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276B1 -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276B1
KR100786276B1 KR1020067004429A KR20067004429A KR100786276B1 KR 100786276 B1 KR100786276 B1 KR 100786276B1 KR 1020067004429 A KR1020067004429 A KR 1020067004429A KR 20067004429 A KR20067004429 A KR 20067004429A KR 100786276 B1 KR100786276 B1 KR 10078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lay
lens unit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944A (ko
Inventor
타로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표시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를 쫓을 수 있고, 또한 상 흔들림이 표시 화면에 비치지 않도록 한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촬상소자는 렌즈 전체 군 유닛의 렌즈를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환은 AF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해서 렌즈 전체 군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렌즈 전체 군 유닛을 이동시킴으로써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의 조절이 행해지고, LCD는,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렌즈 전체 군 유닛이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LCD의 표시를 스루 표시로 하고, 렌즈 전체 군 유닛을 반전시킨 후 밀려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정지시킬 때까지, LCD의 스루 표시를 제한한다.
스루 표시, 촬상소자, 렌즈.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IMAGING DEVICE, CONTROL MEHT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은염 필름 카메라나 전자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해당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제어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렌즈가 침동(沈胴)하는 카메라에서는, 렌즈를 밀어낼 때에는 주밍이나 포커싱을 그 밀어내는 기구로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에 있어서의 밀어내는 기구에는, 캠을 고리모양의 구동 환으로 파서 그 구동 환을 회전시키는 한편, 렌즈를 지지하는 부재에는 직진 기구를 설치해서 렌즈가 회전하지 않도록 해서,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동 환을 움직이는 방식에서는, CCD 등 촬상수단의 소형화와 많은 화소수에 따라, 포커스 렌즈나 줌렌즈의 광축방향의 위치에 대해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침동으로부터 렌즈가 밀려나간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렌즈 경통을 사용자가 쉽게 만질 수 있게 되므로, 접촉에도 손상되지 않고, 게다가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튼튼한 구조의 렌즈 경통이 필요로 되고 있지만, 렌즈 경통을 튼튼하게 만들면, 그만큼만 렌즈를 밀어낼 때의 액추에이터에 걸리는 부하는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에는 DC모터나 스텝핑 모터를 사용하고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수 백배의 감속비로 감속함으로써 토크를 증가시켜서 렌즈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카메라의 각 부재에 힘이 가해지면, 각 기어나 구동 환의 덜걱거림이나, 캠 홈과 캠 핀의 덜걱거림 등에 의해, 이들 부재에 미소한 변형 등이 생기고, 그 결과 렌즈를 구동하는 때는, 구동방향에 의해서 렌즈의 상태에 왕복 차가 발생한다. 이 왕복 차로서는, 광축방향의 위치에 대해서 비교적 단순한 히스테리시스와, 광축에 수직한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렌즈가 움직이는 것에 의한 렌즈의 시프트나 기움이 발생한다.
렌즈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제어하는 것에는, 전술한 히스테리시스를 고려하지 않으면 정확한 위치에 렌즈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렌즈의 절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를 장착하거나, 렌즈의 구동을 정지할 시에는 반듯이 한쪽 방향으로부터 이동해서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정지 예정 위치를 조금 지나친 후, 역전시켜서 동일한 양 되돌려서 정지 위치에 도달한다는 히스테리시스 제거 조작을 행하고 있었다. 또한, 렌즈의 시프트나 기움 등의 왕복 차가 있는 경우에는, 렌즈에 의해 결상되는 상에 변화가 발생하므로, 렌즈의 구동 방향을 역전할 때, 상 흔들림이 발생한다.
촬영신호를 사용하여 초점 조절을 행하는 촬상장치의 기술 중 하나로서, 오토 포커스를 행할 때에 촬상소자로부터 신호를 입력하기 전의 화상을 초점 조절용으로 기억하고, 초점 조절시는 그 기억한 화상을 화상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302132호 공보를 참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화상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스루 표시(through display)"라 하며, 예를 들면 피사체에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이 움직임에 따라서 표시 화상을 변화시키는 표시이고, 한편 스루 표시를 일단 제한하여 기억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프리즈 표시(freeze display)"라 하며, 예를 들면 피사체에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그 움직임에 따르지 않고 기억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소위 등산 방식의 오토 포커스(AF)로서,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촬영신호가 가지는 주파수의 고역성분 데이터인 초점 평가값이 감소할 경우에는 스루 표시를 멈추고 프리즈 표시로 하고, 초점 평가값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스루 표시를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32521호 공보를 참조). 이에 의해, 초점 평가값이 높은 핀트가 맞는 화상만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포커스되지 않은 화상은 표시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초점 조절시에 항상 프리즈 표시로 하고 있을 경우에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등에, 표시 화면을 보면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은 어렵다. 또, 초점 평가값이 감소하면, 프리즈 표시를 할 경우, 피사체가 카메라에 대해서 비스듬히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때에는,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으로부터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프리즈 표시를 회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술한 등산 방식의 AF의 경우에는, 화상이 포커스되는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서, 워블링 등의 단시간에 격렬하게 전후로 포커스 렌즈를 움직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초점 평가값이 증가할 때만 스루 표시를 할 경우에는, 렌즈의 시프트나 기움 등의 왕복 차가 있으면, 렌즈가 어느 쪽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관계없이, 스루 표시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초점 평가값의 정점의 전후 부근에서는 표시 화상에 상 흔들림이 생기므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고, 또한 상 흔들림이 표시 화면에 비치지 않도록 한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하면,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를 행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켜서 정지시킬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의 제한이, 상기 반전시의 화상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의 제한이,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의 화상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의 제한이,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를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하면,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속도로 해당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정지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속도보다도 빠른 제2속도로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형태에 의하면,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를 행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켜서 정지시킬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형태에 의하면,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속도로 해당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정지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속도보다도 빠른 제2속도로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형태에 의하면,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를 행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켜서 정지시킬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형태에 의하면,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속도로 해당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정지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속도보다도 빠른 제2속도로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경통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경통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경통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선A-A'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렌즈 경통의 배리어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배리어 개방),
도 7은 렌즈 경통의 배리어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배리어 폐쇄),
도 8은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구동 환의 회전각도에 대하여, 배리어의 상태, 렌즈의 리셋 타이밍 및 밀려나간 상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의 (a)와 도 9의 (b) 및 도 9의 (c)는, 렌즈 경통에서의 구동 환과 리셋 부재(PI)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배터리의 잔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의 전원 온 시의 렌즈 경통의 구동 시퀀스도,
도 11은 배터리의 잔량이 적다고 판단될 때의 전원 온 시의 렌즈 경통 구동 시퀀스도,
도 12는 전원 오프시의 렌즈 경통 구동 시퀀스도,
도 13은 AF스캔시의 렌즈 경통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AF스캔시의 렌즈 경통 구동 처리의 흐름도,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직진 키의 덜걱거림에 의한 렌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인 디지털 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 디지털 카메라(1)는, 카메라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11)를 가지고, CPU(11)에는 신호처리회로(12)가 접속되어 있다. 신호처리회로(12)에는, CCD 등의 촬상소자(13),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110) 및, LCD(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화상의 표시장치(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처리회로(12)에는, 외부의 기기에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 단자(15),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6) 및 메모리(18)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소자(13)에서는 렌즈부(17)에 의해 결상된 상을 광전변환해서 영상신호로서 출력하고, 신호처리회로(12)는 이 출력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앰프, A/D변환, 감마 처리, 압축, D/A변환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또한, 마이크(110)는,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신호처리회로(12)에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처리회로(12)에 의해 신호처리된 신호는, 화상음성출력으로서, LCD(14) 및 스피커(16)에 입력되어서 각각 화상표시, 음성재생을 이루어지는 동시에, 신호출력 단자(15)로부터 디지털 카메라 외부의 모니터 등의 기기에 출력된다.
또한, CPU(11)에는, 조작부(118), 통신 단자(111), 전원제어부(112) 및 스트로보(117)가 접속되어 있는 것 이외에, 렌즈부(17)의 각종 회로(AF리셋 회로(113), AF모터(114), 조리개 구동회로(115) 및 셔터 구동회로(116)) 등이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18)는, 각종 조작 버튼이나 릴리즈 버튼 등의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제어부(112)는, 디지털 카메라 전체에 전원의 공급을 행하는 배터리와, 각 장소에 공급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DC/DC컨버터와, 각 장소에 공급되는 전압전류의 제어를 하는 제어회로와, 배터리 체크를 위한 전압측정을 행하는 배터리 체크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는, 촬상소자(13)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회로(12)로 신호처리하고, 그 신호처리된 신호에 대하여 자동노출(AE)을 행해서 노출량을 결정하고, 조리개 구동회로(115)를 움직여서 조리개 값을 결정한다.
또한, 정지화상을 촬영할 경우에는, 조작부(118)에 포함되는 도시 생략된 릴리즈 버튼을 누름으로써, 우선 AF리셋 회로(113) 및 AF모터(114)를 기동시켜서, 렌즈부(17)를 통한 상의 핀트가 맞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촬상소자(13)의 출력으로부터 자동노출을 행하고, 적정한 노광량이 되는 조리개 값과 셔터 스피드를 결정하 고, 조리개 구동회로(115)를 구동해서 적절한 노광량이 되도록 조리개를 제어한다.
다음에, 촬상소자(13)를 리셋해서 광전변환에 의해 전하의 축적을 시작하고, 셔터 구동회로(116)에 의해, 자동노출로 결정한 셔터 스피드로 되도록 셔터를 폐쇄하는 동작을 한다. 또, 노광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하 축적 시작으로부터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 내에 스트로보(117)를 발광시킨다. 촬영된 영상신호는, 신호처리회로(12)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지화상 데이터는 메모리(18)에 버퍼되어, 교환가능한 메모리 미디어 등의 기록부(19)에 기록된다.
한편, LCD(14)상의 화면을 프리즈 표시로할 경우에는, 같은 방법으로 해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회로(12)로 처리해서 정지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8)에 버퍼하고, 그 버퍼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계속해서 재생한다. LCD(14)상의 화면을 스루 표시로할 경우에는, 신호처리회로(12)로 처리된 데이터를 그대로 순차적으로 계속해서 재생한다. 이에 따라, LCD(14)상의 화면의 표시 화상은 실시간 스루 표시 화상이 된다. 도 2 및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의 경통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다.
도면 중의 참조부호 200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가 구비하는 경통이며, 201은, CCD홀더 유닛이다. CCD홀더 유닛(201)은, CCD나 로우패스 필터 등의 광학 및 촬상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며, 또 직진 키(201a) 및 배리어 캠부(201b)가 일체화해서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02는 비도전 부재로 구성된 고정 경통이며, 204는 도전 부재로 구성된 구동 환이다. 고정 경통(202)은, 구동 환(204)을 그 회전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하면서, 그 밖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205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 스프링이다.
CCD홀더 유닛(201)과 고정 경통(202)에 구동 환(204)을 끼우고, 바이어스 스프링(205)에 의해 구동 환(204)을 고정 경통(202)으로부터 CCD홀더 유닛(201) 방향으로 바이어스 해서 구동 환(204)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고정한다. 구동 환(204)과 바이어스 스프링(205)은 직접 접촉하고 있어, 전기적으로는 동일 전위로 연결된다.
참조부호 206은 배리어 유닛이며, 2매의 배리어 블레이드가 개폐함으로써, 침동시에 렌즈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207은 렌즈 전체 군 유닛(도 1의 렌즈부(17)에 상당)이며, 렌즈 전체 군을 유지하고, 또 내부에 조리개 및 셔터를 내장하고 있어, 경통 탭(203)을 통한 전기신호에 의해 내부의 조리개 및 셔터를 구동한다. 경통(200)에서는, 렌즈 전체 군 유닛(207)에 있는 홈과 직진 키(201a)가 끼워 맞춰져서,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이 광축방향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1)의 경통(200)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A-A'을 따른 단면도다.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은, 렌즈(1) 군 프레임(207a)과 렌즈(2) 군 프레임(207b)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 2개는 직접 나사 체결해서 고정되어, 양쪽 모두 도전성이 있는 카본 함유의 몰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렌즈(1) 군 프레임(207a)과 렌즈(2) 군 프레임(207b)은 전기적으로도 동일 전위에서 연결된다.
이들 렌즈(1) 군 프레임(207a)과 렌즈(2) 군 프레임(207b)의 사이에, 2매의 셔터 블레이드(222a ,222b), 고정 개방 조리개(223) 및, 작은 조리개 블레이드(224)가 끼워지는 모양으로 삽입되고 있다. 작은 조리개 블레이드(224)는, 그 한 면이 렌즈(1) 군 프레임(207a)과, 또 한 면이 고정 개방 조리개(223)와 마찰하면서 움직이고, 또 2매의 셔터 블레이드(222a와 222b)는 서로 셔터 블레이드끼리 마찰하면서, 셔터 블레이드(222a)의 한 면은 고정 개방 조리개(223)와, 셔터 블레이드(222b)의 한 면은 렌즈(2) 군 프레임(207b)과 마찰하면서 구동한다.
셔터 및 조리개에 사용하는 블레이드의 재질에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 방지를 위해서 도전성이 있는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전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리개와 셔터의 구동시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는, 조리개와 셔터에 사용하는 블레이드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렌즈(1) 군 프레임(207a), 렌즈(2) 군 프레임(207b)과 접촉하기 때문에, 렌즈 전체 군 유닛(207) 내 전체로 달아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참조부호 225는 경통(200) 전면의 금속부재인 배리어 캡이며,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경통(200)에 전도되었을 경우에는, 우선 배리어 캡(225)에 정전기가 전도되어, 렌즈(2) 군 프레임(207b)과의 접촉부를 통해서,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의 전체로 달아난다.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208은 감속 기어 군,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214는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지는 AF모터(도 1의 AF모터(114)에 상당)이다. AF모터(214)의 회전속도를 감속 기어 군(208)으로 감속해서 AF모터(214)의 구동력(토크)을 증대하고, 그 구동력을 구동 환(204)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에 전달해서, 구동 환(204)을 회전시킨다. 구동 환(204)의 내부에는, 캠 홈 및 나선형 요(凹)부가 설치되어, 렌즈 전체 군 유닛(207)에 형성되어 있는 캠 핀 및 나선형 철(凸)부 와 조합된다. 구동 환(204)은 도전 부재로 구성되고 있어,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의 캠 핀을 통과시켜서 전기적으로도 렌즈 전체 군 유닛(207)과 동일 전위로 연결된다. 구동 환(204)의 회전에 의해 캠 홈이 회전하고, 캠과 직진 키(201a)의 동작에 의해,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이 광축방향을 따라 회전하지 않고 이동한다.
경통(200)에 있어서 구동 환(204)의 회전에 의한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의 이동을 매끄러운 동작으로 하기 위해서,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이 이동할 때에 동작하는 각 부재 간에는 각각 약간의 덜걱거림(유격)이 만들어진다. 이 때문에, 특히 직진 키(201a)와 렌즈 전체 군 유닛(207)의 홈의 끼워 맞춤부의 덜걱거림 및, 구동 환(204)과 고정 경통(202) 사이의 덜걱거림 등에 의해, 렌즈 전체 군 유닛(207)에는 미소한 회전 이동이나 시프트(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렌즈의 기움이나 광축의 위치의 변화가 발생하고, 그것들이 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구동 환(204)의 회전 방향이 반전할 때, 각 부재가 덜걱거림 만큼 구동 환(204)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해서 덜걱거림 만큼을 바이어스시키는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에, 렌즈의 기움이나 시프트가 발생해서 상 흔들림이 생긴다.
또, 나선형 요철에는 맞물리지 않도록 미소한 간격이 설치된다. 이 간격은, 구동 환(204)이 충격을 받았을 때 등 외력이 가해져서 변형 등을 일으켰을 때만 나선형 요철이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캠 핀이나 캠 홈이 충격에 의해 변형, 꺾임, 깨어짐 등의 손상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렌즈 전체 군 유닛(207) 내의 조리개 및 셔터에서 발생 하는 정전기나, 외부로부터 경통(200)의 선단부에 전도된 정전기를 바이어스 스프링(205)까지 동일 전위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어스 스프링(205)에는 일체로 접편부(205a)가 설치되어 있어, 디지털 카메라(1)에 경통(200)을 장착했을 때에, 이 접편부(205a)가 맞닿는 장소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라운드 기판(221)을 배치해서, 접편부(205a)와 도통시킴으로써, 접편부(205a)로부터 그라운드 기판(221)위로 정전기가 달아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통(200)의 조립시에는, 리드선을 배선한다는 번거로움이 없어, 조립이 용이하다. 또, 그라운드 기판(221)의 접편부(205a)와의 도통부분은, 디지털 카메라(1)의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또한, 경통(200)은, 도전성의 카본 함유 몰드 부재를, 구동 환(204)과 2개의 렌즈 군 프레임(207a,207b)에만 사용해서, 판 스프링(바이어스 스프링(205)) 하나에 의해서 그라운드에 연결되므로, CCD홀더 유닛(201)이나 고정 경통(202)에 카본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스트 다운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경통(200)의 배리어 유닛(20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이 배리어 개방 상태, 도 7이 배리어 폐쇄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면 중의 참조부호 41은 배리어 유닛(206)을 구동하는 부재인 배리어 구동 환이며, 42는 배리어 블레이드(1), 43이 배리어 블레이드(2)이다. 44는 개방 방향으로 배리어 구동 환(41)에 부하를 거는 개방 스프링, 45는 폐쇄 스프링이다. 폐쇄 스프링(45)은 훅(hook) 모양의 스프링이며, 배리어 구동 환(41) 위에 형성된 돌기부(41a)에 걸리고 있어, 폐쇄 스프링(45)의 힘에 의해 배리어 블레이드(1)(42)을 폐쇄 방향으로 가압해서 바이어스한다. 배리어 블레이드(1)(42)과 배리어 블레이드(2)(43)는, 각 회전축의 부분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려서, 배리어 블레이드(1)(42)이 회전하면 반대 방향으로 배리어 블레이드(2)(4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서는, 개방 스프링(44)에 의해 배리어 구동 환(41)이 우회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배리어 블레이드(1)(42)은 돌기부(41a)에 눌려서 좌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한다. 이에 의해, 배리어 블레이드(2)(43)도 반대인 우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배리어가 개방된다.
다음에, 배리어를 폐쇄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리어 유닛(206) 내의 배리어 구동 환(41)이 배리어 캠부(201b)의 캠면에 눌려 붙을 수 있으므로, 배리어 구동 환(41)이 개방 스프링(44)에 반해서 좌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돌기부(41a)가 회전에 의해 떨어지므로, 폐쇄 스프링(45)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배리어 블레이드(1)(42)이 우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배리어 블레이드(2)(43)도 좌회전방향으로 회전해서 2개의 블레이드(42,43)가 합쳐지는 곳에서 멈춘다(도 7).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의 곳까지 배리어 구동 환(41)은 회전가능하고, 돌기부(41a)는 배리어 블레이드(1)(42)이 멈춰도 더 회전해서 폐쇄 스프링(45)을 개방함으로써, 배리어의 폐쇄력을 더욱 부가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배리어 유닛(206)이 렌즈 전체 군 유닛(207)과 결합해서 일체로 광축방향 전후로 움직임으로써, 배리어 캠부(201b)의 캠면에 배리어 유닛(206) 내의 배리어 구동 환(41)이 맞닿는 작용으로 개방 스프링(44)의 스프링 력에 의하여, 배리어 구동 환(41)을 회전시켜, 그 회전과 폐쇄 스프링(45)에 의해 2장의 배리어 블레이드(42,43)가 개폐하도록 구조가 되어 있다.
도 8은 경통(200)에 있어서의 구동 환(204)의 회전각도에 대한 배리어의 상태, 포커스 렌즈의 리셋 타이밍 및 밀려나간 상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의 가로축이 구동 환(204)의 회전각도이며, 구동 환(204)의 회전에 의해 포커스 렌즈가 밀려나가고, 또 밀려들어 온다. 구동 환(204)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밀려나가는 양을 나타내는 것이 도면 중의 선 321이다. 이때의 배리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선 322이며, 또 리셋 신호(PI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선 323이다.
도면 중의 참조부호 300 및 311은, 각각 침단 접점과 지근단 접점이며, 기계적으로 구동 환(204)의 스톱퍼가 맞물림으로써, 구동 환(204)의 회전을 멈춰서 포커스 렌즈가 지나치게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침단 위치(301)로부터 AF모터(114)가 회전을 시작하면, 구동 환(204)의 회전각도가 위치(302)로 나타내는 일정 각도까지, 포커스 렌즈는 정지하고, 위치(302)를 경계로 밀려나가기 시작한다. 밀려나가기 시작한 직후의 위치(303)에서 리셋 신호(323)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전환한다.
여기에서, 리셋 신호(323)가 전환하는 구조에 대해서, 도 9의 (a), 도 9의 (b) 및 도 9의 (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와 도 9의 (b) 및 도 9의 (c)는, 구동 환(204)과 리셋 부재(PI:61)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침단 위치(301)에 대응하는 구동 환(204) 및 리셋 부재(61)의 상태가 도 9의 (a)에 표시되 고, 도 8의 배리어 개방 위치(305)에 대응하는 상태가 도 9의 (b)에 표시되며, 도 8의 지근단 위치(310)에 대응하는 상태가 도 9의 (c)에 표시되고 있다. 동일 도면 중의 참조부호 204a는 구동 환(204)과 일체로 형성된 칸막이부이며, 리셋 부재(61) 내에는 LED와 그 수광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리셋 부재(61)는, 칸막이부(204a)가 그 LED의 발광을 가로막으면 "H" 레벨을 출력하고, 그 이외는 "L" 레벨을 출력한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303)에서 리셋 신호(323)가 "H" 레벨로 전환하고, 계속해서 더 포커스 렌즈를 밀어내면, 배리어 유닛(206)은 배리어 캠부(201b)의 동작에 의해, 배리어 폐쇄 위치(304)로부터 배리어 개방 위치(305)로 구동 환(204)이 회전하는 위상에서 서서히 배리어를 개방한다. 배리어 개방 위치(305)에서는 완전하게 배리어가 개방하고, 또 이 위치(305)를 경계로 배리어 캠(201b)의 캠면으로부터 배리어 구동 환(41)이 이탈한다.
구동 환(204)이 역회전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배리어 개방 위치(305)로부터 배리어 캠(201b)과 배리어 구동 환(41)이 접하기 시작하고, 배리어 구동 환(41)이 회전해서 개방 스프링(44)의 부가를 시작하고, 배리어 구동 환(41)이 배리어 개방 위치(305)로부터 배리어 폐쇄 위치(304)를 향해서 움직임에 따라 배리어 유닛(206)이 서서히 폐쇄 동작을 행한다. 이 304로부터 305의 구간은 개방 스프링(44)의 부가량이 변화되므로, 어느 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구동 환(204)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가 이 구간 내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토크 변화가 큰 구간은, 리셋 신호(323)가 "H" 레벨로 되어 있는 구간 내에 있다. 또한, 배리어 개방 위치(305)로부터 밀려나간 측에는 개방 스프링(44)의 스프링 력은 구동 환(204)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배리어가 개방된 위치(305)로부터 더욱 구동 환(204)을 포커스 렌즈가 밀려나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치(306)의 위상으로부터, 칸막이부(204a)가 이동해서 리셋 부재(61)를 가로막지 않게 되므로, 리셋 신호(323)가 "L" 레벨로 전환한다. 이 위치(306)를 AF리셋 위치라고 한다.
더욱이, 구동 환(204)을 회전시켜서 포커스 렌즈를 밀어낸 위치(307)의 위상을 AF스캔 시작점으로 설정한다. 보통 전원을 넣었을 때나 촬영 후는, 이 위치(307)에서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켜 둔다. 거기서부터, 조금 구동 환(204)을 회전시켜서 포커스 렌즈를 밀어낸 위치(308)에 무한원의 핀트 위치가 있게 된다. 또한, 밀어낸 위치(309)를 정점위치로서 두며, 정점위치(309)로는, 팬포커스 촬영시에 무한원으로부터 가능한 한 긴 범위의 근거리까지 핀트가 맞도록 F값과 최소착란원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위치다. 팬포커스 촬영이나 AF에 의해 합초점 위치가 검출 불가능할 경우일 때, 이 정점위치(309)에서 촬영을 행한다. 또한, 포커스 렌즈를 밀어내 가면 점점 초점 조절이 근거리로 되어가서, 지근단 위치(310)에 도달한다.
다음에, 경통(200)을 움직일 때의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배터리의 잔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의 전원 온 시의 경통(200)의 구동 시퀀스도이며, 도 11은 배터리의 잔량이 작은 것으로 판단될 때의 전원 온 시의 경통(200)의 구동 시퀀스도다.
전원 온 시에 전원제어부(112) 중의 배터리 체크 회로가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고,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해서 임계값 이상 되면 배터리의 잔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해서 도 10의 시퀀스를 실행하고, 임계값 이하이면 잔량이 적다고 판단해서 도 11의 시퀀스를 실행한다.
배터리 잔량이 충분한 경우(도 10의 시퀀스)에는, 스텝핑 모터(AF모터(214))로 이루어지는 AF모터(114)에 공급하는 전압을 3.0V로 높게 설정한다. AF모터(114)에 공급하는 펄스의 주파수는, 거기에 쓸 수 있는 인터럽트의 주기로 결정되고 있어, 인터럽트를 300㎲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침단 위치(301)로부터 구동 주파수 883PPS에서 8펄스만큼 AF모터(114)를 회전시키고, 다음 펄스로부터는 1111PPS로 구동 주파수를 변경해서 8펄스만큼 회전시킨다. 또한, 구동 주파수를 1667PPS로 변경해서 회전 구동을 계속한다. AF모터(114)에 스텝핑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단계적으로 가속 제어함으로써, 풀인토크(pull-in torque)에서는 회전하지 않는 속도까지 회전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스텝핑 모터의 구동 주파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토크는 내려가 버리므로,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스텝핑 모터에 공급하는 전압을 3.0V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토크 상승을 도모한다.
AF모터(114)의 회전에 의해 구동 환(204)을 회전시켜 포커스 렌즈를 밀어내고, 리셋 신호(PI) 323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전환하는 위치(303)를 지난 위치(901)에서 PI판정 시퀀스(리셋 신호의 판정 처리)로 들어가므로, 여기에서 최초의 속도인 주파수 883PPS로 감속한다. 이 시점에서 다시 배터리 체크를 행하고, 전압이 임계값보다 내려가서 잔량이 적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여기부터 인터럽트 주파수를 전환해서 도 11의 시퀀스로 들어간다. 전압이 충분할 경우에는 다시 883PPS로부터 1111PPS로 8펄스씩 같게 되도록 2단계 가속한 후, 1667PPS로 AF모터(11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AF리셋 위치(306)까지 구동시켜, 리셋 후에 또 2단계 감속시켜, 1111PPS와 883PPS로 8펄스씩 구동시킨다.
그 후에, 인터럽트 주파수를 800㎲로, 구동 전압을 2.7V에 전환한다. 800㎲의 인터럽트 주파수에서 결정되는 구동 속도 625PPS로 4펄스만큼 AF모터(114)를 구동한 후, 1250PPS에서 스캔 시작점(307)의 전방 4펄스까지 AF모터(114)를 구동하고, 또 625PPS로 감속하고나서 스캔 시작점(307)에서 정지시킨다.
AF리셋 위치(306)까지를 1667PPS로 움직이는 것은, AF모터(114)가 탈조(펄스를 보내도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현상)해서 펄스의 카운트와 렌즈의 위치가 벗어나 버리는 경우에도, AF리셋 위치(306)에서 리셋하기 때문에 렌즈의 위치에 맞춰서 펄스의 카운트를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리어 개방의 위치(305)까지는 배리어의 개방 스프링(44)의 부가를 개방하는 힘이 가해지므로, 토크에 여유가 생겨서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위치(305)와 위치(306)는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두고 있다. 리셋 후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이상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토크에 여유가 있는 1250PPS로 움직이기 때문에 AF리셋 위치(306)까지의 속도보다는 저속으로 AF모터(114)를 구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배터리 체크에서 전압이 임계값 이하일 때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동 시퀀스가 된다.
도 10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1에 나타내는 구동 시퀀스는 도 10에 나타내는 구동 시퀀스에 대하여, 침단 위치(301)로부터 AF리셋 위치(306) 후에 감속할 때까지의 AF모터(114)에 가하는 전압과 인터럽트 주파수 및, 구동 주파수와 가감속의 단수를 변경한 것이다. 전압은, 일반적인 2.7V를 가하고, 인터럽트 주파수를 375㎲로 설정하고, 우선 이 인터럽트 주파수로 결정되는 889PPS에서 8펄스만큼 AF모터(114)를 구동한 후, 1333PPS로 구동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은 위치(901)에서 PI판정을 행한다.
이 후의 동작은, 도 10의 PI판정시에서 배터리 불충분일 때와 동일하게 한다. 즉, AF모터(114)를 889PPS에서 8펄스만큼 구동한 후, AF리셋 위치(306)까지 1333PPS로 구동하고, 리셋 후에 8펄스만큼 889PPS로 감속한 후, 인터럽트 주파수를 800㎲로 설정하고, 이하는 마찬가지로 AF모터(114)를 4펄스만큼 625PPS로 구동한 후에 1250PPS로 구동한다. 이 경우도 전압은 하강하지만, AF리셋 위치(306)까지는 렌즈 위치의 카운트의 수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스프링의 부가력으로 부하가 줄어드는 것으로부터, 구동 주파수는, 침단 위치(301)로부터 AF리셋 위치(306)까지 사용하는 1333PPS가 리셋 후에 사용하는 1250PPS 보다 빨라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상, 전원 온 시의 경통(200)의 구동 시퀀스에 대해서는, 배터리의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도, 적은 경우에도, AF리셋 후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동 주파수보다 AF리셋까지의 구동 주파수를 높게 해서 빠르게 AF모터(114)를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렌즈의 밀려나감이 빨라지게 되어, 기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렇게 고속화가 가능한 것은, AF모터(114)에 가하는 부하가 배리어 개방 위치(305)까지는 개 방 스프링(44)의 스프링 력에 의해 가벼워지므로 토크에 여유가 있는 것과, 리셋한 후는 통상의 낮은 속도로 떨어뜨리기 때문에, 리셋하기 전까지는 탈조해서 렌즈의 위치가 이상일 우려가 있는 속도로 해도 리셋시에 수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AF리셋 후는, 이 AF리셋 위치(306)를 기준으로 해서, 거기에서 어떤 펄스의 위치까지 AF모터(114)를 구동하고 있는 지를 카운트함으로써, 스캔 시작점이나 각 피사체 거리에 대응한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밀어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체크에 의해 잔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적을 경우에 비해서 다단계의 가속 제어를 해서 고속으로 AF모터(114)를 구동하기 때문에, 포커스 렌즈의 밀어내기를 더 빠르게 할 수 있고, 침동시로부터 전원 온해서 촬영 가능해질 때까지의 기동 시간이 보다 빨라진다.
다음에, 전원 오프시의 경통(200)의 구동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전원 오프시의 경통(200)의 구동 시퀀스도다.
전원 온후, 촬영 후 등의 포커스 렌즈가 정지하고 있는 위치는, 항상 스캔 시작점(307)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원 오프시의 시퀀스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캔 시작점(307)으로부터 시작되고, 일반적인 인터럽트 주파수 800㎲, 전압 2.7V, 구동 주파수 625PPS로 8펄스만큼 AF모터(114)를 포커스 렌즈의 밀려 들어오는 방향으로 구동한 후, 1250PPS로 가속한다. 그리고, 배리어가 폐쇄하기 시작하는 배리어 개방 위치(305)의 직전의 위치(902)에서 AF모터(114)를 625PPS로 감속한다. 이 감속 위치(902)는, 배리어 개방 위치(305)와 AF리셋 위치(306)의 사이에 있다. 배리어 개방 위치(305)보다 밀려 들어오는 측은, 개방 스프 링(44)을 부가하기 위해서 강한 구동 토크가 필요하고, AF모터(114)를 625PPS로 감속한 채로 침단 위치(301)에 정지할 때까지, 이 구동 속도로 움직인다. 저속시의 스텝핑 모터는 전압을 바꾸지 않아도 토크가 강해지게 되어 탈조하기 어려워진다.
배리어 폐쇄 위치(304)를 지난 후에는, 폐쇄 스프링(45)의 부가도 가해져 더욱 AF모터(114)의 부하는 침단 위치(301)에 근접할수록 높아진다. 이 때문에, 침단 부근에서 탈조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침단 부근에 리셋 위치(303)를 만들고 있다. 위치(303)에서 침단 위치 리셋을 행한 후는, 거기에서 소정 펄스만큼 AF모터(114)를 구동한 위치를 침단 위치(301)로서 거기까지 구동한다.
AF모터(114)의 회전속도는 많은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시키고 있으므로, 기어의 백래시(backlash)에 의해, 렌즈의 이동량에는 모터의 회전 방향에 의한 왕복 차가 생긴다. 이 때문에, 침단 위치(301)에서는 그대로 AF모터(114)를 정지하지 않고, 다음 기동시의 시간을 단축하기 때문에, 이 왕복 차이를 제거하는데도 필요한 만큼의 펄스 수를 AF모터(114)에 부여해서 역전시켜서 정지시킨다.
촬영시는, 촬영시의 기능에 인터럽트를 많이 사용하는 것과, 전술한 바와 같이 토크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부터, 인터럽트 주파수 800㎲만을 사용하고, AF모터(114)의 구동 속도는 625PPS와 1250PPS에서 전압도 2.7V로 사용한다. 촬영 대기 시에는, 항상 포커스 렌즈는 스캔 시작점(307)에서 정지하고 있다. 여기서부터, AF스캔을 시작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덜걱거림(유격)에 의한 각 부재의 움직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가이드해서 이동시키는 직진 키(1502)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경통(1501)과의 덜걱거림에 의한 렌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의 (a)는 직진 키(1502)가 3개 있을 경우의 덜걱거림에 의한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의 (b)는 직진 키(1502)가 1개인 경우의 덜걱거림에 의한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직진 키(1502)는 직진 키(201a)와 마찬가지로, 렌즈 경통(1501) 내에 형성된 홈(1503)에 끼워 맞춰서 렌즈 경통(1501)의 이동을 광축방향으로 규제한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캠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직진 키(1502)와 렌즈 경통(1501)의 3개의 홈(1503)의 사이에는 약간의 덜걱거림이 있기 때문에, 3군데의 접점(1502a)에서 직진 키(1502)와 렌즈 경통(1501)의 홈부(1503)가 맞닿는다. 이렇게 렌즈 경통(1501)과 직진 키(1502)가 3군데의 접점(1502a)에서 접촉함으로써, 렌즈 경통(1501)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밸런스해서 렌즈 경통(1501)은 약간 회전은 해도, 그 위치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직진 키(1502)가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인 경우에는, 직진 키(1502)를 중심으로 해서 렌즈 경통(1501)이 덜걱거림 만큼 회전 방향(도 15의 (b)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직진 키(1502)가 3개인 경우(도 15의 (a))와 비교해서 렌즈 경통(1501)의 회전 방향의 이동량이 커지고, 렌즈 경통(1501)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광축이 시프트한다. 또한, 캠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캠 핀 위치는 렌즈 경통(1501)의 근원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많고, 직진 키(1502)가 1개인 경우에는, 이 회전력에 의해 직진 키(1502)와 홈(1503)과의 접점을 지점으로서 렌즈 경통(1501)의 선단과 후단이 다른 움직임을 할 때가 있어, 이 때문에 렌즈 의 경사도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직진 키는 가능한 한 많이 형성되어 있는 쪽이 좋고, 가능하면 3개 적어도 2개의 직진 키를 형성하고, 렌즈 경통이 시프트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직진 키의 수를 감소시켜서 카메라를 소형화하려고 해도, 렌즈 경통의 시프트 등에 의해 상 흔들림이 발생해서 사용자에 불쾌감을 줄지 모른다. 거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13은 AF스캔시의 경통(200)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14는 AF스캔시의 렌즈 경통 구동 처리의 흐름도다. 또, 이 시퀀스에 따른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 내의 기억장치에 기억하고, CPU(11)로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경통 구동 처리를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캔 시작점(307)에서 AF스캔이 개시되어(스텝 S1401), AF스캔 중은 625PPS의 저속으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고, LCD(14)의 표시 화면을 스루 표시로 한다(스텝 S1402). 이 AF스캔은,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면서 각 위치에서의 화상의 고주파성분을 읽어내고, 그 고주파성분의 량을 초점 평가값으로서 샘플링해서, 그 피크를 구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포커스 렌즈는, 스캔 시작점(307)으로부터 지근단 위치(310)까지 또는 매크로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그 순서 전의 결정할 수 있었던 위치까지를 화상을 샘플링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저속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작점(307)으로부터 지근단 위치(310)까지를 스캔하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시작 점(307)으로부터 정점(309)까지의 범위, 혹은 시작점(307)으로부터 피사체 거리 0.5m의 곳까지의 범위와 같이,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범위에서 스캔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그 후에, 지근단 위치(310)에서 AF모터(114)를 반전시켜, 거기에 합쳐서 표시 화면을 프리즈 표시로 해서, 스루 표시를 제한한다(도 13 중의 참조부호 401)(스텝 S1403). 그리고, 피크가 있는 위치(903)를 합초점으로 해서, 포커스 렌즈를 그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우선, 스텝 S1403에 있어서의 모터 반전 후는 AF모터(114)를 625PPS로 4펄스 구동해서 1250PPS로 가속하는 가속 제어를 행하고, 합초점(903)보다도 소정의 N펄스 넘는 점에서 반전한다(도 13의 참조부호 402 참조). 소정의 N펄스는, 포커스 렌즈의 히스테리시스 량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양산시의 불균일을 고려해서, 포커스 렌즈의 히스테리시스 량에 조금 마진을 본 펄스 수가 된다. 이때, AF모터(114)를 반전 전의 4펄스는 625PPS로 감속해서 정지하고, 반전 후 다시 4펄스 625PPS로 구동을 시작해서(도 13의 참조부호 402), 1250PPS로 가속하고, 정지 직전 4펄스를 625PPS로 감속 구동해서, 2번째의 반전 후로부터 N펄스째의 합초점(903)에서 정지한다(스텝 S1404)(도 13의 참조부호 403 참조).
최초의 반전시(스텝 S1403)에 LCD(18)의 표시 화면을 프리즈 표시로 하고부터 이후는 프리즈 표시를 계속하고, 스텝 S1404에서의 AF모터(114)의 정지 후 다시 스루 표시로 되돌아 가서, 그때 촬상되는 화상을 실시간으로 LCD(14)에 재생한다(스텝 S1405). 그 다음, 셔터를 동작시켜 촬영 동작을 행한다(도 13의 참조부호 403)(스텝 S1406).
촬영 후는, 촬영한 화상에 의해 다시 프리즈 표시를 시작한다(스텝 S1407). 촬영 종료 후에 릴리즈 버튼을 떼어 놓으면 AF리셋 위치(306)의 동작에 들어간다(S1408). 여기에서도, 포커스 렌즈의 구동 방향이 역전하기 때문에 프리즈 표시한 채의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포커스 렌즈는 동일한 625PPS를 4펄스 구동한 후 1250PPS로 밀려들어가는 방향으로 구동하고, AF리셋 위치(306)를 지나서 배리어 개방 위치(305)의 전방에서 AF모터(114)를 반전하고(도 13의 참조부호 404), 밀려나가는 방향으로 구동해서 재리셋한 후(스텝 S1409), 스캔 시작점(307)으로 돌아간다(도 13의 참조부호 405). 이때, 표시 화면을 스루 표시로 한다(스텝 S1410).
상기 스텝 S1403에서의 스루 표시로부터 프리즈 표시로의 전환 시의 표시 화면에는, 이 전환 시에 프리즈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라도 좋고, 스캔 시작점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합초점(903) 또는 그 부근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AF모터(114)의 반전에 따라 기움이 발생한 렌즈를 매개로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촬영자(이용자)에 있어서 프레임 화상의 의도하지 않은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을 할 때에는, 프리즈 표시할 때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의 표시를 금지하는 등 표시장치가 어두워져도 된다. 또한, 반전 시에 LCD(14)에서의 스루 표시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이용자(촬영자)에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그 전의 타이밍에서도, 렌즈의 기움 등에 의한 화각 변동을 표시하는 것을 제한해서, 이 용자(촬영자)에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고 하는 일정한 효과는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 흔들림이 표시 수단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625PPS에 의한 AF모터의 구동에서 저속으로 포커스 렌즈가 이동하는 AF스캔 중은 표시 화면을 스루 표시로 하고, 상 흔들림이 발생하기 쉬운 렌즈의 이동 방향이 변화되는 시점에서는 프리즈 표시로 하고, 또한 1250PPS로 고속으로 렌즈를 이동해서 프리즈 표시의 시간을 단축했기 때문에, 시간의 비율로는 프리즈 표시에 대하여 스루 표시의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등에 있어서, LCD(14)의 화면을 보면서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고, 또 상 흔들림이 화면에 비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본 디지털 카메라(1)는, 직진 키(201a)를 1개로 줄이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덜걱거림(유격)에 의한 상 흔들림이 발생하기 쉽지만, 덜걱거림에 의해 상 흔들림이 발생해도 상 흔들림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는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직진 키를 줄임으로써 스페이스 효율이 올라가 카메라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촬영 영역에 있어서는, 최고 1250PPS의 AF모터 기동시에 비해서 낮은 구동 주파수에서 저속으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기 때문에, AF모터(114)가 탈조할 우려가 적게 된다. 또한, AF동작 중의 스캔 시작점(307)으로부터 이후는 배리어의 구동 영역을 지나지 않으므로, AF모터(114)에 필요한 구동 토크는 일정하게 낮아져서, 모터(114)가 탈조할 우려가 적게 된다. 또, 탈조가 일어나고 있었던 경우에 도, 재리셋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촬영에서는 렌즈의 위치가 정확하게 수정되므로, 렌즈가 벗어난 상태에서 촬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해도, 1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CD-ROM, CD-R, CD-RW, DVD-ROM, DVD-RAM, DVD-RW, DVD+RW, 자기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를 네트워크를 매개로 다운로드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메모리에 기록된 후, 다음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하고, 그 확장기능을 확장 보드나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경우도 포함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 흔들림이 표시 수단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Claims (9)

  1.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를 행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켜서 정지시킬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의 제한이, 상기 반전시의 화상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의 제한이, 상기 렌즈 유닛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의 화상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의 제한이, 상기 표시 수단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를 금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속도로 해당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정지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속도보다도 빠른 제2속도로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를 행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켜서 정지시킬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렌즈 유닛을 매개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받아서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 이동 수단과, 상기 렌즈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렌즈 유닛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속도로 해당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렌즈 유닛을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반전시킨 후 상기 렌즈 유닛을 정지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1속도보다도 빠른 제2속도로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렌즈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067004429A 2003-09-04 2004-09-03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KR100786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2816 2003-09-04
JPJP-P-2003-00312816 200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944A KR20060039944A (ko) 2006-05-09
KR100786276B1 true KR100786276B1 (ko) 2007-12-18

Family

ID=3426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429A KR100786276B1 (ko) 2003-09-04 2004-09-03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667433B1 (ko)
KR (1) KR100786276B1 (ko)
CN (1) CN100403772C (ko)
WO (1) WO2005025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26B1 (ko) * 2006-12-04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5635340B2 (ja) * 2010-09-09 2014-12-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動画撮影装置、動画撮影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961929B2 (ja) * 2011-06-21 2016-08-0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KR20200110906A (ko) * 2019-03-18 2020-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0494B2 (ja) * 1990-06-14 199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943929A (ja) * 1995-05-19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複写装置
JP2003032521A (ja) * 2001-07-12 2003-01-31 Nikon Corp カメラ
JP4090276B2 (ja) * 2002-05-28 2008-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7433A1 (en) 2006-06-07
EP1667433A4 (en) 2010-04-28
CN1846433A (zh) 2006-10-11
CN100403772C (zh) 2008-07-16
WO2005025212A1 (ja) 2005-03-17
KR20060039944A (ko) 2006-05-09
EP1667433B1 (en)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864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program
CN100428784C (zh) 数字照相机
JP2002190981A (ja) 撮像装置、撮影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3460643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532603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3604750B2 (ja) 自動合焦装置
JP200116918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0219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CN102967916B (zh) 能改变拍摄倍率的变焦镜筒和具有该变焦镜筒的摄像设备
KR100786276B1 (ko)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어프로그램
JP2011022566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20050174466A1 (en) Control unit for optical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4678816B2 (ja) 撮像装置
JP200704349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086332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3919783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4752199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CN115151851B (zh) 光学成像系统、用于执行光学图像稳定的方法
JP4343753B2 (ja) 撮像装置
US2023028390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built-in optical filter, control method of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2171442A (ja) 電子カメラおよび光量制御方法
JP200633004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1120172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98828A (ja) 光学機器
JP201516730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