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800A -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 Google Patents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800A
KR20060021800A KR1020050026767A KR20050026767A KR20060021800A KR 20060021800 A KR20060021800 A KR 20060021800A KR 1020050026767 A KR1020050026767 A KR 1020050026767A KR 20050026767 A KR20050026767 A KR 20050026767A KR 20060021800 A KR20060021800 A KR 2006002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ll
embedded
box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102005002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800A/ko
Publication of KR2006002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의 배관을 단순화하고, 배관에 의한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벽을 해체하지 않고 보수·수전하도록 구성하는 함을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을 제안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름관내에 관을 내장하여 콘크리트벽에 매립시공하는 이중관 배관공법에 의해 화장실벽에 매립되는 매립상자와 이음관에 있어서,
전방이 고정공(5a)를 가진 개구부로 되어 양편 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주름관(52)이 체결하는 다수개의 주름관체결체(4)를 가진후, 내측에서 벽을 관통한 관출입구(3)를 형성한 매립상자(1)에,
본관체(13a)의 양끝단에서 냉수입구접속구(14)와 냉수출구접속구(15)를 가진후, 곡형관체(17a)로 이어져서 제2냉수출구접속구(16)가 냉수출구접속구(15)와 같은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고, 전방향으로 돌출하여 수전금구의 체결구와 연결하는 나사를 가진 수전체결구체(18)가 있으며, 후방에 고정체(22a)를 가진 일입삼출이음관(12)과,
본관체(13b)에 양끝단에서 온수입구접속구(19)와 온수출구접속구(21)를 가진후, 곡형관체(17b)로 이어져서 제2온수출구접속구(20)가 온수출구접속구(21)와 같은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고, 후방에 고정체(22b)를 가진 일입이출이음관(11)이,
상기 매립상자(1) 후방 내벽에 상하로 분리하여 냉수입구접속구(14)와 온수 입구접속구(19)가 같은 방향으로 되어서 나란히 고정체(22a,b)에 고정수단(23)으로 설치된후, 벽(59)에 매립되고,
매립상자(1)의 개구부에 수전체결구체(18) 선단과 일치하는 위치에 소켓구(7)를 가진 개폐커버(2)가 고정공(5a,b)에 의해 고정부재(6)로 체결하여 형성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이다.
수전함, 이음관, 화장실, 이중배관

Description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Joint Inner-Box for Wall-Set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결합 일부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입삼출이음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입이출이음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벽에 매립된 매립커버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매립상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매립상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매립상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매립상자와 중간덮개, 개폐커버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매립상자와 중간덮개, 개폐커버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매립상자 2:개폐커버
3:관출입구 4:주름관체결체
5a,b,c:고정공 6:고정부재
7:소켓구
11:일입이출이음관 12:일입삼출이음관
13a,b:본관체 14:냉수입구접속구
15:냉수출구접속구 16:제2냉수출구접속구
17a,b:곡형관체 18:수전체결구체
19:온수입구접속구 20:제2온수출구접속구
21:온수출구접속구 22a,b:고정체
23:고정수단
41:거푸집고정체 42:다리발고정대
43:칸막이 44:중간덮개
45:개구면 46:결합수단
51:관 52:주름관
54:냉수급수헤더
55:온수급수헤더 56:소켓이음관
57:이음관커버 58:주름관고정체
59:벽
APT나 주택 등의 세대 내 위생배관은 원수관이 계량기를 통과한 후 물이 사용되는 수전금구(수도꼭지) 위치까지 관이 배관하여, 건축물이 보가 되는 내력을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벽 속이나 특히 화장실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벽 이후에 보온재 사용유무, 벽돌조적, 몰타르, 끝으로 타이루 마감 등에 의한 건축마감으로 두꺼워진 벽 속에 수전이음관(소켓이음관, 관이음쇠)가 미리 설치하여 수전이음관 선단이 벽면과 일치하고 있어야 수전금구(수도꼭지)의 나사와 결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배관을 세대 내의 화장실, 세탁기, 씽크대 등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수전금구들과 배관하려면 계량기를 통과한 관이 어느 위치에서 관이음쇠(L 또는 T형 관이음쇠)에 의해 여러번 분기하여 가지관을 만들어 가지관이 분산하고 있는 수전이음관들이 배관하지만, 이때 관과 배관토록 사용되는 관이음쇠는 관접속구의 품질이나 이물질 투입 또는 관과 접속구의 시공 등의 부실로 누수가 발생할 수가 있는데, 접속구가 많을수록 하자요인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근래 세대 내에서는 중간에 관이음쇠 없이 관이 하나로 이어지고 관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플라스틱 관을 사용하여 관의 지름보다 큰 주름관(CD관)내에 관을 내장하여, 일측의 관은 물을 분배하는 급수헤더 에까지 다른 일측의 관은 수전이음관이 설치하는 위치까지가 되도록 거푸집 내 철근 시공시기에 함께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측에 매립하는 이중관배관공법을 시행하고 있다.
더욱 실용신안공보 20-0273548(등록일자 2002.4.15)은 관의 파손이나 관이 접속된 수전이음관과 급수헤더의 접합부에서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마감된 벽을 해체하지 않고 보수시공을 간편하게 하는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를 제안한 것으로, 여기서 특히 화장실에는 냉수의 양변기와 냉 온수 겸용 세면기, 샤워기가 한정된 공간에서 집중하여 설치되고, 이에따라 5개의 분기된 관이 소요되는데, 이것은 급수헤더의 분배구 개소와 주름관, 관의 소요량과 이들을 설치하는 품셈과 건축공기 등과 관계를 가질 수 밖에 없고,
이에 수전용함 벽체 매립구조(등록번호20-0277745, 등록일자2002.5.27), 벽체 매립형 수전함(등록번호20-0304846, 등록일자2003.2.6),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등록번호20-0283808, 등록일자2002.7.18)에서는 화장실내에서 양변기, 세면기, 샤워기용 수전이음쇠를 내장한 수전함을 각각 벽체에 매립하고, 일측의 수전함에서 관을 분기하여 차례로 다른측의 수전함에 연결배관하는 공법으로, 상기의 수전함 3개를 화장실 벽체에 매립 설치하는 공정과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공정 등으로 구성과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중관 배관에서 화장실내 배관을 단순 생략화하는 공법으로 배관하도록 구성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을 제공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결합 일부 절개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관(51)의 이음관이 내장하는 매립상자(1)와 매립상자(1)의 전방 개구부를 덮는 개폐커버(2)로 되었는데, 매립상자(1)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양편 측벽을 관통하여 관(51)이 삽입하도록 다수개의 관출입구(3)를 가지고, 관(51)을 내주 공간에 끼워 함께 배관된 주름관(52)이 체결 고정하도록 관출입구(3) 지름외주에 매립상자(1) 양편 측벽 바깥에서 돌기된 주름관체결체(4)가 구비하고, 개폐커버(2)가 개구부를 덮어서 고정하도록 고정공(5a)을 구비한 구조로 되었고, 개페커버(2)에도 매립상자(1)와 결합하였을 때 고정공(5a)과 대칭한 위치에 고정공(5b)을 가져서 고정공(5a,b)들에 나사 등의 고정부재(6)로 체결하면 매립상자(1)에 개폐커버(2)가 결합하게 된다.
또한 개폐커버(2)의 면에는 양변기와 연결된 앵글밸브의 나사관이 끼워지는 정해진 위치에 소켓구(7)가 구비하여진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매립상자(1)에 내장하는 이음관은 냉수용의 일입삼출이음관(12)과 온수용의 일입이출이음관(11)으로 구성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일입삼출이음관(12)은 관(51)이 접합 배관하도록 본관체(13a)의 양끝단에서 각각이 냉수입구접속구(14)와 냉수출구접속구(15)를 구비한 후, 본관체(13a)에 곡형관체(17)로 이어져서 곡형관체(17a)의 끝단에 제2냉수출구접속구(16)가 냉수출구접속구(15)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병렬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며, 다시 본관 체(13a)에는 전방향으로 돌출하여 내주에 나사를 가진 수전체결구체(18)가 있고 일입삼출이음관(12)이 고정할 수 있도록 본관체(13a)의 후방에는 고정체(22a)를 가진 구조로 되었으며, 도 4와 같이 온수용의 일입이출이음관(11)은 본관체(13b)의 양끝단에서 각각이 온수입구접속구(19)와 온수출구접속구(21)를 구비한 후, 본관체(13b)에 곡형관체(17b)로 이어져서 곡형관체(17b)의 끝단에 제2온수출구접속구(20)가 온수출구접속구(21)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병렬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일입이출이음관(11)이 고정할 수 있도록 본관체(13b)의 후방에는 고정체(22b)를 가진 구조로 되었다.
상기와 같은 일입삼출이음관(12)과 일입이출이음관(11)은 매립상자(1) 내에서 상·하로 분리하여 냉수입구접속구(14)와 온수입구접속구(19)가 같은 방향으로 하고, 나란히 매립상자(1)의 후방벽에 일입삼출이음관(12)과 일입이출이음관(11)의 고정체(22a,b)에 의해 못, 나사, 리벳 등의 기계적 장치의 고정수단(23)으로 고정 설치하는데, 시공의 편리에 따라 일입삼출이음관(12)을 상측에, 일입이출이음관(11)을 하측에 고정하거나 위치를 바꾸어 반대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을 도 5와 같은 배관도에 의해 설명하면 냉수급수헤더(54)에서 이어진 주름관(52)과 내주에 끼워진 관(51)은 매립상자(1)에 고정한 일입삼출이음관(12)의 냉수입구접속구(14)가 향한 방향에 매립상자(1) 측면벽에 미리 마련된 주름관체결체(4)에는 주름관(52)이 체결하고, 관(51)은 관출입구(3)를 통과하여 냉수입구접속구(14)와 체결배관하며,
온수급수헤더(55)의 주름관(52)과 관(51)도 같은 방법으로 하여 일입이출이 음관(11)의 온수입구접속구(19)에 배관을 하게된다. 여기서 화장실은 위생도기의 배열이 벽(59)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시작하여 양변기-세면기-샤워기의 순서로 하고 벽면의 측벽에 나열하여 설치하는데, 이에따라 수전금구와 체결하는 소켓이음관(56)들도 벽속에 나열하여 배치 설치하게 되므로, 일입삼출이음관(12)의 냉수출구접속구(15)와 제2냉수출구접속구(16)에 다시 관(51)이 접합하여 관출입구(3)를 지나 각각이 선택하여 하나는 세면기의 수전금구 중 냉수를 사용하는 수전금구의 체결구와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소켓이음관(56)에 다른 하나는 샤워기의 수전금구 중 냉수가 사용되는 소켓이음관(56)과 배관하여 냉수급수헤더(54)에서 이어진 관(51)이 배관의 끝인 소켓이음관(56)까지 연결하는데, 이때 배관중 하자가 발생할 때 벽(59)을 해체하지 않고 보수수선을 하도록 소켓이음관(56)은 이음관커버(57)내에 고정장치하여 부착, 탈착이 가능한 구성이고, 이음관커버(57)의 후미에 주름관(52)이 체결하는 주름관고정체(5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냉수출구접속구(15)와 제2냉수접속구에 연결한 관(51)의 외주에 주름관(52)이 끼워져 일측은 매립상자(1)의 주름관체결체(4)에, 다른 일측은 이음관커버(57)의 주름관고정체(58)에 체결하므로 주름관(52)내 관(51)은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온수용의 일입이출이음관(11)도 온수출구접속구(21)와 제2온수출구접속구(20)에 관(51)이 배관하여 냉수배관과 같이 각각 세면기와 샤워기의 온수용 소켓이음관(56)과 배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립상자(1)에서 일입이출이음관(11)과 일입삼출이음관(12)에 의해 배관된 관(51)과 주름관(52)을 체결한 매립상자(1)는 콘크리트의 벽(59)이나 조적으로 된 벽(59)에 도 6과 같이 매립상자(1) 선단이 벽면과 일치하도록 벽속에 고정하게 되고, 건축공사가 끝난 다음 매립상자(1) 개구부를 개폐커버(2)로 막아서 고정공(5)에 고정부재(6)로 체결하면 개폐커버(2)의 소켓구(7)와 맞닿는 위치에 일입삼출이음관(12)의 수전체결구체(18)가 선단이 위치하여 양변기와 연결되는 부속인 앵글밸브의 나사관이 수전체결구체(18)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화장실이 배관되더라도 관(51)과 결합부에 의해 하자가 발생하면 개폐커버(2)를 매립상자(1)에서 분리한후 소켓이음관(56)과 이음관(11,12)간이 하자인 경우 먼저 이음관들의 접속구에서 관(51)을 해체하고, 이음관커버(57)에서 소켓이음관(56)을 분리하여 외부로 잡아당겨 탈착시켜 소켓이음관(56)에 접속된 관(51)도 함께 외부로 꺼내어 보수 수선하여 다시 조립 배관할 수 있고, 급수헤더(54,55)와 이음관(11,12)간이 하자인 경우 급수헤더와 접속구에서 관(51)을 해체하여 주름관(52)을 통해 외부로 인출한 후 보수 수선하여 재조립하게 된다.
도 7은 콘크리트의 벽(59) 속에 매립상자(1)가 매립할 때 못 등을 사용하여 거푸집에 고정하기 쉽게 매립상자(1)에 거푸집고정체(41)를 형성시킨 매립상자(1)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조적의 벽(59)에 매립상자(1)가 매립할 때 조적의 벽(59) 두께에 따라 콘크리트 벽(59)에 매립상자(1)를 고정할 때 매립상자(1)의 후방에 다리발고정대(42)를 가진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통상 매립상자(1)내에 관(51)이나 이음관(11,12)에는 결로나 동파방지를 위 해 보온을 하고 있지만, 도 9는 매립상자(1)에서 상하로 나뉘어져 설치한 일입삼출이음관(12)과 일입이출이음관(11)이 서로 열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자 보온성능을 가진 칸막이(43)를 설치하기도 하며, 도 10은 화장실 벽면 마감 후 매립상자(1)의 외주와 건축마감벽 사이가 매끄럽지 못한 마감이 되는 경우 이를 감추거나, 매립상자(1)가 벽면에서 정수직·수평으로 매립되지 못해 이와 결합되는 개폐커버(2)가 삐뚤어진 것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매립상자(1)와 개폐커버(2) 사이에 중간덮개(44)를 구성하는 것으로 중간덮개(44)는 중앙에 개구면(45)을 가졌고, 매립상자(1)의 고정공(5)과 대칭한 고정공(5c)을 구비하여 매립상자(1)에 개폐커버(2) 사이에 끼워져 고정공(5a,b,c)들에 고정부재(6)에 의한 결합수단(46)이거나, 도 11과 같이 중간덮개(44)의 내면에 개폐커버(2)가 체결하도록 개폐커버(2)에 고정공(5c)이나 기계적인 장치를 가진 결합수단(46)을 만들고, 개폐커버(2)에도 고정공(5b)을 없앤 후 중간덮개(44)에 호환 결합하는 결합수단(46)을 가져서 개폐커버(2)를 중간덮개(44)에 부착하는데, 이때 매립상자(1)에 먼저 중간덮개(44)가 고정공(5c)에 고정부재(6)로 체결 고정한 후 다시 중간덮개(44)에 개폐커버(2)가 결합수단(46)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은 이중관 배관에서 관과 주름관, 급수헤더의 분기구를 절약하고 화장실내 배관을 단순화시켜 공사기간을 단축하며, 배관에서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벽체를 해체하지 않는 보수 수선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주름관내에 관을 내장하여 콘크리트벽에 매립시공하는 이중관 배관공법에 의해 화장실벽에 매립되는 매립상자와 이음관에 있어서,
    전방이 고정공(5a)를 가진 개구부로 되어 양편 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주름관(52)이 체결하는 다수개의 주름관체결체(4)를 가진후, 내측에서 벽을 관통한 관출입구(3)를 형성한 매립상자(1)에,
    본관체(13a)의 양끝단에서 냉수입구접속구(14)와 냉수출구접속구(15)를 가진후, 곡형관체(17a)로 이어져서 제2냉수출구접속구(16)가 냉수출구접속구(15)와 같은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고, 전방향으로 돌출하여 수전금구의 체결구와 연결하는 나사를 가진 수전체결구체(18)가 있으며, 후방에 고정체(22a)를 가진 일입삼출이음관(12)과,
    본관체(13b)에 양끝단에서 온수입구접속구(19)와 온수출구접속구(21)를 가진후, 곡형관체(17b)로 이어져서 제2온수출구접속구(20)가 온수출구접속구(21)와 같은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고, 후방에 고정체(22b)를 가진 일입이출이음관(11)이,
    상기 매립상자(1) 후방 내벽에 상하로 분리하여 냉수입구접속구(14)와 온수입구접속구(19)가 같은 방향으로 되어서 나란히 고정체(22a,b)에 고정수단(23)으로 설치된후, 벽(59)에 매립되고,
    매립상자(1)의 개구부에 수전체결구체(18) 선단과 일치하는 위치에 소켓구(7)를 가진 개폐커버(2)가 고정공(5a,b)에 의해 고정부재(6)로 체결하여 형 성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상자(1)의 전방측면에 돌기한 거푸집고정체(41)를 형성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상자(1)의 후방측면에 돌기한 다리발고정대(42)를 형성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상자(1)의 내측공간부를 막는 칸막이(43)를 형성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상자(1)와 개폐커버(2)간에, 중앙에 개구면(45)과 매립상자(1)의 고정공(5a)와 대칭한 위치에 고정공(5c)를 가진 중간덮개(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상자(1), 중간덮개(44)와 개폐커버(2) 간이 고정공(5a,b,c)에 의한 결합수단(46)으로 결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상자(1)와 중간덮개(44)간에 고정공(5a,b)에 의한 고정부재(6)로 체결하고, 중간덮개(44)와 개폐커버(2)간은 결합수단(46)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에 내장하여 벽체에 매립한 이음관
KR1020050026767A 2005-03-30 2005-03-30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KR20060021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767A KR20060021800A (ko) 2005-03-30 2005-03-30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767A KR20060021800A (ko) 2005-03-30 2005-03-30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800A true KR20060021800A (ko) 2006-03-08

Family

ID=3712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767A KR20060021800A (ko) 2005-03-30 2005-03-30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80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54B1 (ko) * 2006-05-02 2006-09-06 (주)남호건업 일체형의 구조를 가진 분배기와 계량기 보호함 및 온수의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이중관 시공방법
KR100684281B1 (ko) * 2005-11-24 2007-02-16 천재홍 매입형 분배용 수전
KR100782676B1 (ko) * 2007-02-16 2007-12-07 신기빈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KR100785322B1 (ko) * 2006-09-04 2007-12-17 주식회사 애강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CN103267196A (zh) * 2013-05-31 2013-08-28 吉铨精密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分流减压接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81B1 (ko) * 2005-11-24 2007-02-16 천재홍 매입형 분배용 수전
KR100620454B1 (ko) * 2006-05-02 2006-09-06 (주)남호건업 일체형의 구조를 가진 분배기와 계량기 보호함 및 온수의온도 편차 보정을 위한 이중관 시공방법
KR100785322B1 (ko) * 2006-09-04 2007-12-17 주식회사 애강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
KR100782676B1 (ko) * 2007-02-16 2007-12-07 신기빈 벽체매립형 수전함 연결시스템
CN103267196A (zh) * 2013-05-31 2013-08-28 吉铨精密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分流减压接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1800A (ko) 화장실의 배관이음구조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KR100704659B1 (ko) 비수전함형 수전결합 시스템
KR100721213B1 (ko) 수전 연결장치
KR200426264Y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용 수전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481811B1 (ko) 비수전함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0860128B1 (ko) 급배수 통합 기능을 갖는 육가 하우징 및 그 육가 하우징을이용한 급배수 통합 배관 시스템
KR100886360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및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용 챔버
KR20070063971A (ko) 싱크대용 냉온수분배관
KR20090009359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20070076599A (ko) 매립상자에 내장하여 양변기 설치위치의 벽체에 매립한이음관
KR100447808B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CN207047963U (zh) 一种室内排污立管预埋双偏心积水处理装置
KR20070076632A (ko) 수전이음관
KR100886361B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615840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KR20090009360U (ko)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KR100751728B1 (ko) 분배기함의 슬래브 하부 노출 수직하향배관구조
KR20030082211A (ko) 벽체 매립형 수전용함
KR101050191B1 (ko) 수전함 설치방법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286978Y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KR20050033807A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