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412Y1 -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412Y1
KR200411412Y1 KR2020060000473U KR20060000473U KR200411412Y1 KR 200411412 Y1 KR200411412 Y1 KR 200411412Y1 KR 2020060000473 U KR2020060000473 U KR 2020060000473U KR 20060000473 U KR20060000473 U KR 20060000473U KR 200411412 Y1 KR200411412 Y1 KR 200411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d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lay
re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60000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실내 공간 중 특정 공간에 구비되어 홈오토메이션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주제어기가 전화 단자에 연결되는 RF 신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타 공간에 구비되는 기기와 원활하게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선 신호와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시켜 주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특정 정보가 유입될시 후크 신호를 생성 출력하며, 도달된 후크 신호가 있을시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하는 제1 후크 신호부(210); 상기 제1 후크 신호부(210)가 생성한 후크 신호를 출력할시 상기 특정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TMF 신호처리부(220); 상기 DTMF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구비된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240); 및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후크, 주제어기, PSTN, RF, 홈오토메이션

Description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Home Automation System Equipped Therewith}
도 1은 종래의 일반 가정에 구비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주제어기와 디바이스 사이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가 구비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주제어기와 디바이스 사이에 이루어지는 유무선 통신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와 주제어기가 구비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제어기 110 : 디바이스
120 : 내벽 200 :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210 : 제1 후크 신호부 220 : 제1 DTMF 신호처리부
230 : 제1 무선 신호처리부 232 : 제1 무선 안테나
240 : 제1 전원부 250 : 제1 제어부
260 : 제1 센서부 300 : 전화 단자
310 : 전화선 400 : 제2 후크 신호부
410 : 제2 DTMF 신호처리부 420 : 제2 전원부
4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440 : 제2 제어부
450 : 제2 무선 신호처리부 452 : 제2 무선 안테나
460 : 제2 센서부 500 :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510 : 제1 전화 단자 512 : 제2 전화 단자
520 : 외부 통신망 530 : 사용자 단말기
본 고안은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벽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실내 공간 중 특정 공간에 구비되어 홈오토메이션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주제어기가 전화 단자에 연결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송수신 장치를 통하여 타 공간에 구비되는 기기와 원활 하게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선과 무선, 방송과 통신, 온라인과 오프라인 등 기존의 기술·산업·서비스·네트워크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이들 간에 새로운 형태의 융합 상품이나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시대가 도래하면서 초고속 인프라(Infrastructure)를 기반으로 다양한 IT(Information Technology) 기기를 활용하여 원격교육,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헬스케어(Healthcare), 정보가전 제어 등을 가능하게 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이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홈 시스템이다. 즉,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TV, 냉장고, 에어컨, PC, 전화, 조명 등 집안의 각종 제어기기와 안방, 부엌, 거실, 현관 등 집안의 각 공간을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여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단말기나 TV, 냉장고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모든 일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홈네트워크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단말기나 기기를 통한 원격 제어를 구현 가능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에는 크게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이 있다.
유선 방식은 전화선을 이용하는 HomePNA(Home Phone Networking Alliance), 전원선을 이용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용선인 이더넷(Ethernet)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무선 방식은 적외선을 사용하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전파를 사용하는 홈 RF(Home Radio Frequency)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UWB(Ultra Wide Band), IEEE 802.11 등을 이용한다.
유선 방식은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원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가전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대부분의 정보가전기기가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어 어느 공간에서든지 이용이 가능하며, 정보가전기기를 단일 프로토콜(Protocol)로 제어하기 때문에 정보 공유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유선 방식을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화선이나 전원선과 같은 케이블 배선이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배터리 구동 기기와 같이 모든 전자기기들이 전원선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상에서는 TV 또는 전등을 켜거나 에어컨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세탁기를 구동시키는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용량의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상의 운용에 무선 방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방식은 케이블 배선이 필요하지 않고, 단말기나 기기의 이동성 이 보장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네트워크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며 유선 방식에 비하여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러나, 무선 방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 구현되는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먼저, 전파를 이용하여 기기들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동일 주파수의 간섭이나 감쇄로 인하여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기기들간에 전송되는 메시지가 외벽을 통과하여 이웃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혼선이나 보안상의 문제점을 노출시킨다. 또한, 전파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한정되어 있다.
한편,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일반적인 건물 구조상 내벽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적외선을 사용하는 IrDA에 의해서 기기들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면 적외선의 직진성(Traveling Straight)으로 인해 여러 내벽으로 가로막힌 기기들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 가정에 구비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주제어기와 디바이스 사이에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주제어기(100)는 가정 내에 구비되어 디바이스(Device; 110)를 제어하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이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을 통하여 사용자와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디바이스(110)는 가정 내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창문감지센서나 동작감지센서와 같은 센 서 장치, 가스 감지기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도 1에서 보면 주제어기(100)가 디바이스(110)로 특정 정보를 담은 무선 신호를 전달하려면 상기 무선 신호가 다수의 내벽(120)을 통과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무선 신호는 통상 적외선 신호와 같이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사용되므로 무선 신호가 내벽(120)을 통과하여 디바이스(110)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내벽(120)의 위치에 따라서 디바이스(110)가 위치할 수 있는 장소는 한정될 수밖에 없다.
또한, 전파 신호와 같은 저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가용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거의 고갈된 상태이며, 데이터 전송률의 향상, 저전력화, 동시 접속성, 주파수 채널 효율의 향상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 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따라서, 무선 신호로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직진성 문제로 인하여 무선 신호의 전송 효율이 낮아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신뢰성을 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화 단자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를 구비하여 기기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와 RF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주제어기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여 벽에 의해 형성된 건물 구조에 관계없이 디바이스를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주제어기와 기기가 고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시 이를 원활하게 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선 신호와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시켜 주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특정 정보가 유입될시 후크 신호를 생성 출력하며, 도달된 후크 신호가 있을시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하는 제1 후크 신호부(210); 상기 제1 후크 신호부(210)가 생성한 후크 신호를 출력할시 상기 특정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TMF 신호처리부(220); 상기 DTMF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구비된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240); 및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250)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 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제1 후크 신호부(210), 제1 DTMF 신호처리부(220),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 제1 무선 안테나(232), 제1 전원부(240), 및 제1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제1 센서부(2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DTMF 신호와 같은 유선 신호를 RF 신호와 같은 무선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유선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주택에 구비되는 전화 단자에 연결되어 DTMF 신호와 RF 신호를 상호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다른 전화 단자에 연결되는 주제어기(100)나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디바이스(110)로는 RF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디바이스(110)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와 동일 공간에 위치하며, RF 안테나를 구비하여 RF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 이러한 디바이스(110)에는 디지털 도어록이나 가스 제어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이용하게 되면, 주택 의 일정 공간에 구비되는 주제어기(100)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통하여 벽에 의해 분리되는 다른 공간에 구비되는 디바이스(110)를 무선으로 원활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이용하게 되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주택에서 벽으로 분리되는 각각의 공간에 구비되는 전화 단자중 동일 공간에 여러 전화 단자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에만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동일 공간에 위치하는 디바이스(110)들 간에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상호 통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동일 공간에 여러 전화 단자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전화 단자에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연결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주택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변환시켜주는 유선 신호는 DTMF 신호에, 무선 신호는 RF 신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이용하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용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가 구비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주제어기와 디바이스 사이에 이루어지는 유무선 통 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벽으로 분리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전화 단자(300)가 구비되고, 상기 전화 단자(300)들은 전화선(31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디바이스(110)와 동일 공간에 형성된 전화 단자(300)에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연결 구비된다. 그러면, 주제어기(100)는 전화 단자(300)에 연결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통하여 디바이스(110)에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제어기(100)는 구비된 RF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를 이용하여 특정 신호를 여러 내벽(120)을 통과하여 디바이스(110)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주제어기(100)가 전파를 이용하여 특정 신호를 디바이스(110)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내벽(120)과 내벽(1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신호의 감쇄가 발생하여 상기 신호가 디바이스(110)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주제어기(100)가 동일 공간에 구비되는 전화 단자(300)에 접속하여 PSTN망을 통하여 다른 공간에 구비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특정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동일 공간에 위치하는 디바이스(110)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내벽(120)에 의한 신호의 감쇄가 발생하지 않아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1 후크 신호부(210)는 디바이스(110)로부터 특정 정보가 전달되면 주제어기(100)로 후크(Hook)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제1 후크 신호부(210)는 상기 전달 결과를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후크 신호는 온/오프(On/Off) 패턴으로 신호를 수회 반복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화 시스템에서 일방에 구비되는 제1 전화기가 타방에 구비되는 제2 전화기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온 후크(On Hook) 상태인 제2 전화기가 오프 후크(Off Hook) 상태로 설정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제1 전화기는 미리 정해진 약속대로 후크 신호를 온/오프 패턴으로 수회(통상 4회) 반복한다. 그러면, 제2 전화기는 온 후크 상태에서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된다. 그러면, 제1 전화기와 제2 전화기는 PSTN망을 통하여 통화로가 연결되고, 제1 전화기는 제2 전화기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후크 신호부(210)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주제어기(100)로 후크 신호를 전달하여 주제어기(100)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후크 신호부(210)는 주제어기(100)로부터 후크 신호가 전달되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주제어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제1 후크 신호부(210)로부터 통보된 사실에 따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주제어기(1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주제어기(100)로 부터 특정 정보가 전달되면 이를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될 시 이를 주제어기(100)로 통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메모리부에는 제1 DTMF 신호처리부(220)가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제1 제어부(250)를 통하여 메모리부에서 이를 독출하여 주제어기(1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는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디바이스(1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디바이스(110)는 주제어기(100)의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는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디바이스(11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가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디바이스(110)로 전달하기 위해 변환하는 신호는 RF 신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신호는 디바이스(110)가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면 어떠한 무선 신호라도 가능하다.
제1 전원부(240)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제어부(250)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센서부(260)는 외부인의 침입이나 화재,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센서부(260)는 감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센서를 구비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는 인체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구비되는 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센서부(260)는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에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제1 센서부(260)가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에 구비될 시 디지털 도어록이나 가스 제어기 등에 구비되는 센서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을 시 활용 가능하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기(100)는 다음과 같이 그 내부를 보다 상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기(100)는 제2 후크 신호부(400), 제2 DTMF 신호처리부(410), 제2 전원부(4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 및 제2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기(100)는 제2 무선 신호처리부(450), 제2 무선 안테나 (452), 및 제2 센서부(4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기(100)는 디바이스(110)에 대한 명령을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통하여 디바이스(110)로 전달하여 상기 디바이스(1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주제어기(100)는 제2 후크 신호부(400)를 통하여 전화 단자(300)에 연결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후크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상기 후크 신호에 따라서 주제어기(100)로부터 특정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되면 디바이스(11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제2 DTMF 신호처리부(410)를 통하여 DTMF 신호로써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이를 RF 신호로 변환시킨 후 디바이스(110)로 전달하게 되고, 디바이스(110)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는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는 사용자가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키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나 화면이 출력 처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는 키패드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와 주제어기(100)를 구비하도록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 명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와 주제어기가 구비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홈오토메이션 시스템(500)은 주제어기(100), 제1 전화 단자(510), 제2 전화 단자(512),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 및 디바이스(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500)은 PSTN망, CDMA망과 같은 이동통신망,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망 등의 외부 통신망(5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53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53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기기로서, 통상의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특정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기(530)를 통하여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530)가 외부 통신망(520)을 통하여 홈오토메이션 시스템(500) 상의 주제어기(100)로 전달하여 홈오토메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사용자 단말기(530)를 통하여 전등(電燈)의 점등(點燈)이나 세탁기의 구동 시작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530)는 이를 외부 통신망(520)을 통하여 주제어기(1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주제어기(100)는 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전화선을 통하여 제2 전화 단자(512)에 연결된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는 이를 다시 RF 신 호로 변환시켜 전등과 세탁기로 각각 전달한다. 그러면, 전등은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점등을 개시하고, 세탁기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구동을 시작한다.
제1 전화 단자(510)는 주제어기(100)와 동일 공간에 형성 연결되고, 제2 전화 단자(512)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와 동일 공간에 형성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전화 단자(510)와 제2 전화 단자(512)는 전화선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오토메이션 시스템(500)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주제어기(100)가 디바이스(110)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먼저 주제어기(100)의 제2 후크 신호부(400)가 후크 신호를 전송한다(S600). 그러면, 후크 신호는 제1 전화 단자(510), 전화선, 및 제2 전화 단자(512)를 통하여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후크 신호부(210)는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하고,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S602). 이때,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수신 대기 상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주제어기(100)로 통보하여 주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제2 후크 신호부(400)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후크 신호를 전송하였음을 제2 DTMF 신호처리부(410)로 통보한다. 그러면, 제2 DTMF 신호처 리부(410)는 디바이스(110)로 전달할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한다(S604). 그런 다음, 제2 DTMF 신호처리부(410)는 제2 제어부(440)를 통하여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이를 전달한다(S606).
그러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DTMF 신호처리부(220)는 DTMF 신호를 제1 제어부(250)를 통하여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는 DTM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한다(S608). 그런 다음,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는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이를 디바이스(110)로 전달한다(S610). 그러면, 디바이스(110)는 전달된 RF 신호를 해석하여 작동을 실행하게 된다(S612).
한편, 디바이스(110)가 주제어기(100)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디바이스(110)가 구비된 RF 안테나를 통하여 전달할 정보를 담은 RF 신호를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는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이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는 제1 후크 신호부(210)로 이를 통보한다.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후크 신호부(210)가 주제어기(100)로 후크 신호를 전송한 후 디바이스(11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주제어기(100)로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부터 DTMF 신호가 전달되면 주제어기(100)의 제2 제어부(440)는 제2 DTMF 신호처리부(410)를 통하여 이를 해석한다. 그런 다음, 제2 제어부(4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를 통하여 이를 표시한다.
한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센서부(260)가 특정 정보를 센싱하여 이를 주제어기(100)에 통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센서부(260)가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이나 화재,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제1 센서부(260)는 감지한 정보를 제1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250)는 이를 제1 후크 신호부(210)에 통보한다.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제1 후크 신호부(210)가 주제어기(100)로 후크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센서부(260)가 센싱한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주제어기(100)로 전달하면 주제어기(100)가 이를 해석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에 기술한 "디바이스(110)가 주제어기(100)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 단자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를 구비하여 기기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와 RF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주제어기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와 DTMF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여 벽에 의해 형성된 건물 구조에 관계없이 디바이스를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주제어기와 기기가 고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시 이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력선 등의 추가적인 유선 설치 없이도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상의 운용 면에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 전화선을 이용한 통신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선 신호와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시켜 주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특정 정보가 유입될시 후크 신호를 생성 출력하며, 도달된 후크 신호가 있을시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를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하는 제1 후크 신호부(210);
    상기 제1 후크 신호부(210)가 생성한 후크 신호를 출력할시 상기 특정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TMF 신호처리부(220);
    상기 DTMF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구비된 제1 무선 안테나(232)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240); 및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250)
    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 신호부(210)는, 상기 후크 신호를 온/오프 패턴으로 수회 반복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처리부(230)의 상기 무선 신호는 RF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4. 홈오토메이션을 구현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가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5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530)를 통하여 상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50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주제어기(100);
    상기 주제어기(100)와 동일 공간에 구비되어 연결되는 제1 전화 단자(510);
    상기 제1 전화 단자(510)와 다른 공간에 구비되며, 전화선으로 상호 연결되는 제2 전화 단자(512);
    상기 제2 전화 단자(512)와 동일 공간에 구비되어 연결되며, 상기 주제어기(100)가 전달한 정보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 및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송출한 신호를 해석하여 작동을 실행하는 디바이스(110)
    를 포함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100)는,
    특정 정보가 유입될시 후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전달하며,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부터 상기 후크 신호가 전달될시 상기 주제어기(100)를 오프 후크 상태로 설정하는 제2 후크 신호부(400);
    상기 제2 후크 신호부(400)가 상기 후크 신호를 생성 출력하면 상기 특정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로 전달하는 제2 DTMF 신호처리부(410);
    상기 유무선통신 중계장치(200)가 상기 후크 신호 전달후 전송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
    상기 주제어기(1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420); 및
    상기 주제어기(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통신 중계장치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20060000473U 2006-01-06 2006-01-06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411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73U KR200411412Y1 (ko) 2006-01-06 2006-01-06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73U KR200411412Y1 (ko) 2006-01-06 2006-01-06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412Y1 true KR200411412Y1 (ko) 2006-04-03

Family

ID=4176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473U KR200411412Y1 (ko) 2006-01-06 2006-01-06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1725C (zh) 基于因特网的家庭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JP4411368B2 (ja) 「スマートホームSmartHome」環境においてワイヤレ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および通信を行うための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用送受話器
US20050113943A1 (en) Wireless network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household appliances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AU6458399A (en) Communication system, especially for indoors
JP200709677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80023465A (ko) 홈 네트워크상의 무선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20105614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211352221U (zh) 智能网关系统
JP2009530882A (ja) 住宅及び保護−介護環境、事務所等用デジタル通信システム
KR10068461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JP2013142954A (ja) 連携システム
KR200411412Y1 (ko) 유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200228117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情報通信処理装置
KR200416411Y1 (ko) 유무선 신호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오토메이션시스템
JP2007019667A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宅内装置および電力線通信方法
JP200513648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電気電子機器
KR100697617B1 (ko)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466361B1 (ko)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20180121813A (ko)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통합게이트웨이
JP2007134817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235587B1 (ko)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를 보조하는 서브단말기용 리모콘 시스템
KR2007009816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12077657A1 (ja) 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796159B1 (ko) 비데기를 이용한 욕실 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