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59B1 -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859B1
KR100782859B1 KR1020070010132A KR20070010132A KR100782859B1 KR 100782859 B1 KR100782859 B1 KR 100782859B1 KR 1020070010132 A KR1020070010132 A KR 1020070010132A KR 20070010132 A KR20070010132 A KR 20070010132A KR 100782859 B1 KR100782859 B1 KR 10078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ordering
print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785A (ko
Inventor
김두일
류석
임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8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6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input data format or job format or jo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캡쳐된 이미지의 프린트에 관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프린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 매체는, 캡쳐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상기 파일 중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선택 정보와 선택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기록하며, 오더링 파일은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더링 파일은 미디어 자산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MPV 표준에 따른 자산 식별자를 이용하여 기술되거나, 또는 XML 표준에 따른 엘리먼트 및 속성을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프린트할 수 있으며, 프린트 제어 정보의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의 프린트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 방법 및 장치{Storage medium recording print ordering file,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file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DPOF 표준에 따른 오더링 포맷(ordering forma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 및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프린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의 구조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오더링 파일의 일 실시예,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오더링 파일의 다른 실시예,
도 8 내지 도 11은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이용하여 하이퍼텍스트를 프 린트한 결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발명은 캡쳐된 이미지의 프린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프린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이하 DSC라 약칭함)나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핸드폰이나 개인휴대단말(PDA)과 같이 디지털 이미지를 캡쳐하는 캡쳐 디바이스(capture device)들이 각광받고 있다. 또한, 캡쳐된 이미지를 프린트하고자 하는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캡쳐 디바이스들은 디지털 이미지를 캡쳐한 후 그 이미지를 캡쳐 디바이스내의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하게 된다. 저장된 이미지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프린트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프린트된다.
첫째, 유에스비(USB)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린트 디바이스와 직접 연결되어 이미지를 전송/프린트하는 방법과, 둘째, 이미지를 저장한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를 프린트 디바이스에 삽입하여 이미지를 전달/프린트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특히, 후자와 같이 저장매체를 이용하는 경우,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에 적재하여 프린트하는 방법과, 저장매체에 기록된 이미지들 중 프린트할 이미지를 마크하여 마크된 이미지만을 출력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저장 매체에 기록된 이미지들 중 프린트할 이미지를 마크하여 프린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매체는 다른 특별한 장치 없이 프린트하거나 화면에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하여 저장매체 내에 출력할 이미지 파일을 마크하고 마크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규칙을 정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린트할 파일을 마크하고 프린트 규칙을 정하는 것을 프린트 오더링(print ordering)이라 하고, 프린트 오더링 결과 생성된 파일을 오더링 파일(ordering file)이라 한다. 오더링 파일의 포맷으로는 현재 DPOF(Digital Photo Order Format) 표준이 대표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캡쳐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프린트 정보를 기록한 DPOF 표준에 따른 오더링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된 오더링 파일과 이미지 파일은 메모리 카드와 같은 분리형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캡쳐된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해서 분리형 저장매체를 옮겨 프린트 디바이스에 삽입한다. 프린트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특정 오더링 파일을 읽어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과 그 프린트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프린트한다. 이미지를 표준 프린트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이미지 파일을 모아 인덱스 프린트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DPOF 표준에 따른 오더링 포맷(ordering forma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DPOF 표준에 따른 오더링 파일의 예를 도시하며, 도 2b는 오더일 파일에서 사용하는 키워드들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GEN, USR, PRT와 같은 키워드는 전체 프린트 시스템에 대한 정보이고, IMG 및 CFG는 각 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지정하는 정보이며, VUQ는 공급자가 정의할 수 있는 정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JOB]은 페이지 단위로 프린트될 이미지에 대한 정보임을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 의하면, 3 페이지의 이미지에 대한 오더링 정보가 정의되어 있다. 각 오더링 정보에는 프린트될 이미지 소스파일과, 각 이미지 파일들이 프린트될 규칙이 정의된다. 이러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캡쳐 디바이스들은 자신이 프린트하고 싶은 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정의하여 프린트 디바이스에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카드와 같은 분리형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프린트할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의 프린트 규칙을 정의하여 도 2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여 특정 파일이름으로 저장한다. DPOF 표준의 경우 생성된 오더링 파일은 /root/misc/print.mrk 라는 이름으로 저장된다. 전술한 오더링 파일이 기록된 분리형 저장매체가 프린트 디바이스에 삽입되는 순간, 프린트 디바이스는 전술한 디렉토리에서 오더링 파일을 찾아 그 내용을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프린트한다.
그러나, 종래의 DPOF와 같은 표준은 이미지 파일만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된 하이퍼텍스트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수의 키워드를 사용 하여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프린트 정보를 표현할 수 없어 오더링 파일의 유연성(flexibility)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프린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캡쳐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상기 파일 중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선택 정보와 선택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기록하며, 오더링 파일은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오더링 파일은 미디어 자산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는 MPV 표준에 따른 자산 식별자를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더링 파일은 XML 표준에 따른 엘리먼트 및 속성을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더링 파일은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마크 정보와, 마크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저장 매체이며, 캡쳐 디바이스 및 프린트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캡쳐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선택 정보와 선택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선택 정보 및 프린트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캡쳐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선택 정보와 선택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된 선택 정보 및 프린트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부; 및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오더링 파일 생성장치는 이미지를 캡쳐하는 캡쳐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쳐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 일 단말 중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캡쳐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과, 파일 중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마크 정보와 마크된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포함한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 매체로부터, 오더링 파일을 읽어들이는 독출부;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여 기술된 읽어들인 오더링 파일을 해석하는 오더링 파일 해석부; 및 해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크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프린트 제어 정보에 따라 프린트하는 프린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 및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프린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캡쳐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오더링 포맷에 따라 이미지 파일 및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처리하는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여 분리형 저장매체에 기록한다. 기록된 오더링 파일은 프린트 디바이스에 의해 해석되어 마크된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지정된 프린트 규칙에 따라 프린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오더링 포맷은 후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은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처리할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미지를 배경과 합성하여 프린트하거나, 아바타와 같이 프린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문 메시지인 SMS(Short Message Service)나 포토 메일과 같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개인 정보 서비스인 PIMS(Personal Information Message Service)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프린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1)는 오더링 파일 생성부(10) 및 기록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오더링 파일 생성부(10)는, 사용자로부터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선택 정보와 각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입력받고, 저장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들 중 선택된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참조하여 오더링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오더링 포맷은 후술한다.
기록 제어부(20)는, 생성된 오더링 파일이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1)에 장착된 분리형 저장매체(30)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오더링 파일(32)은 이미지 파일(34)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36)을 참조한다. 분리형 저장매체(30)가 프린트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면 기록된 오더링 파일에 기초하여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프린트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1)의 일 실시예들 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엠피브이(Music Photo Video: 이하 MPV라고 약칭함) 기반의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가 도시된다. 오더링 파일 생성부(10A)는 MPV 표준에 따른 자산에 대한 식별자(Asset ID)를 이용하여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지정하도록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32A)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캡쳐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와 같은 CE(Consumer Electronics) 디바이스를 말한다. 캡쳐 디바이스는 디지털 사진(still image), 이미지(image), 텍스트(text)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를 캡쳐할 수 있다. MPV 표준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미디어들을 자산(asset)으로 정의한다. 자산은 심플 미디어 자산과 복합 미디어 자산이 있다. 심플 미디어 자산은 디지털 사진, 비디오, 디지털 오디오, 문서 등이 포함되며, 복합 미디어 자산은 디지털 사진+디지털 오디오, 연속 촬영 디지털 사진, 파노라마 촬영 디지털 사진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은 MPV 표준에 따른 자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더링 파일(32A)은 각 자산에 대한 식별자(Asset ID)를 이용하여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지정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가 도시된다. 오더링 파일 생성부(10B)는 XML 표준에 따른 엘리먼 트(element)나 속성(attribute)을 이용하여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지정하도록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32B)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에 따른 오더링 파일의 포맷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오더링 파일의 일 실시예이다.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오더링 파일 생성부(10A)에 의해 생성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32A)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하나의 오더링 파일이며, 설명의 편의상 나누어 놓은 것에 불과하다. 도 6a의 <file:Menifest> 부분에는 참조할 MPV 표준에 대한 정보가 정의된다. <mpvptr:JobList>부분은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가 정의된다. 102 및 104는 2개의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가 정의되어 있다. 특히, 102 중 mpv:idRef="ID000100"이나 104 중 mpv:idRef="ID000200"은 프린트할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로서, 직접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지정하지 않고,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MPV 표준에 따른 자산으로 정의한 자산의 식별자(Asset ID)를 지정한다. 즉, 자산의 식별자를 통해 정의된 자산에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참조하도록 한다. 자산의 식별자를 이용한 자산에 대한 정의는 도 6b 및 도 6d의 106, 108, 또는 110에 도시된다.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오더링 파일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5b에 도시된 오더링 파일 생성부(10B)에 의 해 생성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32B)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7a 및 도 7b는 하나의 오더링 파일이며, 설명의 편의상 나누어 놓은 것에 불과하다. 도 7a에는 4개의 오더링 잡(ordering job)(202 내지 208)이 정의되어 있다. 잡(job)은 페이지 단위로 프린트될 오더링 정보를 의미한다. 202에는 album.html 이라는 이름의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가 정의되며, 204에는 1.jpg라는 이름의 이미지 파일을 90도 회전하여 프린트하도록 제어 정보가 정의된다. 또한, 206에는 1.jpg라는 이름의 이미지 파일을 0도, 120도, 180도로 회전하여 인덱스 형태로 프린트하도록 정의되며, 208에는 album1.html, album2.html, album3.html, album4.html이라는 4개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인덱스 형태로 프린트하도록 정의된다. 기타 공급자가 정의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7a 및 도 7b와 같은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은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게 프린트 오더링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PV 표준에 정의된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반면, 도 6a 내지 도 6d와 같은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은 기존의 MPV 표준에 따라 정의된 자산들을 그대로 이용하여 프린트 오더링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응용 환경에 따라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 또는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6a 내지 도6d에 도시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32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32A)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은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300), 프린트 단위인 잡(JOB)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400), 그리고 실제 이미지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자산 정보를 정의한 부분(500)을 포함한다.
먼저,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300)은, MPV 표준 자체에 대한 정보를 지정하는 부분으로, 도 9에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osta의 MPV 표준에 대한 기본 정의인 베이직 프로파일(basic profile)과 프린트에 관한 정의인 프린팅 프로파일(printing profile)이 지정된다. 해당 위치에 MPV 표준에 따른 기본 정보와 프린트에 관한 정보가 존재한다.
또한, 프린트 단위인 잡(JOB)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400)은 도 10에 도시된다. 도10을 참조하면, mpv:prt:JobList의 정의가 도시되어 있다. 잡 리스트(JobList)는 프린트 단위인 잡(job)을 지정하는 것으로, 복사할 파일의 수, 경계를 할 것인가, 흑백인가 컬러인가, 회전할 것인가, 모서리 자르기(cropping)를 할 것인가 여부 등의 프린트 제어 정보를 지정한다. 406에서 <mpv:StillRef mpv:idRef="ID000200"/>과 같이 정의함으로써, MPV 표준에 따른 자산 리스트(AssetList)에서 해당 잡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찾아 오더링 처리한다. 406을 예로 들면, ID000200이라는 자산 식별자를 가지는 자산으로부터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참조하여 프린트하고, 1장을 프린트하며, 90도로 회전하고, 모서리를 처리하고, 경계선을 표시하며, 흑백으로 프린트하라는 프린트 정보가 정의되어 있다. ID0002000이라는 자산 식별자를 이용하 여 후술하는 자산 정의부분에서 실제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이미지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 부분(500)은 도 11에 도시된다. 자산 리스트(AssetList)는 새로 정의된 것이 아니라, MPV 표준에서 원래 권고하는 자산들의 목록이다. 각 자산들은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는데, 이러한 자산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자산의 식별자는 <mpv:StillRef mpv:idRef="ID000200"/>와 같은 형태로 참조된다. 자산 리스트에는 자산이 기본적으로 가지는 속성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선택할 수 있고, 프린트 포맷, 테두리 장식, 종이크기, 종이 타입, 함께 표시할 텍스트 정보 등 다양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이용하여 하이퍼텍스트를 프린트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을 이용하면,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파일도 선택된 프린트 제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프린트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된 이미지에 생일 축하 메시지를 결합하여 축하카드의 형태로 프린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프린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프린트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프린트하는 대신 화면에 프리젠테이션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오더링 파일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프린트될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대한 선택 정보와, 선택된 파일을 어떻게 프린트할 지를 나타내는 프린트 제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702 단계). 입력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MPV 기반 또는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을 생성한다(704 단계).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메모리 카드와 같은 분리형 저장매체에 기록한다(706 단계).
이와 같이 캡쳐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오더링 파일을 분리형 저장 매체에 기록하고, 오더링 파일이 기록된 분리형 저장매체를 프린트 디바이스에 삽입하면, 기록된 오더링 파일이 해석되고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에 프린트 제어 정보를 적용하여 프린트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프린트할 이미지 파일 또는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마크하고 이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MPV 기반 또는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 카드와 같은 분리형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할 파일들과 그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는 캡쳐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고,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MPV 기반 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XML기반의 오더링 파일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더링 파일은 분리형 저장 매체의 미리 정의된 소정 위치에 저장된다. 오더링 파일을 저장한 분리형 저장매체가 프린트 디바이스나 TV나 DVD 레코더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삽입되면, 소정의 위치로부터 오더링 파일이 읽혀져 해석된다. 해석된 오더링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 디바이스의 경우 프린트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DVD 타이틀을 만들어 소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캡쳐된 이미지에 대한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프린트 오더링 파일의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즉, 이미지 파일뿐만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프린트할 수 있으며, 프린트 제어 정보의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의 프린트를 할 수 있다.
또한,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의 경우, 기존 MPV 표준에 따라 정의된 자산을 그대로 이용하여 오더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XML 기반의 오더링 파일의 경우, MPV 표준에 따른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MPV 기반의 오더링 파일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게 오더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4)

  1.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더링 파일을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더링 파일은,
    프린트할 파일을 직접 지정하지 않으며, 상기 프린트할 파일을 참조하는 참조 정보 및 상기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는 자산의 식별자를 지정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은 MPV 표준에 따라 정의된 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할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파일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저장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방법.
  7. 저장 매체로부터 오더링 파일을 읽는 단계;
    상기 오더링 파일을 해석하는 단계; 및
    해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할 파일을 상기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에 따라 프린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더링 파일은,
    프린트할 파일을 직접 지정하지 않으며, 상기 프린트할 파일을 참조하는 참조 정보 및 상기 프린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는 자산의 식별자를 지정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의 식별자는 MPV 표준에 따라 정의된 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할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파일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저장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13. 오더링 파일을 생성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오더링 파일을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더링 파일은,
    프린트할 파일을 직접 지정하지 않으며, 상기 프린트할 파일을 참조하는 참조 정보 및 상기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는 자산의 식별자를 지정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의 식별자는 MPV 표준에 따라 정의된 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할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파일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저장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링 파일 생성 장치.
  19. 저장 매체로부터 오더링 파일을 읽는 독출부;
    상기 오더링 파일을 해석하는 오더링 파일 해석부; 및
    해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할 파일을 상기 프린트할 파일에 대한 프린트 제어 정보에 따라 프린트하는 프린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더링 파일은,
    프린트할 파일을 직접 지정하지 않으며, 상기 프린트할 파일을 참조하는 참조 정보 및 상기 프린트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는 자산의 식별자를 지정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의 식별자는 MPV 표준에 따라 정의된 자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할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나 하이퍼텍스트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텍스트 파일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24.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분리형 저장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장치.
KR1020070010132A 2007-01-31 2007-01-31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78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132A KR100782859B1 (ko) 2007-01-31 2007-01-31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132A KR100782859B1 (ko) 2007-01-31 2007-01-31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057A Division KR20060037951A (ko) 2004-10-29 2004-10-29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785A KR20070019785A (ko) 2007-02-15
KR100782859B1 true KR100782859B1 (ko) 2007-12-06

Family

ID=4163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132A KR100782859B1 (ko) 2007-01-31 2007-01-31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8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010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머신 애플릿을 이용한 네트워크 상의 엑세스 데이터인쇄방법 및 장치
KR20040042612A (ko) * 2002-11-15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MPV(MultiPhotoVideo) 환경하에서자산이 위치하는 경로와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라스트유알엘 복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010A (ko) * 2002-06-18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머신 애플릿을 이용한 네트워크 상의 엑세스 데이터인쇄방법 및 장치
KR20040042612A (ko) * 2002-11-15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MPV(MultiPhotoVideo) 환경하에서자산이 위치하는 경로와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라스트유알엘 복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785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0897B1 (en)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using media keys
US20040193571A1 (en) Multimedia document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27861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storing print or display control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having embodies thereon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0330820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402016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history of an image file history
JP2008085983A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0727927B1 (ko) 오더링 파일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프린트 시스템, 이미지 공급장치 및 프린트 장치
JP5441349B2 (ja) 画像投射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782859B1 (ko)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965885B1 (ko)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KR20060037951A (ko) 프린트 오더링 파일을 기록한 저장매체, 그 파일의 생성방법 및 장치
JP635326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354309A (ja) デジタルカメラ連携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8160263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55281A (ja) 一覧印刷方法
JP2005109760A (ja) 画像保存装置及び方法
JP5518172B2 (ja) 画像投射装置
KR20050118645A (ko) 프린트 또는 표시 제어 정보 전송/저장 장치 및 방법과 그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JP2004147308A (ja) 記録媒体編集装置
JP2005096216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WO2007119375A1 (ja) 画像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管理方法
JP2005080268A (ja) 情報記録媒体
KR20070004509A (ko) 복수 개의 프린트 잡을 프린트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이용한 프린트 시스템, 이미지 공급장치 및 프린트 장치
JP2010161813A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画像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67456A (ja) 画像管理装置、画像データ管理装置、アルバム登録方法、画像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