/데이터 싱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 이와 같은 내용은 특히 전통적인 사상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C),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및 전기 장치(ELG) 그리고 서비스 센터(DZ)에 해당됨 - 퍼스널 컴퓨터(PC)는 기지국(BS)까지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근접함 및 제 1 이동부(MT1)에 대한 할당 때문에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 기술되고,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및 전기 장치(ELG)도 마찬가지로 기지국(BS)까지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근접함 및 제 2 이동부(MT2)에 대한 할당 때문에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 기술되며, 그리고 서비스 센터(DZ)는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대한 연관성 및 그와 더불어 기지국(BS)으로부터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거리 때문에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서, 이동부(MT1, MT2, MT3) 및 기지국(BS) 자체가 추가의 데이터 소스/데이터 싱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에서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 전송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는 아래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 텍스트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짧은 메시지이거나 또는 비디오 텍스트 정보이다.
● 오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전화 음성 정보, 음악 정보 또는 인터넷, 예컨대 MP3-파일로부터의 오디오-다운로드이다.
● 비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화상 정보 또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비디오-다운로드이다.
● 마지막으로 제어 데이터는 전기 장치들을 제어, 측정, 조절, 교정, 진단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의 물리적인 자원들을 전송될 데이터(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패킷-,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맞추어 최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은 바람직하게 개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으로 설계된 상이한 공중 인터페이스가 각각 전술한 상이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위하여 이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예를 들어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선행 기술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스탠더드에 따른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DECT-, WDCT-, DECT- 및 Bluetooth-, WDCT- 및 Bluetooth-, DECT- 및 IEEE 802.11a-, DECT- 및 IEEE 802.11b-, DECT- 및 IEEE 802.11g-, WDCT- 및 IEEE 802.11a-, WDCT- 및 IEEE 802.11b-, WDCT- 및 IEEE 802.11g-, GSM- 및 DECT-, GSM- 및 Bluetooth-, GSM- 및 IEEE 802.11a-, GSM- 및 IEEE 802.11b-, GSM- 및 IEEE 802.11g-, 3GPP- 및 Bluetooth-, 3GPP- 및 IEEE 802.11a-, 3GPP- 및 IEEE 802.11b- 또는 3GPP- 및 IEEE 802.11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은 도 1의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과 같이 재차 바람직하게는 무선-기지국으로서 형성된 기지국(BS) 그리고 무선-이동부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MT)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라인 접속부(a/b)를 통해서는 예를 들어 ISDN- 또는 PSTN-네트워크로서 형성될 수 있는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에 연결되어 있고, 추가의 xDSL- 또는 ETHERNET-접속부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 형성될 수 있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MT)는 EXTERN-통신 -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대한 액세스 - 을 위하여 및/또는 INTERN-통신 -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있는 이동부들 상호간의 통신 - 을 위하여 각각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양방향으로 기지국(BS)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EXTERN-통신은 예를 들어 재차 기지국(BS) 및/또는 이동부(MT)와 서비스 센터(DZ) 사이에서 "Short Message Service; SMS"에 따라 전송되는 짧은 메시지 및/또는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에 따라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한 가입자가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 내에서 이와 같은 메시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한 원격 통신 가입자에게 발송하고자 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원격 통신 가입자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이다.
INTERN-통신의 경우에는 상기 통신에 가입한 이동부들이 재차 일반적으로는 기지국(BS)을 통해 통신하며, 이 경우 기지국은 상기 통신의 제어(접속) 기능을 담당하지만, 실제 유효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송될 데이터를 단순히 순방향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들이 기지국(BS)을 포함하지 않고서도 소위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접속의 진행 중에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상기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접속의 경우에는 이동부들이 접속의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실제 유효 데이터의 전송 기능까지도 담당한다.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무선-기지국(BS)과 접속된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의 무선-이동부(MT)는 무선 INPUT/OUTPUT-이동 박스(MB), 소위 무선 I/O-이동 박스이거나, 또는 재차 하나의 키 패드 또는 음성 제어부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조작- 또는 사용 표면)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으로 형성된 매우 일반적인 원격 통신 핸드셋(TKHA)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에 대한 대안으로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 대신에 상기와 같은 핸드셋과 동일한 또는 필적할만한 특징을 갖는 동시에 무선-기지국(BS) 및 다른 무선-이동부(MT)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를 갖춘 이동 전화(예컨대 GSM- 또는 3GPP-핸디)가 이용되는 정도까지 변형된 원격 통신 시스템도 "스마트 홈"-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의 다양한 I/O-이동 박스(MB) 및 셋탑-박스(STB)는 재차 다양한 장치 및 설비들을 구비한 "스마트-홈"-시나리오와 연관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과 달리 퍼스널 컴퓨터(PC)가 라인 접속부(USB, ETHERNET)를 통해 제 1 이동부(MT1)로서 형성된 I/O-이동 박스(MB)와 접속되지 않고, 오히려 무선-기지국(BS)과 직접 접속된다.
더 나아가, 제 2 이동부(MT2)로서 기능하는 4개의 I/O-이동 박스(MB)는 하나의 텔레비전 수상기(FA), 하나의 HIFI-장치(HA) 및 2개의 전기 장치(ELG), 즉 세탁기 및 전자 레인지와 연결된다. 텔레비전 수상기(FA)와 제 2 이동부(MT2) 사이의 접속부는 재차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SCART), 즉 S-비디오이고, HIFI-장치(HA)와 제 2 이동부(MT2) 사이의 접속부는 재차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CINCH, S/PDIF)이며, 또한 상기 2개의 전기 장치(ELG), 즉 세탁기와 전자 레인지 사이의 접속부는 재차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EIB, LON, LCN, KNX)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 <---> 퍼스널 컴퓨터"의 할당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직접적인 접속 가능성이 당연히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그리고 전기 장치(ELG)에서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언급되어야 한다.
상기 전기 장치(ELG),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퍼스널 컴퓨터(PC), 기지국(BS)뿐만 아니라 제 2 이동부(MT2)로 형성된 I/O-이동 박스(MB)도 또한 전류 공급을 목적으로 전류 공급 회로망(SVN)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달리, 제 3 이동부(MT3)로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원격 통신 핸드셋(TKHA)은 배터리 혹은 축전지에 의해서 작동되는 반면에, 제 2 이동부(MT2)에 속하고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I/O- & 셋탑-박스(MB, STB)는 I/O-이동 박스(MB)와 마찬가지로 전류 공급 회로망(SVN)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셋탑-박스(STB)는 재차 DVB-신호(DVB-T/S/C)를 수신하여 이 DVB-신호를 공지된 방식으로 텔레비전 수상기(FA) 및 HIFI-장치(HA)용의 아날로그-신호(Analog-Signal)/디지털-신호(Digital-Signal)(AS/DS)로 변환시킨다.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에서는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에서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홈"-시나리오의 결과로서, 이동부들(MT1, MT2, MT3)과 기지국(BS) 사이에서, 이동부들(MT1, MT2, MT3) 사이에서, 및 한편으로는 이동부들(MT1, MT2, MT3)과 기지국(BS) 및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부들과 상기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에 할당된 서비스 센터(DZ)를 포함한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 사이에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전송된다. 데이터가 재차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각각 임의의 장치 또는 각각의 임의의 설비로부터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다른 장치 또는 다른 설비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장치 또는 설비들이 데이터 소스/데이터 싱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 이와 같은 내용은 특히 전통적인 사상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C),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및 전기 장치(ELG) 그리고 서비스 센터(DZ)에 해당됨 - 퍼스널 컴퓨터(PC)는 기지국(BS)을 구비한 구조적인 유닛 때문에 재차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 기술되고,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및 전기 장치(ELG)도 마찬가지로 기지국(BS)까지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근접함 및 제 2 이동부(MT2)에 대한 할당 때문에 재차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 기술되며, 그리고 서비스 센터(DZ)는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대한 연관성 및 그와 더불어 기지국(BS)으로부터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거리 때문에 재차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서, 이동부(MT2, MT3) 및 기지국(BS) 자체가 추가의 데이터 소스/데이터 싱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에서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 전송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는 재차 아래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 텍스트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짧은 메시지이거나 또는 비디오 텍스트 정보이다.
● 오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전화 음성 정보, 음악 정보 또는 인터넷, 예컨대 MP3-파일로부터의 오디오-다운로드이다.
● 비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화상 정보 또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비디오-다운로드이다.
● 마지막으로 제어 데이터는 전기 장치들을 제어, 측정, 조절, 교정, 진단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의 물리적인 자원들을 전송될 데이터(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패킷-,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맞추어 최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2)은 바람직하게 재차 개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으로 설계된 상이한 공중 인터페이스가 각각 전술한 상이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위하여 이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예를 들어 재차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재차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선행 기술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스탠더드에 따른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재차 DECT-, WDCT-, DECT- 및 Bluetooth-, WDCT- 및 Bluetooth-, DECT- 및 IEEE 802.11a-, DECT- 및 IEEE 802.11b-, DECT- 및 IEEE 802.11g-, WDCT- 및 IEEE 802.11a-, WDCT- 및 IEEE 802.11b-, WDCT- 및 IEEE 802.11g-, GSM- 및 DECT-, GSM- 및 Bluetooth-, GSM- 및 IEEE 802.11a-, GSM- 및 IEEE 802.11b-, GSM- 및 IEEE 802.11g-, 3GPP- 및 Bluetooth-, 3GPP- 및 IEEE 802.11a-, 3GPP- 및 IEEE 802.11b- 또는 3GPP- 및 IEEE 802.11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3은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은 바람직하게 퍼스널 컴퓨터(PC)에 통합된 무선-기지국 카드의 형태로 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MSSM)로서 형성된 기지국(BS) 그리고 무선-이동부 및 유선 이동부로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MT)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재차 라인 접속부(a/b)를 통해서는 예를 들어 ISDN- 또는 PSTN-네트워크로서 형성될 수 있는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에 연결되어 있고, 추가의 xDSL- 또는 ETHERNET-접속부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 형성될 수 있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MT)는 EXTERN-통신 -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대한 액세스 - 을 위하여 및/또는 INTERN-통신 -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있는 이동부들 상호간의 통신 - 을 위하여 각각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양방향으로 기지국(BS)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MSSM) 또는 기지국 카드는 하나의 PCI-버스 인터페이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를 포함하고, 이와 관련하여 퍼스널 컴퓨터(PC)의 빈 PCI-카드 슬롯 상에 제공된다.
상기 EXTERN-통신은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BS) 및/또는 이동부(MT)와 서비스 센터(DZ) 사이에서 "Short Message Service; SMS"에 따라 전송되는 짧은 메시지 및/또는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에 따라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 1 원격 통신 시스템(TKS1) 내에 있는 한 가입자가 이와 같은 메시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한 원격 통신 가입자에게 발송하고자 하거나 또는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원격 통신 가입자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이다.
INTERN-통신의 경우에는 상기 통신에 가입한 이동부들이 재차 일반적으로 기지국(BS)을 통해 통신하며, 이 경우 기지국은 상기 통신의 제어(접속) 기능을 담당하지만, 실제 유효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송될 데이터를 단순히 순방향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들이 기지국(BS)을 포함하지 않고서도 소위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접 속의 진행 중에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것도 또한 재차 가능하며, 상기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접속의 경우에는 이동부들이 접속의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실제 유효 데이터의 전송 기능까지도 담당한다.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NSSM) 또는 기지국 카드로서 형성된 무선-기지국(BS)과 접속된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무선-이동부(MT)는 무선 INPUT/OUTPUT-이동 박스(MB), 소위 무선 I/O-이동 박스, I/O- & 셋탑-이동 박스(MB, STB)이거나, 또는 재차 하나의 키 패드 또는 음성 제어부로 이루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조작- 또는 사용 표면)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으로 형성된 매우 일반적인 원격 통신 핸드셋(TKHA)이다.
도 3에 도시된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에 대한 대안으로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 대신에 상기와 같은 핸드셋과 동일한 또는 필적할만한 특징을 갖는 동시에 무선-기지국(BS) 및 다른 무선-이동부(MT)에 대한 무선 접속을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를 갖춘 이동 전화(예컨대 GSM- 또는 3GPP-핸디)가 이용되는 정도까지 변형된 원격 통신 시스템도 "스마트 홈"-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다양한 I/O-이동 박스(MB) 및 I/O- & 셋탑-이동 박스(MB, STB)는 재차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서 다양한 장치 및 설비들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이동부(MT2)로서 기능하는 3개의 I/O-이동 박스(MB)는 하나의 HIFI-장치(HA) 및 2개의 전기 장치(ELG), 즉 하나의 세탁기 및 전자 레인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I/O- & 셋탑-이동 박스(MB, STB)는 텔레비전 수상기 (FA)와 연결되어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FA)와 제 2 이동부(MT2) 사이의 접속부는 재차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SCART), 즉 S-비디오이고, HIFI-장치(HA)와 제 2 이동부(MT2) 사이의 접속부는 재차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CINCH, S/PDIF)이며, 또한 상기 2개의 전기 장치(ELG), 즉 세탁기와 전자 레인지 사이의 접속부는 재차 바람직하게 라인 접속부(EIB, LON, LCN, KNX)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 <---> 퍼스널 컴퓨터"의 할당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통합 해결책(Stw.: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기지국 카드)이 당연히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그리고 전기 장치(ELG)에서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언급되어야 한다.
상기 전기 장치(ELG),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퍼스널 컴퓨터(PC), 기지국(BS)뿐만 아니라 제 2 이동부(MT2)로 형성된 I/O-이동 박스(MB)도 또한 전류 공급을 목적으로 재차 전류 공급 회로망(SVN)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달리, 제 3 이동부(MT3)로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원격 통신 핸드셋(TKHA)은 배터리 혹은 축전지에 의해서 작동되는 반면에, 제 2 이동부(MT2)에 속하고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셋탑-박스(STB)는 I/O-이동 박스(MB)와 마찬가지로 전류 공급 회로망(SVN)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셋탑-박스(STB)는 재차 DVB-신호(DVB-T/S/C)를 수신하여 이 DVB-신호를 공지된 방식으로 텔레비전 수상기(FA) 및 HIFI-장치(HA)용의 아날로그-신호(Analog-Signal)/디지털-신호(Digital-Signal)(AS/DS)로 변환시킨다.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에서는 제 1 및 제 2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에서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홈"-시나리오의 결과로서, 이동부들(MT2, MT3)과 기지국(BS) 사이에서, 이동부들(MT2, MT3) 사이에서, 및 한편으로는 이동부들(MT2, MT3)과 기지국(BS) 및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부들과 상기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에 할당된 서비스 센터(DZ)를 포함한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 사이에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전송된다. 데이터가 재차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각각 임의의 장치 또는 각각의 임의의 설비로부터 상기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다른 장치 또는 다른 설비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장치 또는 설비들이 데이터 소스/데이터 싱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 이와 같은 내용은 특히 전통적인 사상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C),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및 전기 장치(ELG) 그리고 서비스 센터(DZ)에 해당됨 - 퍼스널 컴퓨터(PC)는 기지국(BS)까지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근접함 때문에 재차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 기술되고,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및 전기 장치(ELG)도 마찬가지로 기지국(BS)까지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근접함 및 제 2 이동부(MT2)에 대한 할당 때문에 재차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 기술되며, 그리고 서비스 센터(DZ)는 라인 교환된 네트워크(LVN) 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PVN)에 대한 연관성 및 그와 더불어 기지국(BS)으로부터의 공간적이고 국부적인 거리 때문에 재차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서, 이동부(MT2, MT3) 및 기지국(BS) 자체가 추가의 데이터 소스/데이터 싱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에서의 "스마트 홈"-시나리오를 위해 전송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는 재차 아래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 텍스트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짧은 메시지이거나 또는 비디오 텍스트 정보이다.
● 오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전화 음성 정보, 음악 정보 또는 인터넷, 예컨대 MP3-파일로부터의 오디오-다운로드이다.
● 비디오 데이터는 바람직하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화상 정보 또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비디오-다운로드이다.
● 마지막으로 제어 데이터는 전기 장치들을 제어, 측정, 조절, 교정, 진단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스마트 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의 물리적인 자원들을 전송될 데이터(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패킷-,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맞추어 최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원격 통신 시스템(TKS3)은 바람직하게 재차 개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으로 설계된 상이한 공중 인터페이스가 각각 전술한 상이한 종류의 데이터들을 위하여 이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예를 들어 재차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재차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선행 기술에서 이용되는 무선 통신 스탠더드에 따른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재차 DECT-, WDCT-, DECT- 및 Bluetooth-, WDCT- 및 Bluetooth-, DECT- 및 IEEE 802.11a-, DECT- 및 IEEE 802.11b-, DECT- 및 IEEE 802.11g-, WDCT- 및 IEEE 802.11a-, WDCT- 및 IEEE 802.11b-, WDCT- 및 IEEE 802.11g-, GSM- 및 DECT-, GSM- 및 Bluetooth-, GSM- 및 IEEE 802.11a-, GSM- 및 IEEE 802.11b-, GSM- 및 IEEE 802.11g-, 3GPP- 및 Bluetooth-, 3GPP- 및 IEEE 802.11a-, 3GPP- 및 IEEE 802.11b- 또는 3GPP- 및 IEEE 802.11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4는 이동부를 구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이동부의 사용자가 "대기(stand-by)"-모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PC)를 깨워서 작동시킬 때 따르게 되는 제 1 메시지 순서도(message sequence chart)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4에 따라,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이동부(MT3)와 연결되고 I/O-이동 박스(MB) 또는 I/O-이동 박스 카드(MBK)로서 형성된 제 1 이동부(MT1)와 라인 접속부(USB, ETHERNET)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부(MT1)와 연결되고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 형성된 퍼스널 컴퓨터(PC)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이동부(MT3)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MT-메모리(MT-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이동부(MT3)와 상기 I/O-이동 박스(MB)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MT/MB-공중 인터페이스(MT/MB-LSS)이고,
(ⅱ) I/O-이동 박스(MB)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이동부(MT3)와 공통의 MT/MB-공중 인터페이스(MT/MB-LSS), MB-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B-P) 그리고 USB/ETHERNET-인터페이스(USB/ETH-SS)이며,
(ⅲ) 퍼스널 컴퓨터(PC)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I/O-이동 박스(MB)에서와 마찬가지로, USB/ETHERNET-인터페이스(USB/ETH-SS), 파워-매니지먼트(PM), PC-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PC-P) 그리고 PC-메모리(PC-S)이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가 "대기(Stand-by)"-모드에 있고, 상기 상태에서는 상기 퍼스널 컴퓨터가 이동부(MT3)에 의해서 깨워지고 작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PC를 깨우고 작동시키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상기 MT/MB-공중 인터페이스(MT/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MB-프로세서(MB-P)가 상기 MT/MB-공중 인터페이스(MT/MB-LSS)를 통해 확인 메시지(BM)를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MT-프로세서(MT-P)로부터 "PC를 깨우고 작동시키라"는 제어 명령(STK)에 속하는 "PC를 깨우고 작동시키라"는 명령 데이터(KD)가 I/O-이동 박스(MB) 및 퍼스널 컴퓨터(PC) 내에 있는 MT/MB-공중 인터페이스(MT/MB-LSS), MB-프로세서(MB-P), USB/ETHERNET-인터페이스 (USB/ETH-SS)를 통해 파워-매니지먼트(PM)로 전달된다. "PC를 깨우고 작동시켰다"는 응답 메시지(AWM)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를 통해 파워-매니지먼트(PM)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PC를 깨우고 작동시켰다"는 디스플레이 데이터(AD)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전달하며, 이곳에서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MT-프로세서(MT-P)가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MB-공중 인터페이스(MT/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하며, 상기 MB-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기지국 내에서 종료된 하나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처리하며,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할 때 따르게 되는 제 2 메시지 순서도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5a 내지 도 5c에 따라, 라인 교환된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 라인 접속부(a/b, xDSL, ETHERNET)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LVN, PVN)와 기지국(BS)과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상기 기지국(BS)과 연결된 제 3 이동부(MT3)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기지국(BS)을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라인 접속부(LNA), BS-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BS-P), BS-메모리(BS-S) 그리고 상 기 기지국(BS)과 상기 이동부(MT3)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이며,
(ⅱ) 제 3 이동부(MT3)를 위해서는 기지국(BS)과 공통의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MT-메모리(MT-S)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이며, 이 경우 상기 이동부(MT3)의 소자들은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N)가 기지국(BS)에 의해서 수신되고 (기지국 내에서의 메시지의 종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N)의 수신이 이동부(MT3)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목적을 위해,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N)를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해 BS-프로세서(BS-P)로 전송한다. 상기 BS-프로세서(BS-P)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N)에 상응하는 MMN-데이터(MMN-D)를 BS-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다음에 상기 BS-프로세서(BS-P)가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라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BCM)를 상기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하여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MT-프로세서(MT-P)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존재한다"는 디스플레이 정보(AI)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로 전송하며, 이곳에서 상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한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1 연속 상태(FZ1)에서는, 기지국(BS)에서 종료된 특정 (n-번째) 멀티미디어 메시지(MMN)가 이동부(MT)에 의해서 선택되어 상기 이동부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로부터 "MMN-리스트"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MMN-리스트"라는 질문 메시지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BS-프로세서(BS-P)로 전송한다. 상기 질문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BS-프로세서(BS-P)가 BS-메모리(BS-S)로부터 전체 MMN-데이터를 판독 출력한다. 이와 같은 판독 출력 과정 후에, 상기 BS-프로세서(BS-P)가 MMN-데이터 리스트(MMN-DL)를 동반한 응답 메시지(AWM)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 내에서는, MMN-데이터 리스트(MMN-DL)가 MT-메모리(MT-S)에 임시 저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로 전달되며, 이곳에서 MMN-데이터 리스트(MMN-DL)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리스트로부터 n-번째 MMN"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리스트로부터 n-번째 MMN"이라는 질문 메시지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BS-프로세서(BS-P)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된 질문 메시지를 토대로, 상기 BS-프로세서(BS-P)가 BS-메모리(BS-S)로부터 n-번째 MMN-데이터를 판독 출력한다. 판독 출력 과정의 종료 후에, BS-프로세서(BS-P)가 응답 메시지(AWM) 내에서 판독 출력된 n-번째 MMN-데이터(n-MMN-D)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다. 상기 전송된 n-번 째 MMN-데이터(n-MMN-D)가 상기 MT-프로세서(MT-P)에 의하여 MT-메모리(MT-S)에 저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 상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n-번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 "MT-프로세서, MT-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키 패드"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2 연속 상태(FZ2)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예컨대 n-번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변경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로부터 "n-번째 MMN을 변경시켜라"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 명령(STK)이 전송된 다음에, 키 패드(TA)로부터 변경 명령(AEK)이 MT-프로세서(MT-P)로 전송된다. 상기 변경 명령(AEK)을 토대로, MT-프로세서(MTP)로부터 변경 메시지(AEN)가 발생되어 상기 응답 메시지가 MT-메모리(MT-S)에 저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변경 메시지(AEN)가 디스플레이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3 연속 상태(FZ3)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예컨대 변경된 n-번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응답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n-번째 MMN에 응답하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 명령(STK)이 전송된 다음에, 키 패드(TA)로부터 응답 명령(BAK)이 응답 명령(BA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응답 명령(BAK)을 토대로, MT-프로세서(MTP)로부터 응답 메시지(AWN)가 발생되어 상기 응 답 메시지가 MT-메모리(MT-S)에 저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AWN)가 디스플레이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응답 메시지 전송"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상기 응답 메시지(AWN)의 응답 데이터(AWD)를 MT-메모리(MT-S)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AWD)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및 BS-프로세서(BS-P)를 통해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로 전달하며, 그곳으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AWD)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AWN)가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로 전송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4 연속 상태(FZ1)에서는, 메시지 요소 또는 메시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기지국(BS) 내에 있는 메모리(BS-S)로부터 생성된 다음에 발송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MMN 메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MMN-요소"라는 질문 메시지(AFM)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BS-프로세서(BS-P)로 전송한다. 상기 질문 메시지를 토대로, BS-프로세서(BS-P)가 BS-메모리(BS-S)로부터 전체 MMN-데이터 요소들을 판독 출력한다. 상기 판독 출력 과정 후에, BS-프로세서(BS-P)가 MMN-데이터 요소(MMN-DE)를 동반한 응답 메시지(AWM)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 내에서, MMN-데이터 요소(MMN-DE)로부터 MMN-메뉴(MMN-M)가 형성되고, 상기 메뉴가 MT-메모리(MT-S)에 임시 저장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MMN-메뉴(MMN-M)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MMN-생성 명령(MMN-E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MT-프로세서(MT-P)는 상기 MMN-생성 명령(MMN-EK)으로부터 MMN-메시지(MMN-N)를 생성하고, 상기 MMN-메시지(MMN-N)는 MT-메모리(MT-S)에 저장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MMN-메시지(MMN-N)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MMN-메시지를 전송하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MT-프로세서(MT-P)는 상기 MMN-메시지에 상응하는 MMN-데이터(MMN-D)를 MT-메모리(MT-S)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상기 MMN-데이터(MMN-D)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및 BS-프로세서(BS-P)를 통해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로 전달하며, 그곳으로부터 상기 MMN-데이터(MMN-D)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N)가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로 전송된다.
도 6은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되고, 제 3 이동부(MT3)를 구비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다시 말해 상기 이동부(MT3) 내에서 종료되고 디스플레이되는, 제 3 "스마트 홈"-시나리오에 따른 제 3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6에 따라, 라인 교환된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 라인 접속부(a/b, xDSL, ETHERNET)를 통 해 상기 네트워크(LVN, PVN)와 연결된 기지국(BS)과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기지국(BS)과 연결된 제 3 이동부(MT3)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기지국(BS)을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라인 접속부(LNA), BS-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BS-P), BS-메모리(BS-S) 그리고 상기 기지국(BS)과 상기 이동부(MT3)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이며,
(ⅱ) 제 3 이동부(MT3)를 위해서는, 기지국(BS)과 공통의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예를 들어 모뎀 또는 ISDN-D-채널로서 형성된 디지털 네트워크 접속부(DNA),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MT-메모리(MT-S)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이며, 이 경우 상기 이동부(MT3)의 소자들은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N)가 이동부(MT3)에 의해서 수신되고 (이동부 내에서의 메시지의 종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이 이동부(MT3)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목적을 위해,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에 의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MMN)가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해 BS-프로세서(BS-P)로 전달된 다음에, 상기 BS-프로세서(BS-P)가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라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BCM)를 상기 BS/MT-공중 인터페이스 (BS/MT-LSS) 및 디지털 네트워크 접속부(DNA)를 통하여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MT-프로세서(MT-P)가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존재한다"는 디스플레이 정보(AI)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하며, 이곳에서 상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을 구성하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MT-프로세서(MT-P)는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디지털 네트워크 접속부(DNA) 및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BS-프로세서(BS-P)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BS-프로세서(BS-P)에 의하여,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해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이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 내에서 구성된다. 그 다음에 상기 BS-프로세서(BS-P)가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하여,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로부터 통신 접속의 구성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가 "통신 접속 구성"이라는 확인 메시지(BM)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및 디지털 네트워크 접속부(DNA)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픽업"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픽업"이라는 질문 메시지(AFM)를 디지털 네크워크 접속부(DNA) 및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해 BS-프로세서 (BS-P)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상기 BS-프로세서(BS-P)가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 그리고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부를 통해,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픽업한다. 그리고 나서 BS-프로세서(BS-P)가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해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로부터 MMN-데이터(MMN-D)를 수신하면, 상기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가 MMN-데이터(MMN-D)를 동반한 응답 메시지(AWM)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및 디지털 네크워크 접속부(DNA)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가 전달된 MMN-데이터(MMN-D)를 MT-메모리(MT-S) 저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하며, 이곳에서 상기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이라는 해체 메시지(ABM)를 디지털 네크워크 접속부(DNA) 및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를 통하여 BS-프로세서(BS-P)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BS-프로세서(BS-P)가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하여,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 내에서 MMN-서비스 센터에 대한 통신 접속을 해체한다. 그 다음에 BS-프로세서(BS-P)가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를 통하여,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로부터 통신 접속의 해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라인 교환된/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가 "통신 접속의 해체"라는 확인 메시지(BM)를 BS/MT-공중 인터페이스(BS/MT-LSS) 및 디지털 네크워크 접속부(DNA)를 통하여 MT-프로세서(MT-P)로 전송 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접속이 해체된다.
도 7a 및 도 7b는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특정 (n-번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부(MT3)로부터 다른 이동부, 예컨대 제 1 이동부(MT1), 제 2 이동부(MT2) 또는 추가의 제 3 이동부(MT3)로 내부에서 전달하는, 제 4 "스마트 홈"-시나리오에 따른 제 4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7a 및 도 7b에 따라,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이동부(MT3)와 직접 연결되거나 (포인트-투-포인트-접속) 또는 간접으로 기지국(BS)을 통해 연결된 추가의 이동부(MT1, MT2, MT3)와 제 3 이동부(MT3)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제 3 이동부(MT3)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MT-메모리(MT-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이동부(MT3)와 상기 추가 이동부(MT1, MT2, MT3)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이고,
(ⅱ) 추가의 이동부(MT1, MT2, MT3)를 위해서는, 상기 제 3 이동부(MT3)와 공통의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MT-메모리(MT-S)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이며, 이 경우 상기 이동부(MT3)의 소자들은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n-번째 멀티미디어 메시지(MMN)가 제 3 이동부(MT3)로부터 내부에서 추가의 이동부(MT1, MT2, MT3)로 전달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로부터 "MMN-리스트"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MT-메모리(MT-S)로부터 전체 MMN-데이터를 판독 출력한다. 이와 같은 판독 출력 과정 후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MMN-리스트(MMN-L)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로 전송하며, 이곳에서 상기 MMN-리스트(MMN-L)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리스트로부터 n-번째 MMN"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MT-메모리(MT-S)로부터 n-번째 MMN-데이터(n-MMN-D)를 판독 출력한다. 판독 출력 과정의 종료 후에, MT-프로세서(MT-P)가 응답 판독 출력된 n-번째 MMN-데이터(n-MMN-D)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 상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n-번째 MMN-데이터를 추가의 이동부로 전송하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구성 메시지(AUM)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하여 상기 추가 이동부(MT1, MT2, MT3)의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확인 메시지(BM)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해 제 3 이동부(MT3)의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MT-프로세서(MT-P)는 "n-번째 MMN-데이터가 전송되는가?"라는 질문 메시지(AFM)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하여 상기 추가 이동부(MT1, MT2, MT3)의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응답으로서 "동의"라는 응답 메시지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하여 제 3 이동부(MT3)의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AWM)를 토대로, MT-프로세서(MT-P)가 MT-메모리(MT-S)로부터 n-번째 MMN-데이터(n-MMN-D)를 판독 출력한다. 상기 판독 출력 과정 후에, MT-프로세서(MT-P)가 n-번째 MMN-데이터(n-MMN-D)를 동반한 전송 메시지(UEM)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하여 상기 추가 이동부(MT1, MT2, MT3)의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에 의하여, 상기 n-번째 MMN-데이터(n-MMN-D)가 MT-메모리(MT-S)에 저장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 상에 제공되며, 이곳에서 상기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MT-프로세서(MT-P)가 "데이터 받음"이라는 확인 메시지(BM)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하여 제 3 이동부(MT3)의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된 확인 메시지(BM)를 토대로, MT-프로세서(MT-P)가 "n-번째 MMN-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달됨"이라는 디스플레이 정보(AI)를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 상에 제공하며, 이곳에서 상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접속 종료"라는 제어 명령(STK)이 제 3 이동부(MT3)의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되고, 그 후에 MT-프로세서(MT-P)가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MT-공중 인터페이스(MT/MT-LSS)를 통해 추가 이동부(MT1, MT2, MT3)의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하며, 상기 MT-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PC)에 저장된 비디오 필름을 텔레비전 수상기(FA)에서 시청하는, 제 5 "스마트 홈"-시나리오에 따른 제 5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8a 내지 도 8d에 따라,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이동부(MT3)와 직접 연결되거나 (포인트-투-포인트-접속) 또는 간접으로 기지국(BS)을 통해 상기 제 3 이동부(MT3)와 연결된,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통합된 I/O-이동 박스 카드(MBK)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PC),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PC)와 연결된 I/O-이동 박스(MB)와 라인 접속부(SCART, S-VIDEO)를 통해 상기 I/O-이동 박스(MB)와 연결된 텔레비전 수상기(FA)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제 3 이동부(M3)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MT-메모리(MT-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이동부(MT3)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PC)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이고,
(ⅱ)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MT3)와 공통의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PC-메모리(PC-S) 그리고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와 I/O-이동 박스(MB)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이며,
(ⅲ) I/O-이동 박스(MB)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와 공통의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 MB-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B-P), MB-메모리(MB-S) 그리고 I/O-이동 박스(MB)와 텔레비전 수상기(FA)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데이터 인터페이스(DSS)이고,
(ⅳ) 텔레비전 수상기(FA)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I/O-이동 박스(MB)와 공통의 데이터 인터페이스(DSS), FA-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FA-P) 그리고 FA-스크린(FA-B)이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선택적인 예비 상태(VZ)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 및 텔레비전 수상기(FA)가 "대기(Stand-by)"-모드에 있고, 상기 상태에서는 이동부(MT3)에 의하여 도 4에서 기술된 깨움 절차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C) 및 텔레비전 수상기(FA)가 깨워지고 작동될 수 있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에 저장된 비디오-필름이 텔레비전 수상기(FA) 상에 출력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비디오 리스트"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부터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비디오 리스트"라는 질문 메시지(AFM)를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달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가 PC-메모리(PC-S)로부터 전체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 출력한다. 상기 판독 출력 과정 후에, PC-프로세서(PC-P)가 비디오 데이터 리스트(VDL)를 동반한 응답 메시지(AWM)를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 내에서 비디오 데이터 리스트(VDL)가 MT-메모리(MT-S)에 임시 저장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되며, 그곳에서 비디오 데이터 리스트(VDL)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텔레비전 수상기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n-번째 비디오를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해당 I/O-이동 박스로 전달하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텔레비전 수상기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n-번째 비디오를 비디오 리스트로부터 해당 I/O-이동 박스로 전달하라"는 요청 메시지(AFFN)를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AFFM)의 전달에 이어서, PC-프로세서(PC-P)에 의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비디오 출력"이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 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송된 다음에, 상기 MB-프로세서(MB-P)가 "텔레비전 수상기에 비디오 출력"이라는 정보 메시지(INM)를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FA-프로세서(FA-P)로 전달한다. 상기 정보 메시지(INM)의 발송 후에,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비디오 출력 준비됨"이라는 응답 메시지(AW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 "PC-프로세서 및 PC-메모리"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1 연속 상태(FZ1)에서는, 전달될 데이터의 양 및 공중 인터페이스의 전송율에 따라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전달된다. 이 목적을 위해, PC-프로세서(PC-P)가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1 부분(P1-n-VD)을 PC-메모리(PC-S)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1 부분(P1-n-VD)의 판독 출력 과정 후에,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1 부분(P1-n-VD)이 PC-프로세서(PC-P)로부터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되며, 그곳에서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1 부분(P1-n-VD)은 임시 저장을 목적으로 MB-프로세서로부터 MB-메모리(MB-S)로 전달된 다음에 텔레비전 수상기(FA)의 FA-스크린(FA-B)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FA-프로세서(FA-P)로 계속 전달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2 연속 상태(FZ2)에서는, 사용자가 통제 명령을 이동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상에 입력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FA) 상에서 이루어지는 비디오-필름의 재생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명령은 예를 들어 전방향 및 후방향 진행, 정지, 종료, 재생의 계속 등이다. 이 목적을 위해,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다음 비디오 데이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가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2 부분(P2-n-VD)을 PC-메모리(PC-S)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2 부분(P2-n-VD)의 판독 출력 과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2 부분(P2-n-VD)이 PC-프로세서(PC-P)로부터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되며, 그곳에서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제 2 부분(P2-n-VD)은 MB-프로세서(MB-P)로부터 임시 저장을 목적으로 MB-메모리(MB-S)로 전달된 다음에 텔레비전 수상기(FA)의 FA-스크린(FA-B)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FA-프로세서(FA-P)로 계속 전달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3 연속 상태(FZ3)에서는, 사용자가 통제 명령을 이동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상에 입력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FA) 상에서 이루어지는 비디오-필름의 재생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명령은 예를 들어 전방향 및 후방향 진행, 정지, 종료, 재생의 계속 등이다. 이 목적을 위해,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다음 비디오 데이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가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VD)을 PC-메모리(PC-S)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VD)의 판독 출력 과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VD)이 PC-프로세서(PC-P)로부터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되며, 그곳에서 상기 n-번째 비디오 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VD)은 MB-프로세서(MB-P)로부터 임시 저장을 목적으로 MB-메모리(MB-S)로 전달된 다음에 텔레비전 수상기(FA)의 FA-스크린(FA-B)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FA-프로세서(FA-P)로 계속 전달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4 연속 상태(FZ4)에서는, 사용자가 통제 명령을 이동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상에 입력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FA) 상에서 이루어지는 비디오-필름의 재생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명령은 예를 들어 전방향 및 후방향 진행, 정지, 종료, 재생의 계속 등이다. 이 목적을 위해,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다음 비디오 데이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로부터 "전달의 종료"라는 응답 메시지(AW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MB-프로세서(MB-P)가 "비디오 출력 종료"라는 정보 메시지를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FA-프로세서(FA-P)로 계속 전송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PC)에 저장된 MP3-파일을 HIFI-장치(HA) 상에 출력하는, 제 6 "스마 트 홈"-시나리오에 따른 제 6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9a 내지 도 9d에 따라,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이동부(MT3)와 직접 연결되거나 (포인트-투-포인트-접속) 또는 간접으로 기지국(BS)을 통해 상기 제 3 이동부(MT3)와 연결된,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통합된 I/O-이동 박스 카드(MBK)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PC),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PC)와 연결된 I/O-이동 박스(MB)와 라인 접속부(CINCH, S/PDIF)를 통해 상기 I/O-이동 박스(MB)와 연결된 HIFI-장치(HA)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제 3 이동부(MT3)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MT-메모리(MT-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이동부(MT3)와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이고,
(ⅱ)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MT3)와 공통의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PC-메모리(PC-S) 그리고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와 I/O-이동 박스(MB)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이며,
(ⅲ) I/O-이동 박스(MB)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I/O-이동 박스 카드(MBK)가 통합된 퍼스널 컴퓨터(PC)와 공통의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 MB-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B-P), MB-메모리(MB-S) 그리고 I/O-이동 박스(MB)와 텔레비전 수상기(FA)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데이터 인터페이스(DSS)이고,
(ⅳ) HIFI-장치(HA)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I/O-이동 박스(MB)와 공통의 데이터 인터페이스(DSS), HA-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HA-P) 그리고 E/A-컨버터(E/A-W)이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선택적인 예비 상태(VZ)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 및 HIFI-장치(HA)가 "대기(Stand-by)"-모드에 있고, 상기 상태에서는 이동부(MT3)에 의하여 도 4에서 기술된 깨움 절차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C) 및 HIFI-장치(HA)가 깨워지고 작동될 수 있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퍼스널 컴퓨터(PC)에 저장된 MP3-파일이 HIFI-장치(HA) 상에 출력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MP3-리스트"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부터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MP3-리스트"라는 질문 메시지(AFM)를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달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가 PC-메모리(PC-S)로부터 전체 MP3-데이터를 판독 출력한다. 상기 판독 출력 과정 후에, PC-프로세서(PC-P)가 MP3-데이터 리스트(MP3-DL) 를 동반한 응답 메시지(AWM)를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상기 MT-프로세서(MT-P) 내에서 MP3-데이터 리스트(MP3-DL)가 MT-메모리(MT-S)에 임시 저장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되며, 그곳에서 MP3-데이터 리스트(MP3-DL)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HIFI-장치(HA)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n-번째 MP3-파일을 MP3-리스트로부터 해당 I/O-이동 박스로 전달하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HIFI-장치(HA)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n-번째 MP3-파일을 MP3-리스트로부터 해당 I/O-이동 박스로 전달하라"는 요청 메시지(AFFN)를 PC/MT-공중 인터페이스(PC/MT-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AFFM)의 전달에 이어서, PC-프로세서(PC-P)에 의하여 "HIFI-장치(HA) 상에 MP3-출력"이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송된 다음에, 상기 MB-프로세서(MB-P)가 "HIFI-장치(HA) 상에 MP3-출력"이라는 정보 메시지(INM)를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HA-프로세서(HA-P)로 전달한다. 상기 정보 메시지(INM)의 발송 후에,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MP3-출력 준비됨"이라는 응답 메시지(AW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 "PC-프로세서 및 PC-메모리"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1 연속 상태(FZ1)에서는, 전달될 데이터의 양 및 공중 인터페이스의 전송율에 따라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전달된다. 이 목적을 위 해, PC-프로세서(PC-P)가 n-번째 MP3-데이터의 제 1 부분(P1-n-MP3-D)을 PC-메모리(PC-S)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제 1 부분(P1-n-MP3-D)의 판독 출력 과정 후에,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제 1 부분(P1-n-MP3-D)이 PC-프로세서(PC-P)로부터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되며, 그곳에서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제 1 부분(P1-n-MP3-D)은 임시 저장을 목적으로 MB-프로세서로부터 MB-메모리(MB-S)로 전달된 다음에 HIFI-장치(HA) 의 E/A-컨버터(E/A-W)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HA-프로세서(HA-P)로 계속 전달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2 연속 상태(FZ2)에서는, 사용자가 통제 명령을 이동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상에 입력함으로써, HIFI-장치(HA) 상에서 이루어지는 MP3-파일의 재생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명령은 예를 들어 전방향 및 후방향 진행, 정지, 종료, 재생의 계속 등이다. 이 목적을 위해,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다음 MP3-데이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가 n-번째 MP3-데이터의 제 2 부분(P2-n-MP3-D)을 PC-메모리(PC-S)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제 2 부분(P2-n-MP3-D)의 판독 출력 과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제 2 부분(P2-n-MP3-D)이 PC-프로세서(PC-P)로부터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되며, 그곳에서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제 2 부분(P2-n-MP3-D)은 MB-프로세서(MB-P)로부터 임시 저장을 목적으로 MB-메모리(MB-S)로 전달된 다음에 HIFI-장치(HA)의 E/A-컨버터(E/A-W)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HA-프로세서(HA-P)로 계속 전달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3 연속 상태(FZ3)에서는, 사용자가 통제 명령을 이동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상에 입력함으로써, HIFI-장치(HA) 상에서 이루어지는 MP3-파일의 재생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명령은 예를 들어 전방향 및 후방향 진행, 정지, 종료, 재생의 계속 등이다. 이 목적을 위해,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다음 MP3-데이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가 n-번째 MP3-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MP3-D)을 PC-메모리(PC-S)로부터 판독 출력한다.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MP3-D)의 판독 출력 과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MP3-D)이 PC-프로세서(PC-P)로부터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되며, 그곳에서 상기 n-번째 MP3-데이터의 m-번째 부분(Pm-n-MP3-D)은 MB-프로세서(MB-P)로부터 임시 저장을 목적으로 MB-메모리(MB-S)로 전달된 다음에 HIFI-장치(HA)의 E/A-컨버터(E/A-W) 상에 출력할 목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HA-프로세서(HA-P)로 계속 전달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제 4 연속 상태(FZ4)에서는, 사용자가 통제 명령을 이동부의 사용자 인터페이 스(BSS) 상에 입력함으로써, HIFI-장치(HA) 상에서 이루어지는 MP3-파일의 재생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명령은 예를 들어 전방향 및 후방향 진행, 정지, 종료, 재생의 계속 등이다. 이 목적을 위해, MB-프로세서(MB-P)에 의하여 "다음 MP3-데이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PC-프로세서(PC-P)로 전송된다.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PC-프로세서(PC-P)로부터 "전달의 종료"라는 응답 메시지(AWM)가 PC/MB-공중 인터페이스(PC/MB-LSS)를 통해 MB-프로세서(MB-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MB-프로세서(MB-P)가 "MP3-출력 종료"라는 정보 메시지를 데이터 인터페이스(DSS)를 통해 HA-프로세서(HA-P)로 계속 전송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이동부(MT3)에 의해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 및 상기 방송의 중단에 대하여 광고 블록에 의해서 정보를 얻게 되는, 제 7 "스마트 홈"-시나리오에 따른 제 7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10a 내지 도 10c에 따라, 제 3 이동부(MT3)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상기 제 3 이동부(MT3)와 직접 연결되거나 (포인트-투-포인트-접속) 또는 간접으로 기지국(BS)을 통해 상기 제 3 이동부(MT3)와 연결된, 접속된 텔레비전 수상기(FA) 및 DVB-T/S/T-네트워크(DVBN)에 대한 접속부를 구비한 셋탑-박스(STB)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이동부(MT3)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하나의 E/A-컨버터(E/A-W),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MT-메모리(MT-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이동부(MT3)와 셋탑-박스(STB)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이고,
(ⅱ) 셋탑-박스(STB)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MT3)와 공통의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 STB-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STB-P), 텔레비전 수상기(FA)에 대한 접속부를 구비한 AS/DS-인터페이스(AS/DS-SS) 그리고 DVB-T/S/T-네트워크(DVBN)에 대한 접속부를 구비한 DVB-인터페이스(DVB-SS)이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이동부(MT3)에 의해서 특정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에 대하여 상기(reminder)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Y 일(day)에 채널 X 상에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상기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STB-프로세서(STB-P)가 상기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확인 메시지(BM)를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MT-프로세서(MT-P)로부터 "Y 일(day)에 채널 X 상에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된다. 전달되는 상 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 내에서 "비디오 텍스트 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의 평가(AW)가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는 DVB-인터페이스(DVB-SS)를 통해 DVB-T/S/C-네트워크(DVBN)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텍스트- 또는 EPG-신호 정보들(VT/EPG-SI)(EPG; Electronic Program Guide)이 평가된다. STB-프로세서(STB-P)에 의한 상기 평가 과정(AW)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STB-프로세서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PD)를 동반한 응답 메시지(AWM)가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된다. 그 다음에, 수신된 프로그램 데이터(PD)가 MT-프로세서(MT-P)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DV)에 제공되고, 그곳에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텔레비전 방송(Z)(예컨대 ARD-스포츠 시청)의 시작에 대한 상기"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발송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텔레비전 방송(Z)의 시작에 대한 상기(reminder)"라는 질문 메시지(AF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한다. 수신된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에 의하여 DVB-인터페이스(DVB-SS)와 함께 "텔레비전 방송(Z)의 시작"이 모니터링(UEW) 된다. 모니터링(UEW)이 개시된 후에는, 상기 STB-프로세서(STB-P)가 "상기에 대한 바람을 수신함"이라는 응답 메시지(AW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응답 메시지(AWM)를 토대로, MT-프로세서(MT-P)가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 (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하며, 상기 MB-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그 다음에, STB-프로세서(STB-P)에 의하여 상기 모니터링(UEW)을 토대로 "텔레비전 방송(Z)의 시작"에 대한 확인(FST)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STB-프로세서(STB-P)가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확인 메시지(B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상기 수신된 확인 메시지(B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로부터 "텔레비전 방송(Z)의 시작"이라는 상기(reminder) 메시지(EM)가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경보 텍스트로서의 텔레비전 방송(Z)의 시작(예를 들어 ARD-스포츠 시청이 시작됨)"이라는 제 1 디스플레이 정보(AI1)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및/또는 "텔레비전 방송(Z)의 경보 음성/-멜로디 또는 오디오 신호(예를 들어 ARD-스포츠 시청의 예고편"이라는 제 2 디스플레이 정보(AI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E/A-컨버터(E/A-W)에 제공한다. 그 다음에 상기 개별 디스플레이 정보(AI1, AI2)가 디스플레이(AV) 상에 및/또는 E/A-컨버터(E/A-W) 상에 제공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함"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송된다.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STK)을 토대로, MT-프로세서(MT-P)가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하며, 상기 STB-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후속하는 한 연속 상태(FZ)에서는, 텔레비전 방송(Z)이 광고 블록에 의해 중단된 후에는, 상기 광고 블록이 종료된 후에 이동부(MT3)에 의하여 상기 텔레비전 방송(Z)의 계속에 대하여 상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하여 "텔레비전 방송(Z)의 계속에 대한 상기"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상기 MT-프로세서(MT-P)는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상기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STB-프로세서(STB-P)가 상기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확인 메시지(BM)를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MT-프로세서(MT-P)로부터 "텔레비전 방송(Z)의 계속에 대한 상기"라는 질문 메시지(AFM)가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된다. 수신된 상기 질문 메시지(AF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에 의하여 DVB-인터페이스(DVB-SS)와 함께 "광고 블록의 종료"가 모니터링(UEW) 된다. 모니터링(UEW)이 개시된 후에는, 상기 STB-프로세서(STB-P)가 "상기에 대한 바람을 수신함"이라는 응답 메시지(AW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송한다. 그리 고 나서, 상기 응답 메시지(AWM)를 토대로, MT-프로세서(MT-P)가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하며, 상기 MB-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그 다음에, STB-프로세서(STB-P)에 의하여 상기 모니터링(UEW)을 토대로 "광고 블록의 종료"에 대한 확인(FST)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STB-프로세서(STB-P)가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확인 메시지(B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역전송한다. 상기 수신된 확인 메시지(B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로부터 "광고 블록의 종료"라는 상기(reminder) 메시지(EM)가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경보 텍스트로서의 텔레비전 방송(Z)의 시작(예를 들어 ARD-스포츠 시청이 시작됨)"이라는 제 1 디스플레이 정보(AI1)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및/또는 "텔레비전 방송(Z)의 경보 음성/-멜로디 또는 오디오 신호(예를 들어 스포츠 시청 캐스터의 음성)"이라는 제 2 디스플레이 정보(AI2)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E/A-컨버터(E/A-W)에 제공한다. 그 다음에 상기 개별 디스플레이 정보(AI1, AI2)가 디스플레이(AV) 상에 및/또는 E/A-컨버터(E/A-W) 상에 제공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함"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송된다.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STK)으로 인해, MT-프로세서(MT-P)가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STB-공중 인터페이스(MT/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하며, 상기 STB-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원격 통신 핸드셋(TKHA)으로서 형성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격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의 제 3 이동부(MT3)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MT3)에 의하여 "텔레보우팅(Televoting)"에 참여하는, 제 8 "스마트 홈"-시나리오에 따른 제 8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필요한 메시지 흐름은 도 11a 내지 도 11c에 따라, 제 3 이동부(MT3), 상기 제 3 이동부(MT3)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연결되고 DVB-T/S/C-네트워크(DVBN)에 대한 접속부를 구비한 셋탑-박스(STB), 상기 셋탑-박스(STB)와 연결된 텔레비전 수상기(FA)와 상기 제 3 이동부(MT3) 및 셋탑-박스(STB)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연결된 기지국(BS) 사이에서 진행한다.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기 위해 고려되는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은
(i) 이동부(M3)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예를 들어 하나의 키 패드(TA) 및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AV)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SS), MT-메모리(MT-S), MT-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이동부(MT3) 그리고 셋탑-박스(STB)와 기지국(BS)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이고,
(ⅱ) 기지국(BS)을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이동부(MT3) 및 셋탑-박스(STB)와 공통의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 그리고 하나의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 BS-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BS-P) 그리고 BS-메모리(BS-P)로 구성된 공통의 기능 블록이며,
(ⅲ) 셋탑-박스(STB)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이동부(MT3) 및 기지국(BS)과 공통의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 STB-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STB-P), 상기 셋탑-박스(STB)와 텔레비전 수상기(FA) 사이에서 작용하는 공통의 AS/DS-인터페이스(AS/DS-SS) 그리고 DVB-T/S/C-네트워크(DVBN)에 대한 접속부를 구비한 DVB-인터페이스(DVB-SS)이고,
(ⅳ) 텔레비전 수상기(FA)를 위해서는,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상기 셋탑-박스(STB)와 공통의 AS/DS-인터페이스(AS/DS-SS), FA-프로세서로서 형성된 중앙 제어 유닛(FA-P) 그리고 FA-스크린(FA-B)이다.
모든 구성 유닛 또는 소자들에 중요한 상기 메시지 흐름 다이아그램의 한 출발 상태(AZ)에서는, 이동부(MT3)에 의해서 "텔레보우팅(Televoting)"이 실행된다. 이 목적을 위해, STB-프로세서(STB-P)가 DVB-인터페이스(DVB-SS)를 통해 DVB-T/S/C-네트워크(DVBN)로부터 DVB-신호 "텔레보우팅 정보"(DVB-SI)를 수신한다. 그 다음에, 상기 STB-프로세서(STB-P)가 AS/DS-인터페이스(AS/DS-SS), FA-프로세서(FA-P)를 통해 디스플레이 정보 "텔레보우팅 스크린 키"가 FA-스크린(FA-B)으로 전달하고, 내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 (AUM)를 상기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상기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확인 메시지(BM)를 STB-프로세서(STB-P)로 역전송한다. 상기 확인 메시지(B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가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텔레보우팅-정보(TVI)와 함께 "텔레보우팅-정보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요청 메시지(AFFM)를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다. 텔레보우팅-정보(TVI)를 동반한 요청 메시지(AFFM)를 수신한 후에, 상기 MT-프로세서(MT-P)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 "텔레보우팅-디스플레이 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로 전송되며, 그곳에서 텔레보우팅-디스플레이 키가 디시플레이된다. 그밖에, 상기 MT-프로세서(MT-P)는 상기 수신된 요청 메시지(AFFM)를 위한 확인 메시지(BM)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텔레보우팅이 결정되었음"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MT-프로세서(MT-P)가 텔레보우팅-결정 데이터(TVED)와 함께 전달 메시지 "텔레보우팅-결정 데이터"(UEM)를 STB-프로세서(STB-P)로 전송한다. 상기 전달 메시지(UE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로부터 "텔레보우팅-결정을 확인해 주십시오"라는 디스플레이 정보(AI)는 AS/DS-인터페이스(AS/DS-SS) 및 FA-프로세서(FA-P)를 통해 FA-스크린(FA-B)에 전달되고, "텔레보우팅-결정의 확인"이라는 질문 메시지(AFM)는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된다. 그 다음에 MT-프로세서(MT-P)가 "텔레보우팅-결정을 확인 해 주십시오"라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에 제공하며, 그곳에서 상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키 패드(TA)에 의해서 "텔레보우팅-결정의 확인"이라는 제어 명령(STK)이 MT-프로세서(MT-P)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 명령(STK)의 수신에 의하여, MT-프로세서(MT-P)는 확인 데이터(BSD)와 함께 "확인 데이터"라는 응답 메시지(AWM)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전송하고, 상기 STB-프로세서(STB-P)는 상기 수신된 확인 데이터(BSD)를 AS/DS-인터페이스(AS/DS-SS) 및 FA-프로세서(FA-P)를 통해 FA-스크린(FA-B)으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STB-프로세서(STB-P)가 외부 통신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외부 통신 접속"이라는 구성 메시지(AUM)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하여 기지국(BS)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라인- 및 네트워크 접속부(LNA), BS-프로세서(BS-P) 및 BS-메모리(BS-S)로 구성된 기능 블록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기지국(BS) 또는 상기 기능 블록이 확인 메시지(BM)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STB-프로세서(STB-P)로 역전송한다. 상기 확인 메시지(B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가 텔레보우팅-결정 데이터(TVED)와 함께 "텔레보우팅 결정 데이터"라는 전달 메시지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상기 기지국(BS) 또는 기능 블록으로 전달한 다음에, 상기 기지국(BS) 또는 기능 블록이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를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STB-프로세서(STB-P)로 전송한다. 상기 확인 메시지(BM)를 토대로, STB-프로세서(STB-P)로부터 상기 구성된 외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외부 통신 접 속" 해체 메시지(ABM)가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기지국(BS) 또는 기능 블록으로 전달되고, 상기 기지국(BS) 또는 기능 블록이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BM)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그리고 나서, STB-프로세서(STB-P)가 "텔레보우팅-결정 데이터를 전달하라"는 경고 메시지(HWM)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한 다음에, 상기 MT-프로세서(MT-P)가 "텔레보우팅-결정 데이터가 전송되었음"이라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BSS)의 디스플레이(AV)로 전달하며, 그곳에서 상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경고 메시지(HWM)의 전달 후에, 상기 STB-프로세서(STB-P)는 상기 구성된 내부 통신 접속을 해체하기 위하여 "내부 통신 접속" 해체 메시지(ABM)를 MT/BS/STB-공중 인터페이스(MT/BS/STB-LSS)를 통해 MT-프로세서(MT-P)로 전달하며, 상기 MT-프로세서가 동일한 메시지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의 확인 메시지로써 상기 해체 명령에 응답함으로 접속이 해체된다.

Claims (60)

  1.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 기지국(BS)은 전화 대화를 유도할 목적으로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할 목적으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위한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가 할당된 라인 교환된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에 접속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MT, MT1, MT2, MT3, STB, MB, MBK, TKHA)는 전화 대화를 유도할 목적으로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 및 라인 인터페이스(LTSS)를 통해 송/수신할 목적으로 기지국(BS)에 할당되며, 이 경우
    a1)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및/또는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며, 이 경우
    a11) 전달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전송하기 위하여 그리고 전송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및/또는 기지국(BS)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에 할당되고 및/또는
    a12) 전송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전송하기 위하여 그리고 전송될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 및/또는 기지국(BS)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에 할당되며,
    a2) 적어도 하나의 제 3 이동부(MT, MT3, TKHA)를 구비하고,
    a21) EXTERN-전화 대화가 기지국(BS)을 통해 유도되고 그리고 제 3 이동부(MT, MT3, TKHA)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 사이에서 EXTERN-전화 대화도 유도되거나 또는
    a22) EXTERN-전화 대화가 유도되고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기지국(BS)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고/외부로부터 수신되며 그리고 제 3 이동부(MT, MT3, TKHA)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INTERN-전화 대화도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사이에서 유도되고,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내부에서 발송/수신되며,
    b)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가 제어 명령(STK)을 형성하고, 이 제어 명령을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하며, 상기 제어 명령(STK)에 의하여
    b1) 기지국(BS) 내에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내에서 및/또는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응답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 및/또는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로 출력, 릴리스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전송되고 및/또는
    b2) 제 3 이동부(MT, MT3, TKHA) 내에서,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내에서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응답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에 할당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를 통해서 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에 할당된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를 통해서 및/또는 기지국(BS)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 3 이동부(MT, MT3, TKHA), 추가의 제 3 이동부(MT, MT3, TKHA),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 출력, 릴리스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명령이 발생되고, 상기 제어 명령이 HF-신호에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되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서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의 출력, 릴리스 및 저장이 추가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로서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공통 인터페이스가 이용되거나 또는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각각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로서 DECT-, WDCT-,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Bluetooth-, DECT- 및 Bluetooth-, WDCT- 및 Bluetooth-, DECT- 및 IEEE 802.11a-, DECT- 및 IEEE 802.11b-, DECT- 및 IEEE 802.11g-, WDCT- 및 IEEE 802.11a-, WDCT- 및 IEEE 802.11b-, WDCT- 및 IEEE 802.11g-, GSM- 및 DECT-, GSM- 및 Bluetooth-, GSM- 및 IEEE 802.11a-, GSM- 및 IEEE 802.11b-, GSM- 및 IEEE 802.11g-, 3GPP- 및 Bluetooth-, 3GPP- 및 IEEE 802.11a-, 3GPP- 및 IEEE 802.11b- 또는 3GPP- 및 IEEE 802.11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텍스트 데이터로서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짧은 메시지 또는 비디오 텍스트 정보가, 오디오 데이터로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전화 음성 정보, 음악 정보 또는 인터넷, 특히 MP3-파일로부터의 오디오-다운로드가, 비디오 데이터로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화상 정보 또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비디오-다운로드가 및/또는 제어 데이터로서는 특히 가정 분야의 전기 장치들을 제어, 측정, 조절, 교정, 진단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이동부(MT, MT3, TKHA)로서는 키 패드 또는 음성 제어부를 구비한 무선의 간편-전화 핸드셋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되고, 기지국(BS)으로서는 무선-기지국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이동부(MT, MT3, TKHA)로서는 무선-인터페이스, 특히 "Bluetooth-인터페이스", 키 패드(TA) 또는 음성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전화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되고, 기지국(BS)으로서는 무선-기지국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로서 "Ethernet"-인터페이스 또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I/O-이동 박스(MB, MBK)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1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로서 각각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인터페이스, "SCART/S-비디오"-인터페이스, "CINCH/S-PIDF"-인터페이스 및/또는 "EIB/LON/LCN/KNX"-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I/O-이동 박스(MB, MBK) 또는 무선 셋탑-박스(STB)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 센터로서 또는 쇼트 메시지-서비스 센터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와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NSSM)로서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7.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PC)가 제어 명령(STK)에 의해서 깨워지고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8.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 "대기"-모드에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가 제어 명령(STK)에 의해서 깨워지고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 명령(STK)에 의해 "텔레보우팅"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 9 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 및 계속이 제어 명령(STK)에 의하여 제 3 이동부(MT3, MT, TKHA)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21.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TKS1, TKS2, TKS3)으로서,
    a) 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위해 할당된 EXTERN-데이터를 구비한 라인 교환된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에 접속될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BS), 및 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부(MT, MT1, MT2, MT3, STB, MB, MBK, TKHA)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 인터페이스(LTSS)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a1)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및/또는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형성되며, 이 경우
    a11)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및/또는 기지국(BS)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를 위해 규정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부터 유래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에 할당되고 및/또는
    a12)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 및/또는 기지국(BS)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를 위해 규정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부터 유래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에 할당되며,
    a2) 적어도 하나의 제 3 이동부(MT, MT3, TKHA)를 구비하고,
    a21) EXTERN-전화 대화가 기지국(BS)을 통해 유도되고 그리고 제 3 이동부(MT, MT3, TKHA)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INTERN-전화 대화도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 사이에서 유도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a22) EXTERN-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기지국(BS)을 통해 EXTERN-송/수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제 3 이동부(MT, MT3, TKHA)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INTERN-전화 대화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및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사이에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INTERN-송/수신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b)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는 공중 인터페이스(LSS)에 연결되고, 제 3 이동부(MT, MT3, TKHA) 내에서 서비스- 및 기능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MT-P),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에 할당된 메모리(MT-S)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과 연결되고,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BSS, TA)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BSS, AV)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들은 기능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기능 유닛은 제어 명령이 형성되어 이 명령이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되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어 명령(STK)에 의해서는
    b1) 기지국(BS) 내에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내에서 및/또는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응답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 및/또는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로 출력, 릴리스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전송되고 및/또는
    b2) 제 3 이동부(MT, MT3, TKHA) 내에서,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내에서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응답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에 할당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를 통해서 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에 할당된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를 통해서 및/또는 기지국(BS)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제 3 이동부(MT, MT3, TKHA), 추가의 제 3 이동부(MT, MT3),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 출력, 릴리스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 내에서, 메모리(MT-S)가 할당되고 공중 인터페이스(LSS)에 연결된 중앙 제어 유닛(MT-P)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과 연결된 입력 수단(BSS, TA) 및 출력 수단(BSS, AV)은, 제어 명령이 형성되고 이 명령이 HF-신호 내에서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서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의 출력, 릴리스 및 저장이 추가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가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공통 인터페이스이거나 혹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이거나 혹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가 DECT-, WDCT-,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Bluetooth-, DECT- 및 Bluetooth-, WDCT- 및 Bluetooth-, DECT- 및 IEEE 802.11a-, DECT- 및 IEEE 802.11b-, DECT- 및 IEEE 802.11g-, WDCT- 및 IEEE 802.11a-, WDCT- 및 IEEE 802.11b-, WDCT- 및 IEEE 802.11g-, GSM- 및 DECT-, GSM- 및 Bluetooth-, GSM- 및 IEEE 802.11a-, GSM- 및 IEEE 802.11b-, GSM- 및 IEEE 802.11g-, 3GPP- 및 Bluetooth-, 3GPP- 및 IEEE 802.11a-, 3GPP- 및 IEEE 802.11b- 또는 3GPP- 및 IEEE 802.11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짧은 메시지 또는 비디오 텍스트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전화 음성 정보, 음악 정보 또는 인터넷, 특히 MP3-파일로부터의 오디오-다운로드를, 비디오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화상 정보 또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비디오-다운로드를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특히 가정 분야의 전기 장치들을 제어, 측정, 조절, 교정, 진단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가 키 패드(TA) 또는 음성 제어부를 구비한 무선 간편-전화 핸드셋로서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V)로서 형성되고, 기지국(BS)이 무선-기지국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이동부(MT, MT3, TKHA)는 무선-인터페이스, 특히 "Bluetooth-인터페이스", 키 패드(TA) 또는 음성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전화로서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형성되고, 기지국(BS)이 무선-기지국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8. 제 21 항,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Ethernet"-인터페이스 또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I/O-이동 박스(MB, MBK)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9. 제 21 항, 제 26 항 또는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각각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인터페이스, "SCART/S-비디오"-인터페이스, "CINCH/S-PIDF"-인터페이스 및/또는 "EIB/LON/LCN/KNX"-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I/O-이동 박스(MB, MBK) 또는 무선 셋탑-박스(STB)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 센터로서 또는 쇼트 메시지-서비스 센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와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7.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PC)가 깨워지고 작동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8.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각각 "대기"-모드에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가 깨워지고 작동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9. 제 29 항에 있어서,
    "텔레보우팅"이 실행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0. 제 29 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 및 계속이 제 3 이동부(MT3, MT, TKHA)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1.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LSS),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와 연결되고,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 내에서의 서비스- 및 기능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MT-P),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에 할당된 메모리(MT-S)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에 연결되고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BSS, TA)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BSS, AV)이 하나의 기능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기능 유닛의 형성 방식은:
    a1)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이 EXTERN-전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또는 EXTERN-전화 대화를 가이드 하고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의 EXTERN-송/수신을 위하여 기지국(BS)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위하여 할당된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를 구비한 라인 교환된 및/또는 패킷 교환된 네트워크(LVN, PVN)에 연결될 수 있으며,
    a2) 추가의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각각 추가의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및/또는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기지국(BS)과 연결되면, 상기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은
    a21) INTERN-전화 대화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또는 INTERN-전화 대화를 가이드 하고 및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의 EXTERN-송/수신을 위하여 각각 상기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과 연결될 수 있고,
    a22) 상기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INTERN-송/수신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이동부들(MT, MT1, MT2, STB, MB, MBK)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a23)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및/또는 기지국(BS)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용으로 규정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부터 유래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에 할당되어 있으며 및/또는
    a24)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 및/또는 기지국(BS)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 용으로 규정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리고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부터 유래하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를 송신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에 할당되어 있으며
    a3) 제어 명령(STK)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명령이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전송되며, 이 경우 상기 제어 명령(STK)에 의해서는
    a31) 기지국(BS) 내에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 내에서 및/또는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응답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 및/또는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로 출력, 릴리스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전송되고 및/또는
    a32)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 내에서,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내에서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 내에서 종료된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가 응답되고, 상기 데이터는 이 데이터가 종료된 장치로부터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에 할당된 제 1 이동부(MT, MT1, MB, MBK)를 통해서 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에 할당된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를 통해서 및/또는 기지국(BS)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 추가의 원격 통신 핸드셋(MT, MT3, TKHA),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 출력, 릴리스 또는 저장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2. 제 41 항에 있어서,
    공중 인터페이스(LSS),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와 연결된 중앙 제어 유닛(MT-P),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에 할당된 메모리(MT-S)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MT-P)에 연결된 입력 수단(BSS, TA) 및 출력 수단(BSS, AV)에 의해 형성된 기능 유닛은, 제어 명령이 형성되고 이 명령이 HF-신호로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서는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제어 데이터(TAVS)의 출력, 릴리스 및 저장이 추가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3. 제 41 항에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가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하나의 공통의 인터페이스이거나 혹은 상기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화 대화 및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이거나 혹은 상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가 DECT-, WDCT-,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Bluetooth-, DECT- 및 Bluetooth-, WDCT- 및 Bluetooth-, DECT- 및 IEEE 802.11a-, DECT- 및 IEEE 802.11b-, DECT- 및 IEEE 802.11g-, WDCT- 및 IEEE 802.11a-, WDCT- 및 IEEE 802.11b-, WDCT- 및 IEEE 802.11g-, GSM- 및 DECT-, GSM- 및 Bluetooth-, GSM- 및 IEEE 802.11a-, GSM- 및 IEEE 802.11b-, GSM- 및 IEEE 802.11g-, 3GPP- 및 Bluetooth-, 3GPP- 및 IEEE 802.11a-, 3GPP- 및 IEEE 802.11b- 또는 3GPP- 및 IEEE 802.11g-를 토대로 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짧은 메시지 또는 비디오 텍스트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전화 음성 정보, 음악 정보 또는 인터넷, 특히 MP3-파일로부터의 오디오-다운로드를, 비디오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화상 정보 또는 인터넷으로부터의 비디오-다운로드를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특히 가정 분야의 전기 장치들을 제어, 측정, 조절, 교정, 진단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통신 핸드셋이 키 패드(TA) 또는 음성 제어부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AV)를 구비하고, 기지국(BS)으로서의 무선-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간편-전화 핸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통신 핸드셋이 무선-인터페이스, 특히 "Bluetooth-인터페이스", 키 패드(TA) 또는 음성 제어부 그리고 메뉴 제어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AV)를 구비하고, 기지국(BS)으로서의 무선-기지국에 할당된 이동 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8. 제 41 항, 제 46 항 또는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Ethernet"-인터페이스 또는 "USB"-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I/O-이동 박스(MB, MBK)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49. 제 41 항, 제 46 항 또는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각각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인터페이스, "SCART/S-비디오"-인터페이스, "CINCH/S-PIDF"-인터페이스 및/또는 "EIB/LON/LCN/KNX"-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I/O-이동 박스(MB, MBK) 또는 무선 셋탑-박스(STB)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0.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1.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MT, MT1, MB, MBK)가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MT, MT2, STB, MB, MBK)가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에 통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EXTERN-데이터 소스/-싱크(E-DQS)가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 센터로서 또는 쇼트 메시지-서비스 센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와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제 1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에 및/또는 제 2 INTERN-데이터 소스/-싱크(I-DQS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7.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대기"-모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PC)가 깨워지고 작동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8. 제 52 항 또는 제 53 항에 있어서,
    각각 "대기"-모드에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FA), HIFI-장치(HA) 또는 전기 장치(ELG)가 깨워지고 작동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59. 제 49 항에 있어서,
    "텔레보우팅"이 실행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60. 제 49 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방송의 시작 및 계속이 제 3 이동부(MT3, MT, TKHA)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 명령(STK)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통신 핸드셋.
KR1020067000273A 2003-12-22 2004-12-22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 KR100786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60532.0 2003-12-22
DE10360532 2003-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898A KR20060095898A (ko) 2006-09-04
KR100786893B1 true KR100786893B1 (ko) 2007-12-17

Family

ID=3470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273A KR100786893B1 (ko) 2003-12-22 2004-12-22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27313B2 (ko)
EP (1) EP1668839B1 (ko)
JP (1) JP4411368B2 (ko)
KR (1) KR100786893B1 (ko)
CN (1) CN1817005B (ko)
RU (1) RU2375834C2 (ko)
WO (1) WO2005062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6767B2 (en) * 2004-09-24 2015-03-10 Simple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an 802.15.4 network
JP5071123B2 (ja) 2008-01-25 2012-11-14 富士通株式会社 Itシステム
KR100952289B1 (ko) * 2008-02-26 2010-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이동통신 시스템과 홈 기지국
US8958848B2 (en) 2008-04-08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nu control method thereof
CN101399736B (zh) * 2008-11-11 2011-09-28 江苏技术师范学院 基于ZigBee技术的遥控系统
WO2010147263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sink device and source device
WO2010147264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WO2010147276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evices and tuner device
US9453299B2 (en) 2010-05-17 2016-09-2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8738072B1 (en) * 2010-06-06 2014-05-27 Razmig Hagop Messeria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multimedia mobile call data from a mobile device to a device having a display
US20110303553A1 (en) * 2010-06-11 2011-12-15 Inman Maria E Electrochemical system and method for machining strongly passivating metals
US8344666B1 (en) 2010-07-30 2013-01-01 John Joseph King Circuit fo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configurable light timer
US8344667B1 (en) 2010-07-30 2013-01-01 John Joseph King Circuit for and method of enabling the use of timing characterization data in a configurable light timer
CN101902537B (zh) * 2010-07-30 2015-10-21 海尔集团公司 短信远程控制家电的方法
KR101333879B1 (ko) * 2010-08-24 2013-11-27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9615428B2 (en) 2011-02-01 2017-04-04 John Joseph King Arrangement for an outdoor light enabling motion detection
CN102857729B (zh) * 2012-08-08 2015-07-15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基于机顶盒的视频通话方法及系统
US9948690B2 (en) 2013-08-15 2018-04-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ching media in a media fling system
JP6309382B2 (ja) * 2013-10-17 2018-04-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コードレス電話機器の制御方法、コードレス電話機器の子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機器
USRE49284E1 (en) 2013-10-17 2022-11-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cordless telephone device, handset of cordless telephone device, and cordless telephone device
US9226373B2 (en) 2013-10-30 2015-12-29 John Joseph King Programmable light timer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a programmable light timer
US9635129B2 (en) 2014-09-10 2017-04-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application discovery, download, integration and launch
US9590764B2 (en) 2014-09-15 2017-03-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TE transmission mask adjustment to maximize performance and reduce interference
CN104394137B (zh) * 2014-11-18 2017-07-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提醒语音通话的方法及装置
KR102264050B1 (ko) * 2014-11-28 2021-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360601A (zh) * 2014-12-02 2015-02-18 成都远为天胜科技有限公司 远程通信智能家居系统
CN104394288A (zh) * 2014-12-02 2015-03-04 成都远为天胜科技有限公司 智能通信家居系统
CN104698858A (zh) * 2015-02-14 2015-06-10 崔元信 一种移动终端控制的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
JP6590276B2 (ja) * 2015-07-15 2019-10-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5185400B (zh) * 2015-08-05 2019-04-30 捷开通讯科技(上海)有限公司 多媒体播放列表生成系统、方法及信息提供终端
CN105187282B (zh) * 2015-08-13 2018-10-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系统及设备
CN105629758A (zh) * 2016-03-04 2016-06-01 上海犀科环境科技有限公司 具有通信卡扩展的智能家居系统及方法
CN105763936B (zh) * 2016-04-19 2019-05-31 深圳市酷开网络科技有限公司 播放音频的方法及装置
DE102016207602B4 (de) * 2016-05-03 2018-05-09 BSH Hausgeräte GmbH Herstellung einer Datenverbindung
CN106372025B (zh) * 2016-08-31 2019-05-17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总线式通讯电路
RU180965U1 (ru) * 2018-03-07 2018-07-02 Николай Григорьевич Пинаев Выключатель света с голосовым управлением
WO2020069038A1 (en) 2018-09-25 2020-04-02 Hughes Network Systems, Llc Approaches for advance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in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s
CN112929495A (zh) 2020-11-05 2021-06-08 汉桑(南京)科技有限公司 双向通道控制系统、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523A (ja) * 2001-07-19 2003-02-07 Juki Corp 部品形状検査方法、及び部品形状検査装置
JP2003192053A (ja) * 2001-12-21 2003-07-09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2053A1 (en) * 1997-02-19 2003-10-09 Next Leve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over media
US6026150A (en) * 1997-10-30 2000-02-15 Epigram Network protocol--based home entertainment network
US7142560B2 (en) * 2001-08-14 2006-11-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multiline telephony in a home-network telephone
CN1413012A (zh) * 2001-10-18 2003-04-23 英保达股份有限公司 无线家庭自动化系统
CN2512165Y (zh) * 2001-12-30 2002-09-18 深圳市鑫王科技发展有限公司 可视化智能家居控制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523A (ja) * 2001-07-19 2003-02-07 Juki Corp 部品形状検査方法、及び部品形状検査装置
JP2003192053A (ja) * 2001-12-21 2003-07-09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27313B2 (en) 2009-12-01
CN1817005A (zh) 2006-08-09
KR20060095898A (ko) 2006-09-04
RU2005141457A (ru) 2006-08-10
JP2007527133A (ja) 2007-09-20
EP1668839B1 (de) 2018-12-19
US20080220767A1 (en) 2008-09-11
WO2005062535A1 (de) 2005-07-07
RU2375834C2 (ru) 2009-12-10
CN1817005B (zh) 2012-07-04
EP1668839A1 (de) 2006-06-14
JP4411368B2 (ja)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893B1 (ko) “스마트-홈”-환경에서의 무선 통신 및 원격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원격 통신 핸드셋
CN100385873C (zh) 用于在家用娱乐系统中集成控制的系统及方法
US20080066122A1 (en) Source Device Change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KR2014007633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80023465A (ko) 홈 네트워크상의 무선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889957A (zh) 基于无线网络的双向音频传输系统及其语音选歌方法
CN105578240A (zh) 电视终端交互方法和系统
KR20110039005A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0032153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125807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726622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749556B1 (ko) 모니터 기능이 구비되는 무선 제어장치에 연동되는 텔레비전 어댑터
US7929055B2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home network system
JP200513648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電気電子機器
CN104853318A (zh)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JP2003517791A (ja) 家庭内におけるテレビジョン間のチャネルフォワード
JPH07327278A (ja) 遠隔制御方式
JP2006222890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用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8005892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홈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5800670B2 (ja) インターホン親機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12435457B (zh) 基于遥控器的控制系统
CN102726054A (zh) 定位在物理分离的多个独立空间之中的一个独立空间内的dtv(数字电视)的控制方法及其dtv
CN102668591A (zh) 定位在物理分离的多个独立空间之中的一个独立空间内的dtv(数字电视)的控制方法及其dtv
KR20080112441A (ko) 원격제어유닛 및 원격동작방법
KR200411412Y1 (ko)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