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721B1 -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 Google Patents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721B1
KR100782721B1 KR1020010076019A KR20010076019A KR100782721B1 KR 100782721 B1 KR100782721 B1 KR 100782721B1 KR 1020010076019 A KR1020010076019 A KR 1020010076019A KR 20010076019 A KR20010076019 A KR 20010076019A KR 100782721 B1 KR100782721 B1 KR 100782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opening
rotary shaft
whe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355A (ko
Inventor
이성철
정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7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7Padd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광석등과 같은 원료파일을 불출하는 불출장비인 리크레이머(RECLAIMER)의 붐(BOOM)에 설치되어 적치파일를 불출시키기 위한 버켓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버켓장치(1)는, 불출되는 파일이 인입되는 인입구(22)와 휠슈트(10)로 불출파일을 배출토록 개폐되는 개구(24)를 갖추어 구동휠(12)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버켓(20);과, 상기 구동휠(12)을 가로질러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버켓(20)이 연결 고정되는 회전축(42)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버켓(20)의 개구(24)를 개폐토록 하는 개폐판(40);과, 상기 회전축(42)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42)의 회전 및 복귀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탄성체(60);및, 상기 탄성체(60)의 일측으로 회전축(42)의 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휠 슈트(10)에 설치된 유도체(70)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42)과 일체로 개폐판(40)을 개폐시키어 버켓(20)내의 불출파일을 슈트(10)에 배출토록 하는 가이드수단(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치파일을 불출하는 버켓의 하부에 버켓의 프레임에 설치된 유도부와 접촉하는 때에 개방되어 버켓내의 광석등과 같은 원료를 주변에 낙하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와 연계되는 휠슈트에 투입토록 하는 광석 유도기능을 갖는 것이다.
리크레이머, 버켓, 파일불출, 광석유도장치, 광석

Description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A BUCKET APPARATUS OF A RECLAIMER}
도 1은 일반적인 리크레이머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2는 리크레이머의 버켓과 버켓에 의하여 불출된 파일을 이송하는 붐의 벨트 컨베이어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3은 종래 리크레이머 버켓에 의한 파일 불출시 낙하되는 광석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버켓에 의한 광석불출시 낙하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유도체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버켓장치 10.... 휠 슈트
12.... 구동휠 14.... 베어링블록
20.... 버켓 22.... 인입구
24.... 개구 26.... 고정링
40.... 개폐판 42.... 회전축
60.... 탄성체 62,64.... 덮개판
66.... 원통몸체 68.... 코일스프링
70.... 유도체 74.... 유도바아
80.... 가이드수단 82.... 회전몸체
84.... 가이드롤
본 발명은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광석등과 같은 원료파일을 불출하는 불출장비인 리크레이머(RECLAIMER)의 붐(BOOM)에 설치되어 적치파일를 불출시키기 위한 버켓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적치파일을 불출하는 버켓의 하부에 버켓의 프레임에 설치된 유도부와 접촉하는 때에 개방되어 버켓내의 광석등과 같은 원료를 주변에 낙하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벨트 컨베이어와 연계되는 휠슈트에 투입토록 하는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선박이나 화차로 수송된 연,원료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스테카로 적치하는데, 이와 같은 적치된 광석 및 석탄등의 기타 부원료는 리크레이머를 이용하여 불출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소결공정, 코크스공장 및 고로등으로 이송하는데, 이와 같은 적치파일의 불출을 수행하는 리크레이머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레이머(110)는 야드(100)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120)를 갖추어 이동하면서 야드(100)에 적치된 적치파일(130)을 리크레이머(110)의 붐(140)에 설치된 버켓(150)을 이용하여 불출하고, 불출된 파일은 상기 버켓(150)으로 부터 붐(140)에 설치된 휠슈트(160)에 투입되고, 이에 연계된 붐(140)상의 벨트 컨베이어(170)를 통하여 지상 벨트 컨베이어로 연계이동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리크레이머(110)의 버켓(15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버켓(150)은 붐(140)에 2열로 설치된 구동휠(152)에 버켓(150)이 저부가 개방되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휠(152)의 내측에는 휠슈트(160)의 개구(162)를 제외하고 상기 구동휠 (152)의 내측으로 호형의 가이드판(154)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판(154)중 버켓 (150)이 파일을 불출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부터 버켓(150)이 휠(152)과 함께 이 동하여 휠슈트(160)에 불출하는 위치까지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보강판(156)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152)이 회전 구동되면 일체로 회전하는 버켓(150)이 파일(130)을 내부에 담아서 상기 가이드보강판(156)과 가이드판(154)으로서 불출한 파일(130)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횔(152)과 함께 이동하여 휠슈트(160)의 개구(162)에 도달하면 그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불출파일(130)이 휠슈트(160) 및 벨트 컨베이어(170)를 통하여 불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크레이머 버켓에 있어서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휠(152)의 외측에 장착되는 바켓(150)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휠(152)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보강판(156)에 의하여 밀폐되면서 불출파일 (130)을 휠슈트(160)로 투입시키는데, 상기 버켓 구동휠(152)과 가이드보강판(156)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전체인 구동휠(152)과 고정 구조물인 가이드보강판(156)이 서로 마찰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상기와 같은 간격은 초기에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리크레이머 버켓을 통한 광석등의 파일을 계속적으로 불출하게 되면, 상기 간격은 그 사이에 끼이면서 낙하하는 광석(130)들에 의하여 마모되면서 점차 간격이 벌어지는 것이다.
결국,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레이머(110)에 의한 버켓(150)의 우너료 불출시 마모되어 확대된 구동휠(152)과 가이드보강판(156)사이의 간격으로 다량의 불출광석(130)이 유출됨으로서, 버켓(150)에 의한 작업효율 즉, 광석의 불출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상기 버켓(150)의 구동휠(152)과 가이드보강판(156)사이의 틈새에 입도가 큰 광석(130)이 끼이면, 상기 구동휠(152) 자체의 원활한 구동을 방해하면서 파일의 원활한 불출작업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이 구동휠(152)과 가이드보강판(156)사이에 끼인 광석(130)들은 버켓(150), 구동휠(152) 및 가이드설비(154)(156)등의 설비파손을 초래하고, 심한 경우에는 리크레이머 자체의 가동중단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켓(150)을 통한 원표파일 불출시 휠슈트(160)상에서만 버켓(150)의 일측부분이 개방되도록 하면, 불출광석이 구동휠과 가이드설비사이에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켓에 의한 적치파일의 불출시 버켓의 일측면을 개방시키고 이에 구동휠에 장착된 유도부로서 그 개방시점이 휠슈트상으로 유도되는 개폐판을 설치함으로서, 버켓에 의한 파일 불출시 파일이 슈트내에 투입되기 전에 야드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 본 발명은, 불출되는 파일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휠슈트로 불출파일을 배출토록 개폐되는 개구를 갖추고가이드수단 스토퍼가 설치된 구동휠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버켓;과,
상기 구동휠을 가로질러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버켓이 연결 고정되는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버켓의 개구를 개폐토록 하는 개폐판;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의 회전 및 복귀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일측으로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휠 슈트에 설치된 유도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개폐판을 개폐시키어 버켓내의 불출파일을 슈트에 배출토록 하는 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된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면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유도체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버켓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버켓(20)과 개폐판(40)과 탄성체(60) 및, 가이드수단(80)으로 나누어 지고, 이와 같은 각 구성요소(20)(40)(60)(8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도 5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버켓(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버켓(20)은, 적치파일의 불출시 불출파일 즉, 광석(도 11의c) 이 인입되는 인입구(22) 및, 휠슈트(10)로 불출파일을 배출토록 개폐되는 개구(24)를 갖추어 리크레이머의 붐 전방측에 회전토록 설치된 구동휠(12)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
이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켓(20)의 개구(24)는 구동휠(12)측을 향하도록 상기 인입구(22)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22)는 적치파일에서는 전방으로 향하여 점차 위로 향하게 되고, 상기 개구(24)는 구동휠(12)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가 휠슈트(10)에 근접해서하방을 향하게 된다.
다음, 도 5, 도 7 및 도 11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개폐판(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개폐판(40)은 상기 구동휠(12)을 가로질러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버켓(20)이 연결 고정되는 회전축(42)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버켓(20)의 개구(24)를 개폐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구동휠(12)에 설치된 베어링블록(14)에 회전토록 삽입 지지되고, 상기 버켓(20)의 모서리부분에는 상 기 회전축(42)에 고정되는 고정링(26)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42)의 전후측에는 고정덮개(42a)(42b)가 나사방식으로 고정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탄성체 (60)와 가이드수단(80) 및, 베어링블록(14)에서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다.
다음, 도 5,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탄성체(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체(60)는 상기 회전축(42)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42)의 회전 및 복귀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중요 구성요소이다.
즉,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60)는, 다시 원통몸체(66)와 스프링(68)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상기 원통몸체(66)는 2열의 구동휠중 일측 구동휠(12a)상에 저부측의 지지부(66a)가 볼트 고정되고, 상기 원통몸체(66)의 전후측에는 제 1,2 덮개판(62)(64)이 덮여지져 상기 덮개판(62)(64)과 원통몸체(66)를 통하여 일체로 상기 회전축(42)이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다음, 상기 스프링(68)은 상기 원통몸체(66)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68a) 및 타단(68b)은 상기 제 1,2 덮개판(62)(64)에 형성된 고정홈 (62a)(64a)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덮개판(62)은 상기 회전축 (42)과 일체로 용접(W)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덮개판(64)은 상기 원통몸체(66)에 볼트 고정되며, 상기 제 2 덮개판(64)을 통과하는 회전축(42)은 부시(64b)를 개재하여 조립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설명하는 가이드수단 (80)이 유도체(70)에 의하여 이동하여 회전축(42)이 회전되면, 제 1 덮개판(62)과 일체로 스프링(68)의 일단(68a)은 회전하고 타단(68b)은 원통몸체(66)에 고정된 제 2 덮개판(64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42)의 회전량만큼 상기 스프링(68)은 비틀리고, 가이드수단(80)이 유도체 (70)를 통과하여 즉, 휠슈트(10)를 통과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42)이 초기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42)의 역방향 이동은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스프링(68)은 코일스프링으로서 회전축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비틀리지 않는 적정한 탄성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는 가이드수단(80)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축(42)이 회전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버켓(20)의 개구(24)를 밀폐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도 5,도 10 및, 도 11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가이드수단 (8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본 발명의 가이드수단(80)은 상기 탄성체(60)의 일측으로 회전축(42)의 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휠 슈트(10)에 설치된 유도체(70)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42)과 일체로 개폐판(40)을 개폐시키어 버켓(20)내의 불출파일을 슈트(10)에 배출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체(70)는 상기 휠 슈트(10)의 외곽으로 고정된 고정대(72) 및, 상기 고정대(72)의 상측으로 상기 구동휠(12)에 인접하여 호형으로 설치되어 가이드수단(80)의 접촉시 개폐판의 개폐를 유도하는 유도아암(74)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아암(74)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가이드수단(80)이 점진적으로 접촉하여 위로 올라가도록 호형으로 구성되고, 휠슈트(10)의 개구부분이 초입에서 부터 중앙부분을 조금 지난부분까지 신장 되어 고정대(72)로서 상기 휠 슈트(10)의 측방에 상방 설치된다.
그리고, 도 5,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80)은,상기 회전축(42)의 탄성체(60) 일측으로 키 조립되는 회전몸체(82)및, 상기 회전몸체(8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도체(70)의 유도아암(74)을 따라 밀착 이동하여 상기 회전몸체(82)와 일체로 회전축(42)을 회전시키어 일체로 개폐판(40)을 회전 이동시키는 가이드롤(84)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82)는 그 상단부가 상기 회전축(42)에 키조립되고, 상기 가이드롤(84)은 상기 회전몸체(82)의 하단부에 키 조립된 내부 축부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토록 설치되어 상기 유도아암(74)과 접촉하면 회전하면서 일체로 회전축(42)과 개폐판(40)을 회전 구동도록 하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12)에는 상기 회전몸체(82)가 구동휠(12) 하방으로 낙하하여 가이드롤(84)과 유도아암(74)의 미접촉을 방지하는 스토퍼(12a)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석(C)등과 같은 원료등의 야드 적치파일을 불툴하는 리크레이머의 버켓(20)이 가이드보강판과 구동휠사이의 틈새로 인하여 광석을 낙하시키지 않고, 광석을 휠슈트(10)상에서만 버켓(20)을 개구시키는 개폐판(40)으로 광석의 낙하를 차단하는 본 발명의 리크레이머 버켓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리크레이머 붐(미도시)의 전방측에 원형으로 2열로 배치된 구동휠(12)이 구동하면, 상기 구동휠(12)의 원주를 따라 가수개가 연결된 버켓(20)은 일체로 회전하여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슈트(10)의 개구부분에 도달하면 불출한 광석(C)을 슈트(10)내에 배출시키고, 슈트(10)를 통한 광석은 붐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지상 벨트 컨베이어로 연계되어 적불출광석과 같은 적치파일의 불출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휠(12)의 구동시 버켓 (20)을 가로질러 고정된 회전축(42)의 단부에 연결된 가이드수단(80)의 가이드롤 (84)이 상기 휠슈트(10)에 설치된 유도체(70) 고정대(72)상의 유도아암(74)에 접촉하면 상기 위로 경사지게 된 유도아암(74)에 의하여 가이드롤(84)은 점진적으로 위로 올라가고, 결국 일체로 회전축(42)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회전축(42)에 수평 고정되어 버켓(20)의 광석 불출시에는 버켓(20)의 개구(24)를 밀폐시키는 개폐판(40)은 회전축(42)의 시계반대반향으로 즉, 버켓(20)의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버켓(20)의 개구(24)를 점차 개방시키고, 가이드수단(80)의 가이드롤(84)이 유도아암(74)의 초고 정점에 이르면 완전하게 개폐판(40)은 버켓(20)의 개구(24)를 개방시키어 내부의 광석(C)은 휠슈트(10)의 개구부분을 통하여 그 내측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이드수단(80)의 가이드롤(84)이 유도체(70)의 유도아암(74)을 통과하면, 상기 회전축(42)에 설치된 탄성체(60)의 스프링(68) 탄성력으로 회전하 여 개폐판(40)은 버켓(20)의 개구(24)를 다시 밀폐시키어 버켓(20)을 통한 광석불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60)의 스프링(68)은 그 일단(68a)이 구동휠(12)에 고정 장착된 원통몸테(66)의 제 1 덮개판(62)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덮개판(62)은 회전축(42)과 용접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68)의 타단(68b)은 상기 원통몸체(66)에 고정되는 제 2 덮개판(64)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42)이 유도체(70)의 유도아암(74)과 가이드수단(80)의 가이드롤(84)의 접촉상태에 따라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68)은 강제로 비틀리면서 가이드롤(84)이 유도아암(74)을 통과하는 순간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일체로 회전축(42)과 개폐판(40)이 회전하여 초기 위치 즉, 버켓(20)의 개구(24)를 밀폐시키는 상태로 위치 가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8)은 일정 이상의 장력을 갖고 있어 가이드롤(84)이 유도아암(74)과 접촉하지 않은 경우 즉, 휠슈트(10)의 개구부 근처가 아닌 부분을 가이드롤(84)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판(40) 즉, 개폐판 (40)이 그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회전축(42)의 회전을 차단하여 버켓(20)이 광석을 불출하는 때에는 움직이지 않아 버켓(20)에서 부터 광석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시키고, 이는 결국 종래 가이드보강판으로서 버켓의 광석을 밀폐시키는 것에 비하여 전혀 광석이 낙하하지 않는 것이다.
이때,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구동휠(12)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롤(84)의 회전몸체(82)를 지지하는 스토퍼(12a)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롤(84)을 항상 구동휠(12)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유도체의 유도아암(74)과는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 가이드보강판을 구동휠측에 설치하여 버켓에 의한 광석불출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버켓장치(1)에 의하면 휠슈트(10)의 개구부분에서 개폐판(40)이 버켓(20)의 개구부분을 개방시킴으로서 불출광석이 슈트 배출전에 외곽으로 낙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에 의하면, 버켓에 의한 적치파일의 불출시 버켓의 일측면을 개방시키고 이에 구동휠에 장착된 유도부로서 그 개방시점이 휠슈트상으로 유도되는 개폐판을 설치함으로서, 버켓에 의한 파일 불출시 파일이 슈트내에 투입되기 전에 야드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크레이머의 적치파일 불출시 버켓에서의 광석이 낙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서 리크레이머의 불출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불출되는 파일이 인입되는 인입구(22)와 휠슈트(10)로 불출파일을 배출토록 개폐되는 개구(24)를 갖추며 가이드수단 스토퍼(12a)가 설치된 구동휠(12)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버켓(20);과,
    상기 구동휠(12)을 가로질러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버켓(20)이 연결 고정되는 회전축(42)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축의 회전시 버켓(20)의 개구(24)를 개폐토록 하는 개폐판(40);과,
    상기 회전축(42)의 일측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42)의 회전 및 복귀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탄성체(60);및,
    상기 탄성체(60)의 일측으로 회전축(42)의 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휠 슈트(10)에 설치된 유도체(70)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축(42)과 일체로 개폐판(40)을 개폐시키어 버켓(20)내의 불출파일을 슈트(10)에 배출토록 하는 가이드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구동휠(12)에 설치된 베어링블록 (14)에 회전토록 삽입 지지되고, 상기 버켓(20)의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회전축(42)에 고정되는 고정링(26)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버켓(20)의 개구(24)는 구동휠(12)측을 향하도록 상기 인입구(22)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60)는,
    상기 구동휠중 일측 구동휠(12a)상에 고정되고, 일체로 회전축(42)이 통과하는 제 1,2 덮개판(62)(64)이 전,후측에 덮여지는 원통몸체(66);및,
    상기 원통몸체(66)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일단(68a) 및 타단(68b)이 상기 제 1,2 덮개판(62)(64)에 고정되는 스프링(6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덮개판(62)은 상기 회전축(42)과 일체로 용접 고정되어 원통몸체 (66)의 전방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덮개판(64)은 상기 원통몸체(66)에 볼트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수단(80)의 유도체(70) 접촉시 회전축(42)을 회전후 탄성복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70)는,
    상기 휠 슈트(10)의 외곽으로 고정된 고정대(72); 및,
    상기 고정대(72)의 상측으로 상기 구동휠(12)에 인접하여 호형으로 설치되어 가이드수단(80)의 접촉시 개폐판의 개폐를 유도하는 유도아암(7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80)은,
    상기 회전축(42)의 탄성체(60) 일측으로 키 조립되는 회전몸체(82);및,
    상기 회전몸체(8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도체(70)의 유도아암(74)을 따라 밀착 이동하여 상기 회전몸체(82)와 일체로 회전축(42)을 회전시키어 일체로 개폐판(40)을 회전 이동시키는 가이드롤(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KR1020010076019A 2001-12-03 2001-12-03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KR10078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019A KR100782721B1 (ko) 2001-12-03 2001-12-03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019A KR100782721B1 (ko) 2001-12-03 2001-12-03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355A KR20030045355A (ko) 2003-06-11
KR100782721B1 true KR100782721B1 (ko) 2007-12-05

Family

ID=2957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019A KR100782721B1 (ko) 2001-12-03 2001-12-03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90B1 (ko) * 2004-12-24 2012-05-07 주식회사 포스코 리클레이머
KR101118293B1 (ko) * 2004-12-24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의 낙코크스처리장치
CN115288227B (zh) * 2022-08-19 2023-11-24 中国水电基础局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用清淤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5775U (ko) * 1973-12-29 1975-08-11
US4392566A (en) * 1981-07-29 1983-07-12 Quadracast, Inc. Bulk material handling and reclaiming equipment
JPH04277136A (ja) * 1991-03-01 1992-10-02 Nkk Corp バケットホイール
JPH1017152A (ja) * 1996-07-03 1998-01-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リクレーマ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5775U (ko) * 1973-12-29 1975-08-11
US4392566A (en) * 1981-07-29 1983-07-12 Quadracast, Inc. Bulk material handling and reclaiming equipment
JPH04277136A (ja) * 1991-03-01 1992-10-02 Nkk Corp バケットホイール
JPH1017152A (ja) * 1996-07-03 1998-01-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リクレー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355A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959A (en) Rotary materials separator
KR101249200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 장치
KR100782721B1 (ko) 불출파일의 낙하방지가 용이한 리크레이머 버켓장치
US20150151407A1 (en) Shot processing machine
US3011658A (en) Apparatus for particle transfer for a storage pile
US3946950A (en) Material reducer
US3936004A (en) Material reducer
KR101969107B1 (ko) 원료 공급장치
CN111559651B (zh) 堆取料机用双开式斗轮装置
US4558602A (en) Large capacity sample bucket and bucket sampler having low clearance
KR102213967B1 (ko) 원료 이송 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CN212502699U (zh) 一种斗式提升机
KR100817158B1 (ko) 멈춤 스크린을 구비한 걸림방지 호퍼
CA1064451A (en) Material reducer
KR2019013411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CN211920185U (zh) 一种堆取料机中心漏斗料流调整装置
JPH09142667A (ja) スクリュー式給塵装置
KR200339835Y1 (ko) 슈트내 고착물 제거용 에어브래스터
KR101259295B1 (ko) 수용용기 개폐장치
KR200393299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JPH05168962A (ja) 衝撃式破砕機
KR200212829Y1 (ko) 브렌딩 리클레이머의 림 라이너 간격 조절장치
JP2009012958A (ja) 粉塵回収ベルトコンベヤ
KR200261874Y1 (ko) 스태커의 스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