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940B1 -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 Google Patents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940B1
KR100782940B1 KR1020020046643A KR20020046643A KR100782940B1 KR 100782940 B1 KR100782940 B1 KR 100782940B1 KR 1020020046643 A KR1020020046643 A KR 1020020046643A KR 20020046643 A KR20020046643 A KR 20020046643A KR 100782940 B1 KR100782940 B1 KR 10078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river water
sewage
activated carbon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634A (ko
Inventor
한영종
Original Assignee
보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9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하천수가 관통하여 유출입되도록 공동이 제공된 하수관(10), 활성탄이 담겨 상기 하수관의 공동에 배치된 복수개의 팩(12), 하천수가 유입될 때 부유물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팩의 상류측에 위치되게 상기 하수관(10)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유입구 망(11), 하천수가 유출될 때 팩이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팩의 하류측에 위치되게 상기 하수관(10)의 배출구 측에 설치된 배출구 망(11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수 정화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천 바닥에 놓여져 하천수가 흘러감에 따라 하천수가 정화되므로 하천수를 끌어들이기 위한 하수도 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화기를 장비를 동원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 배출이 일시적인 곳 또는 소형 하천에 간이식으로 설치하여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천, 정화기, 활성탄, 숯

Description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A PURIFYER USING ACTIVE CARBON FOR STRE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정화기의 정화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정화기의 정화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정화기의 정화 유닛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화 유닛의 활성탄 팩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정화기가 하천에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수관 11, 11a: 망
12: 팩 12a: 활성탄
12b: 그물 망 13: 고정 다리부
14: 공동 20: 정화 유닛
본 발명은 하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나무 숯과 같은 활성탄을 이용하여 하수를 간편하게 정화하기 위한 하수 처리용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은 그 가동시에 먼지나 가스 형태의 오염물질과, 폐수를 발생시키며, 일반 가정 또는 음식 업소에서는 세제나 음식물 찌거기가 섞인 생활하수를, 축사에서는 가축의 분뇨에 의해 더럽혀진 오폐수를 발생시킨다. 이때, 공장에서 발생된 폐수에 중금속이 포함된 경우 공장 자체에 설치된 정화 시설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거되지만 가정, 및 축사에서 발생된 오폐수는 정화조를 통해 부유물만 걸러진 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더욱이, 이러한 생활 하수 및 오폐수는 그 정화 처리가 되지 못한 상태에서 하천으로 흘러 들어갈 경우 하천을 오염시키므로, 최근 강화된 환경 법규와 환경에 대해 높아진 시민의식은 이러한 오염원을 제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이러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하수 정화 처리장이 오염된 하천수 또는 오폐수를 한 곳으로 모아 소정 지역의 하천을 정화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그러나, 상술된 하수 정화 처리장은 하천수를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하수도 공사가 선행되어야 하고, 하수 정화 처리장을 건설하기 위한 비용이 과도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수 정화 처리장은 통상적으로 그 경제적 효용성과 규모때문에 대 형 강을 정화하는데 적합할지라도, 행락객들이 찾는 계곡과 같이 그 오염 물질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미미하지만 하천수를 깨끗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하천에 설치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수를 끌어들이기 위한 하수도 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설치 작업이 간단하여 소형 하천을 적은 비용으로도 간편하게 정화할 수 있는 하천용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는 내측 공동을 가진 하수관, 활성탄이 담겨 상기 하수관의 내측 공동에 배치된 복수개의 팩, 하천수가 유입될 때 부유물이 함께 들어오지 않도록 상기 팩의 상류측에 설치된 유입구 망, 하천수가 유출될 때 팩이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팩의 하류측에 설치된 배출구 망을 포함하는 정화 유닛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수 정화기의 정화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천용 정화기의 정화 유닛(20)은 내측 공동(空洞)을 가진 하수관(10), 후술되는 활성탄이 담겨 상기 하수관의 내측 공동에 배치된 복수개의 팩(12), 하천수(河川水)가 유입될 때 부유물이 함께 들어오지 않도록 상기 팩의 상류측에 설치된 유입구 망(11), 하천수가 유출될 때 팩(12)이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팩의 하류측에 설치된 배출구 망(11a, 도 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팩(12)에 담겨진 활성탄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이며, 그 비용이 저렴한 숯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숯은 생성 과정에서 미세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공에 유기 화합물과 기타 이물질들이 흡착되고 냄새를 제거하며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중금속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효능과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더욱이, 대나무 숯은 그 항균 특성, 유기물질, 중금속등의 이물질들의 흡착제거, 대나무 숯 자체에서 인체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 성분의 용출에 의해 하천수에 함유된 각종 미생물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우수한 특성을 보임으로써 상술된 활성탄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천수는 유입구 망(11)을 통과해 유입되어 팩(12)을 지나면서 팩에 담겨진 활성탄, 즉 대나무 숯에 의해 정화되며, 정화된 하천수는 팩이 배출구 망(미도시)에 의해 걸러져 하수관의 내측 공동에 남겨진 상태에서 하류측 망을 통과해 빠져나간다. 이때, 하수관(10)은 하천 바닥에 놓여 하천수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그 바닥면이 하천 바닥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 2와 같이, 정화 유닛(20)이 통상적인 하수도관과 같이 지하에 묻힌 상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하수관(10)이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더욱이, 하수관(1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PVC 재질 또는 강철 관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 며, 하수관(10)에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바닥에 매립되는 고정 다리부(13)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 다리부(13)는 하수관(1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천 바닥에 묻힘으로써 상기 하수관(10)이 하천수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하수관의 형상이 사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하수관의 형상에 의해 제약받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천 주변의 경치와 어울리도록 미감을 고려하여 하수관이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고, 분지관이나 집수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수 유출입구가 하수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추가적으로 제공되게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는 너무도 당연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수관(10)은 내측 공동에 팩(12)이 차례로 적층되며 하수가 유출입되는 유입구와 배출구 측에는 망(11, 11a)들이 각각 설치된다. 망(11,11a)들은 하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고 부유물 또는 수압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철망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망(11, 11a)들은 하수관(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수관(10)이 콘크리트 재질일 경우 하수관 벽면에 삽입되어 상기 하수관이 양생될 때 함께 양생된다. 그러나, 팩에 담긴 활성탄이 조각으로 나뉘어져 유실되면 추가적인 활성탄, 또는 활성탄 팩을 공급하도록 유입구 망 또는 배출 구 망(11, 11a) 중 적어도 하나의 망은 개폐 가능하게 하수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망이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도록 망의 일측이 하수관에 힌지 결합되거나 하수관에 안내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망이 삽입되어 안내됨으로써 개폐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팩을 확대도시한 것으로, 팩(12)은 활성탄(12a)이 담겨진 그물망(12b)으로 이루어진다. 활성탄(12a)은 하천수에 유실되지 않도록 3내지 6㎝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물망(12b)의 각각의 격자는 활성탄(12a)이 빠져나가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가짐과 동시에 하천수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하며, 그 재질은 예를 들면, 프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이 하천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활성탄(12a)이 그물망(12b)에 담겨진 팩(12)의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활성탄(12a) 자쳬가 하수관의 공동에 담겨질 수 도 있다. 이때, 활성탄(12a)이 하수관의 배출구 망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배출구 망의 격자는 활성탄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어져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의 설치예를 도시한 것으로, 정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 유닛(2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정화 유닛(20)이 하천(40)의 물 흐름 방향(B)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복수개가 서로 인접되게 위치되어 하천의 폭방향으로 배열되며, 또한, 하천의 수심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로 적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정화유닛(20)은 하천 바닥에 놓임으로써 하천수가 정화 유닛의 공동측으로 유입되어 활성탄에 의해 정화된다. 그러나, 정화기가 하천수의 유동을 방해하여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화기의 높이 또는 각각의 정화 유닛의 높이는 제방(30)의 높이와 관련해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화기는 하천 바닥에 놓여져 하천수가 흘러감에 따라 하천수가 정화되므로 하천수를 끌어들이기 위한 하수도 공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화기는 이동 설치 가능하므로 오염 배출이 일시적인 곳 또는 소형 하천에 간이식으로 설치하여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오염된 하천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천용 정화기에 있어서,
    하천수가 관통하도록 내측에 공동이 형성된 하수관(10)과, 하수관을 통과하는 하천수를 정화시키도록 활성탄을 수용하고 상기 하수관의 공동에 배치된 복수개의 팩(12)과, 하천수가 유입될 때 부유물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수관(10)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유입구 망(11)과, 하천수가 유출될 때 팩이 함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수관(10)의 배출구 측에 설치된 배출구 망(11a)을 포함하는 정화 유닛(2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은 하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하수관(10)의 저부에 하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KR1020020046643A 2002-08-07 2002-08-07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KR10078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643A KR100782940B1 (ko) 2002-08-07 2002-08-07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643A KR100782940B1 (ko) 2002-08-07 2002-08-07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876U Division KR200293992Y1 (ko) 2002-08-09 2002-08-09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34A KR20040013634A (ko) 2004-02-14
KR100782940B1 true KR100782940B1 (ko) 2007-12-07

Family

ID=3732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643A KR100782940B1 (ko) 2002-08-07 2002-08-07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9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2B1 (ko) * 1995-06-29 1998-04-10 정몽원 자동차 조향장치
KR0165636B1 (ko) * 1996-04-10 1999-01-15 이내흔 하천의 정화장치
KR100191820B1 (ko) * 1996-06-21 1999-06-15 구자홍 보조 단축 다이얼 장치
KR20020024255A (ko) * 2002-02-14 2002-03-29 이상훈 숯과 자갈을 이용한 하수 정화통 및 그를 이용한 간이하수 정화설비
JP2002514580A (ja) * 1998-05-14 2002-05-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化粧用製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12B1 (ko) * 1995-06-29 1998-04-10 정몽원 자동차 조향장치
KR0165636B1 (ko) * 1996-04-10 1999-01-15 이내흔 하천의 정화장치
KR100191820B1 (ko) * 1996-06-21 1999-06-15 구자홍 보조 단축 다이얼 장치
JP2002514580A (ja) * 1998-05-14 2002-05-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化粧用製剤
KR20020024255A (ko) * 2002-02-14 2002-03-29 이상훈 숯과 자갈을 이용한 하수 정화통 및 그를 이용한 간이하수 정화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63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rgava Physico-chemical waste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n overview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34285B1 (ko) 오수 정화 장치
JP2004209465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20100067280A (ko) 저에너지 자연정화 수직흐름 설비를 구비하는 빗물 처리시스템
KR101308064B1 (ko)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KR20170004786A (ko) 도시 수질 오염방지 구조물
Asoria et al. In-situ drain treatment types and technologies for flowing wastewater: a comprehensive review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0782940B1 (ko)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KR100594888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정화장치
KR200293992Y1 (ko)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KR101066993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인, 질소 제거용 정화장치
JP4019209B2 (ja) 水の浄化システム
WO1999001385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JP2967335B2 (ja) 浄化装置
KR20210074787A (ko) 정화탱크
KR200449638Y1 (ko) 가정용 잡배수 전용 정화조
JP2786093B2 (ja) 廃水処理装置
KR100455647B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JP3087366U (ja) 家畜尿及び畜舎廃水浄化装置
JP2003236576A (ja) 水浄化具および水浄化構造体ならびに水浄化装置
JP2664334B2 (ja) 浄化処理装置
JP2516586Y2 (ja) 汚水浄化装置
KR200294003Y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