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69Y1 -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 Google Patents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69Y1
KR200253169Y1 KR2019960057295U KR19960057295U KR200253169Y1 KR 200253169 Y1 KR200253169 Y1 KR 200253169Y1 KR 2019960057295 U KR2019960057295 U KR 2019960057295U KR 19960057295 U KR19960057295 U KR 19960057295U KR 200253169 Y1 KR200253169 Y1 KR 200253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connector
network
cabl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167U (ko
Inventor
장민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57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69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트웍 트랜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종류의 컨넥터(Connector)를 연결할 수는 있는 네트웍 트랜시버(Tranceiver)를 이용하여 기기의 이동이나 네트웍 케이블의 교체로 인해 카드와 케이블이 맞지 않을 경우 별도의 트랜시버 구입없이 딥 스위치의 작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네트웍 트랜시버는 네트웍 방식과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트랜시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기기의 이동이나 네트웍 케이블의 교체시 카드와 케이블이 맞지않을 경우 별도의 트랜시버를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게된다.
본 고안 네트웍 트래시버는 다용도 양방향으로 하여 종래 컨넥터를 하나의 트랜시버에 접속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딥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스위치에 따라 컨넥터의 입/출력을 설정할수 있도록 하여 기기의 교체나 구입시 간단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 가능 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본 고안은 네트웍 트랜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많은 종류의 케이블 및 컨넥터를 적용하여 사용하므로서 기기에 따라 호환성이 맞지않은 것을 케이블 종류마다의 특성을 하나의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여러종류의 컨넥터를 모두 적용시킬수 있도록 한 다용도 네트웍 트랜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웍 트랜시버는 시설된 네트웍 장비들과 컴퓨터의 네트웍 단자가 방식이 다를 때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주로 케이블의 종류와 네트웍 카드의 입력 컨넥터가 상이하여 맞지 않을 때 연결하여 쓰는 소형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네트웍 트랜시버에 대하여 도 1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와 같이, 가는 케이블용인 BNC컨넥터(7)의 접속부(1A)를 입력단으로 하여 두꺼운 케이블용인 AVI컨넥터의 접속부(1B)를 출력단으로 하는 트랜시버(1)와,
도 1의 (b)와 같이 TP형 케이블용인 TP(RJ-45)형 컨넥터(8)의 접속부(2A)를 입력단으로하여 AVI컨넥터의 접속부(2B)를 출력단으로 하는 트랜시버(2)와,
도 2의 (a)와 같이 BNC컨넥터의 접속부(3A)를 입력단으로 하여 TP컨넥터의 접속부(3B)를 출력단으로 하는 트랜시버(3)와, 도 2의 (b)와 같이 TP컨넥터의 접속부(4A)를 입력단으로 하여 BNC컨넥터의 접속부(4B)를 출력단으로 하는 트랜시버(4)와,
도 3의 (a)와 같이 AVI컨넥터의 접속부(5A)를 입력단으로 하여 BNC컨넥터의 접속부(5B)를 출력단으로 하는 트랜시버(5)와, 도 3의 (b)와 같이 AVI컨넥터의 접속부(6A)를 입력단으로 하여 TP컨넥터의 접속부(6B)를 출력단으로 하는 트랜시버(6)로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 9는 딥 스위치, 10은 동작상태를 알리는 LED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트랜시버의 구조를 도 1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트웍 케이블 배선이 가는 케이블, 두꺼운 케이블 및 TP 케이블로 하여 컴퓨터 네트웍(카드)의 컨넥터는 각각 가는 케이블 용인 BNC(7), 두꺼운 케이블 용인 AVI, TP형 케이블 용인 TP(RJ-45)컨넥터(8)로 구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분되어진 케이블 및 컨넥터의 종류별 접속에 따라 트랜시버의 종류도 여러 가지로 나누어 지게 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랜시버(1)은 가는 케이블용(Thin Cable)인 BNC컨넥터(7)를 입력 접속부(1A)로 하여 출력접속부(1B)는 두꺼운 케이블(Thick Cable)용인 AVI컨넥터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의 (b)와 같이, 트랜시버(2)는 TP케이블 용인 TP컨넥터(8)을 입력 접속부(3A)로 하여 두꺼운 케이블용인 AVI컨넥터를 출력 접속부(3B)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는, 도 2의 (a)와 같이, 트랜시버(3)는 BNC컨넥터를 입력 접속부(3A)로 하여 TP형 케이블용인 TP형 컨넥터를 출력 접속부(3B)로 접속시켜 사용하게 되고, 도 2의 (b)와 같이 트랜시버(4)는 TP형 케이블용인 TP컨넥터(8)를 입력 접속부(4A)로 하여 출력 접속부(4B)로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3의 (a)의 트랜시버(5)는 AVI컨넥터를 입력 접속부(5A)로 하여 출력접속부(5B)에는 BNC컨넥터(7)를 접속하도록 하고, 도 3의 (b)와 같이 트랜시버(6)은 AVI컨넥터를 입력접속부(6A)로 하여 출력접속부(6B)는 TP형 컨넥터를 접속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컨넥터의 종류별 각각의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호환성이 맞는 케이블 및 컨넥터를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하므로 트랜시버의 종류도 여러 가지로 구성되고, 각 가지의 경우마다 네트웍 케이블과 카드의 단자가 맞지 않을 경우 다른 트랜시버를 써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네트웍 트랜시버는 네트웍 카드중에서 두 세가지의 컨넥터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트랜시버를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두꺼운 케이블용인 AVI커넥터는 최근 사용하지 않는 추세로서 웍크 스테이션등이 네트웍 단자가 이것으로 되어 있고, 또한 기기의 이동이나 네트웍 케이블의 교체로 인해 카드와 케이블이 맞지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네트웍 방식과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트랜시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컨넥터 접속부를 구성시키고, 구성된 접속부를 입/출력 양방향으로 할수 있도록 하여 기기의 이동이나 네트웍 케이블의 교체로 인해 카드와 케이블이 맞지않게 되었을 경우 별도의 트랜시버의 구입/교체가 필요없이 간단한 딥 스위치의 조작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네트웍 공사시 네트웍 카드와 트랜시버의 교체없이 쓸수있도록 하요 비용절감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 BNC와 ANI컨넥터를 접속하는 트랜시버의 사시도
(b)는 종래 TP와 ANI컨넥터를 접속하는 트랜시버의 사시도
도 2의 (a)는 종래 BNC와 TP컨넥터를 접속하는 트랜시버의 사시도
(b)는 종래 TP와 BNC컨넥터를 접속하는 트랜시버의 사시도
도 3의 (a)는 종래 AVI와 BNC컨넥터를 접속하는 트랜시버의 사시도
(b)는 종래 AVI와 TP컨넥터를 접속하는 트랜시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다용도 양방향 트랜시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다용도 양방향 트랜시버의 딥 스위치와 컨넥터 접속부의 입/ 출력을 제어하는 표를 보인 도면
본 고안의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VI컨넥터를 접속할수 있도록 구성시켜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시버(11)의 AVI접속부(11A)와, TP컨넥터(12)를 접속할수 있도록 구성시켜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시버(11)의 TP접속부(11B)와, BNC컨넥터(13A)를 접속할수 있도록 구성시켜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시버(11)의 BNC접속부(11C)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각 접속부(11A,11B,11C)의 입/출력(IN/OUT)을 선택제어할수 있는 딥 스위치(11D)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의 동작에 대하여 도 4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랜시버(11)는 각 접속부(11A,11B,11C)를 입/출력 단자로 쓰일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AVI접속부(11A)에는 AVI컨넥터를 접속하여 입/출력 공용으로 사용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TP접속부(11B)가 출력이 되는 경우에 TP컨넥터의 입력잭만이 접속하도록 하며, 입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용 잭(12)을 연결하여 쓰면 되고, 또한 BNC접속부(11C)가 출력이 되는 경우에도 BNC컨넥터(13A)의 입력잭만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출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용 잭(13)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트랜시버(11)에 구성된 각 접속부(11A,11B,11C)의 입/출력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각 컨넥터(11A,11B,11C)에 입/출력 공용으로 하는 트랜시버(11)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 스위치(11D)에 의해 각각의 접속부(11A,11B,11C)를 선택하여 입/출력으로 설정하게 되는데,
TP접속부(11B)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에 BNC접속부(11C)를 출력으로 하려면 딥 스위치(11D)의 스위치 2번만 온 시키고 나머지는 오프시키면 되고, AVI접속부(11A)를 출력으로 하려면 스위치 2,3을 온 시키고 스위치 1은 오프시키면 된다.
BNC접속부(11C)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에 TP접속부(11B)를 출력으로 하려면 스위치 1번만 온 시키고 나머지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AVI접속부(11A)를 출력으로 하려면 스위치 1,2를 온 시키고 스위치 3은 오프시키면 된다.
AVI접속부(11A)를 입력으로 하는 경우에 TP접속부(11B)를 출력으로 하려면 스위치 3만 온 시키고 스위치 1,2는 오프시키고, BNC접속부(1C)를 출력으로 할 경우에는 스위치 1,3을 온 시키고 스위치 2는 오프시키면 된다.
한편, TP접속부(11B), BNC접속부(11C) 및 AVI접속부(11A)를 출력으로 하는 경우는 입력에 따라서 역으로 하면 된다.
즉, BNC접속부(11C)를 출력으로 하는 경우 TP접속부(11B)는 스위치 2만 온 시키고 나머지의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AVI컨넥터는 스위치 1,3을 온 시켜 입력으로 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트랜시버(11)에 다수개의 입/출력 단자로 구성하는 컨넥터 접속부(11A,11B,11C)를 간단한 딥 스위치(11D)의 조작으로 입/출력을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할수 있게하였다.
본 고안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는 기기의 이동이나 네트웍 케이블의 교체로 인해 카드와 케이블이 맞지않게 되었을 경우 별도의 트랜시버 구입/교체가 필요없이 간단한 딥 스위치 조작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VI컨넥터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AVI접속부(11A)와, TP컨넥터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TP접속부(11B)와, BNC컨넥터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BNC접속부(11C)와, 상기 접속부(11A,11B,11C)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딥 스위치(11D)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트랜시버(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KR2019960057295U 1996-12-26 1996-12-26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KR200253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295U KR200253169Y1 (ko) 1996-12-26 1996-12-26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295U KR200253169Y1 (ko) 1996-12-26 1996-12-26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67U KR19980044167U (ko) 1998-09-25
KR200253169Y1 true KR200253169Y1 (ko) 2001-12-13

Family

ID=5399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295U KR200253169Y1 (ko) 1996-12-26 1996-12-26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16B1 (ko) * 2005-02-21 2007-12-18 신형범 접점변환기능을 갖는 잭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67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7382A1 (en) Power adapter device
US5841424A (en) USB to multiple connect and support bays for peripheral devices
US5836783A (en) Communication cable used in a computer system
KR200253169Y1 (ko) 다용도 양방향 네트웍 트랜시버
JPH07264107A (ja) 電力線通信モデム
US4937464A (en) Modular jack with loop testing switch
US20100230260A1 (en) Wiring standard selector switch and universal network cable
US4949222A (en) Electrical apparatus combination
US5809137A (en) Telephone liner connector
US5108315A (en) Pay telephone station repair technician's adapter
US5737190A (en) Digital input/output circuit board
KR100351876B1 (ko) 슬라이딩 키패드가 장착된 휴대 전화기
US5140172A (en) Interface module for a bus interface
KR200295070Y1 (ko) 회선선택장치가 있는 전화기
US6587902B1 (en) I/O port assembly of notebook computer connectable to monitor or TV as needed
KR100407329B1 (ko) 허브의 lan전원을 이용한 ip시스템의 전원공급회로
US7317168B1 (en) Interface module for audiovisual devices
US8106318B2 (en) Wiring standard selector switch
CA2683182C (en) Wiring standard selector switch
KR200227478Y1 (ko) 단자 블록
AU651202B2 (en) A key telephone system
KR200271528Y1 (ko) 유티피 직렬/꼬임 케이블 변환 어댑터ⅰ,ⅱ
KR100206302B1 (ko) 키보드 공유 어뎁터
KR200360782Y1 (ko) 다기능 커플러
JPH05242932A (ja) ピン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