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923B1 -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923B1
KR100785923B1 KR1020070004261A KR20070004261A KR100785923B1 KR 100785923 B1 KR100785923 B1 KR 100785923B1 KR 1020070004261 A KR1020070004261 A KR 1020070004261A KR 20070004261 A KR20070004261 A KR 20070004261A KR 100785923 B1 KR100785923 B1 KR 10078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lter layer
light
optical filter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진
최재영
이동기
최성재
윤선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923B1/ko
Priority to US11/939,128 priority patent/US80268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923B1/ko
Priority to JP2008003564A priority patent/JP2008171002A/ja
Priority to US13/190,750 priority patent/US82691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 광원의 적용시 발현시키고자 하는 원색을 유지시키고, 원하지 않는 다른 색의 간섭 및 원색의 변화를 차단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의 발광시 화상 표시부의 원하지 않는 영역에 380nm~450nm의 보라색 파장이 새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Bi2O3과 같은 380nm~450nm 파장 흡수 물질을 함유하는 제1 광필터층을 포함하고, 아울러 화상 표시부의 원하는 영역에서 백색광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블루 칼라 필터층과 같은 제2 광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광필터 복합층의 채용으로 인하여 보라색 샘 현상의 차단 효과 및 백색광 유지 효과를 발휘한다.
화상 표시 장치, 제1발광 소자, 제2 발광 소자, 제1 광필터층, 제2 광필터층, 보라색, 백색광, 블루 칼라 필터, 키패드 어셈블리

Description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Screen Display Device with plural Light Emitting Diode}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광필터 복합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발광 소자인 UV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의 발광시 파장(중심 파장: 400nm)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 보라색이 새어 나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에 의하여 400nm 이상의 파장이 Bi2O3에 의하여 흡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Bi2O3에 의한 400nm 이상의 파장 흡수로 인하여 보라색이 차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 발광 소자인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청색 파장과 황색 파장이 합쳐져 백색광이 발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에 의하여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의 발광시 청색 파장의 일부가 Bi2O3에 의하여 흡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Bi2O3에 의한 청색 파장 흡수로 인하여 백색광이 황색으로 변화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 광필터층인 블루 칼라 필터(blue color filter)층에 의하여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의 발광시 황색 파장이 블루 칼라 필터층에 의하여 흡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블루 칼라 필터의 파장은 ‘U’자 형태로 표시된 것임), 도 7b는 블루 칼라 필터층에 의한 황색 파장 흡수로 인하여 황색으로 변색된 부분이 백색으로 돌아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 광필터층인 블루 칼라 필터층이 UV 발광 소자(제1 발광 소자)의 발광시 Bi2O3의 보라색 파장 차단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UV 발광 소자(제1 발광 소자)의 발광시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에 의하여 보라색이 차단되는 것을 보여주는 파장 강도 측정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의 발광시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에 의하여 청색 및 황색 파장의 비율이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파장 강도 측정 스펙트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의 발광시 블루 칼라 필터층(제2 광필터층)에 의하여 청색 및 황색 파장의 비율이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파장 강도 측정 스펙트럼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UV 발광 소자(제1 발광 소자)의 발광시 블루 칼라 필터층(제2 광필터층)이 Bi2O3의 보라색 파장 차단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는 파장 강도 측정 스펙트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2 광필터층 2: 제1 광필터층
3: Bi2O3 입자 4: TiO2 입자
5: 숫자입력판 하부(형광체 입자 함유)
6: 문자입력판 하부(보라색 파장 흡수 재료)
7: 확산판 8: UV 발광 소자(제1 발광 소자)
9: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각 발광 소자의 광원 적용시 발현시키고자 하는 원색을 유지시키고, 원하지 않는 다른 색의 간섭 및 원색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DMB등을 포함하는 휴대폰은 물론 오토PC, 와이브로 단말기, 초고속데이터 통신, 텔레매틱스 단말기, DVD,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화상 표시 장치 분야에서 시스템 성능의 향상을 위해 기술 향상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화상 표시 장치에서 종종 원래의 발현하고자 했던 색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UV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UV 발광 소자의 광원으로부터 보라색 파장이 새어 나온다거나, 백색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백색광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고 다른 색으로 변질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복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발광 소자의 광원 영향 또는 각 발광 소자의 최적화를 위해 채용된 광필터층 내의 재료 물질 간섭으로 인하여 각 발광 소자의 광원 적용시에 발현시키고자 하는 색이 제대로 구현되지 아니하고 변질되는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각 발광 소자의 적용 시 목적하는 색상의 발현을 최적화하고, 서로 다른 발광 소자의 적용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 380~450nm 의 보라색 파장이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하고,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백색광을 변질시키지 않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문자 또는 숫자를 조명할 수 있도록, 광의 특정 파장크기에 발광 또는 무발광하는 광필터층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UV 발광 소자와 백색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로서,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 380~450nm 의 보라색 파장이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하고,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백색광을 변질시키지 않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2이상의 복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장치의 화상 표시부의 원하지 않는 영역에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이 새는 것을 차단하는 제1 광필터층과, 화상 표시부의 원하는 영역에서 백색광이 발현되도록 조절하는 제2 광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후부(tail)를 가지는 파장을 출사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백색광을 출사한다. 또한,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중심파장은 약 380nm 내지 420nm 또는 350nm 내지 450nm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심파장은 약 400nm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장의 폭 및 중심파장의 위치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로 사용되는 광원의 종류 및 품질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필터층은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제2 광필터층은 백색광을 투과시켜 화상 표시부에 궁극적으로 백색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칼라 필터층이고, 제1 광필터층 위에 적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광필터층으로 블루 칼라 필터층을 들 수 있는데, 이 때 칼라 필터층의 종류는 제2 발광 소자의 광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칼라 필터의 함량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고, 백색광원이 되는 다양한 파장 사이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백색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의 선택되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칼라 필터층은 유기물 재료인지 또는 무기물 재료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필터층은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로서, Co3O4, ZrO2, Al2O3, Fe2O3, Bi2O3, ZnO, SnO2, In2O3, Sb2O3, V2O5, Cr2O3, CuO, MnO, NiO, Ce2O3, B2O3, Ta2O3, WO3 , TiO2 및 Yb2O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파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응 또는 무반응하여, 광을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 발현 광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색상 발현 광필터층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에 반응하여 각각의 색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에 반응하지 아니하여 백색광을 발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로서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2이상의 복수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진행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마련되어 숫자입력판 및 문자입력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키버튼과, 상기 도광판에 마련되어 광을 상기 키버튼쪽으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패턴과, 상기 단수의 반사패턴의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돌기와, 상기 다수의 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기판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의 숫자입력판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생성 되는 광의 파장의 크기에 따라서 반응 또는 무반응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 발현 광필터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키버튼의 문자입력판의 하부에는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이 새는 것을 차단하는 제1 광필터층과, 백색광이 발현되도록 조절하는 제2 광필터층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광필터 복합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파장 범위 380nm~450nm, 좁게는 400nm~450nm의 보라색 파장 흡수 재료, 예컨대 Bi2O3 입자(3) 및 TiO2 입자(4)를 함유하는 제1 광필터층(2)과 제2 광필터층(1)의 복합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원하지 않는 보라색의 샘 현상과 백색광의 변질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UV 발광 소자와 같은 제1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되는 보라색 파장은 광원의 중심파장 및 파장의 폭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넓게는 380nm 내지 450nm의 범위이고, 좁게는 400nm 내지 420nm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필터층 내의 입자 밀도를 높여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나노(~100nm)입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입자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1 광필터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발광 소자로 사용되는 광원의 종류, 품질 및 광원의 세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사용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문자 또는 숫자를 조명할 수 있는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제2 광필터층은 도시하지 않음). 도 2a에 도시된 키패드 어셈블리는 보라색 파장 흡수 재료를 적용시킨 것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발광 소자로서 제1 발광 소자인 UV 발광 소자(8)와 제2 발광 소자인 백색 발광 소자(9)를 사용하고 있으며, 키버튼의 숫자입력판의 하부(5)에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파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응 또는 무반응하여, 광을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 입자(구형 입자로 표시됨)를 함유하는 색상 발현 광필터층이 형성되어 있고, 키버튼의 문자입력판의 하부(6)에는 380nm~450nm의 보라색 파장 흡수 재료(구형 입자로 표시됨)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발광 소자인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에는 숫자입력판 부분의 형광체 입자에 의하여 숫자가 점등되고,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발광 소자인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에는 숫자와 문자가 점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광필터층 및 제2 광필터층의 적용 원리를 도 3내지 도 8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발광 소자 즉,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에 출사되는 광원은 일정 범위의 파장 폭을 가지는 파장(중심 파장 약 400nm)으로서 380nm~450nm, 더 좁게는 400nm~450nm의 영역에 걸친 보라색 파장 부분이 방출되어 투명하게 표시되어야 할 문자 부분에 보라색이 새어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보라색의 샘 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380nm~450nm, 좁게는 400nm~450nm 영역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Bi2O3과 같은 보라색 차단 재료를 사용하여 제1 광필터층을 형성하고 적용할 경우, 400nm 이상의 파장이 Bi2O3에 의하여 흡수되어, UV 발광 소자(제 1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보라색 파장이 차단되게 된다. 그 결과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자 부분으로 보라색이 새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2 발광 소자 즉,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청색 파장과 황색 파장이 합쳐져 백색광이 발현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중심파장이 약 466nm인 청색 파장과 중심파장이 약 551nm인 황색 파장이 면적 대비로 약 1:1의 비율을 유지할 때 백색이 구현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광필터층의 Bi2O3 는 백색 발광 소자(제 2 발광 소자)의 발광시 청색 파장의 일부를 흡수하게 되고, 그 결과 청색 파장과 황색 파장의 면적 비율이 1:1의 비율에서 벗어나게 한다. 즉,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Bi2O3에 의한 청색 파장의 흡수로 인하여 백색광으로 발현되어야 할 문자 부분이 황색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백색광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광필터층으로서 황색 파장을 흡수하는 블루 칼라 필터층을 채용하였고, 그 결과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루 칼라 필터층에 의한 황색 파장 흡수로 인하여 청색과 황색 파장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황색으로 변색된 문자 부 분이 다시 백색으로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도 8a 및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루 칼라 필터층(제2 광필터층)은 UV 발광 소자(제 1 발광 소자)의 발광시 Bi2O3의 보라색 파장 차단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발명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4: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 형성>
TiO2(8.35g), Bi2O3(33.3g), 투명잉크(10g) 및 사이클로헥산(18g)과 직경1cm, 0.3mm 볼(ball)을 넣고 조성물 혼합(paint shaking)을 4시간 동안 한 다음, 실크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제1 광필터층으로서 TiO2/Bi2O3필름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TiO2/Bi2O3코팅 횟수별로 코팅 2회는 실시예 1, 코팅3회는 실시예 2, 코팅 4회는 실시예 3, 코팅 5회는 실시예 4로 하였다.
<실험예 1 및 비교실험예 1: 제1 광필터층의 보라색 차단 효과>
본 실험예 1에서는 Bi2O3의 보라색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TiO2/Bi2O3필름을 제1 발광 소자 즉, UV 발광 소자(중심 파장: 400nm) 위에 얹어 놓고 UV 발광시 투과되는 빛의 강도를 측정하였다(실험예 1- a 내지 실험예1-d). 이 때 빛의 강도는 오션 옵틱스 USB 100측정기(Ocean Optics USB 100 detect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측정 결과에서 TiO2/Bi2O3필름을 올려 놓지 않은 상태에서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 측정되는 빛의 강도를 비교실험예 1로 표시하였다. 하기의 측정 결과에서 빛 샘 현상은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발생하지 아니한 경우는 X, 미약하게 발생한 경우는 △, 어느 정도 발생한 경우 ○, 상당히 발생한 경우는 ◎으로 표시하였다.
실험번호 샘플번호/ 코팅수 필름 두께 400nm 강도 빛 샘 현상
비교실험예 1 - 3500 -
실험예 1-a 실시예 1 / 2회 15 um 5.4
실험예 1-b 실시예 2 / 3회 23 um 5.0
실험예 1-c 실시예 3 / 4회 35 um 4.6
실험예 1-d 실시예 4 / 5회 40 um 3.0 X
상기 표 1 및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을 사용할 경우, Bi2O3에 의하여 400nm~420nm의 파장이 흡수 차단되고, 그 결과 보라색이 새어 나오는 현상이 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및 비교실험예 2: 백색 발광시 청색 및 황색 파장의 변화 확인>
본 실험예 2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TiO2/Bi2O3필름층(제1 광필터층)을 제2 발광 소자 즉, 백색 발광 소자 위에 얹어 놓고 백색 발광시 투과되는 청색 및 황색 파장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실험예 2-a 내지 실험예2-d),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오션 옵틱스 USB 100측정기 사용). 하기의 측정 결과에서 TiO2/Bi2O3필름을 올려 놓지 않은 상태에서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측정되는 청색 및 황색 빛의 강도를 비교실험예 2로 표시하였다. 또한, 하기의 측정 결과에서 청색/황색의 비율은 각 파장의 피크 높이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번호 샘플번호/ 코팅수 청색 (466nm) 파장 강도 황색 (551nm) 파장 강도 청색/황색 비율 (피크 높이)
비교실험예 2 - 1056.59 526.59 2.01
실험예 2-a 실시예 1 / 2회 134.02 101.02 1.33
실험예 2-b 실시예 2 / 3회 104.01 73.01 1.42
실험예 2-c 실시예 3 / 4회 82.23 77.23 1.06
실험예 2-d 실시예 4 / 5회 47.47 48.47 0.98
상기 표 2 및 도 10에 따르면, Bi2O3를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을 사용할 경우,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Bi2O3에 의하여 청색 파장이 흡수되고, 그 결과 청색/황색의 비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색/황색의 비율이 일정 수준을 벗어나게 되면 백색 발광시 화상 표시 장치에서 백색이 황색으로 변색되게 된다.
<실시예 5~7: 제2 광필터층의 적층>
본 실시예 5 내지 7에서는 실시예 4에 의하여 제조된 제1 광필터층인 TiO2/Bi2O3필름(코팅 5회) 위에 제2 광필터층으로서 블루 칼라 필터층을 각 농도별로 코팅하여 광필터 복합층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블루 칼라 필터층은 투명잉크 12.5g에, 용매 PGMEA(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에 20wt%로 함유된 블루 칼라 필터 (Inorganic=CoAl2O3)를, 블루 칼라 필터층에서의 블루 칼라 필터의 함량(wt%)이 각각 1.5wt%(실시예 5), 2.0wt%( 실시예 6), 9.0 wt% (실시예 7)가 되도록 투명잉크에 첨가한 후 틴키(tinky)로 분산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3 : 제2 광필터층의 백색 구현 효과>
본 실험예 3에서는 제2 광필터층인 블루 칼라 필터층의 백색 구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TiO2/Bi2O3필름층(제1 광필터층)과 블루 칼라 필터층(제2 광필터층)으로 구성된 광필터 복합층을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 위에 얹어 놓고 백색 발광시 투과되는 청색 및 황색 파장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실험예 3-a 내지 실험예3-c),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오션 옵틱스 USB 100측정기 사용).
실험번호 샘플 번호 칼라 필터 wt% (TiO2/Bi2O3 5회 코팅) 청색 (466nm) 파장 강도 황색 (551nm) 파장 강도 청색/황색 비율 (피크 높이)
실험예 2-d 실시예 4 0 47.47 48.47 0.98
실험예 3-a 실시예 5 1.5 44.15 34.15 1.29
실험예 3-b 실시예 6 2.0 40.53 30.53 1.33
실험예 3-c 실시예 7 9.0 34.38 26.38 1.30
상기 표 3 및 도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백색 발광 소자(제2 발광 소자)의 발광시에 블루 칼라 필터층(제2 광필터층)에 의하여 황색 파장이 흡수되고, 그 결과 청색/황색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청색/황색의 비율이 일정 수준으로 회복되어 밸런스를 유지하게 되면 백색 발광시 화상 표시부에서 황색으로 변색되어 발현된 것이 다시 백색으로 돌아오게 된다. 통상 청색과 황색 파장의 면적 비율이 1:1인 경우 백색이 구현되는데, 청색과 황색 파장의 피크 높이 비율로 따졌을 때 약 1.3 정도의 비율이면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백색으로 보이고 이상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4 : 제2 광필터층의 보라색 차단 효과에 대한 영향>
본 실험예 4에서는 제2 광필터층인 블루 칼라 필터층이 UV 발광 소자(제1 발광 소자)의 발광시 보라색 차단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5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TiO2/Bi2O3필름층(제1 광필터층)과 블루 칼라 필터층(제2 광필터층)으로 구성된 광필터 복합층을 UV 발광 소자 위에 얹어 놓고 UV 발광시 투과되는 빛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실험예 4-a 내지 실험예 4-c),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다(오션 옵틱스 USB 100측정기 사용).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광필터층 즉, 블루 칼라 필터층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Bi2O3을 포함하는 제1 광필터층의 보라색 차단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블루 칼라 필터층은 Bi2O3의 보라색 차단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 시 장치는, Bi2O3과 같은 보라색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제1 광필터층을 채용함으로써, 제1 발광 소자 즉, UV 발광 소자의 발광시 화상 표시부의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보라색이 새어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고, 블루 칼라 필터층과 같은 제2 광필터층을 채용함으로써, 제2 발광 소자 즉, 백색 발광 소자의 발광시 화상 표시 장치 내의 다른 물질에 의한 광원의 간섭으로 청색/황색 파장의 비율이 변화하여 원래 백색으로 발현되어야 하는 화상 표시부의 특정 영역이 다른 색으로 변질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는, 블루 칼라 필터층과 같은 제2 광필터층이 제1 광필터층의 보라색 차단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발광 소자인 UV 발광 소자와 제2 발광 소자인 백색 발광 소자 등 복수의 발광 소자의 사용으로 숫자와 문자를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으면서, 보라색 샘 현상의 차단 효과와 백색광 유지 효과가 우수한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2이상의 복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장치의 화상 표시부의 원하지 않는 영역에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이 새는 것을 차단하는 제1 광필터층과,
    화상 표시부의 원하는 영역에서 백색광이 발현되도록 조절하는 제2 광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후부(tail)를 가지는 파장을 출사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필터층은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필터층은 칼라 필터층이고, 제1 광필터층 위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필터층은 블루 칼라 필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필터층은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로서, Co3O4, ZrO2, Al2O3, Fe2O3, Bi2O3, ZnO, SnO2, In2O3, Sb2O3, V2O5, Cr2O3, CuO, MnO, NiO, Ce2O3, B2O3, Ta2O3, WO3 , TiO2 및 Yb2O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파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반응 또는 무반응하여, 광을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 발현 광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발현 광필터층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에 반응하여 각각의 색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에 반응하지 아니하여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10.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2이상의 복수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이 진행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마련되어 숫자입력판 및 문자입력판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키버튼과, 상기 도광판에 마련되어 광을 상기 키버튼쪽으로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패턴과, 상기 단수의 반사패턴의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돌기와, 상기 다수의 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기판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의 숫자입력판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생성되는 광의 파장의 크기에 따라서 반응 또는 무반응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색상 발현 광필터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키버튼의 문자입력판의 하부에는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이 새는 것을 차단하는 제1 광필터층과, 백색광이 발현되도록 조절하는 제2 광필터층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후부(tail)를 가지는 파장을 출사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필터층은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필터층은 칼라 필터층이고, 제1 광필터층 위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광원이 중심파장 466nm의 청색 파장과 중심파장 551nm의 황색 파장을 합쳐 백색광을 발광하는 경우,
    상기 제2 광필터층은 블루 칼라 필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15.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필터층은 380nm 내지 450nm 범위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무기 물 입자로서, Co3O4, ZrO2, Al2O3, Fe2O3, Bi2O3, ZnO, SnO2, In2O3, Sb2O3, V2O5, Cr2O3, CuO, MnO, NiO, Ce2O3, B2O3, Ta2O3, WO3 , TiO2 및 Yb2O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발현 광필터층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에 반응하여 각각의 색들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에 반응하지 아니하여 백색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0004261A 2007-01-15 2007-01-15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KR10078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61A KR100785923B1 (ko) 2007-01-15 2007-01-15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US11/939,128 US8026878B2 (en) 2007-01-15 2007-11-13 Image display device with plural light emitting diodes
JP2008003564A JP2008171002A (ja) 2007-01-15 2008-01-10 画像表示装置
US13/190,750 US8269123B2 (en) 2007-01-15 2011-07-26 Image display device with plural light emitting di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61A KR100785923B1 (ko) 2007-01-15 2007-01-15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923B1 true KR100785923B1 (ko) 2007-12-17

Family

ID=3914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261A KR100785923B1 (ko) 2007-01-15 2007-01-15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026878B2 (ko)
JP (1) JP2008171002A (ko)
KR (1) KR100785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778A (ko) * 2019-02-15 2020-08-25 김동희 장식용 블루라이트 저감 led 조명장치
US10816845B2 (en) 2018-11-21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23B1 (ko) * 2007-01-15 2007-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US20100137033A1 (en) * 2008-11-28 2010-06-03 Elan Microelectronics Corp. Illuminated Touch Sensitive Surface Module
KR101056438B1 (ko) * 2008-12-05 2011-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학 필터
US8405115B2 (en) * 2009-01-28 2013-03-26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Light sensor using wafer-level packaging
US8138687B2 (en) * 2009-06-30 2012-03-20 Apple Inc. Multicolor lighting system
GB201117480D0 (en) 2011-10-10 2011-11-23 Palikaras George Filter
KR101602285B1 (ko) * 2014-02-28 2016-03-1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인쇄필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조명 스위치
TWM525231U (zh) * 2015-11-05 2016-07-11 Quan Mei Technology Co Ltd 用於光固化性顏料之紫外光固化機
US10600213B2 (en) * 2016-02-27 2020-03-24 Focal Shar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preserving spectrum resha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780Y1 (ko) 2001-09-28 2002-01-17 선경훈 이엘 소자를 이용한 점멸 광고게시판.
KR20050012317A (ko) * 2003-07-25 2005-02-02 광주과학기술원 백라이트와 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60051626A (ko) * 2004-09-24 2006-05-19 에피스타 코포레이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038A (ja) * 1998-04-22 2000-05-26 Denso Corp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US6697039B1 (en) * 1999-02-24 2004-02-24 Minolta Co., Ltd.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US7333072B2 (en) * 2003-03-24 2008-02-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hin film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0773558B1 (ko) * 2006-10-11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100785923B1 (ko) * 2007-01-15 2007-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780Y1 (ko) 2001-09-28 2002-01-17 선경훈 이엘 소자를 이용한 점멸 광고게시판.
KR20050012317A (ko) * 2003-07-25 2005-02-02 광주과학기술원 백라이트와 이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60051626A (ko) * 2004-09-24 2006-05-19 에피스타 코포레이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6845B2 (en) 2018-11-21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200099778A (ko) * 2019-02-15 2020-08-25 김동희 장식용 블루라이트 저감 led 조명장치
KR102150788B1 (ko) 2019-02-15 2020-09-01 김동희 장식용 블루라이트 저감 led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69123B2 (en) 2012-09-18
US20080170039A1 (en) 2008-07-17
JP2008171002A (ja) 2008-07-24
US8026878B2 (en) 2011-09-27
US20110279378A1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23B1 (ko)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가진 화상 표시 장치
CN106526962B (zh) 光转换膜片、其制备方法及显示设备
KR101329143B1 (ko)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 재료
US20180233632A1 (en) Solid-state light emitting devices and signage with photoluminescence wavelength conversion and photoluminescent compositions therefor
KR100773558B1 (ko) 전자기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US20060284532A1 (en) Color display unit
US20200098952A1 (en) Full-color led display panel
CN1476280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20060053838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9187925A (ja) 導光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可動接点体
US7595585B2 (en) Color conversion and optical enhancement layers for electroluminescent displays
CN209343095U (zh) 一种用于led液晶显示器的背光模组结构
US20140226312A1 (en) Light unit and a lc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light unit
CN114023796A (zh) 显示面板
JP5010639B2 (ja) 積層着色層からなる透過領域を備えた発光表示装置
JP6163736B2 (ja)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510979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
JP3979070B2 (ja)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2837612A (zh) 一种扩散板及其制作方法
CN211528862U (zh) 彩色滤光片及液晶显示装置
JP2006269227A (ja) 多色発光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2525379B1 (en) Quantum dots in electronic device exterior surface
CN110873978A (zh) 彩色滤光片及液晶显示装置
JPH11233265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CN116093235A (zh) 一种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