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126B1 -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 Google Patents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126B1
KR100783126B1 KR1020060052480A KR20060052480A KR100783126B1 KR 100783126 B1 KR100783126 B1 KR 100783126B1 KR 1020060052480 A KR1020060052480 A KR 1020060052480A KR 20060052480 A KR20060052480 A KR 20060052480A KR 100783126 B1 KR100783126 B1 KR 10078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cam
pair
fixing bracke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이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주 filed Critical 이근주
Priority to KR102006005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표시부를 가진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안내부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배면의 외주면에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에 안착홈을 구비한 스윙힌지캠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싱이 중심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힌지캠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스윙힌지캠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에 위치하며 양끝단이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의 안착홈에 각각 장착된 나사선형 스프링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스윙힌지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에 장착되는 덮개부와 상기 부싱에 결합하는 삽입부로 구성된 체결수단과; 상기 스윙힌지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수단과; 상기 제동수단에 탄력적인 제동력을 가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단말기의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단말기의 스윙동작을 반자동으로 구현시킬 수 있다.
스윙장치, 사점(death point), 판스프링, 볼베어링, 로울러, 스프링홀더

Description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Swing device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윙장치의 스윙힌지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윙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100'; 고정브라켓 110 ; 부싱
120 ; 걸림돌기 130 ; 고정홀더
140a, 140b ; 판스프링 141 ; 스프링홀더
150 ; 볼베어링 151 ; 로울러 152 ; 헤드부
160a, 160b, 160c ; 그루브
170 ; 로킹부 171a, 171b ; 멈춤턱
200 ; 스윙힌지캠 210 ; 안착홈
220 ; 안내부 230 ; 캠면
240a, 240b, 240c, 240d ; 캠홈 250 ; 로킹돌기
300 ; 지지플레이트
400 ; 나사선형 스프링
500 ; 체결수단 510 ; 덮개부
520 ; 삽입부
본 발명은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반자동식으로 작동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단말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취향이 점차 다양화 되어가고 정보화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 또한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이 등장하여 단말기들의 개폐동작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대폰 단말기가 보편화 되면서 최근에 DMB 서비스의 등장과 함께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역할이 점차 커짐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넓게 활용하고자 하는 구조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차로 다양한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해 다기능, 다목적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하도록 휴대폰 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가 가장 각광받고 있는 모델이다.
이밖에 주로 사용되는 휴대폰 단말기는 풀립형, 폴더형 단말기등이 있는데 플립형 단말기나 폴더형 단말기는 플립 또는 폴더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모듈에 의해 플립 또는 폴더가 본체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더 이상 힘을 받지 않아도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고,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스윙타입의 휴대폰 단말기의 경우, 스윙장치를 반자동으로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갖춤과 동시에 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구성을 갖춘 스윙장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반자동식으로 단말기를 스윙작동시켜 오픈시키는 경우 소정각도 이상의 지점 까지를 수동적으로 힘을 가해주게 되고 이를 넘어서는 지점에서 자동으로 회전이 되게 된다. 다시 말해 자동으로 동작하기 전까지는 수동적인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수동에서 자동으로 회전되는 전환점 근방에는 사점(death point)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점의 존재로 인해 힘을 가하더라도 단말기가 자동회전으로 넘어가지 않고 머무는 현상이 발생하여 단말기의 스윙동작이 부드럽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면표시부를 가진 휴대폰 단말기의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단말기를 오픈시에 사점을 제거하여 단말기의 스윙동작을 원활화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반자동식 회전력을 구비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스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표시부를 가진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안내부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배 면의 외주면에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에 안착홈을 구비한 스윙힌지캠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싱이 중심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힌지캠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스윙힌지캠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에 위치하며 양끝단이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의 안착홈에 각각 장착된 나사선형 스프링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스윙힌지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에 장착되는 덮개부와 상기 부싱에 결합하는 삽입부로 구성된 체결수단과; 상기 스윙힌지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수단과; 상기 제동수단에 탄력적인 제동력을 가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제동수단은 상기 캠면에 로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캠면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하는 로킹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킹부의 양단에는 상기 로킹돌기가 부딪혀 회전이 정지되도록 멈춤턱을 형성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캠면에 복수의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회전하는 캠면에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한쌍의 볼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복수의 고정홀더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홀더에 한쌍의 판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의 한쌍의 볼베어링이 상기 한쌍의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기의 캠홈에 삽입되 도록 구성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캠면에 복수의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회전하는 캠면에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한쌍의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복수의 고정홀더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홀더에 "ㄷ"자형 판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의 한쌍의 볼베어링이 상기 "ㄷ"자형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기의 캠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캠면에 복수의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회전하는 캠면에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라운드 타입의 한쌍의 헤드부가 결합된 한쌍의 스프링홀더를 구비하여, 상기의 한쌍의 헤드부가 상기 한쌍의 스프링홀더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기의 캠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타입 휴대폰 단말기는 키패드 등이 구비된 본체(20)와 화면표시부가 구비된 커버(10)를 연결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장치(3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100), 스윙힌지캠(200), 지지플레이트(300), 나사선형 스프링(400), 체결수단(5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정지위치를 잡아주는 제동수단과 상기 제동수단에 탄력적인 제동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의 고정브라켓(100)은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2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나사결합되며, 상기의 스윙힌지캠(200)은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10)에 마찬가지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단, 상기의 고정브라켓과 본체의 결합이나 스윙힌지캠과 커버의 결합은 나사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복수의 지지홈(310)을 가지며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복수의 지지돌기(180)와 결합되어,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회전시에 스윙힌지캠(200)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윙힌지캠(200)켜 단말기를 오픈시키는 경우 소정각도 이상의 지점까 지는 수동적으로 힘을 가해야 그 지점이상에서 자동으로 회전이 되게 된다. 다시 말해 스윙힌지캠(200)이 수동에서 자동으로 동작하기 전까지는 수동적인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수동에서 자동으로 넘어가는 지점에는 일반적으로 사점(death point)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점의 존재로 인해 힘을 가하더라도 단말기가 자동회전으로 넘어가지 않고 머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스윙동작이 부드럽지 못하다.
따라서 사점의 존재를 제거하고자 수동적인 회전력 외에 별도로 스윙힌지캠(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나사선형 스프링(400)을 장착한다. 상기 나사선형 스프링(400)은 스윙힌지캠(200)에 구비된 안내부(220)에 위치하며 양끝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걸림돌기(120)와 상기의 스윙힌지캠(200)의 배면의 안착홈(210)에 각각 장착된다.
도 3는 상기 스윙브라켓(200)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210)과 상기의 나사선형 스프링(400)이 위치하는 안내부(220)와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정지위치를 잡아주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수단(500)이 장착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덮개부(510)와 삽입부(5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 부(510)는 스윙힌지캠(200)의 안내부(220)에 장착되며 상기 삽입부(520)는 스윙힌지캠(200)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100)의 부싱(110)의 내주면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수단은 스윙힌지캠(2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스윙힌지캠(200)의 회전범위의 각도를 90도로 개폐되도록 제동하게 되며, 여기에 상기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반자동회전이 가능하도록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4b, 4c 를 통해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회전에 정지위치를 잡도록 제어하는 제동수단과 상기 제동수단에 탄력적인 제동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의 작동 상태도를 설명한다.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윙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다.
상기의 제동수단은 상기 스윙힌지캠(200)과 고정브라켓(100)의 상호작용으로 스윙힌지캠(20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배면의 외주면에 형성된 캠면(230)과 상기 캠면(230)에 형성된 로킹돌기(250)와 복수의 캠홈(240a, 240b, 240c, 240d)이 형성된다. 상기의 캠면(230)은 네 부분의 모서리를 가지며,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모서 리를 포함한 캠면 전체가 라운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에는 하부면에는 상기 로킹돌기(2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로킹부(170)와 상기 로킹돌기(250)가 부딪혀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로킹부(170)에 형성된 멈춤턱(171a, 171b)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스윙힌지캠(200)의 회전에 탄력적인 제동력과 반자동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수단이 상기의 제동수단에 구비된다.
상기의 탄성수단은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캠면을 따라 접촉하는 한쌍의 볼베어링(150)과 상기의 볼베어링(150)이 이탈없이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한쌍의 그루브(160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복수의 고정홀더(13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더(130)에 장착되어 상기 볼베어링(150)을 상기 캠홈(240a, 240b, 240c, 240d)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140a)을 포함한다.
도 4a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가 클로즈(close)된 상태인 초기위치에서의 스윙장치를 나타내는 투명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한 쌍의 볼베어링(150)은 두 곳의 캠홈(240a, 240c)에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로킹돌기(250)는 로킹부(170)의 멈춤턱(171a)에 접해서 위치한다.
판스프링(140a)은 이완상태로 고정홀더(130)에 장착되어 판스프링(140a)의 중심부에서 상기의 볼베어링(150)과 접하고 있다. 또한 나사선형 스프링(400)은 탄성력이 최대로 축적되도록 감겨진 상태로 양끝단이 스윙힌지캠(200)의 안착홈(210)과 고정브라켓(100)의 걸림돌기(120)에 장착되어 있다.
도 4b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수동으로 회전되는 상태의 스윙장치를 나타내는 투명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커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할 때, 즉 스윙힌지캠(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의 한 쌍의 볼베어링(150)은 각각 캠홈(240a, 240c)을 나와서 캠면(230)에 접한 채로 그루브(160a)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의 로킹돌기(250)는 로킹부(17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의 볼베어링(150)은 캠면(230)과 접하면서 상기의 판스프링(140a)에 힘을 가하게 되므로써 판스프링(140a)은 이완상태에서 팽창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의 스윙힌지캠(200)의 캠면(230)의 모서리가 볼베어링(150)과 접하는 지점까지 회전하게 될 때, 일반적으로 상기 지점 근방에 사점이 존재하는데 이는 나사선형 스프링(400)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의 나사선형 스프링(400)은 단말기의 클로즈(close) 상태인 초기위치에서 최대의 탄성력을 축적하고 있다가 스윙힌지캠(200)의 회전에 따라 나사선형 스프링(400)이 이완되면서 탄성력을 계속적으로 스윙힌지캠(200)에 제공하여 사점을 제거할 수 있는 회전력을 가해주게 된다.
즉 나사선형 스프링(400)은 감겨있는 태엽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스프링이 풀릴 때 탄성력으로서 스윙힌지캠(2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도 4c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가 반자동 회전하는 상태의 스윙장치를 나타내는 투명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캠면(230)의 모서리가 볼베이링(150)과 접하는 지점 이후부터는 팽창되어 있던 상기의 판스프링(140a)은 다시 이완되면서 볼베어링(150)에 탄성력을 가하고 이에 볼베어링(150)에 접하는 캠면(230)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어 자동으로 스윙힌지캠(200)은 회전이 된다.
상기 나사선형 스프링(400)은 계속되는 스프링의 이완에 따른 탄성력으로 상기 스윙힌지캠(200)에 회전력을 더해준다.
이러한 회전력은 상기의 로킹돌기(250)가 초기상태에서 90도 돌아간 지점에서 멈춤턱(171b)에 부딪히면서 제동되며, 상기의 한 쌍의 볼베어링(150)은 각각 캠홈(240b, 240d)에 삽입되면서 스윙힌지캠(200)은 탄성적인 제동을 하게 되고, 판스프링(140a)은 다시 이완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수단에 구비된 탄성수단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은 제 1실시예와 일치한다.
상기의 탄성수단은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캠면을 따라 접촉하는 한쌍의 볼베어링(150)과 상기의 볼베어링(150)이 이탈없이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160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복수의 고정홀더(130)가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더(130)에 장착되어 상기 볼베어링(150)을 상기 캠홈(240a, 240b, 240c, 240d)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140a)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캠면(230)을 따라 접촉하는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구비된 한쌍의 로울러(151)와 상기의 로울러(151)가 이탈없이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한쌍의 그루브(160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복수의 고정홀더(130)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더(130)에 장착되어 상기 로울러(151)를 상기 캠홈(240a, 240b, 240c, 240d)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ㄷ"자형 판스프링(140b)을 포함한다.
상기의 로울러(151)는 상기의 그루브(160b)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의 볼베어링(150)과 유사한 작용을 하게 되며, 로울러(151)의 구조상 상기의 볼베어링에 비해 그루브(160b)에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ㄷ"자형 판스프링(140b)은 상기의 판스프링(140a)과 유사한 작용을 하게 되는데 상기의 판스프링(140a)에 비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고정홀더(130)에 장착되므로 제작이 편리하고 조립성이 개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수단에 구비된 탄성수단과 고정브라켓(100')의 일부 구성을 제 1 실시예와는 달리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스윙힌지캠(200)의 캠면(230)을 따라 접촉하는 라운드 타입의 한쌍의 헤드부(152)와, 상기 헤드부(152)가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152)를 상기 캠홈(240a, 240b, 240c, 240d)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한쌍의 스프링홀더(141)와, 상기 스프링홀더(141)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구비된 한쌍의 그루브(160c)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52)는 상기 캠면(230)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라운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상기의 스프링홀더(141)는 상기 헤드부(152)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헤드부(152)는 볼베어링(150)이나 로울러(151)와 유사한 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홀더(141)는 판스프링(140a,140b)과 유사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판스프링(140a, 140b)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홀더(130)등이 불필요해, 보다 단순화된 탄성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윙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는 탄성수단이 구비된 제동수단을 통해 반자동식으로 단말기를 회전 작동시킬 수 있으며, 탄력적인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반자동 회전시에 스윙장치에 장착된 나사선형 스프링을 통하여 단말기를 회전시켜 열 때에 존재하는 사점을 제거하여 단말기의 스윙동작을 원활화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화면표시부를 가진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걸림돌기가 형성된 부싱이 중심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안내부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배면의 외주면에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면에 안착홈을 구비한 스윙힌지캠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스윙힌지캠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스윙힌지캠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에 위치하며 양끝단이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의 안착홈에 각각 장착된 나사선형 스프링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스윙힌지캠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부에 장착되는 덮개부와 상기 부싱에 결합하는 삽입부로 구성된 체결수단과;
    상기 캠면에 로킹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캠면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하는 로킹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킹부의 양단에는 상기 로킹돌기가 부딪혀 회전이 정지되도록 멈춤턱을 형성하여 상기 스윙힌지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수단과;
    상기 제동수단에 탄력적인 제동력을 가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캠면에 복수의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회전하는 캠면에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한쌍의 볼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복수의 고정홀더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홀더에 한쌍의 판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의 한쌍의 볼베어링이 상기 한쌍의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기의 캠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캠면에 복수의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회전하는 캠면에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한쌍의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복수의 고정홀더를 형성하고 상기의 고정홀더에 "ㄷ"자형 판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의 한쌍의 볼베어링이 상기 "ㄷ"자 형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기의 캠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캠면에 복수의 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면에 한쌍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에서 상기 회전하는 캠면에 접촉하면서 움직이는 라운드 타입의 한쌍의 헤드부가 결합된 한쌍의 스프링홀더를 구비하여, 상기의 한쌍의 헤드부가 상기 한쌍의 스프링홀더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기의 캠홈에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KR1020060052480A 2006-06-12 2006-06-12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KR100783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480A KR100783126B1 (ko) 2006-06-12 2006-06-12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480A KR100783126B1 (ko) 2006-06-12 2006-06-12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26B1 true KR100783126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480A KR100783126B1 (ko) 2006-06-12 2006-06-12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202B1 (ko) 2007-06-30 2008-12-0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축 회전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170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티케이이 휴대폰의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170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티케이이 휴대폰의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202B1 (ko) 2007-06-30 2008-12-0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축 회전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1276B2 (ja) ヒンジ装置
JP3733117B2 (ja) ダンパヒンジ
JP3923636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2006173846A (ja)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00783126B1 (ko) 스윙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윙장치
KR100991463B1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200408523Y1 (ko) 스윙 타입 휴대폰용 힌지구조체
US7530144B2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a rotatable hinge
KR20041918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KR200430930Y1 (ko) 슬라이딩 핸드폰의 디스플레이부 스윙 작동용 힌지 조립체
KR100505961B1 (ko)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56914B1 (ko) 휴대폰 단말기용 힌지모듈
KR20044410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틸팅장치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KR20070008202A (ko) 반자동 스윙힌지모듈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JP2011526764A (ja) 携帯端末機用スイング式カバー開閉装置
KR100668986B1 (ko) 스윙 타입 휴대폰용 힌지구조체
KR10086723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스윙 장치
JP3593318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巻取軸支持装置
KR200433129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596465B1 (ko) 엘시디모니터 지지대용 힌지
KR200357540Y1 (ko) 휴대폰의 커버힌지장치
JP2004044794A (ja) ヒンジ部材
JP3202814B2 (ja) 複写機の原稿押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