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991B1 -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991B1
KR100783991B1 KR1020067013669A KR20067013669A KR100783991B1 KR 100783991 B1 KR100783991 B1 KR 100783991B1 KR 1020067013669 A KR1020067013669 A KR 1020067013669A KR 20067013669 A KR20067013669 A KR 20067013669A KR 100783991 B1 KR100783991 B1 KR 10078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se
sterilization
endoscope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988A (ko
Inventor
아쯔시 와따나베
쯔루오 하또리
아끼히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means for testing or cal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6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the degree of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은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처리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23)와, 이 인디케이터(23)가 출입 가능한 개폐 기구[끼워 맞춤 부재(20), 구금부(19)]를 갖는 내부 케이스(3)와, 일단부가 제1, 제2 가요관(4A, 4B)의 단부에서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스(3) 내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3)에 대략 기밀로 접속된 제1, 제2 튜브(22A, 22B)와,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와 상기 내부 케이스(3)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2)와, 상기 외부 케이스(2)의 양측에 대략 기밀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를 각각 수용하는 제1, 제2 가요관(4A, 4B)을 갖고 있다.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인디케이터, 내부 케이스, 외부 케이스, 끼워 맞춤 부재, 구금부

Description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STERILIZING PRETEST PACK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멸균 처리를 필요로 하는 의료 기기(멸균 기기)를 멸균기에 수용하여 고온 고압 증기 멸균(이하, 오토클레이브 멸균이라 칭함)이나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 멸균(Ethylene Oxide Gas 멸균이며, 이하 EOG 멸균이라 칭함) 등의 멸균 장치의 챔버 내의 공기를 다른 기체로 치환하여 멸균하는 장치에 의해 멸균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멸균 테스트 팩에 관계되고, 특히 내시경에 상당하는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관한 것이다.
멸균 처리를 필요로 하는 의료 기기(이하, 멸균 기기라 칭함)는, 통상 멸균기 내에 수용되어 멸균 처리가 행해지고 있고, 이 멸균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멸균이나 EOG 멸균 처리가 주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오토클레이브 멸균이나 EOG 멸균 등의 멸균 처리에서는, 통상 그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효과가 충분히 얻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멸균 효과의 확인 방법으로서는, 오토클레이브 멸균이나 EOG 멸균 등에 의해 멸균 기기를 멸균 처리할 경우에, 예를 들어 테이프 형상의 화학적 인디케 이터(Chemical Indicator : CI)를 멸균 기기에 점착하거나 혹은 시트 형상의 화학적 인디케이터나 생물학적 인디케이터(Biological Indicator : BI)를 피멸균물 사이에 넣거나 함으로써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고 주지이다.
또한, 상술한 시트 형상의 화학적 인디케이터나 생물학적 인디케이터를 피멸균물 사이에 넣어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구성의 것은, 소위 테스트 팩이라 불리어 실용화되어 있고, 이러한 테스트 팩은 오토클레이브 멸균이나 EOG 멸균용으로서 혹은 진공식 고압 증기 멸균기의 공기의 잔류 유무의 확인 때문에 행해지는 보위ㆍ딕(Bowie-Dick)테스트용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테스트 팩의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25327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2639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5-253277호 공보에 기재된 테스트 팩은 층의 다발과,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중첩하여 유효 시트에서, 다발의 층 사이에 위치되어 증기 감도 지시약 잉크가 인쇄된 유공 테스트 시트와, 상기 다발 내의 복수개의 선택 가능한 유효의 층과, 유공 테스트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적어도 1개의 유공의 층에 의해 이격할 수 있는 동시에, 적어도 1개 및 상기 2개 유공의 층에 의해 이격할 수 있어서 미리 결정할 수 있던 효율의 적어도 1 세트의 무공의 가스 불투과성의 층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26399호 공보에 기재된 시험 장치는 멸균제가 들어가기 때문에 일단부가 개방하고, 또한 타단부가 폐쇄한 자유 공간을 획정하는 내강을 갖는 단열재제의 튜브와, 이 튜브를 둘러싸는 흡열부이며 멸균기 내 에서의 장치 사용 중에 튜브의 내강으로부터 열을 우선적으로 받고, 이에 의해 멸균 사이클 중에 튜브의 내강에 따른 멸균재의 침투를 내강의 벽 상에서의 응축에 의해 생기는 자유 공간의 공기 및/또는 피응축성 가스의 축적에 의해 억제하는 흡열부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5-25327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2639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확인 방법에서는 멸균 기기인 내시경을 오토클레이브 멸균이나 EOG 멸균 등을 행한 후에 멸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면, 상기 내시경은 삽입부 선단부로부터 전방 조작부에 걸쳐서 채널 등의 길게 연통한 관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관로 내부에 상술한 화학적 인디케이터나 생물학 인디케이터를 넣는 작업을 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5-253277호 공보나 상기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26399호 공보의 기재의 종래의 테스트 팩은 장치 자체가 대형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내시경의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거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상당하는 구성의 테스트 팩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의 멸균 효과와 대략 같은 멸균 효과를 얻어 멸균 효과의 확인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출입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와, 일단부가 멸균 가스 도입용으로 개구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튜브의 일부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와, 이 외부 케이스에 연통되고, 상기 튜브의 잔부를 삽입 관통한 튜브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용부는 내부에 삽입 관통한 상기 튜브의 잔부의 외표면에 관한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열전달 효율이 멸균 처리 대상된 내시경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에 관한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열전달 효율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낮은 효율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튜브를 통한 멸균 가스 도입시에 상기 내부 케이스 주위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용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대략 기밀로 접속되는 2개의 제1, 제2 가요관을 갖고, 상기 제1 가요관은 그 기단부에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갖는 선단부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2 가요관은 그 단부에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체크 밸브 또는 기체의 통기구를 갖는 후단부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2개 배치되고, 상기 튜브 수용부는 2개의 상기 튜브를 삽입 관통하는 단일의 가요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용부는 가요성을 갖고 굽힘 가능한 가요관에 의해 형성되고, 소정 길이만큼 연신한 상기 튜브 수용부를 나선형으로 통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적어도 상기 튜브를 통한 멸균 가스 도입시에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튜브의 주위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이 투입된 멸균기의 내부가 상기 튜브를 통한 멸균 가스 도입에 앞서 음압 상태가 되는 것을 이용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 주위의 공기를 배출하고, 공기를 배출한 상태를 멸균 가스 도입시에 유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단부는 상기 외장재 밖으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상당하는 구성의 테스트 팩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의 멸균 효과와 대략 같은 멸균 효과를 얻어서 이 멸균 효과의 확인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된 내부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4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5는 체크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6은 개방 상태의 체크 밸브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7은 내부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8은 케이스 본체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9는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0은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 덮개를 수용 케이스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1은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2는 연성 시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3은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4는 유지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5는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테스트 팩을 구성하는 유지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6은 유지구의 부분적 확대도이다.
도17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8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9는 캡, 내부 케이스 및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0은 내부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1은 가스 도입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2는 연성 시트의 구성에 대해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3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을 멸균기로부터 취출하였을 때 연성 시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4는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25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6은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7은 케이스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경우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8은 가스 도입부, 튜브 및 내부 케이스의 상호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9는 가스 도입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0은 가스 검출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1은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도입부, 제1 튜브, 제2 튜브 및 내부 케이스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2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대해 제1 튜브, 제2 튜브를 각각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의 구조에 대해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3은 가스 도입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4는 제4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5는 제4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2 : 외부 케이스
2A : 개구
2B : 개구
2a : 접속부
3 : 내부 케이스
4A : 제1 가요관
4B : 제2 가요관
5, 6 : 구금부
5A : 연통 구멍
5a : 나사부
5b : 링 홈
5c, 11b : 나사 구멍
6A : 연통 구멍
6b : 링 홈
6d : 나사부
7 : 고정 부재
7a : 나사부
8, 10, 21 : O링
11 : 부구금부
11A : 연통 구멍
11a : 나사부
13 : 지지 부재
14A, 14B : 고정 유지 부재
15, 16 : 나사
17 : 후단부 부재
17A : 체크 밸브
18 : 케이스 본체
19 : 구금부
19A : 접속부
19B : 고정부
19C : 연통 구멍
19D : 지지부
19a : 고정부
19b : 링 홈
20 : 끼워 맞춤 부재
20A : 제1 튜브
20B : 제2 튜브
20a : 나사부
23 : 인디케이터
26 : 외부 케이스
27 : 튜브 수용부
28 : 체크 밸브
29 : 접속부
30 : 수용 케이스
31 : 상부 덮개
33 : 내부 케이스
34 : 유지부
34a : 유지부 본체
34b, 34c : 핀
34d : 케이스 삽입부
34e : 통기구
35 : 가스 검출부
36 : O링
37 : 가요관
38 : 제1 튜브
39 : 제2 튜브
40 : 가스 도입부
40a : 가스 도입구
41 : 내부 케이스
42 : 선단부
44 : 본체 케이스
45 : 피스톤
46 : 스프링 부재
47 : O링
49 : 인디케이터
50 : 케이스 본체
50a : 슬릿
51 : 덮개부
52 : 접속부
55 : 수용 케이스
56 : 연성 시트
58 : 유지구
58a : 삽입 관통부
58b : 접속부
58c : 관로
59 : 상측 링 부재
60 : 하측 링 부재
61 : 유지부
62 : 수용 부재
63 : 압박 부재
65 : 케이스
66 : 체크 밸브
67 : 캡
67a : 시일 부재
68 : 가스 도입부
68a : 접속용 돌기
68b : 관통 구멍
69 : 연성 시트
70 : 튜브
71 : 내부 케이스
71a : 시일 부재
71b : 슬릿
72 : 접속부
72a : 접속용 돌기
72d : 관통 구멍
72e : 관통 구멍
73 : 인디케이터
74 : 케이스
75 : 하측 케이스
75a : 오목부
76 : 상측 케이스
76a : 오목부
77 : 고정구
78 : 가스 도입부
78a : 본체
78b, 78c : 원반형 부재
78d : 접속용 돌기
78e : 가스 도입구
79 : 체크 밸브
80 : 튜브
80 : 순차 튜브
81 : 내부 케이스
82 : 시일 부재
83 : 가스 검출부
85 : 수용부
86 : 인디케이터
88 : 가스 도입부
88a : 본체
88b : 원반형 부재
89 : 제1 튜브
90 : 제2 튜브
91 : 내부 케이스
91b, 91c : 시일 부재
92, 93 : 접속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토클레이브 멸균에 의해 이용하는 고온 고압 증기나 EOG 멸균에 의해 이용하는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EthyIene Oxide Gas) 등, 기기를 멸균 처리할 때에 사용하는 기체를 총칭하여 멸균 가스라 정의하고, 이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의한 후에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예>
도1의 (A) 및 (B),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1의 (A)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1의 (B)는 도1의 (A)의 A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접속부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외부 케이스 내에 수용된 내부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은 외부 케이스(2)와, 이 외부 케이스(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 케이스(3)와, 상기 외부 케이스(2)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멸균 처리하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시경의 삽입부와 대략 같은 형상(직경), 구조, 재질로 구성되고,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튜브 수용부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제1, 제2 가요관(4A, 4B)과, 상기 외부 케이스(2)의 양측에 끼워 장착되고, 상기 제1, 제2 가요관(4A, 4B)을 각각 장착한 2개의 구금부(5, 6)와, 상기 내부 케이스(3)를 상기 외부 케이스(2) 내에 유지 고 정하는 지지 부재(13)를 갖고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2)는 양측에 개구(2A), 개구(2B)를 갖고 있다. 한쪽의 개구(2A)에는 상기 구금부(5)가 고정 부재(7)에 의해 끼워 장착되어 있다. 이 구금부(5)는 외주면 상의 일부에 마련된 링 홈(5b)에 시일링 부재로서의 O링(8)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외부 케이스(2)에 대략 기밀로 끼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재(7)는 내주면에 나사부(7a)를 갖고, 이 나사부(7a)와 상기 구금부(5)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나사부(5a)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가요관(4A)이 연접된 상기 구금부(5)를 상기 외부 케이스(2)에 고정 유지한다.
또한, 구금부(5)는 내부에 연통 구멍(5A)을 갖고, 이 연통 구멍(5A)에 연통하도록 상기 제1 가요관(4A)을 연접하고 있다. 또한, 제1 가요관(4A) 및 구금부(5)의 외부 케이스측 기단부에는, 후술하는 내부 케이스(3)의 제1 튜브(22A)가 삽입 관통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2)의 다른 쪽의 개구(2B)에는 상기 구금부(6)가 끼워 장착되어 있다. 이 구금부(6)에는 외부 케이스(2)의 회전 고정인 나사(9)가 고정되어 있다. 이 외부 케이스(2)에는 절결부(2a)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2a)와 나사(9)의 위치를 맞춘 상태로 끼워 장착되어 있다[도1의 (B) 참조]. 또한, 이 구금부(6)는 외부 케이스(2) 내측의 외주면 상의 일부에 마련된 링 홈(6b)에 O링(시일링 부재)(10)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외부 케이스(2)에 대략 기밀로 끼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금부(6)는 내부에 연통 구멍(6A)을 갖고, 이 연통 구멍(6A)에는 부구 금부(11)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부구금부(11)는 외주면 상에 나사부(11a)를 갖고, 이 나사부(11a)와, 상기 연통 구멍(6A)의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부(6d)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금부(6) 내에 장착된다. 이 경우, 이 부구금부(11)는 기단부측의 외주면 상의 일부에 마련된 링 홈(11c)에 O링(시일링 부재)(12)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구금부(6)에 대략 기밀로 끼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요관(4B) 및 부구금부(11)에는, 후술하는 내부 케이스(3)의 제2 튜브(22B)가 삽입 관통되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13)는 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양측 기단부에는 나사용 구멍(13a, 13a)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3)는 이들 나사용 구멍(13a, 13a)을 통해 나사(15, 15)에 의해 각각의 구금부(5) 및 부구금부(11)의 나사 구멍(5c, 11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구금부(5), 부구금부(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는 그 중앙 근방에는 소정 간격에 배치된 나사용 구멍(13b, 13b)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3)는 이러한 나사용 구멍(13b, 13b)을 통해 나사(16, 16)에 의한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3)를 고정 유지하고 있는 고정 유지 부재(14A, 14B)를 고정하고 있다.
상기 제2 가요관(4B)의 기단부에는 후단부 부재(17)가 대략 기밀로 설치되어 있다. 이 후단부 부재(17)는 상기 제2 가요관(4B) 내에 연통하는 체크 밸브(17A)를 갖고 있다. 즉, 이 체크 밸브(17A)는 음압시에는, 상기 제1 가요관(4B) 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공기에 대해서는 차단한다는 등의 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요관(4A)의 기단부에는 선단부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크 밸브(17A)를 갖는 후단부 부재(17)를 설치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체크 밸브(17A)를 삭제하고, 제1, 제2 가요관(4A, 4B) 모두 기단부가 개구되도록 캡 등에 의해 임의로 개방 가능한 증기 진입구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체크 밸브(17A)나 증기 진입구는 후단부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선단부 부재(24), 외부 케이스(2), 제1, 제2 가요관(4A, 4B)등,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과 같은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 내부 케이스(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3)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8)와, 이 케이스 본체(18)의 양측 개구부를 막도록 케이스 본체(18)의 기단부 내에 대략 기밀로 마련된 구금부(19, 19)와, 이러한 구금부(19, 19)를 상기 케이스 본체(18)의 양측 기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고정 유지하기 위한 끼워 맞춤 부재(20, 20)와, 상기 구금부(19, 19)에 각각 설치되고, 멸균 처리되는 내시경(도시하지 않음)의 관로(채널)와 대략 같은 재질, 직경, 길이 및 구조로 형성된 제1, 제2 튜브(22A, 22B)를 갖고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8)는 양측 기단부 외주면 상에 나사부(18a, 18a)를 갖고, 이러한 나사부(18a, 18a)에 상기 끼워 맞춤 부재(20, 20)의 각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부(20a, 20a)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이러한 끼워 맞춤 부재(20, 20) 및 구금부(19, 19)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끼워 맞춤 부재(20, 20)는 내부에 각각 구금부(19, 19)를 갖고 있다. 이 구금부(19)에는 플랜지형의 접촉부(19a)가 있고, 상기 구금부(19)를 케이스 본체(18)에 끼워 장착하고 상기 끼워 맞춤 부재(20)를 체결해 감으로써 상기 접촉부(19a)가 케이스 본체(18)의 단부면에 충돌하고 끼워 맞춤 부재(20)에서 압박함으로써, 상기 접촉부(19a)가 고정된다.
상기 구금부(19, 19)는 케이스 본체측 기단부 외주면 상의 일부에 마련된 링 홈(19b, 19b)에 O링(시일링 부재)(21, 21)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케이스 본체(18)에 각각 대략 기밀로 끼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금부(19, 19)는 내부에 각각 연통 구멍(19C, 19C)을 갖고, 이러한 연통 구멍(19C, 19C)에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를 연접하고 있다. 상기 구금부(19)의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에 제1 튜브(22A)를 씌우고, 내주면이 테이퍼 형상의 원통형의 고정부(19B)를 접속부(19A)의 너트로 체결해 감으로써, 상기 제1 튜브(22A)를 상기 구금부(19)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유지부(19D)는 열수축 튜브 등 제1 튜브(22A)의 좌굴 방지용의 부재이다. 또한, 상기 제2 튜브(2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금부(19)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는, 확실하게 또한 대략 기밀로 상기 접속부(19A, 19A)에 의해 상기 끼워 맞춤 부재(20, 20)에 고정 유지된다.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의 타단부는, 선단부 부재(24) 및 후단부 부재(17)에 마련된 입구 부재에 대략 기밀로 접속되어 있다. 후단부 부재(17) 및 선단부 부재(24)에는 멸균 가스나 증기 등을 유도하기 위한 가스 침입구가 되는 개 구(17a, 24a)가 형성되고, 이 개구(17a, 24a)와 연통하도록 튜브(22A, 22B)의 타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접착 방법은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와 구금부(19)의 접속과 같은 착탈 가능한 방법으로도 좋다. 즉, 제1, 제2 튜브(22A, 22B), 구금부(19), 케이스 본체(18)의 내주면은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 외에 연통하고, 연통 구멍보다 직접 진입한 멸균시의 증기나 가스가 직접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튜브(22A, 22B), 구금부(19), 케이스 본체(18)의 외주면 및 외부 케이스(2), 제1, 제2 가요관(4A, 4B)의 내부의 공간은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의 내부이며, 대략 기밀 내의 상태에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23)는, 예를 들어 시트 형상의 화학적 인디케이터(Chemical Indicator : CI) 혹은 시트 형상의 생물학적 인디케이터(Biological Indicator : BI)를 이용하고 있고, 멸균 처리하였을 때의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로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본체(18) 내에 수용하여 멸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인디케이터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8)는, 예를 들어 수용된 인디케이터(23)에 의한 멸균 효과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3)는 선단부 부재(24)의 개구(24a)로부터 제1 튜브(22A)의 내면, 구금부(19)의 연통 구멍, 케이스 본체(18) 내, 구금부(19)의 연통 구멍, 제2 튜브(22B)의 내면, 후단부 부재(17)의 개구(17a)에 통해 연통된 관로가 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3)는 케이스 본체(18)가 제1, 제2 튜브(22A, 22B)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3) 전체의 대략 중앙 근방에 배치된 구성이 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3)는 오토클레이브 멸균 혹은 EOG 멸균 등을 행하였을 경우에, 인디케이터(23)의 위치가 상기 관로의 선단부 부재(24), 또는 후단부 부재(17)의 개구보다 가장 먼 위치가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의 길이, 직경, 재질 등의 각종 조건은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맞추어 적절하게 형성하거나 멸균 처리에 의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조건으로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멸균 공정 개시 시의 케이스 본체(18) 내의 온도가 멸균 처리되는 내시경의 관로 내의 온도보다 약간 낮아지도록 단열 및 방열 성능이 다른 재질로 구성하고,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과 같은 멸균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멸균 공정 시간을 길게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튜브의 길이를 보다 길고, 튜브의 직경을 보다 가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의 내측에는,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맞추고, 다른 튜브나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 케이블, 코일, 와이어 등의 내장물을 배치해도 좋다. 제1, 제2 가요관(4A, 4B)의 내측의 용적이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의 내부에 증기 멸균을 넣어 멸균할 경우의 증기의 흐름을 보다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2)는 내시경의 외장 부재, 상기 제1, 제2 튜브(22A, 22B)는 내시경 내를 삽입 관통하는 관로, 상기 외부 케이스(2)와 상기 내부 케이스(3) 사이의 공간은 외장 부재에 의해 폐색된 내시경 내부의 공간을 상정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작용을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금, 도1에 도시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을 이용하여 오토클레이브 멸균 혹은 EOG 멸균을 행하여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한다. 작업자는 고정 부재(7)를 돌려 떼어내고, 외부 케이스(2)를 선단부 방향으로 움직여 떼어낸다. 그리고, 지지 부재(13)로부터 나사(16)를 떼어내어 고정 유지 부재(14A)를 떼어낸다.
다음에, 작업자는 도2에 도시한 내부 케이스(3) 내에 화학적 인디케이터나 생물학적 인디케이터 등의 인디케이터(23)를 수용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2에 도시한 어느 한쪽의 끼워 맞춤 부재(20)를 회전시키면서 떼어내고, 구금부(19)를 떼어내고, 케이스 본체(18) 내에 적응하는 종류의 인디케이터(23)를 수용하고, 다시 이 구금부(19)와 끼워 맞춤 부재(20)를 케이스 본체(18)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케이스 본체(18) 내부는, 각각의 O링(21)에 의해 밀봉되고, 내부에 수용된 인디케이터(23)는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의 관로와 대략 마찬가지인 설정 조건 또는 멸균 처리에 의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조건에 의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내장물이 끼워지지 않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3)를 도1에 도시한 외부 케이스(2) 내에 바로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 부재(7)를 돌려서 체결함으로써, 외부 케이스(2)를 고정한다.
그 후에 작업자는, 도1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을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나 케이스에 수용하고, 그 트레이나 케이스를 멸균백이나 드레이프에 의해 곤포한 후, 도시하지 않은 멸균기에 수용하고, 주지의 오토클레이브 멸균 혹은 EOG 멸균의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멸균 처리로서 진공식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할 경우에는 보위ㆍ딕ㆍ데스트를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인디케이터(23)를 보위ㆍ딕ㆍ데스트용에 적합한 인디케이터에 바꿔 상기 내부 케이스(3) 내에 수용하면 좋다.
멸균 처리 종료 후, 작업자는 상기 내부 케이스(3)를 외부 케이스(2) 내에 수용하였을 경우의 반대의 순서로, 내부 케이스(3)로부터 수용되어 있는 인디케이터(23)를 취출하고, 멸균 처리의 효과를 확인한다.
이 경우, 상기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1)은, 이 내부 케이스(3) 내의 조건(온도나 가스 농도)이 멸균 처리를 행한 내시경의 관로 내부의 조건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인디케이터(23)에 의해 실제의 멸균 처리한 내시경에 있어서의 멸균 효과와 같은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맞추어, 상기 후단부 부재(17)의 체크 밸브(17A)의 유무를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즉,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이 가요관과 관로(채널) 사이에 증기를 넣어서 멸균 처리하는 타입이면, 상기 체크 밸브(17A)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증기 진입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3) 내의 관로[제1, 제2 튜브(22A, 22B)의 관로도 포함함]와 외부 케이스(2) 내 및 제1, 제2 가요관(4A, 4B) 내의 영역을 상기 증기 진입 구멍에 의해 외부와 연통시켜 멸균 처리를 행한다.
또한, 반대로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이 가요관과 관로(채널) 사이에 증기를 넣지 않고 멸균 처리하는 타입이면, 상기 체크 밸브(17A)를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3) 내의 관로[제1, 제2 튜브(22A, 22B)의 관로도 포함함]와 외부 케이스(2) 내 및 제1, 제2 가요관(4A, 4B) 내의 영역을 음압시에만 외부와 연통시켜 멸균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상당하는 구성의 테스트 팩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에 대한 멸균 효과와 대략 같은 멸균 효과를 얻고, 멸균 효과의 확인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대한 내시경용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2개의 튜브를 수용하는 단일인 튜브 수용부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 도3 내지 도10을 참조하면서 본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인디케이터를 수용한 내부 케이스(33)(도3에서 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26)와,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도3에서 도시 생략)를 수용한 튜브 수용부(27)와, 멸균 가스의 도입 전에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및 튜브 수용부(27)의 내부 공간, 즉 내부 케이스(33)의 주위 및 제1, 제2 튜브(후술)의 주위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하기 위한 체크 밸브(28)와, 튜브 수용부(27)와 외부 케이스(26)를 대략 기밀로 연결하는 접속부(29)를 구비한다.
도4는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외부 케이스(26) 내에 내부 케이스(33)와, 내부 케이스(33)를 유지하는 유지부(34)와, 멸균 가스의 누출을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35)를 구비한다. 또한, 튜브 수용부(27)는 접속부(29)를 통해 내부 공간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접속되고,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를 삽입 관통한 가요관(37)과,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에 대해 멸균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가스 도입구(40a, 41a)를 구비한 가스 도입부(40, 41)와, 가요관(37)의 말단부와 접속되고, 가요관(37) 내부의 공극 부분(후술)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동시에 가스 도입부(40, 41)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선단부(42)를 구비한다.
가요관(37)은 가요성을 갖고, 굽힘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양쪽을 삽입 관통하는 관로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가요관(37)에 형성되는 관로의 내부 직경은 제1 튜브(38)의 외표면 및 제2 튜브(39)의 외표면과, 가요관(37) 내표면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제1 튜브(38) 등의 외부 직경보다도 충분히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공극은 선단부(42) 등의 기능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되는 한쪽에서 접속부(29)를 통 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있고, 체크 밸브(28)의 작용에 의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할 때에, 가요관(37) 내부의 공극 부분도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되게 된다.
또한, 가요관(37)은 제1 실시예와 같이 내시경의 삽입부와 마찬가지의 형상(직경), 구조, 재질로 구성되어도 좋지만,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내벽의 온도 상승이 내시경의 삽입부를 이용하였을 경우와 같은 또는 그보다도 온도가 상승하기 어려운 것이면 다른 관 형상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튜브(22A), 제2 튜브(22B)와 같이 멸균 가스를 내부 케이스(33) 내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에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내시경에 대해 멸균 처리를 행할 때에 확실하게 멸균 처리가 행해진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튜브(38), 제2 튜브(39)는 각각 피멸균물의 내시경 내에 구비되는 관로에 대응한 구조를 갖고 있고, 인디케이터가 배치된 영역[즉, 내부 케이스(33)의 내부 영역]으로의 멸균 가스의 도달 조건이 피멸균물의 내시경에 형성된 관로의 중점과 동등 또는 보다 엄격한 조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외주와 가요관(37)의 내주 사이의 접촉성에 대해서는, 튜브의 온도 상승이나 튜브 내의 멸균 가스의 통과성 등, 멸균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으면 접촉ㆍ비접촉 중 어느 쪽의 상태라도 좋다.
외부 케이스(26)는 인디케이터를 내장한 내부 케이스(33)를 수용하는 동시 에, 멸균 가스 도입시에 내부 케이스(33)의 주위를 소정의 분위기,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케이스(26)는 내부 케이스(33)를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30)와, 수용 케이스(30)에 대해 나사 접합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덮개(31)를 구비한다. 또한, 장착시에 수용 케이스(30)와 상부 덮개(31)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O링(36)이 배치되고, 상부 덮개(31)는 O링(36)의 작용에 의해 수용 케이스(30)에 대해 대략 기밀로 고정되게 된다.
외부 케이스(26) 내에 배치된 가스 검출부(35)는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를 통해 내부 케이스(33) 내에 도입된 멸균 가스가 내부 케이스(33) 외부에 누출되었는지 여부 또는 각 부재의 기밀성이 손상되고, 의도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외부로부터 멸균 가스가 테스트 팩 내부에 침입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검출부(35)는 대상으로 하는 멸균 가스에 반응하는 화학 약품을 도포한 지표나 CI 등의 인디케이터와, 인디케이터를 수용하는 기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멸균 가스가 내부 케이스(33) 외부에 누출되었을 때에 인디케이터가 소정의 반응을 도시함으로써, 멸균 가스의 누출 및 의도하지 않은 침입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멸균 가스의 누출 및 의도하지 않은 침입의 유무는 멸균 처리마다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가스 검출부(35)는 멸균 처리가 종료될 때마다 용이하게 인디케이터를 회수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외부 케이스(26)를 구성하는 상부 덮개(31) 내 표면 상에 배치한 구 성을 채용한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수용 케이스(30)의 바닥부에 배치하였을 경우와 비교하고, 상부 덮개(31)를 수용 케이스(30)로부터 제거하였을 때에 인디케이터를 용이하게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외부 케이스(26) 상에 배치된 체크 밸브(28)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체크 밸브(28)는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을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시키는 동시에 대략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의 멸균 처리는 내시경(및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이 투입된 멸균기 내의 소정의 공간 영역(즉, 챔버 내)을 한번 진공화한 후에 챔버 내에 멸균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체크 밸브(28)는 외부 케이스(26)의 내부로부터 외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기체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지므로, 멸균 처리시에 행해지는 진공화 공정시에 외부 케이스(26) 내의 기체를 외부 공간으로 방출함으로써 대략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고, 진공화 후에 챔버 내에 멸균 가스가 도입될 때에는 밸브가 폐쇄됨으로써,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및 튜브 수용부(27)의 내부 공간을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5는 체크 밸브(28)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28)는 외부 공간과 외부 케이스(26)[수용 케이스(3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44)와, 본체 케이스(44)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대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스톤 본체(45a)를 구비한 피스톤(45)과, 피스톤(45)에 대해 외부 케이스(26)[수용 케이스(30)]에 근접하는 방향(도5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탄발력을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46)와, 피스톤(45)의 일부이며, 스프링 부재를 배치시키기 위한 스프링 고정 부재(45b)와, 밸브를 폐쇄하였을 때에 피스톤(45)과 본체 케이스(44) 사이를 대략 기밀로 유지하기 위한 O링(47)을 구비한다.
피스톤 본체(45a)는 O링(47)을 배치하는 홈이 형성된 굵은 직경부와, 굵은 직경부보다도 작은 외부 직경을 갖고, 단부에 스프링 고정 부재(45b)를 나사 고정 가능한 가는 직경부를 구비하고, 가는 직경부의 주위에는 스프링 부재(46)가 배치된다. 스프링 고정 부재(45b)는 중앙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피스톤 본체(45a)의 단부에 나사 고정 고정된다. 피스톤 본체(45a)의 가는 직경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46)의 압박력량은 체크 밸브(28)가 임의인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역량으로 설정된다. 본체 케이스(44)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은 피스톤 본체(45a)의 굵은 직경부의 위치에 대응한 제1 공간과, 스프링 부재(46)가 배치되는 부분인 제2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제1, 제2 공간 사이는 피스톤 본체(45a)의 가는 직경부가 삽입 관통 가능하며, 굵은 직경부가 삽입 관통 불가능한 내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스프링 부재(46)는 제2 공간에 의해 스프링 고정 부재(45b)와 본체 케이스(44)에 끼워져 있던 모습으로 배치된다. 외부 공간의 압력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대해 동등 또는 높은 값을 가질 경우에는, 피스톤(45)은 스프링 부재(46)에 의해 외부 케이스(26)측으로 압박됨으로써,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44)에 형성된 제1 공간의 경사면과 O링(37)이 밀착되고, 외부 공간과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사이의 연통 상태를 차단한다. 통상은 이 차단한 상태(밸브가 폐쇄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멸균 가스 도입에 앞선 진공화 공정 시에는 피스톤이 외부 공간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공간의 경사부와 O링(47)과의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밸브가 개방한 상태). 도6은 이러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진공화 공정 시에는, 외부 공간에서는 소정의 진공 펌프 등의 작용에 의해 기체가 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보다도 압력이 낮아진다. 이로 인해, 피스톤(45)에 작용하는 외력으로서는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의 압력이 우세해지고, 피스톤(45)은 외부 공간 방향(도6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본체 케이스(44)에 형성된 제1 공간의 경사부와 O링(47)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고, 관통 구멍과 피스톤(45) 사이의 공극 부분을 통해 외부 공간과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이 연통한다. 외부 공간에 대해서는 진공화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외부 케이스(26) 내부의 기체는 공극 부분을 통과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고,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은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멸균기에 의한 멸균 처리에서는 진공화 공정이 완료된 후에 멸균 가스의 도입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 시에는 외부 공간의 압력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의 압력(대략 진공 분위기)보다도 큰 값을 가지므로, 피스톤(45)은 본체 케이스(44)에 형성된 제1 공간의 경사부와 O링(47)이 밀착한 상태(즉, 도5에 도시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외부 공간과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는 일은 없고,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일단 형성된 대략 진공 분위기는 멸균 가스 도입 공정 사이도 유지된다.
다음에, 외부 케이스(26) 내에 수용된 내부 케이스(33)에 대해 설명한다. 내부 케이스(33)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부 케이스(3)와 같이 피멸균물인 내시경에 의해 멸균 처리가 적절하게 행해진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내부에 유지하고, 이러한 인디케이터에 대해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를 통해 멸균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도7은 내부 케이스(33)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33)는 인디케이터(49)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50)와, 케이스 본체(5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덮개(51)와, 케이스 본체(50)와 덮개(51)를 대략 기밀적으로 시일하는 O링과, 케이스 본체(50) 내부와 제1 튜브(38), 제2 튜브(39)를 연통하기 위한 접속부(52, 53)를 구비한다. 접속부(52, 53)는, 대략 기밀적으로 케이스 본체(50)에 대해 고정된다.
덮개(51)는 케이스 본체(50)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덮개(51)의 내부 케이스 본체(50)와 접속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본체(50)의 대응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접합함으로써 덮개(51)는 케이스 본체(50)에 장착된다. 또한, 덮개(51)는 후술하지만 케이스 본체(50)에 마련된 O링과의 밀착면도 갖는다.
다음에, 케이스 본체(50)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케이스 본체(50)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0)는 덮개(51)를 장착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 외에, 대략 기밀적으로 시일하기 위한 O링과, 평판형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터(49)의 유지 부분을 갖는다. 또한,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 근방에는 슬릿(50a)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50a)을 통해 인디케이터(49)가 케 이스 본체(50) 내의 공간에 대해 삽입 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유지부(34)에 대해 설명한다. 유지부(34)는 내부 케이스(33)를 외부 케이스(26)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도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6)를 구성하는 수용 케이스(30) 내표면에 대해 고정되는 동시에, 내부 케이스(33)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9는 유지부(34)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34)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유지부 본체(34a)의 상하로 핀(34b, 34c)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핀(34b)에는 내부 케이스(33)를 삽입하기 위한 케이스 삽입부(34d)가 형성되는 것 외에, 유지부 본체(34a), 핀(34b, 34c)의 각각에는 적당하게 통기구(34e)가 형성된다. 또한, 도4의 유지부(34)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삽입부(34d)의 내면에는 위치 결정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핀(34b, 34c)은 외부 직경이 수용 케이스(30)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값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지부(34)는 수용 케이스(30)에 대해 간극 없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유지부(34)는 수용 케이스(30)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삽입부(34d)는 내부 케이스(33)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50)의 판형 부분에 대응하여 슬릿형으로 형성되고, 판형 부분이 케이스 삽입부(34d)에 삽입되어 접착 고정됨으로써 내부 케이스(33)는 유지부(34)에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 형태는 인디케이터(49)의 도입 및 취출시에 이점을 갖는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33)를 구성하는 덮개(51)는 나사 접합에 의해 케이스 본체(50)에 대해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착탈시에 덮개(51)는 주위 방향의 힘을 케이스 본체(50)에 대해 미치게 되지만, 케이스 본체(50)는 슬릿형으로 형성된 케이스 삽입부(34d)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주위 방향의 힘에 의해 케이스 본체(50)가 회전하는, 소위 공회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에 대해 접속부(52, 53)를 통해 제1 튜브(38), 제2 튜브(39)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공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제1 튜브(38) 등의 손상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기구(34e)는 유지부(34)를 수용 케이스(30) 내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용 케이스(30) 내에서 폐쇄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유지부(34)를 구성하는 유지부 본체(34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내부에 공극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공극 부분이 폐쇄 공간을 형성한 경우에는, 체크 밸브(28)에 의한 기체 배출 동작이 행해졌다고 해도, 폐쇄 공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없고, 그 결과 테스트 팩 내의 압력 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공간 영역으로 양호한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통기구(34e)를 각 부분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유지부(34)의 높이 및 내부 케이스(33)를 케이스 삽입부(34d) 내에 삽입하는 양 등은 임의로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유지부(34)에 유지된 내부 케이스(33)의 구성 요소된 덮개(51)의 상단부가 수용 케이스(30)의 개구 부분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유지부(34)의 높이 및 내부 케이스(33)를 케이스 삽입부(34d)에 삽입하는 양 등을 미리 정한다. 또 한, 케이스 삽입부(34d)의 내면에 위치 결정용의 돌출부를 설치해 두면 조립이 용이하다.
도10은 외부 케이스(26)를 구성하는 상부 덮개(31)를 수용 케이스(30)로부터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상부 덮개(31)를 제거할 때에는, 수용 케이스(30) 내에 수용된 내부 케이스(33)의 구성 요소된 덮개(51)의 상단부가 수용 케이스(30)의 개구 부분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유지부(34) 및 내부 케이스(33)의 구조가 정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멸균 처리 완료 후, 내부 케이스(33)에 수용된 인디케이터(49)를 취출할 때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덮개(51)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덮개(51)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각 부는 대략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서로 조립되어 있고, 외부 케이스(26)의 상부 덮개(31)와 내부 케이스(33)의 덮개(51)만, 수용 케이스(30) 및 케이스 본체(50)에 대해 착탈이 가능해지고 있다.
다음에,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사전에 내부로, 대상으로 하는 멸균 장치의 멸균 효과를 확인하는 화학적인 혹은 생물학적인 인디케이터(49)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우선, 상부 덮개(31)를 수용 케이스(30)로부터 나사 회전하여 떼어내고, 또한 내부 케이스(33)의 덮개(52)를 나사 회전하여 떼어낸다. 그러면, 내부 케이스의 슬릿(50a)이 나타나기 때문에, 슬릿(50a)에 대해 인디케이터(49)를 삽입한다. 인디케이터(49)를 내부 케이스(33) 내에 삽입한 후에는 덮개(51)를 케이스 본체(50)에 설치하고, 상부 덮개(31)를 수용 케이스(30)에 설치한다. 그때, 각각의 케이스와 덮개는 대략 기밀이 유지되도록, 또한 멸균 장치의 압력 변동에 의해 각 덮개가 떨어지지 않도록 나사 고정되게 된다. 다음에,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피멸균물인 내시경과 함께 소정의 멸균기 내에 반입되어 내시경과 동등한 조건 하에서 멸균 처리를 받는다. 그리고, 멸균 가스 도입의 전공정으로서 행해지는 진공화 공정에서는, 상술한 체크 밸브(28)의 작용에 의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및 튜브 수용부(27)의 내부 공간, 더 구체적으로는 내부 케이스(33)의 주위와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주위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시킨다. 체크 밸브(28)는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압력 조건에 의해 연통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고, 튜브 수용부(27)의 내부 공간은 접속부(29)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내는 균일한 대략 진공 상태가 된다.
그 후에 멸균 가스의 도입이 행해진다. 멸균 가스는 가스 도입구(40a, 41a)를 통해 제1 튜브(38), 제2 튜브(39)에 유입하고, 이러한 튜브를 경유한 후에 내부 케이스(33) 내에 도달한다. 내부 케이스(33)에는 인디케이터(49)가 유지되므로, 도달한 멸균 가스는 인디케이터(49)에 대해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는 체크 밸브(28)는 외부 공간과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사이를 차단하기 위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및 튜브 수용부(27)의 내부 공간에 대해서는 멸균 가스가 도입되는 일 없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된다.
그 후에 피멸균물인 내시경과 함께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멸균기로부터 취출되고, 멸균 효과의 확인이 행해진다. 즉, 외부 케이스(26)를 구성하는 상부 덮개(31) 및 내부 케이스(33)를 구성하는 덮개(51)가 각각 제거되고, 내부 케이스(33) 내에 수용된 인디케이터(49)가 취출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49)의 멸균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피멸균물인 내시경이 충분히 멸균된 것인지 여부가 판정되게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49)의 확인과 동시에, 가스 검출부(35)에 있어서의 멸균 가스의 누출, 의도하지 않은 침입의 유무에 대해서도 조사할 수 있어, 멸균 가스 도입시에 내부 케이스(33)의 주위 등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던 것인지 여부의 확인도 행해진다.
다음에, 본 제2 실시예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내시경과 함께 멸균기 내에서 멸균 처리를 행함으로써, 내시경 내부를 직접적으로 검증하는 일 없이 내시경이 충분히 멸균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피멸균물인 내시경에 형성된 관로로 동등한 구조를 갖는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를 경유하여 내부 케이스(33)에 멸균 가스를 도입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33)에 대한 멸균 가스의 도달 조건은 내시경에 구비되는 관로의 중점에 있어서의 도달 조건과는 거의 동등한 것이 된다. 따라서, 내부 케이스(33) 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49)는 내시경의 관로 중점과 거의 동등한 조건에서 멸균 가스가 도달하게 되고, 인디케이터(49)의 반응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내시경(더 구체적으로는 가장 멸균되기 어려운 부분인 내시경의 관로 중점)의 멸균 상황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체크 밸브(28)의 작용에 의해 멸균 가스 도입시에 내부 케이스(33)의 주위가 대략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부 케이스(33)에 수용된 인디케이터(49)의 온도는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를 경유하여 도입된 멸균 가스만으로 변화하게 되고, 더 정확하게 내시경에 형성된 관로의 멸균 환경과 동등 또는 보다 엄격한 멸균 환경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멸균 처리는 소정의 고온 조건 하에서 멸균 가스 분위기에 노출됨으로써 행해지고 있고, 멸균 처리를 충분히 행하기 위해서는 피멸균물을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내부 케이스(33)까지의 열전달 효율이 피멸균물인 내시경의 관로 중점에 관한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열전달 효율보다도 높아졌을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33) 내에 배치한 인디케이터(49)는 관로 중점보다도 보다 완만한 멸균 환경에 놓여지게 되고, 내시경의 멸균 상황의 판정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내부 케이스(33)는 인디케이터(49)를 수용하기 위해 내시경의 관로보다도 큰 표면적을 갖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내부 케이스(33)의 주위에 기체 등의 열전달 물질이 잔존하였을 경우에는 내시경의 관로보다도 높은 열전달 효율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멸균 가스를 도입할 때에 내부 케이스(33)의 주위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는 구조를 채용한다. 주지대로 대략 진공 분위기는 매우 우수한 단열성을 나타내므로, 내부 케이스(33)에 대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직접적으로[즉,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를 통과한 멸균 가스에 의하지 않고] 행해지는 열전달을 거의 무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열전달 효율의 관점으로부터도 내시경에 구비되는 관로와 거의 동등 또는 보다 엄격한 멸균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복수의 튜브를 단일의 튜브 수용부(27)에 수용한 구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도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한 외관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있어서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가 단일의 튜브 수용부(27)에 수용된 것에 대응하고, 멸균 가스 도입시에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주위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는 구조를 채용한다. 여기에서, 튜브끼리 근접하면 열전달의 면에서 서로 영향을 서로 미치게 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멸균 가스 도입시에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양쪽의 주위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함으로써, 제1 튜브(38)와 제2 튜브(39) 사이 등으로 열전달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서로의 관로의 열전달이 영향을 주지 않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있어서의 멸균 환경을 내시경보다도 엄격한 환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신뢰도가 높은 멸균 상황의 판정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에 관한 멸균 가스의 유입을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35)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상술의 설명보다 명백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33)가 배치되는 외부 케이스(26)의 내부는 멸균 가스 도입 시에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26)의 기밀성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등에는, 진공화 공정시에 체크 밸브(28)의 작용에 의해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된 후, 멸균 가스 도입 시에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에 멸균 가스가 유입되고, 대략 진공 분위기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대략 진공 분위기가 파괴된 경우에는 전술의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의한 내시경의 멸균 상황 판정에 대한 신뢰성도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멸균 가스의 유입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가스 검출부(35)를 배치하고, 가스 검출부(35)에 의해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에 대한 멸균 가스의 유입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다른 테스트 팩을 이용하여 내시경의 멸균 처리를 다시 행하는 등의 대처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결과, 경시적인 열화 등에 의해 만일 외부 케이스(26)의 구조 등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라도,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조속히 문제점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1 변형예)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1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멸균 가스 도입 시에 외부 케이스(26)의 내부 공간 및 튜브 수용부(27)[환언하면, 내부 케이스(33), 제1 튜브(38) 및 제2 튜브(39)의 주위]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기구를 새롭게 구비한 다.
도11은 이러한 기구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의 구성 요소된 수용 케이스(55)에는 상부 덮개(31)와의 접속 부분 이외에 외부 공간으로 연통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본 제1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이러한 관통 구멍을 연성 시트(56)가 대략 기밀적으로 접착 고정됨으로써 덮는 구조를 갖는다.
연성 시트(56)는 수용 케이스(55) 내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진공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성 시트(56)는 기밀성을 갖는 유연한 시트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외부 공간과 수용 케이스(55)의 내부 공간 사이의 기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한편, 외부 공간의 압력과 수용 케이스(55)의 내부 공간의 압력 사이의 대소 관계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하는 성질을 갖는다. 연성 시트(56)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수용 케이스(55)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12는 멸균 처리가 완료되어 본 제1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을 멸균기로부터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각 구성 요소가 정상에 기능한 경우에는, 상술한 체크 밸브(28)의 작용에 의해 수용 케이스(55)의 내부 공간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고, 이러한 대략 진공 분위기는 수용 케이스(55)와 함께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부 덮개(31)를 제거하지 않는 한 유지되게 된다. 이로 인해,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을 멸균기 로부터 취출하여 상압 조건 하에 두었을 때에는, 외부 공간의 압력이 수용 케이스(55)의 내부 공간의 압력보다도 높은 값이 되고, 이러한 압력차에 따라 연성 시트(56)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보아 오목부 모양으로 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성 시트(56)의 형상을 확인함으로써 대략 진공 분위기가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관한 멸균 처리 공정이 적절하게 행해진 것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2 변형예)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튜브 수용부(27)를 나선 상태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구를 새롭게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도13은 본 제2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 변형예에서는 튜브 수용부(27)의 외관 형상을 나선형으로 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구(58)를 새롭게 구비한다.
도14는 유지구(58)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구(58)는 튜브 수용부(27)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로(58c)가 형성된 복수의 삽입 관통부(58a)와, 인접하는 삽입 관통부(58a)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58b)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유지구(58)에 대해, 관로(58c)에 튜브 수용부(27)를 삽입 관통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 수용부(27)를 나선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3에 도시한 상태로 튜브 수용부(27)를 유지함으로써, 멸균기의 내부 등에 있어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점유 영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튜브 수용부(27)가 한결같이 연신한 구조의 경우와 비교하여 취급이 용이해지는 등의 이점도 갖는다.
(제3 변형예)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변형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제2 변형예와 같이 튜브 수용부(27)를 나선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구비한다. 도15는 이러한 유지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즉,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3 변형예에서 이용되는 유지구는 상측 링 부재(59)와, 하측 링 부재(60)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61)에 형성된 구멍부에 튜브 수용부(27)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튜브 수용부(27)를 나선 상태로 유지한다.
도16은 지지부(61)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61)는 양단부가 각각 상측 링 부재(59) 및 하측 링 부재(60)에 대해 고정되고, 양단부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U자 구조가 배열된 구조의 수용 부재(62)와, 일단부가 상측 링 부재(59)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하측 링 부재(60)에 대해 착탈 가능해지도록 형성된 막대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압축 부재(63)를 갖는다.
본 제3 변형예에서는 튜브 수용부(27)의 유지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압축 부재(63)가 하측 링 부재(60)로부터 떼어낸 상태(즉, 도16에 도시한 상태)로 튜브 수용부(27)를 나선 상태가 되도록 수용 부재(62)에 형성된 U자 구조에 적당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압축 부재(63)의 타단부를 하측 링 부재(60)에 대해 고정함으로써, U자 구조의 개구측을 폐쇄하고, 튜브 수용부(27)가 U자 구조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으로, 튜브 수용부(27)의 유지 상태가 형성되고, 제2 변형예의 경우와 같이, 튜브 수용부(27)는 나선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소정의 밀폐 케이스 내에 튜브를 유지하고, 멸균 가스 도입시에 관한 케이스 내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도17은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튜브를 수용하는 케이스(65)와,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을 대략 진공 분위기로 하기 위한 체크 밸브(66)와, 내부 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케이스(65)와 함께 청구 범위에 있어서의 외장재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캡(67)과, 튜브에 대해 멸균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가스 도입부(68)와,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연성 시트(69)를 구비한다.
도18은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65)의 내부에는 튜브(70)가 배치되고, 케이스(65)의 외부이며, 사용시에는 캡(67)에 의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되는 영역에는 내부 케이스(71)와, 튜브(70)와 내부 케이스(71)를 연통시키기 위한 접속부(72)가 배치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가스 도입부(6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입력된 멸균 가스 를, 튜브(70)를 통해 내부 케이스(71) 내에 도입하게 된다.
다음에, 캡(67), 내부 케이스(71) 및 접속부(72)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9는 캡(67), 내부 케이스(71) 및 접속부(72)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캡(67)은 내부 케이스(71)를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멸균 처리에 있어서의 진공화 공정 및 멸균 가스 도입 공정의 양쪽을 통해 내부 케이스(71)의 주위를 외부 공간에 대해 대략 기밀로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캡(67)은 접속부(72)와 접속하는 측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이러한 개구부 근방에 접속부(72)와 나사 접합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고, 케이스(65)와 접촉하는 부분에 시일 부재(67a)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시일 부재(67a)는 변형 용이한 부재, 예를 들어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캡(67)의 개구부 주연부를 덮도록 링 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65)에 관한 접촉 부분에 시일 부재(67a)를 배치함으로써, 캡(67)을 접속부(72)에 대해 나사 접합하였을 때에, 캡(67)을 케이스(65)에 대해 대략 기밀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캡(67)의 내부 공간, 즉 내부 케이스(71)의 주위를 외부 공간에 대해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부 케이스(71)는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73)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케이스(71)는 인디케이터(73)를 유지하는 공간 영역을 내부에 갖는 동시에 접속부(72)에 대해 나사 접합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고, 나사 접합하였을 때에 접속부(72)와 접촉하는 부분에 시일 부재(71a)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시일 부재(71a)를 가지므로, 내부 케이스(71)는 접속부(72)에 대해 나사 접 합하였을 때에, 접속부(72)에 대한 접촉 부분이 대략 기밀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65)[및 접속부(72)]에 대한 캡(67)의 기밀 방법 및 접속부(72)에 대한 내부 케이스(71)의 기밀 방법은, 예를 들어 탄성 부재의 O링을 기밀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나사 접합할 때에 0링을 변형시켜서 각각의 부재를 밀착시키는 기밀 방법으로도 좋다.
도20은 내부 케이스(71)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71)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부 케이스(33)와 같이 나사 홈이 형성된 영역 근방에 인디케이터(73)가 출입하기 위한 슬릿(71b)이 형성되고, 시트 형상의 인디케이터(73)를 수용하는 부분은 판형으로 형성된다.
접속부(72)는 튜브(70)와 내부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내부 케이스(71)의 주위, 즉 캡(67)의 내부 공간과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72)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70)의 단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의 접속용 돌기(72a)가 형성된다. 또한, 접속부(72)에는 튜브(70)의 단부에 접속용 돌기(72a)가 대략 기밀적으로 삽입ㆍ고정된다. 튜브(70)와 접속용 돌기(72a)는 접착제에 의해 대략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내부 케이스(71)가 접속부(72)에 대해 나사 접합하였을 때에 튜브(70)의 내부와 내부 케이스(71)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72d)과, 캡(67)이 접속부(72)에 대해 나사 접합하였을 때에 캡(67)의 내부 공간과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72e)이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접속부(72)는 튜브(70)를 경유한 멸균 가스를 내부 케이스(71) 내에 도입 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67)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의 압력으로 동일한 값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가스 도입부(68)에 대해 설명한다. 도21은 가스 도입부(68)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도입부(68)는 튜브(70)의 단부[접속부(72)와 접속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접속용 돌기(68a)가 형성되고, 접속용 돌기(68a)가 튜브(70)의 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70)와 외부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68b)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튜브(70)와 접속용 돌기(68a)는 대략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양자간은 접착제에 의해 대략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관통 구멍(68b)이 형성됨으로써, 튜브(70)는 외부 공간과 연통하고, 멸균 가스 도입시에는 외부 공간으로부터 멸균 가스를 받아들여서 내부 케이스(71)에 대해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스 도입부(68)에 형성된 관통 구멍(68b)의 직경은 튜브(70)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70)는 내시경 내부의 관로를 모의한 관로 구조가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케이스(65) 내부에 있어서의 튜브(70)와의 접촉성에 대해서는, 튜브(70)의 온도 상승이나 튜브(70) 내의 멸균 가스의 통과성 등 멸균 효과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으면, 접촉ㆍ비접촉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다음에, 연성 시트(69)에 대해 설명한다. 연성 시트(69)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성 시트(56)와 같이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22는 연성 시트(69)의 구성에 대 해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65)[본 실시예에서는, 도17에 도시한 덮개(65b) 상]에는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연성 시트(69)는 이러한 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케이스(65)에 대해 대략 기밀적으로 고정된다. 연성 시트(69)는 유연하고 또한 기밀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외부 공간의 압력과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의 압력 사이의 대소 관계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도23은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을 멸균기로부터 취출하였을 때 연성 시트(69)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멸균기의 챔버 내가 진공화됨으로써 케이스(65)의 내부 공간[및 캡(67)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이 설계대로 기능하면, 상압이 되는 외부 공간의 압력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된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의 압력보다도 높은 값이 되고, 연성 시트(69)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보아 형상이 오목부 형상으로 변화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연성 시트(69)의 형상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는 것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크 밸브(66)는 제2 실시예의 체크 밸브(28)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고, 케이스(65)에 대해 대략 기밀적으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의 케이스(65)는 케이스 본체(65a)와 덮개(65b)로 구성되고, 서로 대략 기밀적으로 접착 고정되어 있고, 멸균기 내의 압력 변동에 의해 변형되는 일 없는 구조 및 소재(금속 재료 및 수지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24를 참조하면서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제1, 제2 실시예와 같이 내시경과 함께 멸균기 내에 도입되고, 멸균기의 챔버 내가 된 후에 멸균 가스가 도입된다. 이러한 진공화 공정이 행해질 때에,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체크 밸브(66)의 작용에 의해 튜브(70) 및 내부 케이스(71)의 주위가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되고, 이어서 행해지는 멸균 가스 도입시에도 이러한 대략 진공 분위기가 유지된다. 즉, 체크 밸브(66)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체크 밸브(28)와 같이 케이스(65) 내부의 압력이 외부 공간의 압력보다도 높을 경우에만 밸브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진공화 공정에 의해 외부 공간의 압력이 저하되었을 때에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기체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어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되고, 바꿔 말하면 튜브(70)의 주위가 대략 진공 분위기가 된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부(72)는 캡(67)의 내부 공간과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72e)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캡(67)을 접속부(72)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캡(67)의 내부 공간의 압력은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의 압력으로 동일한 값을 유지하게 되고, 전술의 체크 밸브(66)의 작용에 의해 케이스(65)의 내부 공간이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됨으로써, 캡(67)의 내부 공간도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되고, 내부 케이스(71)의 주위도 대략 진공 분위기가 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멸균 가스를 도입할 때에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튜브(70) 및 내부 케이스(71)의 주위는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 멸균 테스트 팩은 제1, 제2 실시예와 같이 내시경에 구비되는 관로로 동등한 구성을 갖는 튜브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멸균물인 내시경의 멸균 상황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외관 구조가 단순하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도1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은 상자 형상을 갖고 있고, 멸균기로의 반입 및 반출 등이 더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외관 구조를 실현한 경우라도, 피멸균물인 내시경의 멸균 상황의 판정에 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즉, 제2 실시예라도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71) 및 튜브(70)의 주위를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한 상태에서 멸균 가스의 도입을 행할 경우에는, 케이스(65) 및 캡(67)을 거친 열전달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도 임의인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의 케이스(65)에 대해 캡(67), 가스 도입부(68), 튜브(70), 내부 케이스(71) 및 접속부(72)를 복수만큼 배치한 구조로서도 좋다. 이러한 구조로 하였을 경우에는, 단일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의해 복수 종류의 내시경에 관한 멸균 상황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튜브(70)를 통해 멸균 가스를 내부 케이스(71)에 도입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상기 구성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제2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튜브를 통해 멸균 가스를 내부 케이스(41)에 도입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케이스(65) 내부가 대략 진공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연성 시트(69)를 케이스(65)의 일부에 설치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가스 검출부(35)의 구성을 캡(67) 내에 설치해 두면, 내부로의 멸균 가스 침입(즉, 대략 진공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성 시트(69)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실시예>
다음에,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튜브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 튜브 및 내부 케이스를 교환 가능하게 한 구조를 갖는다.
도26은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접촉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하측 케이스(75)와 상측 케이스(76)로 구성된 케이스(74)와, 하측 케이스(75)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케이스(74)를 폐쇄 상태로 하였을 때에 상측 케이스(76)의 압축으로서 기능하는 고정구(77)와, 하측 케이스(75)와 상측 케이스(76)의 각각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배치되고, 케이스(74) 내에 배치된 튜브(80)(도26에서 도시 생략)와 연통하는 가스 도입구(78e)를 구비한 가스 도입부(78)와, 케이스(74)의 내부 공간을 대략 진공 분위기로 변화시키기 위한 체크 밸브(79)를 구비한다.
도27은 케이스(74)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경우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75)의 내부에는 가스 도입부(78)와 연통하도록 튜브(80) 및 내부 케이스(81)가 배치되고, 상측 케이스(76) 내표면 상에는 멸균 가스의 누출 유무를 검출하는 가스 검출부(83)가 배치된다. 또한, 하측 케이스(75) 및 상측 케이스(76)의 양쪽에는 가스 도입부(78)를 끼워 넣기 위한 오목부(75a, 76a)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케이스(74)가 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하측 케이스(75)와 상측 케이스(76)가 접촉될 부분이 대략 기밀하게 되도록 상측 케이스(76)에 대한 하측 케이스(75)의 접촉면에는 시일 부재(82)가 배치된다.
다음에, 가스 도입부(78), 튜브(80) 및 내부 케이스(81)에 대해 설명한다. 도28은 가스 도입부(78), 튜브(80) 및 내부 케이스(81)의 상호간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도입부(78)에 대해 차례로 튜브(80) 및 내부 케이스(81)가 접속되어 있고, 가스 도입부(78)에 형성된 가스 도입구(78e)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부터 도입된 멸균 가스는 튜브(80)를 경유하여 내부 케이스(81) 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내부 케이스(81)는 인디케이터를 내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본체부와, 본체부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며, 장착하였을 때에 대략 기밀적으로 본체부에 고정되는 접속부(81a)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의 구성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부 케이스(71)의 구성과 마 찬가지이다. 접속부(81a)는 튜브(80)와 대략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본체부의 내부와 튜브(8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접속부(81a)의 구체적인 구성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접속부(92, 93)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도29는 가스 도입부(78)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도입부(78)는 오목부(75a, 76a)의 형상에 대응한 측면 형상을 갖는 본체(78a)와, 본체(78a)를 상하로부터 끼워 넣도록 형성된 원반형 부재(78b, 78c)를 구비하고, 원반형 부재(78b) 상에는 튜브(80)에 삽입 가능하며, 삽입시에 튜브(80)에 대해 기밀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의 접속용 돌기(78d)가 형성된다. 상술의 가스 도입구(78e)는 본체(78a), 원반형 부재(78b, 78d)를 관통한 관통 구멍에 의해 접속용 돌기(78d)의 선단부와 연통하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외부 공간의 멸균 가스를 튜브(80)에 대해 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체(78a)의 외주 상에는 탄성 소재에 의해 형성된 O링(78f)이 밀착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체(78a)는 오목부(75a, 76a)에 대략 기밀로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본체(78a)는, 예를 들어 케이스(74)가 폐쇄 상태가 되었을 때에 오목부(75a, 76a)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내부 직경에 삽입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의 내부 직경보다도 간신히 작은 외부 직경이며, 오목부(75a, 76a)에 의해 형성된 관통 구멍의 내부 직경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본체(78a)의 주위로 배치된 O링(78f)은 오목부(75a, 76a)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구멍보다도 큰 외부 직경을 갖지만, O링(78f)은 탄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변형하고, 오목부(75a, 76a)에 의해 형성된 관통 구멍의 내부 직경의 전체 주위에 걸 쳐서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가스 도입부(78)를 배치하였을 때에 본체(78a)와 오목부(75a, 76b)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 없이, 대략 기밀적으로 본체(78a)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78a) 전체를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지만, 이 경우에는 본체(78a)의 외부 직경을 오목부(75a, 76a)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구멍의 내부 직경보다도 간신히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이러한 구조에 의해 O링(78f)을 생략할 수 있음]. 더 바람직하게는, 본체(78a)는 오목부(75a, 76a)와 접촉하는 부분의 근방만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관통하는 가스 도입구(78e)는 경질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조로 한 경우에는 오목부(75a, 76a)에 대해 끼워 넣을 때 본체(78a)는 외주 근방만이 변형되게 되고, 관통 구멍이 형성된 중앙부에서는 처음의 형상이 유지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형상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78a)의 모재를 탄성 부재로 하여 관통 구멍의 주변을 금속 부재에 의해 보강하는 구조로서도 좋다.
다음에, 가스 검출부(83)에 대해 설명한다. 도30은 가스 검출부(83)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가스 검출부(83)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검출부(35)와 같이 케이스(74)의 내부 공간에 멸균 가스가 침입한 것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검출부(83)는 상측 케이스(76) 내 표면 상에 배치된 수용부(85)와, 수용부(85)에 대해 수용된 인디케이터(86)에 의해 형성된다. 체크 밸브(79)의 구성은, 제2 실시예의 체크 밸브(28)와 동일 구조이다.
다음에,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이점, 특히 멸균 상황의 판정에 관해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케이스(74)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어떠한 문제점이 생겼을 경우에 케이스(74)를 개방 상태로서 내부에 수용된 튜브(80) 등을 용이하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취급 이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범용성에 관한 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케이스(74)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예를 들어 그와 다른 내시경에 대해 멸균 처리를 행할 경우에는, 새로운 내시경에 대응한 튜브를 준비하고, 거기까지의 튜브와 교환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다양한 구조의 내시경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넓은 범용성을 가진다는 이점이 생긴다.
(변형예)
다음에,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대해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을 제1, 제2 실시예와 같이 내부 케이스에 대해 2개의 튜브를 통해 멸균 가스가 도입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제4 실시예와 다른 것은 가스 도입부, 튜브 및 내부 케이스뿐이며, 이들 이외는 제4 실시예와 같은 것을 유용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31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가스 도입부(88), 제1 튜브(89), 제2 튜브(90) 및 내부 케이스(91)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도입부(88)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도입부(78)와 같이 본체(88a) 및 원반형 부재(88b, 88c)를 구비하는 한편, 제1 튜브(89), 제2 튜브(90)의 각각에 대응하여 가스 도입구, 접속용 돌기 및 양자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각각 도31에 있어서 도시 생략)을 복수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제1 튜브(89) 및 제2 튜브(90)는,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같은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길이로 한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91)가 위치하는 영역은 피멸균물인 내시경의 관로의 중점에 대응하게 된다. 즉, 제1, 제2 실시예와 같은 관로 구성이 된다.
도32는 내부 케이스(91)와, 내부 케이스(91)에 대해 제1 튜브(89), 제2 튜브(90)를 각각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92, 93)의 구조에 대해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93, 92)는 각각 제1 튜브(89), 제2 튜브(90)에 대해 내부가 연통한 상태에서 고정 부착하는 한편으로, 내부 케이스(91)에 대해서는 나사 접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내부 케이스(91)는 이러한 나사산에 대응한 나사 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접속부(92, 93)와 접촉하는 부분에 시일 부재(91b, 92b)가 각각 배치된 구성을 갖고, 나사 접합하였을 때에 대략 기밀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4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제1, 제2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튜브를 통해 내부 케이스에 멸균 가스를 도입하는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3은 가스 도입부(88)의 외관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가스 도입부(88)는 본체(88a)의 주위로 O링(88f)이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제1 튜브(89), 제2 튜브(90)에 대해 멸균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가스 도입구(88g, 88h)가 형성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튜브를 통해 단일의 내부 케이스에 대해 멸균 가스를 도입하는 구성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이 외에도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를 복수 설치한 것에 대응하여 내부 케이스도 복수 배치하고, 각각의 내부 케이스에 대해 단일의 튜브를 통해 멸균 가스가 도입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단일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에 의해 복수 종류의 내시경에 관한 멸균 상황의 판정이 가능해지는 등의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75a, 76a)를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가스 도입부(78), 튜브(80) 등을 복수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동시에 복수 종류의 내시경에 관하여 멸균 상황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75a, 76a)를 복수 설치한 구조로 가스 도입부(78) 등을 대충 사용할 경우에는, 가스 도입부(78)의 끼워 넣기에 사용되지 않는 오목부(75a, 76a)에 관해서는 소정의 패킹 등을 배치함으로써 대략 기밀 상태를 확보한다.
[부기]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구성을 얻을 수 있다.
(1)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출입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와,
일단부가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2) 상기 외장재는,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와, 이 외부 케이스에 연통되고, 상기 튜브의 일부를 삽입 관통 가능한 가요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3) 상기 튜브의 일단부는, 상기 외장재의 밖으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4)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과 상기 외장재와의 공간이 대략 기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5) 상기 내부 케이스 및 튜브는, 상기 멸균 처리를 행할 때 소정의 내시경의 관로에 대해 상기 외장재 내의 상기 멸균 처리에 수반하는 조건이 동일, 또는 멸균 처리에 대해 보다 시간을 요하는 조건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6)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2개의 제1, 제2 튜브가 접속되고, 이들 제1, 제2 튜브는 그 길이가 대략 동일하게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7) 상기 제1, 제2 튜브는, 그 직경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6)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8)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를 출납 가능하게 대략 기밀로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에 대략 기밀로 부착할 수 있고, 상기 튜브를 덮는 가요관과, 상기 튜브의 개구부에 설치한 단부 부재를 갖고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9) 상기 가요관은, 상기 외부 케이스에 대략 기밀로 접속되는 2개의 제1, 제2 가요관을 갖고, 상기 제1 가요관은 그 기단부에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갖는 선단부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2 가요관은 그 단부에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체크 밸브 또는 기체의 통기구를 갖는 후단부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10) 상기 인디케이터는 화학적 인디케이터 혹은 생물학적 인디케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11) 상기 멸균 처리는 멸균기의 챔버 내의 공기를 다른 기체로 치환하여 행해지는 멸균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12) 상기 멸균기의 음압 공정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주위 및 상기 튜브의 주위의 공기를 배출하는 동시에, 공기의 배출 후에 그 상태를 유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내시경용 테스트 팩.
본 발명의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은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에 상당하는 구성의 테스트 팩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의 멸균 효과와 대략 같은 멸균 효과 를 얻고, 멸균 효과의 확인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멸균 처리하는 내시경의 타입에 맞춰 구성하면 각종의 내시경의 멸균 효과의 확인을 행하는 데도 유효하다.

Claims (10)

  1.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출입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와,
    일단부가 멸균 가스 도입용으로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재는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튜브의 일부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와, 이 외부 케이스에 연통되고, 상기 튜브의 잔부를 삽입 관통한 튜브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용부는 내부에 삽입 관통한 상기 튜브의 잔부의 외표면에 대한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열전달 효율이 멸균 처리 대상이 된 내시경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에 대한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열전달 효율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낮은 효율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튜브를 통한 멸균 가스 도입시에 상기 내부 케이스 주위를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용부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기밀로 접속되는 2개의 제1, 제2 가요관을 갖고, 상기 제1 가요관은 그 기단부에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갖는 선단부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제2 가요관은 그 단부에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체크 밸브 또는 기체의 통기구를 갖는 후단부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내부 케이스에 대해 2개 배치되고,
    상기 튜브 수용부는 2개의 상기 튜브를 삽입 관통하는 단일의 가요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용부는 가요성을 갖고 굽힘 가능한 가요관에 의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연신한 상기 튜브 수용부를 나선형으로 통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이 투입된 멸균기의 내부가 상기 튜브를 통한 멸균 가스 도입에 앞서 음압 상태가 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 주위의 공기를 배출하고, 공기를 배출한 상태를 멸균 가스 도입시에 유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8.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출입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와,
    일단부가 멸균 가스 도입용으로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재는 적어도 상기 튜브를 통한 멸균 가스 도입시에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튜브의 주위를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9. 멸균 처리에 의한 멸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출입 가능한 개폐 기구를 갖는 내부 케이스와,
    일단부가 멸균 가스 도입용으로 개구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연통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1개의 튜브와,
    상기 튜브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의 일단부는 상기 외장재 밖으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10. 삭제
KR1020067013669A 2004-01-08 2005-01-11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KR100783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3505 2004-01-08
JPJP-P-2004-00003505 2004-01-08
JP2004382118A JP4276995B2 (ja) 2004-01-08 2004-12-28 内視鏡用滅菌テストパック
JPJP-P-2004-00382118 200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88A KR20060117988A (ko) 2006-11-17
KR100783991B1 true KR100783991B1 (ko) 2007-12-07

Family

ID=3475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669A KR100783991B1 (ko) 2004-01-08 2005-01-11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85383B2 (ko)
EP (1) EP1704872B1 (ko)
JP (1) JP4276995B2 (ko)
KR (1) KR100783991B1 (ko)
WO (1) WO2005065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3755A1 (ja) * 2003-12-05 2005-06-16 Olympus Corporation 滅菌確認用テスト体及びテストパック
AT9624U1 (de) * 2006-08-14 2008-01-15 Pach Helmut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s reinigungsergebnisses bei insbesondere in waschautomaten gereinigten endoskopen
US7790105B2 (en) * 2007-07-25 2010-09-07 Dana Prodicts, Inc. Sterilization challenge specimen holder
US7718125B2 (en) * 2007-07-25 2010-05-18 Dana Products Inc. Sterilization challenge specimen holder
NL2005410C (en) * 2010-09-28 2012-03-29 Wama B V Test device.
JP5494608B2 (ja) * 2011-10-06 2014-05-2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設置装置および設置方法、滅菌装置および滅菌方法。
US9017994B2 (en) 2011-10-11 2015-04-28 American Sterilizer Company Test pack to monitor effectiveness of sterilization process
KR101916889B1 (ko) * 2011-12-29 2018-11-09 코웨이 주식회사 공간에서의 살균력 실험 장치 및 그 방법
US10350318B2 (en) 2015-05-15 2019-07-16 Virender K. Sharma Method and system for steam sterilization of endoscopes
US20190046024A1 (en) * 2017-08-10 2019-02-14 Ethicon, Inc. Volume expanders for endoscopes
KR101856548B1 (ko) * 2017-08-23 2018-05-11 링크플로우 주식회사 스트리트 뷰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19044328A1 (ja) * 2017-08-31 2019-03-07 ソニー株式会社 医療用画像処理装置、医療用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医療用画像処理装置の駆動方法
GB2567901A (en) * 2017-10-31 2019-05-01 De Sternberg Stojalowski Pawel Process challenge device for evaluation of contamination forming and removal processes inside of hollow channels and methods for contamination evaluation
US10814027B2 (en) 2017-12-07 2020-10-27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Sterilization-assistance device
US10967084B2 (en) 2017-12-15 2021-04-06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Flow restrictor
CN110124147B (zh) * 2019-05-17 2022-05-03 深圳安特医疗股份有限公司 保护帽和利用保护帽对输液管进行灭菌的方法
CN111135327B (zh) * 2020-02-21 2021-04-16 江西亚中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具孔内消毒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7441A1 (en) * 2001-11-02 2003-05-08 Anthony Lemus Variable resistance sterilization process challenge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0471U1 (ko) 1987-01-10 1987-03-05 Versloot C S P
US4943414A (en) * 1987-07-30 1990-07-24 Johnson & Johnson Medical, Inc. Method for vapor sterilizaton of articles having lumens
AU5762790A (en) * 1989-11-16 1991-05-23 Pymah Corporation Integrator test pack for ethylene oxide sterilization
JP3247712B2 (ja) 1992-02-03 2002-01-21 プロッパ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形の予真空蒸気滅菌テストパック
EP0628814A1 (de) 1993-06-14 1994-12-14 Ulrich Dr. Kaiser Prüfkörpersystem zum Überprüfen der Luftentfernung und/oder Sterilisationskontrolle kompletter Chargen in Dampfsterilisatoren
US5872004A (en) * 1997-04-08 1999-02-16 Steris Corporation Test pack for assessing the efficiency of a sterilization process
GB9820029D0 (en) 1997-12-22 1998-11-04 Minnesota Mining & Mfg Sterilant challenge device for a sterilization monitoring system
US7045343B2 (en) * 1998-06-02 2006-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erilization indicator test packs
WO2005053755A1 (ja) 2003-12-05 2005-06-16 Olympus Corporation 滅菌確認用テスト体及びテストパ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7441A1 (en) * 2001-11-02 2003-05-08 Anthony Lemus Variable resistance sterilization process challenge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63245A1 (en) 2006-11-23
EP1704872A1 (en) 2006-09-27
JP4276995B2 (ja) 2009-06-10
KR20060117988A (ko) 2006-11-17
EP1704872B1 (en) 2013-05-22
US7985383B2 (en) 2011-07-26
JP2005218854A (ja) 2005-08-18
WO2005065729A1 (ja) 2005-07-21
EP1704872A4 (en)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991B1 (ko) 내시경용 멸균 테스트 팩
US8357083B2 (en) Sterilization confirmation tester and test pack
EP1132042B1 (en) Endoscope pressure equalization system
EP0352708B1 (en) Packaging for a sterilizable calibratable medical device
EP2506884B1 (en) Container for decontaminating a medical device with a fog
EP2139528B1 (en) Container for sterilisation indicator
US20120271132A1 (en) Portable measuring system having an optimized assembly space
US5868667A (en) Pressure-equalizing cap
EP1202042A2 (en) Method for measuring gas leakage from sealed packages
EP1707104B1 (en) Endoscope, endoscope system, and filter unit
JP4359612B2 (ja) 滅菌工程において滅菌剤の浸透特性を検証する工程試験器具
US6450012B1 (en) Multi-port gas leakage measurement fixture
US20210290810A1 (en) Multi-stage process challenge device, indicator system and process challenge device system
US20110250677A1 (en) Apparatus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 Sterilization Process
WO2021033864A1 (ko) 신체 부착형 생체 모니터링 장치의 멸균 포장 방법
JP2601625B2 (ja) 小径採血管のためのストッパ
US8313699B2 (en) Sterilization testing device
CN113164637B (zh) 在过程挑战装置中使用的渐缩指示物
US20130101467A1 (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steriliz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2012757A1 (en) Process challenge device (pcd) with variable sensitivity adaption
JP2572550B2 (ja) ガス流路切り替え装置、シール部材および管体装着装置
CN115666437A (zh) 从灭菌包外部确定灭菌程序的有效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