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145B1 -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145B1
KR100784145B1 KR1020060133659A KR20060133659A KR100784145B1 KR 100784145 B1 KR100784145 B1 KR 100784145B1 KR 1020060133659 A KR1020060133659 A KR 1020060133659A KR 20060133659 A KR20060133659 A KR 20060133659A KR 100784145 B1 KR100784145 B1 KR 10078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injection
high pressure
pressure pipe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옥
허군호
최명휴
김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소화설비의 고장조치시 가동 중단 없이 고장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실링블럭과, 제1 실링블럭과의 사이에 상기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핀홀 부분과 연통되는 주입홀이 형성되는 제2 실링블럭과, 제2 실링블록에 실링 컴파운드를 강제 주입하는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건식소화설비, 고압배관, 핀홀, 컴파운드

Description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SEALING EQUIPMENT FOR HIGH PRESSURE PIPE OF COKE DRY QUENCHING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의 주입 어댑터를 통한 실링 컴파운드의 주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주입 어댑터 내부의 압력 상승시 압력 조절밸브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 실링블록 11...고압배관
13...핀홀 20...제2 실링블록
30...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 31...주입 어댑터
33...펌핑부재
본 발명은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장조치시 가동 중단 없이 고장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배관에서 핀홀(PIN HOLE)이 발생되면 건식소화설비를 정지시킨 후, 고압배관의 압력을 제로(ZERO) 선까지 하강시킨다. 이어서, 핀홀이 발생된 부분의 고압배관을 절단하여 새로운 배관을 용접하여 건식소화설비의 정상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에 따른 고장조치를 위해 건식소화설비의 가동 중단 후, 고압배관의 고장조치 완료 후 재차 가동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으로써, 건식소화설비의 가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건식소화설비의 고장조치시 가동 중단 없이 고장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는,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실링블럭; 상기 제1 실링블럭과의 사이에 상기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핀홀 부분과 연통되는 주입홀이 형성되는 제2 실링블럭; 및 상기 제2 실링블록에 실링 컴파운드를 강제 주입하는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는, 상기 제2 실링블럭의 주입홀에 장착되는 주입 어댑터; 및 상기 주입 어댑터에 연결되어 실링 컴파운드를 강제 주입하여 상기 핀홀에 충진되도록 하는 펌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 어댑터에는, 상기 핀홀을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가 기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면, 주입 어댑터 내부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값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 조절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블록과 상기 제2 실링블록은 볼트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의 주입 어댑터를 통한 실링 컴파운드의 주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100)는, 고압배관(11)의 핀홀(13) 발생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실링블럭(10)과, 제1 실링블럭(10)과의 사이에 고압배관(11)의 핀홀(13) 발생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며 핀홀 (13) 부분과 연통되는 주입홀(21)이 형성되는 제2 실링블 럭(20)과, 제2 실링블록(20)에 실링 컴파운드(17)를 강제 주입하는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실링블록(10)은 고압배관(11)의 저면을 지지하며, 고압배관(11)의 안착됨을 위한 인입홀(12)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실링블록(10)의 인입홀(12)에는 핀홀(13)이 형성된 고압배관(11)이 안착된다. 이러한 제1 실링블록(10)에는 제2 실링블록(20)이 결합된다.
상기 제2 실링블록(20)은 제1 실링블록(10)에 볼트 결합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실링블록(20)에는 고압배관(11)의 핀홀(13)에 연통되는 주입홀(21)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홀(21)에는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를 통한 실링 컴파운드(sealing compound)(17)가 주입되어 천공된 핀홀(13)을 매립하게 된다.
상기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링블럭(20)의 주입홀(21)에 장착되는 주입 어댑터(31)와, 주입 어댑터(31)에 연결되어 실링 컴파운드(17)를 강제 주입하여 핀홀(13)에 충진되도록 하는 펌핑부재(33)를 구비한다.
상기 주입 어댑터(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어댑터(31)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값을 초과하면 주입 어댑터(31) 내부의 압력을 기설정값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 조절 밸브(35)가 장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배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압(12)이 기설정값을 초과하게 되면, 펌핑부재(33)의 펌핑 작동에도 불구하고 실링 컴파운드(17)가 주입 어댑터(3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핀홀(13)의 실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주입 어댑 터(31)의 내부의 압력을 압력 조절밸브(35)의 선택적인 개폐 작동을 통해 기설정된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실링 컴파운드(17)를 통한 핀홀(13)의 실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펌핑부재(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젝션 건으로 구비됨이 가능하여, 실링 컴파운드(17)를 가압하여 핀홀(13)에 주입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건식소화설비를 구성하는 고압배관(11)에 핀홀(13)의 발생됨을 확인하면, 핀홀(13) 발생 부분의 고압배관(11)을 제1/제2 실링블록(10)(20)으로 감싸도록 장착한다. 여기서, 고압배관(11)의 상측에 장착된 제2 실링블록(20)에는 핀홀(13)과 연통되는 주입홀(21)이 형성되며, 주입홀(21)에는 주입 어댑터(31)가 장착된다.
다음, 상기 제2 실링블록(20)의 주입 어댑터(31)에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를 장착하여, 핀홀(13)에 실링 컴파운드(17)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는 인젝션 건(injection gun)등의 펌핑부재(33)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의 계속적인 실링 컴파운드(17) 주입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주입 어댑터(3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여기서, 주입 어댑터(31)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압력 조절밸브(35)를 개방하여 주입 어댑터(31)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주입 어댑터(31)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며,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의 주입 압력을 넘어서게 됨으로써, 실링 컴파운드(17)의 주입이 불가 능하게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30)를 통한 고압배관(11)의 핀홀(13)에 실린 컴파운드(17)의 주입을 통한 밀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식소화설비의 가동 중단됨이 없이 용이한 고압배관의 보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고압배관에 핀홀의 발생시에 실린 컴파운드의 주입을 통한 밀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식소화설비의 가동 중단됨이 없이 용이한 고압배관의 보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건식소화설비의 가동중단 없는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비 가동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Claims (4)

  1.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 실링블럭;
    상기 제1블럭과의 사이에 상기 고압배관의 핀홀 발생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핀홀 부분과 연통되는 주입홀이 형성되는 제2 실링블럭; 및
    상기 제2블록에 실링 컴파운드를 강제 주입하는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컴파운드 주입장치는,
    상기 제2 실링블럭의 주입홀에 장착되는 주입 어댑터; 및
    상기 주입 어댑터에 연결되어 실링 컴파운드를 강제 주입하여 상기 핀홀에 충진되도록 하는 펌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어댑터에는,
    상기 핀홀을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가 기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면, 주입 어댑터 내부의 압력을 기설정된 압력값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 조절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블록과 상기 제2 실링블록은 볼트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KR1020060133659A 2006-12-26 2006-12-26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KR10078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659A KR100784145B1 (ko) 2006-12-26 2006-12-26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659A KR100784145B1 (ko) 2006-12-26 2006-12-26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145B1 true KR100784145B1 (ko) 2007-12-10

Family

ID=3914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659A KR100784145B1 (ko) 2006-12-26 2006-12-26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1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60A (ko) * 2002-05-06 200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케미컬온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660A (ko) * 2002-05-06 200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케미컬온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86660
102005702479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04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shing and purging the liquid fuel system of a turbine with water
CN106400882B (zh) 一种用于长距离泵供水系统水锤防护的装置
JP2008241037A (ja) 重機用リリーフバルブ
US20140254738A1 (en) Alternative air supply and exhaust port for air-operated valve
EP2312617A1 (en) Vacuum processing device and gas supply method
KR100784145B1 (ko) 건식소화설비의 고압배관 실링장치
US7913815B2 (en) Automated seal oil by-pass system for hydrogen cooled generators
KR101195935B1 (ko) 전기적 트립 솔레노이드밸브 차단블록장치
JP6483372B2 (ja) 燃料供給装置のための弁アセンブリ及び燃料供給装置
CN103615628A (zh) 煤气管道带煤气作业方法
CN204042317U (zh) 钢索箍具不停车在线密封夹具
US20160341429A1 (en) Gas turbine engine liquid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KR20060122434A (ko) 스테이브 고로의 크랙 보수장치
JP3402024B2 (ja) ガス遮断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流体圧駆動装置
CN112780417A (zh) 一种应用氮气隔离的燃气轮机启动优化控制系统及方法
KR101075919B1 (ko) 수직 소둔로의 인레트박스 화재 진압 장치
CN216192432U (zh) 一种管路漏油在线处理装置及高炉液压系统
KR100440750B1 (ko) 밸브 개폐상태 감시 장치
US10249394B2 (en) Passive nitrogen injecting device for nuclear reactor coolant pump
KR20200042107A (ko)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0916662B1 (ko) 천연 가스 공급 설비에서의 안정성 테스트 방법
CN114414248B (zh) 一种液体火箭发动机试验水击压力波消减管路及消减方法
KR20040006298A (ko) 차량 충돌시 연료 누출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356980B1 (ko) 증기터빈의 유압구동장치 시험용 유압완충기
KR20180074448A (ko) 보일러 소음기 스팀의 재활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