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406B1 -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406B1
KR100782406B1 KR1020060076317A KR20060076317A KR100782406B1 KR 100782406 B1 KR100782406 B1 KR 100782406B1 KR 1020060076317 A KR1020060076317 A KR 1020060076317A KR 20060076317 A KR20060076317 A KR 20060076317A KR 100782406 B1 KR100782406 B1 KR 10078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ermentation
air
heating
ferm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부
곽봉순
김경호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06007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4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A fermenter for performing a series of process such as soaking beans in water, boiling them, leaving them to cook in its own heat and fermenting them automatically by key operation is provided to manufacture fermented soybeans without replacing a cooking utensil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 fermenter comprises: a body(10) having a button part(14a) and comprising an inner cover for forming a receiving part(15) with a predetermined space and an outer cover for forming an appearance; a fermentation vessel(30) for storing beans to be processed; a heating vessel(20) surrounded by a heating device(22) for heating the stored beans; a wicker tray(40); a cover part(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and a control part(1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to heat the bean at preset power and time conditions in each mode while transferring to a heating mode, a finish cooking mode on its own heat and a fermentation mode. The control part performs a drying mode further selectively by the request of the user after the fermentation mode. The body contains a blast fan(16), blast wall(18) and blast groove.

Description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분해 모식도.1 is an exploded schematic diagram of a fermentor having a boi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ermentor having a boi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몸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body shown in FIG.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heating vessel shown in FIG.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발효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fermentation vessel shown in FIG.

도 6 은 도 5에 도시된 발효용기에 거치되는 채반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tray mounted on the fermentation vessel shown in FIG.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덮개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ver portion shown in FIG. 1 in detail.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드 동작시의 공기 순환 모식도.8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circulation in the dry mod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ermentor having a boi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도 9에 도시된 가열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10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heating vessel shown in FIG.

도 11 은 도 9에 도시된 덮개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ver part shown in FIG. 9 in detail. FIG.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에 설치된 건조 장치를 상세 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dr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cov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드시의 공기 순환 모식도.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circulation in the dry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몸체 12 : 손잡이10 body 12 handle

14 : 제어부 16 : 송풍팬14 control unit 16 blowing fan

18 : 송풍벽 19 : 송풍로18: blower wall 19: blower

20 : 가열용기 22 : 가열수단20: heating vessel 22: heating means

30 : 발효용기 32 : 걸림턱30: fermentation vessel 32: locking jaw

40 : 채반 41 : 수용부40: tray 41: receiving unit

42 : 통기공 43 : 공기 순환공 42: vent 43: air circulation

45 : 지지부 47 : 중심 돌출부45 support portion 47 center projection

49 : 채반 손잡이 50 : 덮개부49: plate handle 50: cover

52 : 덮개 손잡이 53 : 배출구52: cover handle 53: outlet

55 : 송풍구 57 : 차단막55 air vent 57: blocking film

60 : 건조 장치 61 : 공기 흡입구60: drying device 61: air intake

62 : 공기 통로 63 : 송풍팬62: air passage 63: blowing fan

64 : 히터 65 : 공기 배출구64: heater 65: air outlet

67 : 스위치 68 : 전원 연결선67 switch 68 power supply line

본 발명은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국장 가공을 위해 콩을 불리고 삶고 뜸들여서 발효하는 일련의 절차를 한번의 키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최상의 발효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menter having a function of boiling beans, in particular,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dures of soaking, boiling, steaming and fermenting soybeans for cheonggukjang processing by one key operation, to provide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best fermentation quality. It relates to a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to make it possible.

일반적으로, 콩을 발효시켜 청국장 등 발효 식품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전처리 과정은 콩을 불리고, 삶는 과정과 콩을 뜸들이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In general, pre-treatment is necessary to ferment soybeans to make fermented foods, such as Cheonggukjang. The pretreatment process is called soybean, boiled and steamed beans.

종래의 식품 발효기는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콩 발효과정과 후처리인 숙성과정만이 가능하였다.The conventional food fermenter omits such a pretreatment process, and only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ripening process which are post-treatment were possible.

즉, 전처리 과정에서 콩을 불리고 삶고 뜸들이는 일련의 과정은 소비자가 직접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전처리 과정 중 콩 삶기 과정은 콩을 발효시켜 청국장 등 발효식품의 성패에 중요한 요소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treatment process, soybeans are soaked, boiled and steamed.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boiling soybean during the pretreatment proc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fermented foods such as Cheonggukjang.

콩 삶기 과정은 콩의 딱딱한 외피부분과 콩의 내피를 충분히 연화시켜 미생물(바실러스 균)의 성장을 위한 먹이로써, 최상의 번식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그 결과, 콩 발효에 있어서 최상의 품질을 제공하게 된다.The soybean boiling process softens the hard shell of the beans and the inner skin of the beans to provide food for growth of microorganisms (Bacillus bacteria),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the best reproduction. The result is the best quality for soybean fermentation.

이러한 콩 삶기 과정에서 충분한 미생물의 성장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조건 설정이 일반인이 만들기에는 까다로운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잘 삶기지 못한 콩을 발효 식품 제조기에서 발효를 시킨다 하더라도 제대로된 발효품질을 얻을 수 없다.In the process of boiling soybeans,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set up conditions for providing sufficient microbial growth environment. Accordingly, even if the fermented soybeans in the fermented food manufacturing machine can not obtain a proper fermentation quality.

한편, 콩 발효의 전처리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콩 가공기에 대한 실용신 안 등록번호 제20-0385447호(청국장용 콩 가공기)를 본 고안자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5447 (Cheongkukjang soybean processing machine) for a soybean processing machine that automatically performs the pre-treatment process of soybean fermentation has been fil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inventors.

또한, 콩 발효의 전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5764호(청국장 제조 장치)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43453호(마른콩을 사용하는 청국장 제조기)에서 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techniques including pre-treatment of soybean fermentation have been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5764 (Cheonggukjang Manufacturing Equipment)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3453 (Cheonggukjang Manufacturing Machine Using Dried Beans). .

상기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5447호에 개시된 고안은 콩 삶기 모드의 동작에 따라 콩을 충분히 연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자에 의해 출원된 청국장용 콩 가공기에서는 콩 발효의 전처리 과정인 콩 불리기 모드, 콩 삶기 모드, 콩 뜸들이기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청국장용 콩을 가공하였다.The design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5447 was able to soften the beans sufficient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an boiling mode. However, Cheonggukjang soybean processing machine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processed the soybeans soybeans by performing the soybean fermentation mode, soybean boiling mode, soybean steaming mode of the pre-treatment of soybean fermentation.

상기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5764호 및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43453호에 개시된 고안은 콩 발효의 전처리 과정에서 콩 삶기가 아닌 콩을 찌는 과정으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콩을 삶게 되면 콩에 있는 유효한 영양분이 물 밖으로 흘러나와 영양분 소실의 원인이 되고, 콩이 용기에 눌러붙는 현상으로 제조 후 세척이 어려워 콩을 찌는 과정으로 해결을 했다.The design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5764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3453 is performing pretreatment by steaming beans, not soybeans, during the pretreatment of soybean fermentation. The reason is that when boiled, the effective nutrients in the beans flow out of the water, causing the loss of nutrients.

이와 같이 콩을 찌는 과정은 열원의 공급에 의한 물을 끓여 그 증기에 의해 콩의 연화 작용을 시키는 과정에서 충분히 연화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그로 인하여 콩 발효를 위한 미생물의 성장 환경이 나빠져 결국 청국장 등 콩 발효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As such, the process of steaming soybean has a limit to soften it sufficiently in the process of boiling water by supplying a heat source and softening the soybean by its steam, thereby deteriorat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microorganisms for fermenting soybeans and so on. This will affect fermentation qua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국장 가공을 위해 콩을 불리고 삶고 뜸들여서 발효하는 일련의 절차를 한번의 키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최상의 발효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convenience and the best fermentation quality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dures of soaking, boiled, steamed and fermented soybeans for the processing of Cheonggukja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 모드 동작후 발효식품의 건조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발효식품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dry the fermented food by selectively performing the drying mode of the fermented food after the fermentation mode of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콩의 가공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가 구비되고, 소정 공간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피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안치되고, 가공할 콩을 보관하는 발효용기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와 상기 발효용기 사이에 설치된 채 상기 발효용기에 보관된 콩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가열용기와,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와, 상기 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효용기에 보관된 콩을 삶기 모드, 뜸들이기 모드, 발효 모드로 전환되면서 각 모드마다 미리 설정된 전력 및 시간 조건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for setting the processing of the bean, the body consisting of the inner shell and the outer shell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the bean placed in the body, the bean to be processed A fermentation vessel for storing a, a heating vessel enclosed by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fermentation vessel, and a cover portion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to heat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container in the fermentation mode, the steaming mode, and the fermentation mod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button unit, to be heated at predetermined power and time conditions for each mode.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삶기 모드 이전에 불리기 모드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soaking mode before the boiling mod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 모드 이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 모드를 더 수행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건조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after the fermentation mode,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performs a drying mode or a drying mode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에는 상기 건조 모드 동작시 발효용기내로 습 한 공기를 분산사키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발효용기내로 가이드하기 위한 송풍로를 형성하는 송풍벽; 및 상기 가열용기에 형성된 송풍홈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송풍홈에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송풍구; 및 상기 송풍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송풍로, 송품홈 및 송풍구를 거쳐 발효용기내부로 순환된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ill more preferably, the body includes a blower fan for supplying air to disperse moist air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during the drying mode operation; A blower wall forming a blower path for gui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an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And a blowing groove formed in the heating container, and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blow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blowing groov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 air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blower, the air supply groove, and the air outl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발효용기는 그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거치되는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채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fermentation vess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ccommodates the chaeban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mounted on the locking jaw.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각 모드의 동작 종료시에 해당 모드의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표시부 및/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mode is completed to the display unit and / or an alarm sound when the operation of each mode is terminated.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건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몸체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발효용기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건조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cove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ying device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fermentation vessel and to open and close the body to perform the drying mode.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 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 및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를 채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ill more preferably, the drying device is configured to suck and heat external air so as to move the heated air downward in the tray.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 장치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채반 아래쪽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덮개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그 흡입된 공기를 상기 채반 아래쪽까지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공기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채반 아 래쪽으로 향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ill more preferably, the dr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air passage for moving the air sucked from the air intake formed in the lid to the bottom of the tray; A blowing fan that sucks air outside the cover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and forcibly blows the sucked air to the bottom of the tray; And installed in the air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directed toward the bottom side.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그 외면에 송풍팬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cove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팬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가 상기 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an outlet for connecting the power of the blowing fan is installed on the body.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채반은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중심 돌출부; 및 상기 중심 돌출부 양쪽에 설치된 채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chuck is a receiving portion; A central protrusion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rotrusion.

더욱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통로의 끝단은 상기 채반에 형성된 중심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ven more preferably, the end of the air passage is coupled to the central protrusion formed in the chann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fermentor having soybean boi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분해 모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schematic view of a fermentor having a boi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크게 콩의 가공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14a)를 구비한 몸체(10)와, 그 몸체(10)에 안치되고 가공할 콩을 보관하는 발효용기(30)와, 발효용기(30)에 보관된 콩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용기(20)와, 몸체(1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50)와, 몸체(10)에 구비된 버튼부(14a)의 선택에 따라 콩 불리기 모드, 콩 삶기 모드, 콩 뜸들이기 모드 및 콩 발효 모드로 전환되면서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fermenter having a soybean boi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equipped with a body 10 having a button portion 14a for setting the processing of the beans, and the beans to be placed and processed in the body 10 Fermentation vessel 30 to be stored, the heating vessel 20 for heating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the cover 5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body 10, and the body 10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button portion 14a is selected, the soybean soaking mode, soybean boiling mode, soybean steaming mode and soybean fermentation mode is switch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heating operation.

여기서, 콩 삶기 모드는 콩 내부의 연화가 가능하며 바실러스균의 생육환경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공정으로, 콩 발효시의 최상을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boiled soy mode is a process that can soften the inside of the beans and maximize the growth environment of Bacillus bacteria, it can provide the best quality during soybean fermentation.

제어부(14)는 콩 발효 모드 동작이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건조 모드로 전환하여, 발효용기(30)에 수용된 발효 식품(예를 들면, 청국장)을 건조시킬 수 있다.After the soybean fermentation mode operation, the control unit 14 may switch to the drying mod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o dry the fermented food (eg, Cheonggukjang) accommodat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이와 같은 건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도 2에서 보듯이 몸체(10)에 송풍팬(16)과, 송풍팬(16)에서 공급된 공기가 발효용기(30)내로 분산시키기 위한 송풍로(19)를 형성한 송풍벽(18)이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dry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lown fan 16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an 16 to the body 10 as shown in Figure 2 fermentation vessel 30 The blowing wall 18 which provided the blowing path 19 for disperse | distributing in the inside is provided.

또한, 가열용기(20)는 송풍로(19)와 마주보는 위치에 송풍팬(16)에서 공급된 공기가 발효용기(30)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송풍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50)에는 송풍홈(24)과 마주보는 위치에 송풍구(5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vessel 20 has a blowing groove 24 is formed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fan 16 enters the fermentation vessel 30 in a position facing the blower 19, the cover portion The air outlet 55 is formed in the position 50 facing the air blow groove 24.

이에 따라, 건조 모드 동작시 송풍팬(16)에서 공급된 공기를 송풍로(19), 송풍홈(24) 및 송풍구(55)를 거쳐 발효용기(30)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발효용 기(30)내의 식품을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an 16 is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through the blower 19, the blower groove 24, and the blower port 55 during the drying mode operation, thereby allowing the fermentation vessel 30 to operate. The food in) can be dried evenly.

도 3은 몸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의 (a)는 몸체(10)의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의 (c)는 도 3의 (A)의 B-B선의 단면도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dy in detail, Figure 3 (a) is a plan view of the body 10, Figure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of Figure 3 (a), (c) is sectional drawing of the BB line of FIG.

도 3을 참조하여 몸체(10)를 더 설명하면, 몸체(10)는 전원공급장치 및 각종 전자부품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 소정 공간의 수용부(15)를 형성하는 내피(13a)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13b)로 이루어져 있다.3, the body 10 includes a power supply device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nd includes an inner shell 13a and an appearance forming a receiving portion 15 in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It consists of an outer shell (13b) forming a.

또한, 몸체(10)는 외피(13b)에 설치된 손잡이(12)와, 내측면에 구비된 송풍벽(18)과, 그 송풍벽(18) 하단 끝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16)과, 송풍벽(18)과 송풍벽(18) 사이에 송풍을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송풍팬(16)에서 공급된 공기가 발효용기(30)내로 들어가기 위한 송풍로(19)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dy 10 includes a handle 12 installed on the outer shell 13b, a blower wall 18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 blower fan 16 for supplying air to the lower end of the blower wall 18, It includes a blower 19 for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an 16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blowing between the blower wall 18 and the blower wall 18.

이러한 송풍로(19)는 몸체(10) 내측면 양쪽에 하나씩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10) 내측면에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air blower 19 is described as one that can b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이러한 몸체(10)의 수용부(15)는 가공할 콩을 보관하는 발효용기(30)와, 그 발효용기(30)에 보관된 콩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용기(20)가 수용된다.Receiving portion 15 of the body 10 is a fermentation vessel 30 for storing the beans to be processed, and a heating vessel 20 for heating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is accommodated.

몸체(10)에 설치된 제어부(14)는 각 모드별로 미리 설정된 전력 및 시간 조건에 상응하게 가열용기(20)에 둘러싸져 있는 가열 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4 installed in the body 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22 surrounded by the heating vessel 20 in accordance with power and time conditions preset for each mode.

이러한 제어부(14)는 버튼부(14a)와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에 의해 콩 가공모드로 설정되면, 몸체(10)에 거치되는 발효용기(30)에 수용된 마른 콩을 가공하기 위해 불리기 모드, 삶기 모드, 뜸들이기 모드 및 발효모드로 전환되면서 각 모드별로 미리 설정된 전력 및 시간 조건에 상응하게 가열 수단(22)의 가열전력을 가변시킨다. 이때, 제어부(14)는 버튼부(14a)의 조작에 따라 타이머(미도시)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가열 수단(22)의 가열시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는 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여 가열 수단(22)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14 is interlocked with the button unit 14a, when set in the soybean processing mode by the menu selected by the user, called soaking mode for processing the dry beans accommodat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mounted on the body 10 The heating power of the heating means 22 is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t power and time conditions for each mode while being switched to the boiling mode, the steaming mode and the fermentation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 operates a tim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4a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heating time of the heating means 2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power supply device by operating the button unit to adjust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means 22.

또한, 제어부(14)는 발효 모드 동작 이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건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몸체(10)에 마련된 송풍팬(16)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송풍팬(16)의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는 몸체(10)에 마련된 송풍로(19)와 가열용기(20)에 마련된 송풍홈(24)과 덮개부(50)에 마련된 송풍구(55)를 거침으로써, 발효용기(30)내에서 순환된 습한 공기가 덮개부(50)에 마련된 배출구(5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그 결과 발효된 청국장이 고르게 건조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 provided in the body 10 to perform the drying mode select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after the fermentation mode operation. Accordingly, the air su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16 may include a blower 19 provided in the body 10 and a blower groove 24 provided in the heating vessel 20 and a blower provided in the cover 50. 55), the humid air circulat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53 provided in the cover portion 50, and as a result the fermented Cheonggukjang is evenly dried.

또한, 제어부(14)는 버튼부(14a)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고 있는 조리상태/가공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부(14a)에 해당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현재 조리 상태나 가공 상태에 상응하게 알림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리상태나 가공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어부(14)는 각 모드의 동작 종료시에 해당 모드의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larm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a cooking state / processing state tha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4a, and thus the button unit 14a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o the outside,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cooking state or processing state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cooking state or processing state.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4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mode is completed at the end of each mode operation.

버튼부(14a)는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몸체(10)로 공급되는 전원 을 관리하기 위한 전원 버튼, 마른 콩을 청국장으로 가공하기 위한 콩 가공모드(불리기 모드, 삶기 모드, 뜸들이기 모드, 발효 모드), 건조모드, 약탕모드, 중탕모드, 조리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버튼 등을 포함한다.Button portion 14a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body 10, the power button for manag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body 10, soybean processing mode (processing mode, boiling mode, Steaming mode, fermentation mode), drying mode, medicinal mode, hot water mode, a menu button for selecting a cooking mode and the like.

표시부(14b)는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메뉴 버튼의 선택 상태, 조리 상태 및 가공 상태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b is installed at one front side of the body 10 and displays a selection state of a menu button, a cooking state, a processing state,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도 4는 가열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a)는 가열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C-C선의 단면도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ating vessel in detail, Figure 4 (a) is a plan view of the heating vessel,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line of Figure 4 (a).

도 4를 참조하여 가열용기(20)를 더 설명하면, 가열용기(20)는 그 외면이 가열수단(22)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열 수단(22)은 띠 형상의 밴드히터일 수 있는데, 이러한 밴드히터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the heating vessel 20 will be further described. The heating vessel 20 has an outer surface surrounded by the heating means 22. The heating means 22 may be a band-shaped band heater, the band heater is preferably made of aluminum.

본 실시예에서 가열 수단을 띠 형상의 밴드히터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means is described as a band-shaped band heat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가열용기(20)에는 건조 모드시에 송풍팬(16)에서 공급된 공기를 발효용기(30)내로 분산시키기 위한 송풍로(19)와 마주보는 위치에 송풍홈(2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heating container 20, a blowing groove 22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blowing path 19 for dispers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fan 16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in the drying mode. .

도 5는 발효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a)는 발효용기의 편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D-D선의 단면도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ermentation vessel in detail, Figure 5 (a) is a one-sided view of the fermentation vessel, Figure 5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D-D of Figure 5 (a).

도 5를 참조하여 발효용기(30)를 더 설명하면, 발효용기(30)는 그 내면에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32)에 다수의 통기공(42)이 형성된 채반(40)이 거치된다.5, the fermentation vessel 30 will be described further. The fermentation vessel 30 has a locking jaw 32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 catching plate 40 in which a plurality of vent holes 42 are formed is mounted on the catching jaw 32.

이때, 발효용기(30)의 재질은 세라믹 도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fermentation vessel 30 is preferably to use ceramic ceramics.

본 실시예에서 발효용기(30)에 보관하는 식품재료를 콩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약재 및 양파, 호박, 토마토, 포도 등과 같은 기타 조리를 위한 식품재료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ood material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is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soybea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as a food material for other cooking such as herbal medicine and onion, pumpkin, tomato, grape, and the like. Of course.

발효용기(30)에 거치되는 채반(40)에는 가공할 콩을 넣고 채반(40)의 콩 높이까지 물을 넣는다. 이에 따라, 콩 불리기, 콩 삶기가 진행된 후에 물의 수위가 채반(40)의 콩 아래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콩 삶기 동작이후에 수행되는 뜸들이기 모드가 그 물의 증기에 의하여 진행된다.The beans to be ferment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put the beans to be processed and put the water up to the height of the beans in the tray 40. Accordingly, the water level after the soybean soaking, soybean boiling process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ybeans 40. Thus, the steaming mode, which is performed after the bean boil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the steam of the water.

본 실시예에서 발효용기(30)에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걸림턱(32)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윗부분이 넓고 아랫부분이 좁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적정위치에 채반(40)이 거치될 수 있다.Although the locking jaw 32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locking jaw 32 is not formed, the upper part is wide and the lower part is in a narrow shape, at a suitable position. ) Can be mounted.

도 6은 채반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의 (a)는 채반의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E-E선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y in detail. FIG. 6A is a plan view of the tray,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6A.

도 6을 참조하여 발효용기(30)에 거치되는 채반(40)을 더 설명하면, 채반(40)은 상향 개구되고 하부가 호형으로 된 수용부(41)를 구성하되, 수용부(41) 상단 외측으로 지지부(45)가 형성되고, 그 지지부(45)상에 공기 순환공(43)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further describes the tray 40 mounted on the fermentation vessel 30, the tray 4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ccommodating portion 41 having an upward opening and a lower portion having an arc shap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 The support part 45 is formed in the outer side, and the air circulation hole 43 is formed on the support part 45. As shown in FIG.

또한, 채반(40)에는 수용부(41)에 중심 돌출부(47)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41)의 바닥면에 다수의 통기공(42)이 형성된다. 또한, 중심 돌출부(47)의 양쪽에는 채반 손잡이부(49)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plate portion 47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41 in the tray 40,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42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41.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rotrusion 47 are provided with a holding handle 49.

이에 따라, 가열용기(20)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면, 콩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가열공기가 습기를 함유하게 됨과 아울러 수용부(41) 바닥면에 통기공(42)을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콩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점차적으로 상승하고 공기 순환공(43)을 통해 대류현상으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when the heating is performed by the heating vessel 20, the heating air contains moisture b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beans, and the air heated through the vent 4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41. As the contact is made to the bean gradually rises and the air circulation is made to convection through the air circulation hole (43).

도 7은 덮개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의 (a)는 덮개부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F-F선의 단면도이며, 도 7의 (c)는 도 7의 (a)의 G-G선의 단면도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ver in detail, (a) of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cover, Figure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F line of Figure 7 (a), Figure 7 (c) Is sectional drawing of the GG line | wire of (a) of FIG.

도 7을 참조하여 덮개부(50)를 더 설명하면, 덮개부(50)는 몸체(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식품의 조리 또는 가공시 식품의 냄새가 외부로 퍼지지 않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ver part 50 will be further described. The cover part 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smell of the food does not spread to the outside during cooking or processing of the food.

이러한 덮개부(50)는 몸체(10)와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덮개 손잡이(52)가 형성되어 있다.The cover 50 is formed with a cover handle 52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coupling with the body 10.

이때, 덮개부(50)의 재질은 유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덮개 손잡이(52)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cover 5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aluminum, stainless steel, etc., the cover handle 52 is preferably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또한, 덮개부(50)의 내면에는 발효용기(30)내의 수증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57)과, 발효용기(30)에서 발생된 수증기 또는 송풍팬(16)의 동작에 따라 공급된 공기가 발효용기(30)내로 순환된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5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50, the blocking film 57 for blocking the exposure of the water vapor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to the outside, and the operation of the steam or blower fan 16 generat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Accordingly, the outlet 53 is formed to discharge the humid air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to the outside.

여기서, 차단막(57)에는 가열용기(20)에 형성된 송풍홈(24)과 마주보는 위치에 송풍구(55)가 형성되어 있다.Here, the blower 55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blower groove 24 formed in the heating vessel 20.

미설명부호 11은 받침고무이다.Reference numeral 11 is a support rubber.

도 8 은 건조모드 동작시에 송풍팬에 의한 공기 순환 모식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ir circulation by the blowing fan in the drying mode opera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청국장 등 발효식품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건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the fermentor having a boiled bea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a drying mo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when the fermented food such as Cheonggukjang.

즉, 버튼부의 조작에 따라 건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버튼이 선택되면,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가열수단(22)에서 가열을 하여 발효식품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킨다.That is, when the menu button for performing the drying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the fermenter having a boiled soybean function is heated in the heating means 22 to evaporat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ermented food.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건조 모드의 동작에 따라 송풍팬(16)이 회전하게 되면, 가열수단(2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송풍로(19)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가열 용기(20)의 송풍홈(24)을 통해 덮개부(50)로 이동하게 되고, 덮개부(50)에 구비된 차단막(57)의 송풍구(55)를 통해 발효용기(3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blowing fan 16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ying mode, the air heated by the heating means 22 moves upward along the blowing path 19, and the heating vessel 20 is heated. It is moved to the cover portion 50 through the blowing groove 24 of the, it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vessel 30 through the air outlet 55 of the blocking film 57 provided in the cover portion (50).

이와 같이 발효 용기(30)로 이동된 공기가 발효 용기(30) 내부로 순환되어 덮개부(50)에 형성된 배출구(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발효식품를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air moved 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is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54 formed in the cover 50. Accordingly, the fermented food can be dried evenly, and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본 실시예에서 콩 발효모드 동작이후에 건조모드를 거침으로써 발효된 식품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과일, 채소 등 모든 식재료의 건조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fermented food is dried by going through a drying mode after the soybean fermentation mode of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of course, it is applicable to the drying of all ingredient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또한, 본 실시예에서 건조모드를 발효모드 동작후에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독립적으로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ying mode is described in such a manner as to operate only after the fermentation mode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를 이용한 가 공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ing process using a fermenter having soy boil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발효용기(30)에 보관된 마른 콩을 가공하기 위해 메뉴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에 의해 불리기 모드, 삶기 모드, 뜸들이기 모드 및 발효 모드로 자동 전환되면서 각 모드별로 미리 설정된 가열 전력 및 가열 시간으로 가변시켜 마른 콩을 불리고 삶고 뜸들여서 발효시킨 청국장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발효모드 직후에 건조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발효된 청국장을 건조시킬 수 있다.Fermenter with soybean boi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oaking mode, boiling mode, steaming mode and fermentation mode by the selected menu when the menu button is selected to process the dry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Each mode is changed to a preset heating power and heating time to process the soybeans soaked, boiled, steamed and fermented. At this time, the fermented Cheonggukjang can be dried by selectively performing the drying mode immediately after the fermentation mode.

이와 같은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발효용기(30)의 걸림턱(32)에 거치되는 채반(40)에 청국장의 주원료가 되는 콩을 넣고, 발효용기(30)에 일정량의 물과 혼합시킨 후 메뉴버튼에 의해 콩 가공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콩량이 100g 내지 600g일 경우 콩량에 비례하여 물량을 700cc 내지 1700cc로 하여 콩과 물을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Looking at the fermenter having a soy boil function, the user first put the beans to be the main raw material of the Cheonggukjang in the chaeban 40 mounted on the locking jaw 32 of the fermentation vessel 30, a certain amount of fermentation vessel 30 After mixing with water, select soybean processing mode by menu button.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soybean is 100g to 600g it is preferable to mix the water and soybean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soybean 700cc to 1700cc.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의 표 1에서 보듯이 마른 콩을 180W ~ 250W의 전력으로 30분간 가열되도록 한 후 50분간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 다음, 다시 80W의 전력으로 10분간 가열되도록 한 후 50분간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과정을 설정된 횟수(예를 들면, 4회)만큼 반복 실행하게 하여 온도를 유지 및 제어하고, 다시 80W의 전력으로 10분간 가열되도록 한 후 30분간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면 마른 콩이 적당하게 불려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불리는 시간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도 있고 계절에 따라 다르게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dried beans are heated for 30 minutes at 180W to 250W power, and t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or 50 minutes, and then heated for 10 minutes at 80W power, and then for 50 minutes. If the proces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is repeatedly executed for a 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4 times),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nd controlled, and after heating for 10 minutes with the power of 80W,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or 30 minutes. It is explained that beans are called properly, but they can be called at regular times or in different seasons.

시간time 소비전력Power Consumption 전력 범위Power range 00:00 ~ 00:3000:00 to 00:30 200W200 W 180W ~ 250W 180 W-250 W 00:30 ~ 01:2000:30 ~ 01:20 휴지tissue 01:20 ~ 01:3001:20 ~ 01:30 80W80 W 60 ~ 100W60 to 100 W 01:30 ~ 02:2001:30 ~ 02:20 휴지tissue 02:20 ~ 02:3002:20 ~ 02:30 80W80 W 60 ~ 100W60 to 100 W 02:30 ~ 03:2002:30 ~ 03:20 휴지tissue 03:20 ~ 03:3003:20 ~ 03:30 80W80 W 60 ~ 100W60 to 100 W 03:30 ~ 04:2003:30 ~ 04:20 휴지tissue 04:20 ~ 04:3004:20 ~ 04:30 80W80 W 60 ~ 100W60 to 100 W 04:30 ~ 05:2004:30 ~ 05:20 휴지tissue 05:20 ~ 05:3005:20 ~ 05:30 80W80 W 60 ~ 100W60 to 100 W 05:30 ~ 06:0005:30 ~ 06:00 휴지tissue

이와 같은 전력 및 가열시간으로 콩 불리기 공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삶기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제어부(14)는 삶기 모드시 180W ~ 250W의 전력으로 10시간 ~ 11시간정도 가열되도록 전원공급장치 및 타이머를 제어한다. 이러한 콩 삶기 모드를 거침으로써 콩 내부의 연화가 가능하다.With this power and heating time, the soybean filling process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boiling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power supply and the timer to be heated for about 10 hours to 11 hours with a power of 180W ~ 250W in the boiling mode. By going through the soy boil mode, softening of the inside of the bean is possible.

다음으로,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삶기 모드 진행이 종료되면 뜸들이기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뜸들이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4)는 삶아진 콩을 삶기 모드 작동직후 일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 30분)이 경과되면 청국장용 콩이 가공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된 표시부 및/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청국장용 콩의 가공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Nex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when the progress of the boil mode is finished, it is switched to the moxibustion mode. As described above, when switching to the moxibustion mode, the control unit 14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ybeans have been proces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hour and 3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boiled beans are operated in the body. Output by the display and / or the alarm sou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10) to inform the user of the processing state of the soybeans.

이와 같이 콩 삶기 공정에서 콩 내부를 연화시킨 상태로 콩 뜸들이기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바실러스 균의 생육환경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청국장 제조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바실러스균의 최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ean steam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the inside of the bean softened in the boiling process so that the growth environment of Bacillus bacteria can be maximized, the production time of Cheonggukjang can be shortened, and the optimal environment for Bacillus bacteria can be provided. have.

다음으로, 뜸들이기 공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발효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제어부(14)는 발효 모드시 40W의 전력으로 24시간 정도 가열되도록 전원공급장치 및 타이머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전력으로 가열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발효온도가 40℃ ~ 43℃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효 모드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청국장이 완성된다.Next, when the steaming process is completed,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fermentation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 controls the power supply and the timer to be heated for about 24 hours at 40W of power in the fermentation mode.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made with such power,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40 ℃ ~ 43 ℃. As the fermentation mode of oper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hungkookjang is completed.

다음으로, 발효 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건조 모드로 전환된다. 발효 공정에서 완성된 청국장을 요리해서 먹을 수도 있고, 청국장을 건조하여 영양식으로 먹을 수 있다.Next, when the fermentation process is completed, it is switched to the drying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Cheonggukjang prepared in the fermentation process can be cooked and eat, or it can be dried and eaten nutritionally.

이렇게 함으로써, 콩 삶기 모드를 수행하여 최상의 발효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 발효를 위한 전처리 공정과 발효 공정을 한번의 키 조작에 따라 편리하게 청국장을 만들 수 있다. By doing so, not only the fermentation mode can be performed to provide the best fermentation quality, but also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fermentation process for fermenting soybeans can be conveniently made with one key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청국장을 가공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효온도를 조정하여 유산균 발효도 가능하여 요구르트 제조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described as limited to processing the Cheonggukjang, in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erment lactic acid bacteria by adjusting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can also be used as a yogurt mak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a fermenter having a boiled bean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ermentor having a boil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콩의 가공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14a)를 구비한 몸체(10)와, 그 몸체(10)에 콩을 보관하는 발효용기(30)와, 발효용기(30)에 보관된 콩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용기(20)와, 몸체(1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50)와, 몸체(10)에 구비된 버튼부(14a)의 선택에 따라 콩 불리기 모드, 콩 삶기 모드, 콩 뜸들이기 모드 및 콩 발효 모드로 전환되면서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9, a fermentor having a boil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dy 10 having a button portion 14a for setting the processing of the beans, and the beans in the body 10 Fermentation vessel 30 to be stored, the heating vessel 20 for heating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30, the cover 50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body 10, and the body 10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button portion 14a is selected, the soybean soaking mode, soybean boiling mode, soybean steaming mode and soybean fermentation mode is switch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heating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의 구성요소 중 버튼부(14a)와, 발효용기(30)와, 제어부(14)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발효기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하기로 한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fermenter having a bean boil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ortion 14a, the fermentation vessel 30, and the control unit 14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ermenter with the bean boi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Since it is an element,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However, components that perform func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사항들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였으며,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였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details already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e components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열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의 (a)는 가열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H-H선의 단면도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ing vessel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is a plan view of the heating vessel, Figure 10 (b) is a line of HH of Figure 10 (a) It is a cross section.

도 10을 참조하여 가열용기(20)를 더 설명하면, 가열용기(20)는 그 외면이 가열수단(22)(예를 들면, 띠 형상의 밴드히터)으로 둘러싸져 있다.10,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vessel 20 is surrounded by a heating means 22 (for example, a band-shaped band heater).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의 (a)는 덮개부의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I-I선의 단면도이다.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ver part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plan view of the cover part, and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1A. .

덮개부(50)는 몸체(10)의 상측에 마련되어, 몸체(10)와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부(52)와, 가열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3)를 포함한다.The cover part 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and includes a handle part 52 configured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coupling with the body 10, and a discharge port 53 through which water vapor generated by heating is discharged. .

이러한 덮개부(50)는 콩 불리기 모드, 콩 삶기 모드, 콩 뜸들이기 모드 및 콩 발효 모드 동작시에 사용된다.This cover 50 is used during soybean soaking mode, soybean boiling mode, soybean steaming mode and soybean fermentation mode operation.

건조모드 동작시에 사용되는 덮개부(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12의 (a)는 건조 장치가 구비된 덮개부의 평면도이고, 12의 (b)는 도 12의 (a)의 J-J선의 단면도이다.Cover portion 50 used in the drying mode operation is as shown in Figure 12, Figure 12 (a) is a plan view of the lid portion provided with a drying apparatus, Figure 12 (b) is a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JJ line of ().

도 12를 참조하면, 덮개부(50)에는 몸체(10)를 개폐함과 함께 발효용기(30)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건조 장치(60)가 설치된다. 또한, 덮개부(50)는 건조모드 동작시에 발효 용기(30) 내부로 순환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공기 배출구(65)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cover 50 is provided with a drying device 60 to open and close the body 10 and to dry the fermentation vessel 30. In addition, the lid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s 65 to discharge the air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during the drying mode operation.

이러한 건조 장치(6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 및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를 채반(40) 아래쪽으로 유도하도록 한다.The drying device 60 sucks and heats the outside air to guide the heated air under the tray 40.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건조 장치(6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61)와, 흡입된 공기를 채반(40) 아래쪽까지 이동하기 위한 공기 통로(62)와, 송풍팬(63)과, 히터(64)와, 스위치(67)와, 전원 연결선(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drying apparatus 60 includes an air intake port 6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 air passage 62 for moving the sucked air to the bottom of the tray 40, a blower fan 63, The heater 64, the switch 67, and the power supply line 68 are comprised.

이러한 건조 장치(60)는 공기 통로(62)의 끝단이 채반(40)에 형성된 중심 돌출부(47)에 결합되어, 건조 모드의 동작에 따라 송풍팬(63)이 회전하게 되면 공기 흡입구(61)를 통하여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공기 통로(62)를 따라 채반(40)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공기 통로(62)내에 히터(64)가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가 채반(40)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drying device 60 is coupled to the central protrusion 47 formed 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62 in the channel 40, and the air inlet 61 when the blowing fan 63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ying mode.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s moved downward along the channel 40 along the channel 62. At this time, the heater 64 is provided in the air passage 62, and the heated air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tray 40 by heating the outside air.

이와 같이 채반(40) 아래쪽으로 이동된 공기가 발효 용기(30) 내부로 순환되어 덮개부(50)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6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s such, the air moved to the bottom of the tray 40 is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65 formed in the lid 50.

또한, 건조 장치(60)에는 그 외면에 송풍팬(63)의 동작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6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67)의 온/오프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품을 건조시킬 수 있다.In the drying apparatus 60, a switch 67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6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dry the food by selecting on / off of the switch 67.

몸체(10)에는 송풍팬(63)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에 마련된 콘센트에 건조 장치에 이어진 플러그를 꽂아 사용자가 여분의 콘센트를 찾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건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Body 10 is provided with an outle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power of the blowing fan (63). Accordingly, by plugging the plug connected to the drying apparatus into the outlet provided in the body 10, the user can conveniently supply power to the drying apparatus without having to find an extra outlet.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모드 동작시에 공기 순환 모식도이다.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ir circulation in the dry mode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는 버튼부(14a)의 조작에 따라 건조모드로 동작시킨다. 이러한 건조 모드를 수행하게 되면 식품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킨다.Referring to FIG. 13, the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dry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4a. Performing this drying mode evaporate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건조 모드의 동작에 따라 송풍팬(63)이 회전하게 되면 덮개부(50)의 외부 공기가 공기 흡입구(61)를 통하여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가 공기 통로(62)를 거쳐 채반(40)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blowing fan 6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ying mode, the outside air of the cover 50 is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61, and the heated air is heated by heating the sucked air. It moves to the bottom of the tray 40 through the passage (62).

이와 같이 채반(40) 아래쪽으로 이동된 공기가 발효 용기(30) 내부로 순환되어 덮개부(5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배출구(도 12의 65)를 통하여 외부 배출된다. 이에 따라,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고 그 가열된 공기를 채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발효식품이나 식품재료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As such, the air moved under the tray 40 is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3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air outlets (65 of FIG. 12) formed in the cover part 50. Accordingly, the fresh outside air can be heated and the heated air can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tray to effectively dry the fermented food or food material.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국장 가공을 위한 일련의 절차를 한번의 키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국장 가공을 위한 전처리 공정과 후처리 공정을 하나의 가공기에서 수행함으로써 조리기의 교체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청국장을 가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user's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series of procedures for the processing of Cheonggukjang according to one key operation. In particular, by performing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post-treatment process for the processing of the cheongukjang in one processor,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rocess the cheongukjang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cooker.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국장 가공을 위한 일련의 절차 중 콩 삶기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콩 내부의 연화가 가능하며 바실러스균의 생육 환경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따라, 청국장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최적 환경의 제공으로 최상의 발효품질을 가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the soybean boiling mode of a series of procedures for processing the Cheonggukjang, it is possible to soften the inside of the beans and to maximize the growth environment of Bacillus bacteri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of Cheonggukjang and to process the best fermentation quality by providing the optimum environment.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전력 및 시간으로 가공 또는 조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공상태나 조리상태를 일일이 지켜봐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킨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the processing or cook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ower and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watch the processing state or cooking state every day.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모드 동작시에 송풍팬에서 공급된 공기가 송풍로, 송풍홈, 송풍구를 거쳐 발효용기 내부로 순환되어 덮개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 식품이나 식품재료를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건조된 식품을 간편하게 영양식으로 먹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fan during the drying mode is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through the blower, the blowing groove, the blower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over portion, shortening the drying time Not only that, but also the effect of evenly drying fermented foods or food ingredients. In addition, the dried food can be easily eaten nutritionally.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에 구비된 건조 장치를 통해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고 그 가열된 공기를 채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발효식품이나 식품재료를 건조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발효식품이나 식품재료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heating the fresh outside air through the drying device provided on the cover portion and by moving the heated air to the bottom of the tray to dry the fermented food or food material, effectively fermented food or food It also has the effect of drying the material.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에 마련된 콘센트에 건조 장치에 전원 연결선을 연결시킴으로써, 외부 콘센트를 찾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건조 장치에 콘센트를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drying apparatus to the outlet provided in the body,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conveniently connect the outlet to the drying apparatus without having to find an external outlet.

Claims (13)

콩의 가공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가 구비되고, 소정 공간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피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로 이루어진 몸체와,The body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for setting the processing of the beans, the body consisting of the inner shell and the outer shell form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상기 몸체에 안치되고, 가공할 콩을 보관하는 발효용기와,Fermentation vessel and is placed in the body, and stores the beans to be processed, 상기 몸체의 수용부와 상기 발효용기 사이에 설치된 채 상기 발효용기에 보관된 콩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가열용기와,A heating vessel surrounded by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fermentation vessel;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와,A cover part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body; 상기 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효용기에 보관된 콩을 삶기 모드, 뜸들이기 모드, 발효 모드로 전환되면서 각 모드마다 미리 설정된 전력 및 시간 조건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to be heated to a preset power and time conditions for each mode while switching to the boil mode, steaming mode, fermentation mode stored in the ferment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button uni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 모드 이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 모드를 더 수행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건조 모드를 더 수행하고,The control unit, after the fermentation mode, optionally further performs a drying mode or a drying mode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몸체에는, 상기 건조 모드 동작시 발효용기내로 습한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The body, a blowing fan for supplying air to disperse the wet air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during the drying mode operation; 상기 송풍팬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발효용기내로 가이드하기 위한 송풍로를 형성하는 송풍벽; 및A blower wall forming a blower path for guid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fan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And 상기 가열용기에 형성된 송풍홈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blowing groove formed in the heating vessel,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송풍홈에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송풍구; 및The cover part, a blower formed in a position facing the blowing groove; And 상기 송풍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송풍로, 송품홈 및 송풍구를 거쳐 발효용기내부로 순환된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ort for the humid air cir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vessel through the air blower, the supply groove and the blower outlet discharged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삶기 모드 이전에 불리기 모드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Fermenter having a soy boi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urther perform a soaking mode before the boil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ermentation vessel 그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거치되는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된 채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The fermenter having a boiled bea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ja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ccommodating the chamf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ounted to the locking jaw.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각 모드의 동작 종료시에 해당 모드의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표시부 또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Fermenter having a boiled soyb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mode is completed at the end of each mode to the display unit or an alarm sound. 콩의 가공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부가 구비되고, 소정 공간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피 및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로 이루어진 몸체와,The body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for setting the processing of the beans, the body consisting of the inner shell and the outer shell form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상기 몸체에 안치되고, 가공할 콩을 보관하는 발효용기와,Fermentation vessel and is placed in the body, and stores the beans to be processed, 상기 몸체의 수용부와 상기 발효용기 사이에 설치된 채 상기 발효용기에 보관된 콩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가열용기와,A heating vessel surrounded by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beans stored in the fermentation vessel while being install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fermentation vessel;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와,A cover part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body; 상기 버튼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효용기에 보관된 콩을 삶기 모드, 뜸들이기 모드, 발효 모드로 전환되면서 각 모드마다 미리 설정된 전력 및 시간 조건으로 가열되도록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eans to be heated to a preset power and time conditions for each mode while switching to the boil mode, steaming mode, fermentation mode stored in the fermenta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button uni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효 모드 이후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조 모드를 더 수행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건조 모드를 더 수행하고,The control unit, after the fermentation mode, optionally further performs a drying mode or a drying mode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건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몸체를 개폐함과 함께 상기 발효용기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건조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The cover portion, the fermenter having a boiled so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device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body and the inside of the fermentation vessel to open and close the body to perform the drying mod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ying device 외부의 공기를 흡입 및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를 채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A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the heated air to the bottom of the tray by sucking and heating the outside ai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ying device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채반 아래쪽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An air passage for moving the air sucked from the air suction port formed in the cover part to the lower side of the tray;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덮개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그 흡입된 공기를 상기 채반 아래쪽까지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 및A blowing fan that sucks air outside the cover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and forcibly blows the sucked air to the bottom of the tray; And 상기 공기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채반 아래쪽으로 향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A 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air passage, the heater for heating the air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chaeba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ver portion 그 외면에 송풍팬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Fermenter having a boiled so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is formed on the outside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송풍팬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가 상기 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soybea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for connecting the power of the blowing fan is installed in the bod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ice 수용부;Receptacle; 상기 수용부에 마련된 중심 돌출부; 및A central protrusion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상기 중심 돌출부 양쪽에 설치된 채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Fermenter having a boil function soybea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rotrus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의 끝단은 상기 채반에 형성된 중심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삶기 기능을 갖는 발효기.The fermenter having a soybean boiling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n end of the air passage is coupled to a central protrusion formed in the tray.
KR1020060076317A 2006-08-11 2006-08-11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KR100782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317A KR100782406B1 (en) 2006-08-11 2006-08-11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317A KR100782406B1 (en) 2006-08-11 2006-08-11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406B1 true KR100782406B1 (en) 2007-12-05

Family

ID=3913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317A KR100782406B1 (en) 2006-08-11 2006-08-11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4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33B1 (en) 2004-09-03 2005-03-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Multi-purposed food cooker and budding uncleaned rice, misujang, fermented soybeans producing and leaf fermenting method of use it
KR200385447Y1 (en) 2005-03-17 2005-05-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Bean cooker for fermented soybeans
KR20050069838A (en) * 2003-12-29 2005-07-05 이선희 Multi-coo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838A (en) * 2003-12-29 2005-07-05 이선희 Multi-cooker
KR100476133B1 (en) 2004-09-03 2005-03-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Multi-purposed food cooker and budding uncleaned rice, misujang, fermented soybeans producing and leaf fermenting method of use it
KR200385447Y1 (en) 2005-03-17 2005-05-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Bean cooker for fermented soyb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5518B (en) Electric cooker with post-fermentation function and making method of fermented foods
KR101198338B1 (en) Device for making fermented food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782406B1 (en) Fermentation device having a bean boiling function
CN105770938A (en) Integrated disinfection device for vegetable and fruit cutting boards and knives
JP6763589B1 (en) Jiuqu making device and koji making method using it
KR100463827B1 (en) The Apparatus for Making Red Ginseng Radiating Far Infrared Ray
CN208151384U (en) A kind of Zymolysis Equipment
KR200385447Y1 (en) Bean cooker for fermented soybeans
KR20100004005A (en) Smoking machine for meat
US9138012B2 (en)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 materials as food product
CN106377774A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disinfection cabinet
CN207412002U (en) Cooking apparatus
KR100522538B1 (en) Multi-function decoctor and method of making chunggukjang by the decoctor
KR20000072062A (en) Producing apparatus for red ginseng and luquid therefrom
JP2006025784A (en) Multipurpose fermentation apparatus of three-dimensional heating type and ferment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646999B1 (en) Soy sauce method using multifunctional household meju fermenter
KR20040083816A (en) Automatic control type double boiler
KR100476133B1 (en) Multi-purposed food cooker and budding uncleaned rice, misujang, fermented soybeans producing and leaf fermenting method of use it
CN213640534U (en) Novel seafood steamer
KR200372185Y1 (en) A making receptacle of fermented soybeens for multipurpose cooker
KR100594370B1 (en) Food fermenter
CN210055680U (en) Multifunctional hot spring egg machine
KR200341866Y1 (en) A fermented soybean making apparatus using rised soybean by soak in water
KR100595480B1 (en) A multi function cooker with the fermented soybeans made from fermented rice and methods of the fermented soybeans made from fermented rice thereby
KR200309543Y1 (en) Device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