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316B1 -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 Google Patents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16B1
KR100785316B1 KR1020060049625A KR20060049625A KR100785316B1 KR 100785316 B1 KR100785316 B1 KR 100785316B1 KR 1020060049625 A KR1020060049625 A KR 1020060049625A KR 20060049625 A KR20060049625 A KR 20060049625A KR 100785316 B1 KR100785316 B1 KR 10078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ember
bone marrow
stopper
shape
minimally inv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346A (ko
Inventor
윤용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04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31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83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cross-section of the n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33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means of locking the nail to the bone
    • A61B17/7258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means of locking the nail to the bone with laterally expanding parts, e.g. for gripping the bone
    • A61B17/7266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means of locking the nail to the bone with laterally expanding parts, e.g. for gripping the bone with fingers moving radially outward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골수강 내 금속정에 관한 것으로, 골수강 내로 삽입 가능하고, 상온 하에서는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며 체온 하에서는 팽창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되며, 하부 양쪽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입구)가 형성된 중공의 핀 부재와; 핀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핀 부재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끝단 부에 삽입홀에 끼워지는 텐션 돌기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따라서, 골절 수술이 매우 손쉽고, 골절 수술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충분한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핀 부재와 스토퍼는 기존과는 달리 각각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술 상황을 모니터링 한 후 필요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핀 부재, 스토퍼, 삽입홀, 텐션 돌기부, 안내 부재

Description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MINIMALLY INVASIVE INTRAMEDULLARY NAIL}
도 1은 종래 골수강 내 금속정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을 분해하여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있어서, 상온에서 핀 부재의 형상의 여러 가지 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있어서, 체온에서 핀 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의 시술을 설명하는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10:핀 부재 111:삽입홀
112:개구부 110:핀 부재
121:텐션 돌기부 130:안내 부재
131:경사면
본 발명은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러진 뼈의 골수강 내에 삽입되어 뼈의 골절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록킹 네일 시스템(Locking Nail system)은 대퇴골(Femur Bone) 간부골절을 치료할 목적으로 골절이 발생된 장골 내부의 골수강 속으로 네일을 삽입한 후 골절 부의 상부 부위와 하부 부위에 스크류(Locking screw)를 사용하여 골절된 장골을 네일에 고정시키는 수술 법을 말한다.
도 1은 종래 골수강 내 금속정의 사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골수강 내 금속정(10)이 골절된 뼈(1)의 골수강내에 삽입되고, 금속정(10)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골절 부의 상부 부위와 하부 부위에 스크류(20)를 사용하여 골절된 뼈(1)를 금속정(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골수강 내 금속정에 있어서는, 골수강 내에 삽입되는 금속정의 굽힘 강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큰 치수의 금속정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큰 치수의 금속정을 골수강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드릴을 이용하여 골수강을 넓게 확장하여야만 했다. 이 경우 혈전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혈액의 손실도 클 뿐만 아니라 수술시간도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끝단부에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역할을 하는 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된 종래 골수강 내 금속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골절 정도에 따라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사용하게 되어, 수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이 매우 손쉽고, 수술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충분한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은 골수강 내로 삽입 가능하고, 상온 하에서는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며 체온 하에서는 팽창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되며, 하부 양쪽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끝단 부에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텐션 돌기부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텐션 돌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핀 부재의 안쪽 하부에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핀 부재는 형상 기업 합금으로 제조되는바, 상온 하에서는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며, 체온 하에서는 팽창된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골수강 내에 핀 부재를 삽입하기 쉽고, 핀 부재를 삽입 완료한 후에는 핀 부재가 충분 한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핀 부재의 내부에 삽입하는 초기에는, 상기 스토퍼의 텐션 돌기부를 오므린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를 상기 핀 부재의 개구부 안으로 삽입하고, 상기 스토퍼를 상기 핀 부재의 내부에 삽입 완료한 후에는, 상기 텐션 돌기부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텐션 돌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벌이지며, 이때 텐션 돌기부의 끝단이 뼈에 고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을 분해하여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있어서, 상온에서 핀 부재의 형상의 여러 가지 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 있어서, 체온에서 핀 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의 시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100)에서는, 뼈(1)의 골수강 내에 금속정을 삽입하는 초기에는 상온 하에서 축소된 형상, 예를 들면 “U”자 형상 (도 4a 참조), “아령”형상 (도 4b 참조), “Y자 형상 (도 4c 참조) 또는 ”X”자 형상 (도 4d 참조)을 유지하고 있다가, 금속정을 삽입 후에 체온 하에서 "원형"으로 팽창됨으로써, 충분한 굽힘 및 비 틀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처럼 큰 치수의 금속정을 사용하기 위해 골수강 내를 드릴로 확장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100)은 골수강 내로 삽입 가능하고, 상온 하에서는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며 체온 하에서는 팽창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 부재(110)는 긴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하부는 막히고 뾰족하며 상부는 열려 있고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부재(11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되는데, 상온 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여러 가지 형태로 유지되며, 체온 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형상, 예를 들면, "타원형" (혹은 "원형")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온에서는 핀 부재(110)의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골수강 내에 핀 부재(110)를 삽입하기 쉽고, 체온 하에서는 핀 부재(110)가 체온에 의하여 팽창하여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충분한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에서, 핀 부재(110)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토퍼(120)를 사용할 수 있다. 스토퍼(120)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핀 부재(110)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쪽 단부에는 텐션(Tension) 돌기부(121)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핀 부재(110)의 하부에는 텐션 돌기부(121)가 삽입되는 삽입홀(111)이 마련된다. 스토퍼(120)는 핀 부재(110)의 개구부(112)를 통해 핀 부재(1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다. 스토 퍼(120)의 한쪽 단부에 마련된 텐션 돌기부(121)는 탄성에 의하여 벌어지고 삽입홀(111)을 관통하여 핀 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토퍼(120)를 핀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초기에는, 스토퍼(120)의 텐션 돌기부(121)를 오므린 상태에서 스토퍼(120)를 핀 부재(110)의 개구부(112) 안으로 삽입한다. 스토퍼(120)가 핀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 완료된 후에는, 텐션 돌기부(12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텐션 돌기부(121)가 삽입홀(111)에 삽입됨과 동시에 텐션 돌기부(121)의 끝단이 뼈(1)에 고정된다.
핀 부재(110)는 스토퍼(120)의 텐션 돌기부(121)가 삽입홀(111)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핀 부재(110)의 안쪽 하부에 안내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 부재(130)는 핀 부재(110)의 하부 안쪽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ㅅ"형상의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120)의 텐션 돌기부(121)를 삽입홀(111)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 부재(110)와 스토퍼(120)는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골절 수술 시, 수술 상황을 모니터링 한 후 필요할 경우에만 스토퍼(12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스토퍼(120)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의 사용(수술)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1)의 골수강 내로 핀 부재(110)를 삽입한다. 이때 상온 하에서 핀 부재(110)는 그 횡 단면 형상이 최소한으로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핀 부재(110)를 골수강 내로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후 골수강 내로 삽입된 핀 부재(110)는 그 횡단면이 체온 하에서 팽창되어 원형을 유지한다. 따라서 핀 부재(110)가 충분한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수술 상황에 따라 핀 부재(110)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해야 하는 경우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부재(110)의 내부에 스토퍼(120)를 삽입한다. 이때, 스토퍼(120)를 핀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초기에는 스토퍼(120)의 텐션 돌기부(121)를 오므린 상태로 개구부(112)에 삽입한 후 스토퍼(120)를 골수강 내로 밀어넣어야 한다. 스토퍼(120)를 핀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 완료한 후에는, 텐션 돌기부(12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텐션 돌기부(121)가 삽입홀(111)에 삽입됨과 동시에 텐션 돌기부(121)의 끝단이 뼈(1)에 고정된다.
다른 방식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20)를 골수강 내로 진입하면 안내부재(130)의 경사면(131)에 의해서 스토퍼(120)의 텐션 돌기부(121)가 삽입홀(111) 쪽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130)의 경사면(131)에 의해서 삽입홀(111) 쪽으로 안내된 스토퍼(120)의 텐션 돌기부(121)는 삽입홀(111)을 관통하여 핀 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때 뼈(1)에 고정됨으로써, 핀 부재(110)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골수강 내에 금속정을 삽입하는 초기에는 상온 하에서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가, 금속정을 삽입 후에 체온 하에서 최대 확장됨으로써, 수술이 매우 손쉽고, 충분한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처럼 큰 치수의 금속정을 사용하기 위해 골수강 내를 드릴로 확장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핀 부재와 스토퍼는 기존과는 달리 각각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골절 수술 시, 수술 상황을 모니터링 한 후 필요할 경우에만 스토퍼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골절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처럼 불필요하게 스크류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수술 부작용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골수강 내로 삽입 가능하고, 하부는 골수강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핀 부재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체온 하에서는 팽창되어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유지하며 상온 하에서는 단면적이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의 횡단면은 체온 하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온 하에서 “U”자 형상, “아령”형상, “Y자 형상, ”X”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4. 골수강 내로 삽입 가능하고, 상온 하에서는 축소된 형상을 유지하며 체온 하에서는 팽창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양쪽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입구)가 형성된 중공의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끝단 부에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핀 부재의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는 텐션 돌기부가 형성된 스토퍼
    를 포함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스토퍼의 텐션 돌기부가 오므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텐션 돌기부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벌어져 상기 텐션 돌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텐션 돌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핀 부재의 안쪽 하부에 마련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의 횡단면은 체온 하에서 원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9. 골수강 내로 삽입 가능하고, 하부 양쪽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입구)가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핀 부재(네일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끝단부에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핀 부재의 외주면 밖으로 돌출되는 텐션 돌기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의 텐션 돌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핀 부재의 안쪽 하부에 마련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스토퍼의 텐션 돌기부가 오므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핀 부재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텐션 돌기부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벌어져 상기 텐션 돌기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온 하에서 “U”자 형상, “아령”형상, “Y자 형상, ”X”자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KR1020060049625A 2006-06-02 2006-06-02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KR10078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25A KR100785316B1 (ko) 2006-06-02 2006-06-02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25A KR100785316B1 (ko) 2006-06-02 2006-06-02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346A KR20070115346A (ko) 2007-12-06
KR100785316B1 true KR100785316B1 (ko) 2007-12-17

Family

ID=3914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625A KR100785316B1 (ko) 2006-06-02 2006-06-02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607B1 (ko) 2009-02-02 2011-12-06 김영복 골수내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48B1 (ko) * 2020-06-19 2023-10-16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절된 뼈의 회전와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골수 강 내 금속 정 고정용 지지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53A (ja) * 1994-10-05 1996-04-23 Mitsuru Monma 下腿遠位骨折に対する手術用回旋防止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53A (ja) * 1994-10-05 1996-04-23 Mitsuru Monma 下腿遠位骨折に対する手術用回旋防止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607B1 (ko) 2009-02-02 2011-12-06 김영복 골수내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346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478B2 (ja) 外科用釘
JP4823917B2 (ja) ネジを固定するためのインサートを備える上腕骨ネイル
JP4468814B2 (ja) 上腕骨の体幹近接骨折部の固定を改善するための釘とネジからなる固定システム
US7763021B2 (en) Intramedullary nail assembly
US8221419B2 (en) Intramedullary nail
JP2011522663A (ja) 骨折した長骨内に挿入される皮質間ネイル
US20070260247A1 (en)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s with outer screw
US8961574B2 (en) Bone plate with hook portion
US20100087820A1 (en) Intramedullary osteosynthesis device
KR102199524B1 (ko) 골판 봉합 앵커
CA2863899C (en) Suture distal locking for intramedullary nail
TWI523634B (zh) 骨髓內固定裝置
KR100785316B1 (ko) 최소침습용 골수강 내 금속정
US20210113248A1 (en) Packaging for trochanteric femoral nail telescoping head element
WO2002098330A3 (en) Device for the proximal locking of a femoral nail
ES2829700T3 (es) Instrumento quirúrgico esterilizable de un solo uso para la cirugía de fusión ósea
ITVI20060128A1 (it) Chiodo endomidollare per la stabilizzazione di fratture di ossa lunghe
US20230397936A1 (en) Plug for bone tissue
WO2002015767A2 (en) Intramedullary canal diameter reducer
CN216317838U (zh) 一种二合一股骨截骨组件
KR102589248B1 (ko) 골절된 뼈의 회전와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골수 강 내 금속 정 고정용 지지체
JP2001286483A (ja) 長幹骨骨幹端部骨折用横止めネジ付き髄内釘
JP2009119262A (ja) 骨強化用軸方向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閉塞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