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616B1 -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616B1
KR100786616B1 KR1020050014216A KR20050014216A KR100786616B1 KR 100786616 B1 KR100786616 B1 KR 100786616B1 KR 1020050014216 A KR1020050014216 A KR 1020050014216A KR 20050014216 A KR20050014216 A KR 20050014216A KR 100786616 B1 KR100786616 B1 KR 10078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upled
contact
jack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451A (ko
Inventor
신형범
Original Assignee
신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범 filed Critical 신형범
Priority to KR102005001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6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04C18/0292Ports or channels located in the w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마련된 플러그 및 주변기기에 결합된 잭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는 다수의 신호라인이 내설된 케이블의 일단에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플러스측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주변기기의 잭측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수단이 결합되며, 케이블의 가운데에는 제1 체결수단과 결합된 제1 케이블과 제2 체결수단과 결합된 제2 케이블에 내설된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변경 결합시키도록 조절하기 위한 접점조절수단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잭코드와, 일단이 전자기기의 플러그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종 형상의 잭부로 구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잭코드의 제1 체결수단과 체결가능한 형상의 잭코드체결부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Jack connection device with converting contac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모듈(200)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제1 체결수단(110)과 인터페이스모듈(2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주변기기(B)의 잭(J)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접점변환수단(13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6 내지 도9는 도5에 도시된 접점변환수단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잭코드, 110, 120 : 체결수단,
130 : 접점변환수단, 131 : 경로선택부,
132 : 스위칭부. 200 : 인터페이스모듈,
210 : 잭부, 220 : 잭코드체결부.
발명은 전자기기에 마련된 플러그 및 주변기기에 결합된 잭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카메라나 MP3플레이어, 휴대용 PDA, PMP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 전자기기에는 충전기나 USB메모리, 이어폰, 마이크 등과 같은 별도의 주변기기를 결합하기 위한 플러그가 구비된다. 그리고, 주변기기는 해당 주변기기가 결합되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플러그에 대응되는 잭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예컨대, 디지탈카메라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케이블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케이블의 잭과 결합하기 위한 플러그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잭과 데이터통신잭은 각각 디지탈카메라에 마련된 플러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는 그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규격을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잭은 해당 플러그의 통신규격을 만족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즉, 주변기기는 해당 플러그의 통신규격을 만족하는 신호라인 접점구조를 갖는 케이블에 결합되는 잭을 구비하게 되고, 전자기기는 플러그에 결합되는 상기 주변기기의 잭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프로그램을 구비하게 된다. 예컨대, 전자기기에는 2.5φ직류전원잭에 대응되는 플러그 및 이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2.5φ직류전원잭과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제1 신호라인이 플라스극성, 제2 신호라인이 마이너스극성을 갖는 접점구조의 신호라인이 내설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플러그와 해당 전자기기에 사용하고자 하는 주변기기의 잭이 서로 맞지 않게 되는 경우, 다시 말해 플러그는 제1 신호라인이 마이너스, 제2 신호라인이 플러스 극성을 갖고 주변기기의 잭은 제1 신호라인이 플러스, 제2 신호라인이 마이너스 극성을 갖게 되면 전자기기의 플러그 통신규격과 잭의 통신규격이 맞지 않아 사용자는 자신이 가진 주변기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잭이 맞는 동일 기능의 주변기기를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플러그와 잭의 통신규격을 만족하도록 입출력단의 신호라인 접점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전자기기에 마련된 플러그 및 주변기기에 결합된 잭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는 다수의 신호라인이 내설된 케이블의 일단에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플러스측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주변기기의 잭측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수단이 결합되며, 케이블의 가운데에는 제1 체결수단과 결합된 제1 케이블과 제2 체결수단과 결합된 제2 케이블에 내설된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변경 결합시키도록 조절하기 위한 접점조절수단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잭코드와, 일단이 전자기기의 플러그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종 형상의 잭부로 구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잭코드의 제1 체결수단과 체결가능한 형상의 잭코드체결부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신호라인의 접점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접점선택부와, 이 접점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1 케이블에 내설된 각각의 신호라인에 대해 제2 케이블에 내설된 다수의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칭 결합시키는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또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제1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1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2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2 금속판, 각 제2 금속판의 상측에 제2 금속판의 배치방향으로 슬라이딩구동되어 정지된 위치의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이 접촉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제1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1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2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2 금속판,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의 각 교차위치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을 접촉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원통형상으로 그 일측에는 제1 케이블의 N개 제1 신호라인과 결합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N개 제1 금속판이 제1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배치되고 그 타측에는 제2 케이블의 N개 제2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N개 제2 금속판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체와,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그 내측에는 고정체에 배치된 제2 금속판과 접촉되는 금속판이 구성되고 이 금속판의 일측에는 회전정지된 위치의 제1 신호라인과 접촉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N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N개 회전체는 고정체에 결합된 N개 제2 금속판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일단이 제1 케이블의 N개 제1 신호라인과 결합되면서 타단은 제2 케이블의 N개 제2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스위칭부와, 사용자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접점선택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선택부, 상기 선택부의 버튼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라인 스위칭 접점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서 선택부로부터 인가되는 버튼정보에 대응되는 스위칭 접점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의 N개 제1 신호라인과 N개 제2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잭과 플러그의 통신규격을 만족하도록 케이블 내 신호라인의 접점을 자유롭게 변경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잭과 플러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를 원하는 전자 기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는 주변기기(B)의 잭(J) 통신규격과 전자기기(A)의 플러그(P) 통신규격을 만족하도록 케이블의 신호라인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잭코드(100)와, 일단이 상기 잭코드(100)와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전자기기(A)의 플러그(P)과 결합되는 인터페이스모듈(20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변기기(B)의 잭(J)은 상기 잭코드(100)와 체결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에는 다수의 신호라인이 내설되는데, 통신 규격에서 요구되는 최대 개수의 신호라인이 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마이너스 신호라인과 2개의 플러스신호라인, 즉 4개 신호라인이 내설된 케이블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잭코드(100)는 다수의 신호라인이 내설된 케이블의 일단에는 전자기기(A)의 플러그(P)측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수단(110)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주변기기(B)의 잭(J)측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수단(120)이 결합되며, 케이블의 가운데에는 제1 체결수단(110)과 결합된 제1 케이블(C1)과 제2 체결수단(120)과 결합된 제2 케이블(C2)에 내설된 신호라인의 접점을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접점조절수단(13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전자기기 (A)의 플러그(P)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의 잭부(210)로 구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잭코드(100)의 제1 체결수단(110)과 체결가능한 형상의 잭코드체결부(220)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잭부(210)는 일반 USB 잭형상(A)이거나 소형 USB 잭형상(B), 또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직류전원 잭(C)형상 등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점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는 제1 체결수단(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기(A)의 플러그(P)에 대응되는 잭부(210) 형상을 갖는 인터페이스모듈(200)의 잭코드체결부(220)를 결합시킴과 더불어 그 인터페이스모듈(200)의 잭부(210)는 전자기기(A)의 플러그(P)에 결합하고, 제2 체결수단(12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B)의 잭(J)을 결합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주변기기(B)와 전자기기(A)에서 지원되는 케이블의 통신규격이 다른 경우, 사용자는 접점조절수단(130)을 통해 주변기기(B)와 전자기기(A)의 통신규격을 만족시키도록 제1 케이블(C1)과 제2 케이블(C2)간의 신호라인을 변경시켜 자신이 목적한 바를 달성하게 된다. 이때,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잭 종류 및 플러그 종류에 대응되는 접점설정방법이 기록된 안내판(도시되지 않음)을 제공하여 잭코드(100)의 접점조절수단(130)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 도1에 도시된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제1 및 제2 체결수단(110,120) 및 인터페이스모듈(2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3에서는 제1 체결수단(100)과 인터페이스모듈(200)의 요부구성에 대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제1 체결수단(110)과 제2 체결수 단(12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제2 체결수단(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인터페이스모듈(200)의 잭코드체결부(220)는 전자기기(A)의 플러그(P)와 결합되는 잭부(210)의 마이너스/플러스 신호라인(도시되지 않음)에 2개의 마이너스단자 금속판(221)과 2개의 플러스단자 금속판(222)이 결합되고, 마이너스/플러스단자 금속판(221,222)의 타단은 도전성을 갖는 봉형상의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223,224)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잭부(210)와 마이너스/플러스단자 금속판(221,222) 및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223,224)은 하우징(225)을 통해 고정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223,224)는 하우징(22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3에서 제1 체결수단(110)은 하우징(111)의 일단에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00)의 4개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223,22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223,224)가 끼움결합되는 4개 마이너스/플러스 체결구(112,113)가 마련되고, 이 4개 마이너스/플러스 체결구(112,113)의 외주연으로부터 하우징(111)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도전성의 마이너스/플러스단자 금속판(114,115)이 배치되며, 이 마이너스/플러스단자 금속판(114,115)은 도전성의 금속편(116,117)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편(116,117)의 타단에는 제1 케이블(C1)에 내설된 제11 및 제12 마이너스 신호라인(L11,L12)과 제13 및 제14 신호라인(L13,L14)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4는 제2 체결수단(120)과 결합되는 주변기기(B)의 잭(J)의 요부구성 단면을 예시한 것이다. 즉, 제2 체결수단(120)의 구성이 도3의 제1 체결수단(110)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잭(J)은 주변기기(B)와 결합된 케이블(C)의 마이너스 신호라인(L31,L32)과 플러스 신호라인(L33,L34)이 도전성을 갖는 봉형상의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301,302)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너스/플러스 신호라인(L31,L32,L33,L34)과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301,302)는 하우징(303)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마이너스/플러스 출력단자(301,302)는 하우징(303)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제2 체결수단(120)에 형성된 체결부(도시되지 않음)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5는 도1에 도시된 접점조절수단(13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조절수단(130)은 신호라인의 접점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접점선택부(131)와, 이 접점선택부(131)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1 케이블(C1)에 내설된 각각의 제11 내지 제14신호라인(L11,L12,L13,L14)에 대해 제2 케이블(C2)에 내설된 제21 내지 제24신호라인(L21,L22,L23,L24)을 선택적으로 스위칭 결합하는 스위칭부(132)로 구성된다.
도6 내지 도8은 도5에 도시된 접점조절수단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도6은 슬라이드방식으로 구성되는 접점조절수단(400)이고, 도7은 버튼방식으로 구성되는 접점조절수단(500)이며, 도8은 회전방식으로 구성되는 접점조절수단(600)을 도시한 것이다.
도6에서 도6a는 접점조절수단(400)의 평면도, 도6b는 측단면도, 도6c는 종단면도로서,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조 절수단(400)은 하우징(410)의 저면에 제1 케이블(C1)의 제11 내지 제14 신호라인(L11,L12,L13,L14)과 결합되는 제11 내지 제14 금속판(421,422,423,424)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이 제11 내지 제14 금속판(421,422,423,424)에 대해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1 내지 제14 금속판(421,422,423,42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케이블(C2)의 제21 내지 제24 신호라인(L21,L22,L23,L24)과 결합되는 제21 내지 제24 금속판(431,432,433,434)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스위칭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1 내지 제24 금속판(431,432,433,434)의 양단은 지지판(440)을 통해 하우징(410)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21 내지 제24 금속판(431,432,433,434)의 상측에는 제21 내지 제24 금속판(431,432,433,434)의 배치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슬라이드바(450)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슬라이드바(450)는 도전성을 가지면서 봉형상으로 하단이 상기 제11 내지 제14 금속판(421,422,423,524)과 접촉되면서 봉의 가운데부분에는 소정 관통홈(451)이 형성되어 상기 제21 내지 제24 금속판(431,432,433,434)이 내삽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도전부(452)와, 이 도전부(452)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그 상측이 하우징(410)에 마련된 안내홈(4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절연성 재질의 버튼(453)으로 구성된다. 즉, 도전부(452)에 제21 금속판(431)이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453)을 안내홈(411)을 따라 이송하게 되면 도전부(452)의 하단이 해당 정지 위치의 제11 내지 제14 금속판(421,422,423,424), 예컨대 제11금속판(421)과 접촉됨으로써, 제1 케이블(C1)의 제11 신호라인(L11)과 제2 케이블(C2)의 제21 신호라인(L21)이 결합되게 된다.
또한, 도7에서 도7a는 접점조절수단(500)의 평면도이고, 도7b는 단면도로서 그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조절수단(500)은 하우징(510)의 저면에 제1 케이블(C1)의 제11 내지 제14 신호라인(L11,L12,L13,L14)과 결합되는 제11 내지 제14 금속판(521,522,523,524)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이 제11 내지 제14 금속판(521,522,523,524)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1 내지 제14 금속판(521,522,523,524)과 직교하도록 제2 케이블(C2)의 제21 내지 제24 신호라인(L21,L22,L23,L24)과 결합되는 제21 내지 제24 금속판(531,532,533,534)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스위칭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1 내지 제24 금속판(531,532,533,534)의 양단은 지지판(540)에 의해 하우징(51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11 내지 제14 금속판(521,522,523,524)과 제21 내지 제24 신호라인(L21,L22,L23,L24)이 교차되는 위치 각각에 물리적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21 내지 제24 금속판(531,532,533,534)과 제21 내지 제24 금속판(531,532,533,534)을 접촉시키는 스위치(550)가 배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550)는 토글방식으로 구동되도록 하우징(510)에 체결된 것으로, 그 상세 구조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신호라인 교차위치에 배치된 스위치(550)를 눌러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도8에서 도8a는 접점조절수단(600)의 평면도이고, 도8b는 측단면도, 도8c는 종단면도, 도8d는 분해사시도로서 그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조절수단(600)은 제1 케이블(C1)과 결합되는 제1 지지대(610)와 제2 케이블(C2)과 결합되는 제2 지지대(620) 사이에 원통형상의 접점조절부재(6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접점조절부재(63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이면서 제1 지지대(610)와 제2 지지대(62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체(631)와, 링형상으로 고정체(631)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4개의 회전체(6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케이블(C1)의 제11 내지 제14 신호라인(L11,L12,L13,L14)이 상기 고정체(631)의 외주연의 제1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소정 길이를 갖는 제11 내지 제14 금속판(632,633,634,635)과 각각 결합되고, 제2 케이블(C2)의 제21 내지 제24 신호라인(L21,L22,L23,L24)은 상기 고정체(631)의 관통공을 통해 그 외주연에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면서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설된 제21 내지 제24 금속판(636,637,638,639)과 일대일 대응되게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640)는 링형의 몸체(641) 내측에 도전성의 금속판(642)이 결합되면서 이 금속판(642)의 일측에 소정 돌기(643)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1 내지 제24 금속판(636,637,638,639)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예컨대 4개 회전체(640)가 고정체(631)의 외측에 제2 방향으로 일렬 배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4개 회전체(640)는 각각 적색, 청색, 백색, 흑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하여 상호 구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640)는 돌기(643)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몸체(641)의 외주연에 몸체(641) 내부의 돌기(643)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돌기(644)이 형성된다. 예컨대, 제1 회전체(640)의 금속판(642)이 제2 케이블(C2)의 제21 신호라인(L21)과 결합된 고정체(630)의 제21 금속판(638)과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회전체(640)의 표시돌기(644)이 제13 금속판(634) 의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제1 회전체(640)를 회전정지시키게 되면, 제1 회전체(640)의 돌기(643)가 제13 금속판(634)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2 케이블(C2)의 제21 신호라인(L21)과 제1 케이블(C1)의 제13 신호라인(L13)이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점조절수단(700)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조절수단(700)은 일단이 제1 케이블(C1)의 제11 내지 제14 신호라인(L11,L12,L13,L14)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케이블(C2)의 제21 내지 제24 신호라인(L21,L22,L23,L24)과 결합되면서 또 다른 타단은 접지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부(710)와, 사용자가 상기 스위칭부(710)의 스위칭 접점선택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선택부(720), 상기 선택부(720)의 버튼정보에 대응되는 스위칭부(710)의 스위칭 접점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730) 및, 상기 메모리(730)에서 선택부(720)로부터 인가되는 버튼정보에 대응되는 스위칭 접점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710)의 제11 내지 제14 신호라인(L11,L12,L13,L14)과 제21 내지 제24 신호라인 (L21,L22,L23,L24)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부(720)는 도7a에 도시된 스위치(550)와 같은 외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잭과 플러그의 통신규격을 만족하도록 케이블 내 신호라인의 접점을 자유롭게 변경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변기기에서 지원하는 잭의 종류와 주변기기를 사용할 전자기기에 형성된 플러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잭과 플러그의 통신규격을 만족하도록 케이블 내 신호라인의 접점을 자유롭게 변경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잭과 플러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기기를 원하는 전자기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다수의 신호라인이 내설된 케이블의 일단에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플러스측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주변기기의 잭측과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수단이 결합되며, 케이블의 가운데에는 제1 체결수단과 결합된 제1 케이블과 제2 체결수단과 결합된 제2 케이블에 내설된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변경 결합시키도록 조절하기 위한 접점조절수단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잭코드와,
    일단이 전자기기의 플러그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종 형상의 잭부로 구성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잭코드의 제1 체결수단과 체결가능한 형상의 잭코드체결부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신호라인의 접점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접점선택부와, 이 접점선택부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1 케이블에 내설된 각각의 신호라인에 대해 제2 케이블에 내설된 다수의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칭 결합시키는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조절수단은 제1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1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대해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2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2 금속판, 각 제2 금속판의 상측에 제2 금속판의 배치방향으로 슬라이딩구동되어 정지된 위치의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이 접촉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제1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1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1 금속판과, 제1 금속판에 대해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케이블에 내설된 N개 제2 신호라인과 각각 결합되는 N개의 제2 금속판, 상기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의 각 교차위치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금속판과 제2 금속판을 접촉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원통형상으로 그 일측에는 제1 케이블의 N개 제1 신호라인과 결합되면서 일정 길이를 갖는 N개 제1 금속판이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배치되고 그 타측에는 제2 케이블의 N개 제2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N개 제2 금속판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체와, 링형상으로 상기 고정체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그 내측에는 고정체에 배치된 제2 금속판과 접촉되는 금속판이 구성되고 이 금속판의 일측에는 회전정지된 위치의 제1 신호라인과 접촉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N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N개 회전체는 고정체에 결합된 N개 제2 금속판 위치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조절수단은 일단이 제1 케이블의 N개 제1 신호라인과 결합되면서 타단은 제2 케이블의 N개 제2 신호라인과 결합되는 스위칭부와, 사용자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접점선택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선택부, 상기 선택부의 버튼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라인 스위칭 접점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서 선택부로부터 인가되는 버튼정보에 대응되는 스위칭 접점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상기 스위칭부의 N개 제1 신호라인과 N개 제2 신호라인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KR1020050014216A 2005-02-21 2005-02-21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KR10078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16A KR100786616B1 (ko) 2005-02-21 2005-02-21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16A KR100786616B1 (ko) 2005-02-21 2005-02-21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451A KR20060093451A (ko) 2006-08-25
KR100786616B1 true KR100786616B1 (ko) 2007-12-18

Family

ID=3760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216A KR100786616B1 (ko) 2005-02-21 2005-02-21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6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67U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KR0150974B1 (ko) * 1993-08-17 1998-10-15 윤종용 헤드폰 및 마이크 겸용 잭
KR20000030275A (ko) * 2000-02-15 2000-06-05 성상준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KR20000038467A (ko) * 1998-12-07 2000-07-05 윤종용 잭의 공용화장치
JP2002280135A (ja) * 2001-03-15 2002-09-27 Toshiba Corp 接続システム、接続装置およびコネクタ接続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974B1 (ko) * 1993-08-17 1998-10-15 윤종용 헤드폰 및 마이크 겸용 잭
KR19980044167U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KR20000038467A (ko) * 1998-12-07 2000-07-05 윤종용 잭의 공용화장치
KR20000030275A (ko) * 2000-02-15 2000-06-05 성상준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JP2002280135A (ja) * 2001-03-15 2002-09-27 Toshiba Corp 接続システム、接続装置およびコネクタ接続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451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6656C (zh) 便携式消费电子装置及减少其所需外部连接件数量的方法
US6784384B2 (en)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020137382A1 (en) Power adapter device
US7396234B2 (en) Electrical outlets
JP2020504874A (ja) フレキシブル電子装置
WO1985003388A1 (en)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for telephone cord
CN107300981A (zh) 键盘
EP2612399B1 (en) Cable plug and socket system for providing voltage selection
JP2020506458A (ja) フレキシブル電子装置
US11777246B2 (en) Electrical pop out device
CN105489127A (zh) 一种电源信号自由切换的led显示屏及其电源信号切换方法
KR100786616B1 (ko)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US20110051347A1 (en) Mobile terminal
US20070278859A1 (en) Voltage transformer with mechanically actuated voltage-selected switches
KR102551599B1 (ko) 어댑터
US5513998A (en) Electrical plug assembly which accommodates multiple voltage
JP3111757U (ja) オス型とメス型を一体に兼ね備えたusbコネクタ
Rajan et al. A Review: Comparative Analysis of Arduino Micro Controllers in Robotic Car
US9094758B2 (en) Audio transmission line and headset
JP3205525U (ja) マルチタイプ接続装置
KR200253169Y1 (ko)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JP7405454B2 (ja) 変換コネクタおよび中継ケーブル
KR200470644Y1 (ko) 퍼즐형 멀티 콘센트
US6297462B1 (en) Rotary matrix switch
CN217820529U (zh) 多通道信号采集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