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322B1 -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22B1
KR100785322B1 KR1020060084804A KR20060084804A KR100785322B1 KR 100785322 B1 KR100785322 B1 KR 100785322B1 KR 1020060084804 A KR1020060084804 A KR 1020060084804A KR 20060084804 A KR20060084804 A KR 20060084804A KR 100785322 B1 KR100785322 B1 KR 100785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er case
inner case
cas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연식
양찬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강
Priority to KR102006008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벽체에 매설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이음관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이음관 파손시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된 벽체 매립상자가 개시된다. 벽체 매립상자는 일면에 상기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된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이음관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가 맞물리는 부위에 상기 이음관에 체결되는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홈이,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파이프와 이음관을 먼저 조립한 후 내측 케이스에 위치시키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파이프와 이음관을 케이스 내에서 연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작업이 종래에 비해서 훨씬 간편하여 시공 공기를 월등히 줄일 수 있다.
벽체 매립 상자

Description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BOX BURIED IN WALL AND PIPE JOIN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벽체 매립 상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벽체 매립 상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8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파이프 이음관 시공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도 1의 벽체 매립 상자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파이프 60: 파이프 이음관
100: 외측 케이스 101: 수용부
110: 전면부 111: 수리공
112: 지지턱 120: 개폐 커버
130: 외측 케이스 측면부 150, 250: 파이프 관통홈
151, 251: 밀폐부 200: 내측 케이스
220: 후면부 221: 나사 결합부
230: 내측케이스 측면부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설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이음관을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파이프 이음관을 둘러싸는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APT나 주택 등의 세대 내 배관은 원수관이 계량기를 통과한 후 물이 사용되는 수전금구(수도꼭지) 위치까지 배관된다. 이들 배관은 건축물의 내력을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벽 속에, 특히 화장실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벽 이후의 보온재, 벽돌조적, 몰타르, 타이루 마감 등의 건축마감으로 두꺼워진 벽 속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배관을 세대 내의 화장실, 세탁기, 씽크대 등 여러 위치에 분산된 수전금구들과 배관하려면 계량기를 통과한 관이 어느 위치에서 이음관(L 또는 T형 관)에 의해 여러번 분기하여야 한다. 관에 비해 이러한 이금관은 관접속구의 품질이나 이물질 투입 또는 관과 접속구의 시공 등의 부실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근래에 관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플라스틱 관을 사용하여 관의 지름보다 큰 주름관(CD관)내에 관을 내장하여 거푸집 내 철근 시공시기에 함께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측에 매립하는 이중관배관공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음관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마감된 벽을 해체하여 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공사가 번거러우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이 특허출원 제2005-0026767호(이하, '종래발명'이라 부릅니다.) 등에 개시되었다. 도 1은 특허출원 제2005-0026767호의 도면 1을 도시한 것으로써, 이음부(11, 12)를 수납하는 매립상자(1)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11, 112)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외부로 드러나 있는 개폐커버(2)를 열어서 이음부(11, 12)를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벽을 해체하는 등의 번거러운 작업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발명에 따른 매립상자(1)를 이용해서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파이프를 관출입구(3)를 통해서 삽입한 후, 매립상자(1)의 내에서 파이프들을 이음부(11, 12)와 연결하여야 한다.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으로써, 파이프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추거나, 파이프를 좁은 매립상자(1) 내에서 절단하여야 하며, 이음부(11, 12)에 파이프를 좁은 공간내에 결합하여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시 관출입구(3)를 통해서 콘크리트가 매립상자(1)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주름관 체결체(4)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벽체 매립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콘크리트가 매립상자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 매립상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설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이음관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이음관 파손시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된 벽체 매립상자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된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와 마주보고 결합하여 상기 이음관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가 맞물리는 부위에 상기 이음관에 체결되는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홈이,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를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는 서로 맞물리는 부위에서 겹쳐지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 간에 긴밀하게 밀폐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이음관 수용부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관통홈은,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가 결합되었을 때,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이프 관통홈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홈은 다수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에 결합한 밀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외측 케이스 혹은 상기 내측 케이스에, 상기 외측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케이스의 내구성보다 약하게 결합된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밀폐부를 일부 제거할 수 있어, 파이프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에는 나사가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다른 부위보다 약하게 형성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나사, 못 등으로 결합 시 후면부의 다른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는 외주가 주름져 있고, 상기 파이프 관통홈은 상기 파이프의 주름의 골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주름관일 경우에도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벽체 매립상자를 이용하여 파이프 이음관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내측 케이스를 콘크리트 골조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을 상기 내측 케이스에 위치시키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관통홈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측 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와,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의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벽체 매립 상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벽체 매립상자는 개폐부가 형성된 외측 케이스(100)와, 외측 케이스(100)와 마주보고 결합하는 내측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벽체에 매설되는 파이프(50)를 연결하는 파이프 이음관(60)은 외측 케이스(100)와 내측케이스(200)에 의해 형성되는 이음관 수용부(101)에 수용된다.
파이프(50)는 통상 주관(51)과 이를 감싸는 주름관(52)으로 형성된다. 이음관(60)은 파이프(50)의 주관(51)이 다수 결합하여 서로 물이 유통되도록 한다.
외측 케이스(100)는 외부에 드러나며 일부에 개폐부가 형성된 전면부(110)와, 전면부(110)의 외주를 따라서 세워져 형성된 외측 케이스 측면부(130)로 구성되며, 전면부(110)와 마주보는 면(140)은 개방되어 있다.
개폐부는 외측 케이스에 개방되어 형성된 수리공(111)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120)로 형성된다. 개폐커버(120)는 외측 케이스의 전면부(110)에 형성된 지지턱(112)에 안착되며, 지지턱(112)에 나사 결합한다. 이러한 개폐부는 시공 후에도 외부에 드러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공 후 유지보수시 개폐커버(120)를 분리하여 이음관(60)을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하도록 한다.
내측 케이스와 결합시 외측 케이스 측면부(130)의 내측 케이스를 향하는 외측케이스 테두리부(131)는 내측 케이스(200)와 겹쳐져 결합되도록 단이져 형성된다. 즉, 외측케이스 테두리부(131)의 내면이 단이져 형성된다. 또한, 외측케이스 테두리부(131)에는 이음관(60)에 체결되는 파이프(50)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홈(150)이 형성된다.
관통홈(150)은 다수가 형성되며, 관통홈(150)을 임시로 밀폐하도록 밀폐부(151)가 결합된다. 밀폐부(151)는 단면에서 알 수 있듯이 외측 케이스의 내구성 보다 약하게 결합된다. 즉, 밀폐부(151)와 외측 케이스(100)의 경계부의 두께가 외측 케이스(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외에도 밀폐부(151)와 외측 케이스(100)의 경계부가 일부에서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밀폐부(151)를 제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파이프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관통홈(150)은 밀폐부로 밀폐되어 추후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이음관 수용부(101)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케이스 테두리부(131)에는 내측 케이스(20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152)이 다수 관통되어 형성된다.
내측 케이스(200)는 화장실 등의 벽측으로 매설되는 부분으로써, 외측 케이스(100)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이음관(60)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 수용부(101)를 형성한다. 내측 케이스(200)는 외측 케이스와 결합시 외측 케이스(100)의 전면부(110)와 마주보는 후면부(220)와, 후면부(220)의 외주를 따라서 세워져 형성된 내측 케이스 측면부(230)로 구성된다. 내측 케이스 측면부(230)는 외측 케이스 측면부(130)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이음관(60)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 수용부(101)를 형성한다.
외측 케이스와 결합시 내측 케이스 측면부(230)의 외측 케이스를 향하는 내측케이스 테두리부(231)는 외측 케이스(100)와 겹쳐져 결합하도록 단이져 형성된다. 즉, 내측케이스 테두리부(231)의 외면이 단이져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케이스 테두리부(131)와 내측케이스 테두리부(231)이 서로 맞물려 더욱 견고하게 밀폐하게 된다.
또한, 내측케이스 테두리부(231)에는 이음관(60)에 체결되는 파이프(50)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홈(250)이 다수 형성된다. 외측 케이스 관통홈(150)과 내측 케이스 관통홈(250)은 서로 맞물렸을 때 원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관통홈(150, 250)이 끝단(131, 231)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며, 끝단(131, 231)을 벗어난 부분에서 반원으로 형성되어, 외측 케이스(100)와 내측 케이스(200)가 결합하였을 때, 관통홈(150, 250)이 형성하는 모양이 원형이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케이스(200) 및 외측 케이스(100)가 결합하였을 때, 파이프(5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52)의 골(52a)의 외경과 일치하는 것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이음관 수용부(101)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케이스(200)의 관통홈(250)은 다수가 형성되며, 관통홈(250)을 임시로 밀폐하도록 밀폐부(251)가 결합한다. 밀폐부(251)는 단면에서 알 수 있듯이 내측 케이스의 내구성 보다 약하게 결합한다. 즉, 밀폐부(251)와 내측 케이스(200)의 경계부의 두께가 내측 케이스(2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외에도 밀폐부(251)와 내측 케이스(200)의 경계부가 일부에서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밀폐부(251)를 제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파이프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관통홈(250)은 밀폐부로 밀폐되어 추후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이음관 수용부(101)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케이스 테두리부(231)에는 결합홈(152)과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25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252)와 결합홈(152)은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즉, 결합돌기(252)가 탄성적으로 결합홈(152)에 끼워질 수 있어, 단순히 외측 케이스(100)를 내측 케이스(200)에 밀어넣어 결합할 수 있다.
내측 케이스(200)의 후면부(220)에는 나사가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다른 부위보다 약하게 형성된 나사 결합부(221)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시공시 나사 결합부(221)를 통해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철골 혹은 거푸집에 나사 결합을 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 결합부(221)가 약하게 형성되어, 이 부위를 통해서 나사, 스크루, 못 등이 충격을 주어도 후면부(220)가 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벽체 매립상자를 이용하여 파이프 이음관을 시공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6 내지 도 8은 파이프 이음관 시공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벽체 매립상자를 이용하여 파이프 이음관을 시공하는 방법은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를 연결하는 단계(도 6)와, 내측 케이스(200)를 콘크리트 골조에 고정하는 단계(도 7)와, 파이프(50)와 이음관(60)을 내측 케이스(200)에 위치시키며 파이프(50)를 관통홈(250)에 위치시킨 후 외측 케이스(100)를 결합하는 단계(도 7, 도8)와, 파이프(50)와 내측 케이스(200) 및 외측 케이스(100)의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미도시)로 구성된다.
내측 케이스(200)를 콘크리트 골조에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내측 케이스(200)와 거푸집 등을 나사결합을 한다. 이때, 후면부(220)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221)를 통해서 나사 결합을 한다. 따라서, 나사 결합시 후면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50)와 이음관(60)을 내측 케이스(200)에 위치시키는 단계에서는 도 7과 같이, 결합된 이음관(60)을 이음관 수용부(101)에 위치시키고, 주름관(51)의 골이 파이프 관통홈(250)에 끼워지도록 한다.
외측 케이스(100)를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외측 케이스(200)의 파이프 관통홈(250)이 주름관(51)의 홈에 끼워지도록 내측 케이스(200)를 향해 밀어 넣는다. 이때, 결합돌기(252)와 결합홈(152)이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여, 외측 케이스(100)와 내측 케이스(200)를 결합한다.
그 다음, 내측 케이스(200) 및 외측 케이스(100)의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이음관(60)에 하자가 있어 수리할 때에는 도 9와 같이 커버(120)를 제거한 후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 매립상자를 이용하여 파이프 이음관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파이프(50)와 이음관(60)을 먼저 조립한 후 내측 케이스(200)에 위치시키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파이프(50)와 이음관(60)을 케이스 내에서 연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이 종래에 비해서 훨씬 간편하여 시공 공기를 월등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주름관의 골이 파이프 관통홈에 끼워지므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가 이음관 수용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밀폐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매립상자를 이용하여 파이프 이음관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와 이음관을 먼저 조립한 후 내측 케이스에 위치시키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파이프와 이음관을 케이스 내에서 연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이 종래에 비해서 훨씬 간편하여 시공 공기를 월등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주름관의 홈이 파이프 관통홈에 끼워지므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가 이음관 수용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밀폐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2)

  1. 벽체에 매설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이음관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이음관 파손시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된 벽체 매립상자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된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와 마주보고 결합하여 상기 이음관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측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가 맞물리는 부위에 상기 이음관에 체결되는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홈이,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는 서로 맞물리는 부위에서 겹쳐지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관통홈은,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가 결합하였을 때, 파이프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4. 벽체에 매설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관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이음관 파손시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된 벽체 매립상자에 있어서,
    외부에 드러나며 일부에 상기 개폐부가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외주를 따라서 세워져 형성된 외측 케이스 측면부를 포함하는 외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와 결합시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면부와 마주보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외주를 따라서 세워져 형성되며 상기 외측 케이스 측면부와 마주보고 결합하여 상기 이음관을 수용할 수 있는 이음관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측케이스 측면부를 포함하는 내측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내측 케이스 측면부의 상기 외측 케이스를 향하는 내측 케이스 테두리부, 혹은 상기 외측 케이스 측면부의 상기 내측 케이스를 향하는 외측 케이스 테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이음관에 체결되는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스 측면부 및 상기 내측 케이스 측면부는 서로 겹쳐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관통홈은 상기 외측 케이스 측면부 및 상기 내측 케이스 측면부에 각각 요입되며,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파이프 관통홈의 내주가 상기 파이프의 외주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다수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에 결합된 밀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외측 케이스 혹은 상기 내측 케이스에, 상기 외측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케이스의 내구성보다 약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나사가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강도가 다른 부위보다 약하게 형성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측 케이스에 개방되어 형성된 수리공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측 케이스에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11.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외주가 주름져 있고,
    상기 파이프 관통홈은 상기 파이프의 주름의 골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상자.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벽체 매립상자를 이용하여 파이프 이음관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내측 케이스를 콘크리트 골조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와 상기 이음관을 상기 내측 케이스에 위치시키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관통홈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측 케이스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와, 상기 내측 케이스 및 상기 외측 케이스의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1020060084804A 2006-09-04 2006-09-04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10078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804A KR100785322B1 (ko) 2006-09-04 2006-09-04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804A KR100785322B1 (ko) 2006-09-04 2006-09-04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322B1 true KR100785322B1 (ko) 2007-12-17

Family

ID=3914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804A KR100785322B1 (ko) 2006-09-04 2006-09-04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3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34Y1 (ko) 2005-06-29 2005-09-07 주식회사 애강 양구형 헤더가 내장된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200405423Y1 (ko) 2005-10-13 2006-01-10 주식회사 동명 유체 분배기함
KR20060021800A (ko) * 2005-03-30 2006-03-08 강철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KR200415779Y1 (ko) 2006-02-06 2006-05-08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800A (ko) * 2005-03-30 2006-03-08 강철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KR200395234Y1 (ko) 2005-06-29 2005-09-07 주식회사 애강 양구형 헤더가 내장된 냉,온수용 분배기박스
KR200405423Y1 (ko) 2005-10-13 2006-01-10 주식회사 동명 유체 분배기함
KR200415779Y1 (ko) 2006-02-06 2006-05-08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0417925Y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090098345A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결합용 수압/고정플러그와마감보호부재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77990B1 (ko) 벽체 매립 상자
JP4537689B2 (ja) コンクリート埋設用配管配置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埋設配管の施工方法
KR100785322B1 (ko)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20080076279A (ko)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100742352B1 (ko) 급수 분배기함 및 이를 이용한 급수 배관방법
KR1008864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20060122361A (ko) 관로 비굴착 몰탈 주입공법
KR100998868B1 (ko) 공동구용 암거
US11466455B2 (en) Building block
KR100780798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080076287A (ko) 벽체 매립 상자
KR100732938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및 이중관 시공방법
KR100732939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44865Y1 (ko)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20080042327A (ko) 슬리브 분리형 바닥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1362259B1 (ko) 내부결속 구조를 갖는 조립식 벽체블록
KR20210001184A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421792Y1 (ko) 매립형 배관 점검함
JP2008274620A (ja) さや管
KR200435127Y1 (ko) 벽체 매립형 배관 점검함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JP4785591B2 (ja) 壁貫通給湯配管用スリー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