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978B1 -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978B1
KR100784978B1 KR20060040109A KR20060040109A KR100784978B1 KR 100784978 B1 KR100784978 B1 KR 100784978B1 KR 20060040109 A KR20060040109 A KR 20060040109A KR 20060040109 A KR20060040109 A KR 20060040109A KR 100784978 B1 KR100784978 B1 KR 100784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urethane
pole
waste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510A (ko
Inventor
신순옥
Original Assignee
신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순옥 filed Critical 신순옥
Priority to KR2006004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97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04B16/082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other than polystyrene based, e.g. polyurethane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가전제품의 단열재 및 조립식 판넬 등으로 사용된 후 폐기처분되는 우레탄폼을 재활용하여 이를 아파트나 주택의 온돌 바닥재 시공 시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부위의 경량화와 뛰어난 차음효과 단열효과를 얻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있는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 우레탄폼을 수거하여 분쇄기로 1∼10mm의 크기로 분쇄를 하고, 마찬가지로 폐 스치로폴을 수거하여 분쇄기로 1∼10mm의 크기로 분쇄하며, 이렇게 분쇄된 우레탄폼과 스치로폴을 혼합하여 우레탄폴을 만들고, 상기 우레탄폴에 혼화제를 첨가한 후 시멘트,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믹서기와 공장용 레미콘 생산 장비를 이용하여 경량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 모르터를 만든다. 재료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경량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 모르터를 제조하여 혼합장소로부터 각각의 타설 장소에 압송한 후 스퀴즈 및 유압식 압송장비를 이용하여 타설하고 급격한 온도변화가 없도록 일정한 양생기간에 걸쳐서 양생한다.

Description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A mortar for concrete having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제품의 단열재 및 건축용 판넬 등으로 사용된 후 폐기처분되는 우레탄폼과 스티로폴을 재활용하여 이를 아파트나 주택의 온돌 바닥재 시공 시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부위의 경량화와 뛰어난 차음효과와 단열효과를 얻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있는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외화를 들여 수입한 원료를 이용하여 만드는 폴리우레탄 폼은 국내에서의 생산량이 대략 그 원료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볼 때 연간 45만∼50만톤 가량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렇게 생산된 폴리우레탄 폼은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에서 단열재나 건축용 판넬 등으로 특성에 맞게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후 처리문제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로 매립이나 소각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폴리우레탄은 열경화성 수지로서 열에 녹지 않아 재활용이 곤란 하며, 태울 때는 분자 내의 질소와 방향족 고리가 잔류하게 되고, 단열재로 사용된 발포 폴리우레탄의 경우 발포제로 사용된 프레온(CFC)이 폼 내부에 남아있게 된다. 우레탄이 포함하고 있는 자체 질소는 이산화질소를 발생시켜서 환경오염은 물론 불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소각에 의한 처리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포 폴리우레탄의 경우는 밀도가 매우 낮아서 매립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난분해성 물질이므로 매립 또한 함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 발포 폴리우레탄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출원인 명의의 대한민국 특허 제 391558 호에서는 스퀴즈 우레탄폴에 시멘트, 모래, 물 등으로 우레탄폴 콘크리트를 만들어 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모래를 사용하고 있는데, 건설 현장에서의 모래의 사용량 증가 등으로 인해 자연 모래의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서 이러한 모래의 사용 없이도 동일 효과를 낼 수 있는 우레탄폴 콘크리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후 폐기처분되는 우레탄폼과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여 이를 아파트나 주택의 바닥재 시공 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공부위의 경량화와 뛰어난 차음효과와 단열효과를 얻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 있는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을 수거하여 분쇄한 것을 혼합하여 우레탄폴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의 우레탄폴에 혼화제를 첨가하는 단계(S2); 그리고
상기 단계(S2) 후 시멘트를 혼합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S1)에서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의 분쇄는 2~10mm로 함이 바람직하고, 폐우레탄폼 분쇄물 대 폐스치로폴 분쇄물의 혼합비는 5~7 : 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S2)에서의 혼화제는 재료분리 방지 및 유동화제 기능을 갖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주성분이 수용성 셀룰로즈에텔계열의 육회색 분말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단계(S2)와 (S3)에서의 경량 우레탄폴, 혼화제 및 시멘트의 배합 비율은 용적비로 우레탄폴 60~80%, 혼화제 1~4% 및 시멘트 16~40%로 함이 바람직한데, 우레탄폴이 60% 이하가 되면 상대적으로 시멘트의 양이 늘어나게 되므로 경제성이 낮아지고 80% 이상이 되면 콘크리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강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이들 범위가 바람직하고, 혼합제의 범위는 재료간의 분리방지 및 유동화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범위 내가 바람직하며, 시멘트 양은 16% 이하가 되면 압축강도 등이 현저히 약화되고 40% 이상이 되면 상대적으로 경량 우레탄폴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대체 콘크리트로서의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혼화제와 시멘트를 혼합한 경량 우레탄폴이 함유된 우레탄폴 콘크리트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2~8mm로 분쇄한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을 5~7 :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량 우레탄폴을 용적비로 60~80%과, 재료분리 및 유동화제 기능을 갖는 혼화제를 용적비로 1~4%와, 시멘트를 용적비로 19~40% 함유하는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 가전제품 및 건축용 판넬에서 발생하여 폐기물로 소각 처리되던 폐 우레탄폼을 수거하여 이를 단열 콘크리트 시공 자재로 만들 수 있는 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우레탄폴 콘크리트를 개발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와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재 아파트나 주택에서 시공하고 있는 방바닥 단열재로는 폴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기포 폴콘크리트, 화이바믹스 기포콘크리트, 에바(EVA) 폴 기포콘크리트, BST 폴 기포콘크리트, 우레셸 기포콘크리트 등이 있다. 이중에서 시공 상의 간편성 때문에 기포콘크리트를 많이 사용하여 왔는데, 단열층에서 많은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포콘크리트에 많은 첨가제를 넣어 시공하였지만, 균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포콘크리트보다 폴콘크리트를 선호하게 되었지만, 단열 전문 업체의 현장관리 미숙과 제품관리 부족으로 인하여 폴콘크리트 시공도 현장에서 많이 외면을 당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여 제품성이나 시공성에서 거의 완벽에 가까운 방바닥/벽체 단열 벽돌 등의 경량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모르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폐 가전제품, 특히 폐냉장고 또는 건축용 판넬 등에서 배출되는 폐 우레탄폼을 재활용하여 건축자재로의 이용을 도모하였으며, 그러한 방안으로서 건축자재로 사용하였을 때 경량화, 뛰어난 차음효과와 단열성, 시공성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단열 콘크리트의 개발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폐 우레탄폼을 재활용하여 경량의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를 만들어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방바닥에 바닥재 및 건식 판넬과 벽돌로 사용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수급문제가 대두되어 건설현장에서 공급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모래가 첨가되지 않는 우레탄폴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모르터가 제공된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폐 가전제품이나 건축용 판넬 등에서 발생하는 폐 우레탄폼을 수거하여 분쇄기로 약 1∼10mm의 크기로 분쇄를 하고, 마찬가지로 폐 폴리스틸렌(스치로폴)을 수거하여 분쇄기로 약 1∼10mm의 크기로 분쇄한다. 이렇게
분쇄된 우레탄폼과 스치로폴을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경량 우레탄폴(S.U.P)을 만든다.
상기 경량 우레탄폴과 혼합제 및 시멘트를 표1과 같은 비율로 혼합한 후 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다.
표1
(단위 : % : 용적비)
폐우레탄폼 : 폐스치로폼 우레탄폴 혼화제 시멘트
1 1 1 51 1 48
2 7 3 60 4 36
3 6 4 60 3 37
4 8 2 65 4 31
5 5 4 70 3 27
6 4 2 78 3 19
7 6 1 85 4 11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성질, 워커빌리티, 블리딩, 응결시간, 압축강도, 길이변화, 중성화, 동결융해작용 및 화학물질의 침식 등에 대한 열내구성, 수열화 억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재료분리방지 및 유동화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주성분이 수용성 셀룰로즈에텔 계열인 육회색 분말을 사용한다. 시멘트로는 KSL 5201에 합격한 제품으로 제조 후 2개월 이내의 신선한 재료로서 KSF 2526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혼합용수는 콘크리트용으로 유해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모르터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물성측정은 KSL 5105, KSL 5207, KSL 5104,KSF 2451, KSL 9016, KSF 2451, KSF 2424, KSF 2810 등의 규정에 따라 행하였다.
이들 결과표를 종래의 것과 비교하기 위해 표2에 나타내었다.
상기 재료들의 혼합은 공사현장 지상에서 콘크리트 믹서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이렇게 혼합된 경량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는 특수 개발된 펌프를 이용하여 재료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혼합장소로부터 각각의 타설 장소에 압송한다. 사용 시에는 스퀴즈 펌프에 의해서 압송한 재료가 시공부위에 올라오면 장비를 이용하여 고르게 펴고 봉 등으로 구석진 곳 다짐을 한다. 경량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의 운반 또는 타설 도중 심한 재료 분리현상이 있으면, 거듭 비비기를 하여 균등질로 만든다. 또한, 콘크리트에 잡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수우려가 있는 곳은 물로 적셔준다. 2단 이상으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아랫단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윗단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일체가 되도록 한다.
타설 후에는 급격한 온도변화가 없도록 양생해야하며, 경화 중에 진동, 충격, 과중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양생기간은 하절기(30℃ 이하)엔 최저 3일, 동절기(1℃ 이상)엔 4∼5일 이상 양생한다. 이러한 과정은 일반콘크리트 양생과정과 거의 같다.
결과 및 고찰
하기 표 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폴 콘크리트를 양생한 특성 측정 결과가 나타나 있다.
표 2
콘크리트 종류적용항목 보통 콘크리트 특허 제391558호 기포 콘크리트 본 발명의 모르터 사용 콘크리트
경량성 - 기건단위중량(t/m3 ) 2.3~2.4 0.4~1.8 0.4~1.2 0.4~2.0
역학성 - 압축강도(kgf/cm2 ) 50~400 5~250 5~45 11~200
단열성 - 열전도율(kcal/m2 h℃) 1.3~1.4 0.08~1 0.12~0.2 0.08~1.2
방습성 - 흡수율(%) 10~18 5~10 40~60 4~9
방음성 - 흡음율(%) 0.01~0.04 0.09~0.19 0.2~0.8 0.07~0.15
건조수축 - 28일 수축율 4~6 0 4~8 0
내구성 - 동결 융해저항성(%) 70~80 90 50 87
내화성 - 압축강도(600℃,2h)(%) 10~20 50 50 58
방진성 - 에너지 78 45 4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르터를 사용하는 우레탄폴 콘크리트는, 일반 시멘트 콘크리트의 비중이 2.3∼2.4인데 비하여 그 비중이 0.4∼2.0으로서, 콘크리트의 하중을 1/2∼1/3 이하로 경량화 시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배합에 따라 강도를 11∼200kgf/cm2로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고, 열전도율이 일반 콘크리트(1.4kcal/m2 h℃)의 약1/2∼1/3(0.08∼1.2kcal/m2 h℃)으로서 단열효과가 크다. 게다가, 몰탈과의 접착력이 크고, 균일한 배합으로 인하여 균열 및 들뜸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것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 391558 호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모래를 첨가하지 않고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르터를 사용하는 우레탄폴 콘크리트는 방습성이 타 콘크리트보다 매우 낮아서 결로나 곰팡이나 세균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내부 충격에 의한 차음성이 기존 경량 단열 콘크리트 중에서 가장 양호하다. 게다가, 수축작용이 없고 신축에 의한 균열발생이 일어나지 않으며, 경화시간이 짧으므로(3∼4일)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타후속 공정으로 진행을 쉽게 한다. 또한, 동결 용해 내 구성지수가 타 콘크리트에 비하여 월등하게 좋아서 결로 및 동파의 우려가 없고, 충격 에너지 흡수가 대단히 크므로 진동에너지 흡수에 의한 방진성이 대단히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르터를 사용하는 경량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는, 폐냉장고 또는 건축용 판넬 등에 들어있는 폐 우레탄폼을 수거하여 이를 단열 콘크리트의 시공 자재로 활용함으로서, 건축 및 토목분야의 경량성 단열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모르터를 사용하는 경량 단열 우레탄폴 콘크리트는, 폐스티로폴에 고품질인 단열재 우레탄을 특수 파쇄하여 적정량 혼합하여 차음, 균열방지효과, 단열성과 강도를 한층 높였으며, 이 재료에 본 출원인이 개발한 PPS 혼화제를 첨가하여 재료분리 및 유동화성을 키워서 현존하는 폴콘크리트 시공방식에서 야기되는 재료의 날림, 시공표면 폴날림, 소형 리어카 믹서기 작업시 타공정의 시공물 파손(벽체 석고보드, 문틀 프레임, 새시 등의 파손), 배합의 불균질성 등의 단점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수급문제가 대두되는 모래를 사용하지 않고도 콘크리트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기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르터는, 건축분야로는 아파트 및 주택온돌 바닥, 지붕 단열 콘크리트, 주차장 바닥, 지하실 바닥에 적용이 가능하고, 토목분야로는 터널그라우팅, 침하방지용 되메우기, 상하수도 동파방지, 노출배관 보온 및 부식방 지, 진동 및 충격흡수를 위한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을 각각 1~10mm로 분쇄하고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을 5~7 :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우레탄폴을 만든 다음, 상기 우레탄폴에 혼화제인 수용성 셀룰로즈에텔 계열인 육회색 분말을 첨가하되, 상기 우레탄폴과, 혼화제 및 시멘트의 배합비율은 용적비로 우레탄폴 60~80%, 혼화제 1~4%, 시멘트 19~4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을 이용한 우레탄폴 콘크리트로서, 각각 1~10mm로 분쇄된 폐우레탄폼과 폐스치로폴을 5~7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우레탄폴 60~80%와, 주성분이 수용성 셀룰로즈에텔 계열인 육회색 분말의 혼화제 1~4% 및 시멘트 19~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폴을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모르터.
  6. 삭제
KR20060040109A 2006-05-03 2006-05-03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84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0109A KR100784978B1 (ko) 2006-05-03 2006-05-03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0109A KR100784978B1 (ko) 2006-05-03 2006-05-03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510A KR20070107510A (ko) 2007-11-07
KR100784978B1 true KR100784978B1 (ko) 2007-12-11

Family

ID=3906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40109A KR100784978B1 (ko) 2006-05-03 2006-05-03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9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098B1 (ko) 2019-02-14 2019-08-21 황지원 차음·단열을 위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KR102343502B1 (ko) 2021-04-22 2021-12-24 한형우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차음재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18255U1 (cs) * 2007-09-17 2008-02-11 D&Daxner Technology, S. R. O. Tepelne izolacní omítka
KR100892247B1 (ko) * 2007-11-09 2009-04-09 진도화성주식회사 친환경성 폴리우레탄계-시멘트 조성물
KR100966888B1 (ko) * 2009-08-07 2010-06-30 김창영 폐우레탄을 이용한 건축마감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ES2358458B1 (es) * 2009-10-22 2011-12-23 Universidad De Burgos Composite ligero cemento-polimero para la construccion obtenido a partir del reciclado de espumas rigidas de poliuretano
KR101447182B1 (ko) * 2014-03-10 2014-10-07 주식회사 대호알씨 발포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셀프 레벨링이 우수한 미장 모르타르
KR102256220B1 (ko) * 2019-06-26 2021-05-26 박성재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벽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7676A (en) * 1981-11-25 1983-10-04 Restrepo Jose M Fiber-reinforced cement and process
KR950003216A (ko) * 1993-07-30 1995-02-16 장명철 경량단열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980009180A (ko) * 1996-07-20 1998-04-30 이춘구 폐합성수지 발포입자가 함유된 즉석 모르타르 시멘트
KR0148351B1 (ko) * 1995-09-01 1998-11-16 최훈 방습형 시멘트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방습형 시멘트 페이스트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20000053860A (ko) * 2000-04-28 2000-09-05 신순옥 우레탄폴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30062465A (ko) * 2002-01-17 2003-07-28 서종열 폐스치로폴,폐경질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 및그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7676A (en) * 1981-11-25 1983-10-04 Restrepo Jose M Fiber-reinforced cement and process
KR950003216A (ko) * 1993-07-30 1995-02-16 장명철 경량단열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0148351B1 (ko) * 1995-09-01 1998-11-16 최훈 방습형 시멘트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방습형 시멘트 페이스트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980009180A (ko) * 1996-07-20 1998-04-30 이춘구 폐합성수지 발포입자가 함유된 즉석 모르타르 시멘트
KR20000053860A (ko) * 2000-04-28 2000-09-05 신순옥 우레탄폴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30062465A (ko) * 2002-01-17 2003-07-28 서종열 폐스치로폴,폐경질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 및그 재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098B1 (ko) 2019-02-14 2019-08-21 황지원 차음·단열을 위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방법
KR102343502B1 (ko) 2021-04-22 2021-12-24 한형우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차음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510A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677B2 (ja) ウレタンフォームを主成分とするコンクリート用モルタ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4978B1 (ko)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EP2417078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 products manufactured thereby
CN108797837B (zh) 一种聚氨酯复合轻质墙板及其制备方法
CN101844898A (zh) 多功能保温砂浆及其制作方法
Nandi et al. Cellular concrete and its facets of application in civil engineering
CN101428994A (zh) 一种用植物纤维和水泥增强的轻质保温隔热生土材料
CN102701676B (zh) 一种泡沫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242426A (zh) 外墙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14653B1 (ko) 단열 방음용 초경량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08949A (zh) 一种新型隔热保温防火多孔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2701648B (zh) 掺轻质材料的泡沫混凝土及其制作方法
CN101509285A (zh) 保温隔热墙体
KR20080103135A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0391558B1 (ko) 우레탄폴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우레탄폴 콘크리트
CN100567444C (zh) 纳米憎水性隔热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206069B (zh) 一种砌筑免烧保温砖的砂浆
KR200399319Y1 (ko) 고무칩을 이용한 공동 주거 건물용 층간 방음층
CN114105596A (zh) 一种内蓄外保式墙体复合保温材料、制备及施工方法
CN1246462A (zh) 轻质保温、抗冻结构材料-聚苯混凝土小型空心砌块
CN101413301A (zh) 自保温隔热墙体
CN111646735A (zh) 一种新型自流平保温材料及制备方法
KR102343104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저감용 고강도 모르타르 패널의 시공방법
CN217975085U (zh) 一种屋面结构
CN113698132B (zh) 一种聚岩液和聚岩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