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867B1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867B1
KR100781867B1 KR1020060071160A KR20060071160A KR100781867B1 KR 100781867 B1 KR100781867 B1 KR 100781867B1 KR 1020060071160 A KR1020060071160 A KR 1020060071160A KR 20060071160 A KR20060071160 A KR 20060071160A KR 100781867 B1 KR100781867 B1 KR 10078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opening
detecting
sens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광
유경남
진은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8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63B21/508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connected to submerged bu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8Offshore
    • F17C2270/0126Bu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A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buoy installed i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is provided to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mooring under the sea from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on the sea. A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an detect the position of a buoy mooring under the sea to connect a pipe of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to a pipe on the ground. The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protrudes from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when detecting the buoy. A detection sensor protrudes from the vessel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detect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vessel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not detected. The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pens a passage so that the detection sensor can protrude from the vessel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detected and closes the passage when the detection sensor can be accommodated in the vessel.

Description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LNG regas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3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도 4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센서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of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lowered,

도 5는 상기 부이에 설치된 센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showing a sensor installed in the buo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2 : 선박 3 : 터릿2: ship 3: turret

4 : 부이 6 : 해저 터미널4: buoy 6: subsea terminal

10 :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21 : 개구부10: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21: opening

41 : 트랜스폰더 센서 110 : 승강 유닛41: transponder sensor 110: lifting unit

111 : 막대 부재 112 : 트랜시버 센서111: rod member 112: transceiver sensor

113 : 제1 구동수단 120 : 개폐 유닛113: first driving means 120: opening and closing unit

121 : 게이트 부재 123 : 제2 구동수단121: gate member 123: second drive means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를 재기화한 후 재기화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갖춘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buoy position installed in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having an LNG regasification system for supplying the natural gas of the regasified gas state to the land requirements after regasification of Liquified Natural Gas (LNG) An apparatus and a detection method are provided.

근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의 상태로 LNG 캐리어(특히,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In recent years, the consumption of natural gas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Natural gas is transported in a gaseous state through onshore or offshore gas piping, or to a remote consumer while stored in an LNG carrier (especially an LNG carrier) in the form of liquefied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gas is obtained by cooling natural gas to cryogenic temperature (approximately -163 ℃), and its volume is reduced to about 1/600 than natural gas in gas state, so it is very suitable for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through sea.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통상, 이러한 LNG 수송선은 LNG 저장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The LNG Carrier is designed to unload liquefied natural gas to the land requirements by loading the liquefied natural gas into the sea, and for this purpose, an LNG storage tank (commonly referred to as a 'cargo') that can withstand the cryogenic temperature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It includes. Normally, such LNG transport ships unload liquefied natural gas in LNG storage tanks as they are liquefied, and the unloaded LNG is regasified by LNG regasification facilities installed on land and then transported through gas piping to consumers of natural gas. do.

이러한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는 천연가스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 으로 천연가스의 수요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소요처의 경우에는, 높은 설치비와 관리비로 인해, 육상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Such onshore LNG regasification facility is known to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when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re is a demand for natural gas because the natural gas market is well formed. However, in the case of natural gas demand where the demand for natural gas is seasonal, short-term or periodic,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to install LNG regasification facilities on land due to the high installation cost and management cost.

특히, 자연재해 등에 의해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가 파괴될 경우, LNG 수송선이 소요처에 LNG를 싣고 도달한다 하더라도, 그 LNG를 재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LNG 수송선을 이용한 천연가스 운반은 한계성을 안고 있다. In particular, if a land LNG regasification facility is destroyed due to a natural disaster or the like, even if an LNG carrier arrives at a required destination, the LNG cannot be regasified. Holding it.

이에 따라, 예를 들면, LNG 수송선에 LNG 재기화 설비를 마련하여,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고, 그 재기화를 통해 얻어진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 제 0569621 호(엑손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수송선 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미국 특허 제 6,546,739 호(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미국 특허 제 6,578,366 호(Moss Maritime AS, Device for evapor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미국 특허 제 6,688,114 호(El Paso Corporation LNG CARRIER, 미국 특허 제 6,598,408 호(El Pa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NG), 한국 특허 제 0467963 호(강도욱, 앨앤지 알브이의 가스화 장치 운전 방법), 미국 특허 제 6,945,049 호(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한국 특허 제 0504237 호(대우조선 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한국 특허 제 0474522 호(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가열 시스템), 한국 특허공개 제 2003 -0090686 호(라이프 호에그 운트 코. 에이에스에이, 선박 및 하역 시스템), 미국 특허공개 제 2005-0061002A 호(Shipboard regasification for LNG carriers with alternate propulsion plants), 한국 특허공개 제 2004-0105801 호(엑셀레이트 에너지 리미티드 파트너쉽, 개량된 LNG 운반선), 한국 실용등록 제 0410836 호(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선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등이 있다.As a result, for example, an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n LNG regasification facility is provided on an LNG carrier to regasify liquefied natural gas at sea and supply natural gas obtained through regasification to the land. In addition, the prior art associated with such an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include Korean Patent No. 0569621 (ExxonMobil Oi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asific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on a Ship), and US Patent No. 6,546,739 (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US Pat. No. 6,578,366 (Moss Maritime AS, Device for evapor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US Pat. No. 6,688,114 (El Paso Corporation LNG CARRIER, US Pat. No. 6,598,408, El Pa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NG), Korean Patent No. 0467963 (Kang Do-wook, R & G Alv operation method), US Patent No. 6,945,049 (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orean Patent No. 0504237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a vessel equipped with shielding means to block the bottom opening, Korea Patent No. 0474522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yst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 -0090686 (Life Hoeg Unt.A.S., Ship and Unloading System), US Patent Publication No. 2005-0061002A (Shipboard regasification for LNG carriers with alternate propulsion plant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105801 (Excel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Improved LNG Carrier), and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0410836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Liquefied Natural Gas Regasification System).

이러한 종래의 LNG 재기화 선박은, LNG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를 위해 기화기 등의 설비를 선박에 구비하며, 또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시스템 내 배관과 육상 소요처의 가스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 그리고, 천연가스의 하역이 이루어지는 동안 선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선박위치 유지장치 등을 구비한다.The conventional LNG regasification vessel is equipped with a facility such as a vaporizer in the vessel for regasification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stored in the LNG storage tank, and in addition, the piping in the system to supply the regasified natural gas to the land requirements And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gas piping to the land requirements, and a ship position maintain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ship while the natural gas is unloaded.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선박 내에 마련된 구조물인 터릿(turret)과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buoy)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데, 선박은 해수면 위에 떠있으면서 유동하는 상태이고 부이는 해저에 계류되어 유동하는 상태이므로, 선박에서 부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piping of LNG regasification vessel and the pipeline of the land,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turret, which i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vessel, and the buoy suspended below the sea level, and the vessel floats while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nd buoys are mooring and floating on the sea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ind the exact position of buoys in the vessel.

한편,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선박의 외측에 센서 등의 검출장치를 부착할 경우에는 돌출된 센서 구조물로 인한 저항이 발생하여 선박의 속도가 저하 될 우려가 있고, 센서가 항상 선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끼, 불가사리 등의 해양생물에 의해 오염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detection device such as a senso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hip in ord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resistance due to the protruding sensor structure may occur, which may reduce the speed of the ship, and the sensor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ull. Therefore, it may be contaminated by marine life such as moss and starfish.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NG 재기화 선박 내에 마련된 구조물인 터릿과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시 LNG 재기화 선박으로부터 돌출되어 부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inventors have discovered these problem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oy protruding from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if necessary, in order to connect the turret, which i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with buoys moored below the sea lev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oy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a detection method for finding an exact position of 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낼 수 있으며, 검출시 선박으로부터 돌출되는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the sea level to be coupl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nd the land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is provided And a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is installed on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protruding from the vessel at the time of detection.

여기에서,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때에는 선박으로부터 돌출되고,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선박 내부에 수용되는 검출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includes a detection sensor that protrudes from the vessel whe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and is housed inside the vessel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not detected.

또한,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때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될 때에는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so that the detection sensor can protrude from the vessel whe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and closes and closes the passage when the detection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vess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상기 검출용 센서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과, 상기 개폐 수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ifting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이때, 상기 개폐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개폐 수단이 개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센서는 하강하지 않고, 상기 승강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검출용 센서의 하강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개폐 수단은 폐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it is not detected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the detection sensor does not descend, and when the falling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by the lifting detection mean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not closed.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검출용 센서는 트랜시버 센서로서, 부이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스폰더 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트랜스폰더 센서는 복수개가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is a transceiver sensor, it is mad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send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transponder sensor attached to the buoy, the plurality of transponder sensor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oy It is desirable to b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로서,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는 검출용 센서를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고,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내부에 수용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oy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sea level so that the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can be coupl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nd the land piping. As a position detecting device,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including a lifting unit for protruding a detection sensor out of a ship when a buoy's position is to be detected and accommodating the detection sensor inside the ship when a buoy's position is not detected. A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으로서, 부이 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 검출용 센서를 승강 유닛에 의해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와,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 상기 검출용 센서를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해 선박 내부에 수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서의 부이 위치 검출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oy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sea level so that the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can be coupl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nd the land piping. A position detecting method, comprising: protruding a detection sensor out of a ship by a lifting unit when trying to detect the position of a buoy, and placing said detection sensor inside the ship by said lift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a buoy is not detected. A 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i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is provided,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으로서,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 개폐 유닛에 의해 검출용 센서가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개방하는 단계와, 승강 유닛에 의해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와, 선박 외부로 돌출된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단계와,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해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내부에 수용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개폐 유닛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서의 부이 위치 검출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oy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sea level so that the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can be coupl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nd the land piping. A posi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opening an opening,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 detection sensor protrudes out of a ship by an opening / closing unit when detecting the position of a buoy, and protruding the detection sensor out of a ship by a lifting unit;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by the detection sensor protruding out of the ship, accommodating the detection sensor inside the ship by the lift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not detected; And closing the opening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when the detecting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hip. A 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i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is provided.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마련된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은 선박(2)에 설치되고, 그 선박(2)을 해상에 계류시킨 상태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로 재기화한 후 이를 해저 터미널(6)을 통해 육상의 소요처(도시생략)로 공급한다.1 shows an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provided i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ship 2, and after re-gasification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into a natural gas in a gas state with the ship 2 mooring at sea. This is supplied to the land requirements (not shown) via the subsea terminal 6.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4)를 선박의 터릿(3) 하단에 끼워 접속함으로써 선박 상의 LNG 재기화 시스템(10)과 해저 터미널(6)과의 사이를 부이(4) 및 라이저(9)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 4 moored below the sea level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urret 3 of the ship to connect the buoy 4 between the LNG regasification system 10 and the subsea terminal 6 on the ship. And riser 9.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은, 액화천연가스의 수송 기능이 있는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받아 이를 재기화시키는 해상 위의 다른 해상 부유 구조물에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having a transport fun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nother offshore floating structure on the sea which receives liquefied natural gas from an LNG carrier and regasifies it. 10 may be installed.

본 실시예의 시스템(10)은, LNG 저장탱크(11)와, 그 LNG 저장탱크(11)로부터 끌어 올려진 액화천연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석션드럼(12)과, 상기 석션드럼(12)으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고압펌프(13)(도 1에는 하나만이 도시됨)와, 이 복수의 고압펌프(13)들 각각에서 승압되어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열교환 매체를 이용하여 재기화시키는 복수의 기화기(14)를 포함한다.The syste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LNG storage tank 11, a suction drum 12 for temporarily storing liquefied natural gas drawn up from the LNG storage tank 11, and the suction drum 12. A plurality of high pressure pumps 13 (only one is shown in FIG. 1) for pressurizing the supplied liquefied natural gas to a high pressure, and the liquefied natural gas which is boosted and suppli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high pressure pumps 13 to provide a heat exchange medium. And a plurality of vaporizers 14 for regasification.

상기 열교환 매체로는 해수 또는 청수를 이용하거나, 중간 열교환 매체(예컨대, 프로판, 에탄, 암모니아 등)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미국 특허 제 6,945,049 호 참조).As the heat exchange medium, sea water or fresh water may be used, or an intermediate heat exchange medium (eg, propane, ethane, ammonia, etc.) may be used together (see US Patent No. 6,945,049).

그리고,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즉, 하역)하기 위해서는, 해저의 가스 배관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해저 가스 배관 없이 직접 선박의 가스 배관과 육상의 배관(특히, 육상 안벽에 설치된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ly the regasified natural gas to the land (that is, unloading), the gas pipe of the ship and the land pipe (especially the pipe installed on the land quay) using the gas pipe of the seabed, or directly without the sea gas pipe. A method of connecting the same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해저 가스 배관(7)을 이용하는 방식, 그 중에서도 해저의 부이(4)를 선박의 터릿(3)에 접속함으로써 선박 상의 LNG 재기화 시스템(10)과 해저 터미널(6)과의 사이를 부이(4) 및 라이저(9; riser)에 의해 연결하는 방식인 STL(Submerged Turret Loading)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STL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hod using the subsea gas piping 7, and inter alia, the buoy 4 of the seabed is connected to the turret 3 of the ship, so that the LNG regasification system 10 and the subsea terminal 6 on the ship are connected. The Submerged Turret Loading (STL) method, which is a method of connecting between the buoy 4 and the riser 9, is used. However, this STL scheme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에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게이트가 폐쇄되어 있는 동시에 센서가 상승되어 선체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게이트는 개방되어 있으나 센서가 하강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게이트가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센서가 하강되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 to 4 illustrate a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gate of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a sensor is rais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hull. In FIG. 3, the gate of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open but the sensor is lowered.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te of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opened and the sensor is lower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평상시에는 선박(2)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필요시에만 선박(2)으로부터 돌출되어 부이(4)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작동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accommodated inside the vessel (2) and protrudes from the vessel (2) only when necessary, buoy (4) It works so you can pinpoint the exact location of the.

이를 위해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선박(2)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유닛(110)과, 상기 승강 유닛(110)이 돌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 유닛(120)을 포함하고 있다.To this end,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the lifting unit 110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vessel (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lifting unit 110 can protru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이 위치 검출장치에 따르면,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승강 유닛(110)이 평상시에는 선박(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승강 유닛(110)이 선박(2)의 외부로 돌출되는 통로인 개구부(21)는 개폐 유닛(120)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으므로, 이 승강 유닛(110)을 선박(2)의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uoy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unit 11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4 is normally kept in the interior of the ship 2.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2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ifting unit 110 protrudes out of the ship 2,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120, the lifting unit 110 is safely accommodated in the ship 2. You can.

상기 승강 유닛(110)은, 말단에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12)가 부착되어 있는 막대 부재(111)와, 상기 막대 부재(111)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수단(113)과, 상기 막대 부재(111)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ifting unit 110 drives the rod member 111 to which the sensor 112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4 is attached at its distal end, and drives the rod member 111 between a rising position and a lowering position. It includes a first drive means 113 and the lift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ifting state of the rod member 111.

상기 막대 부재(111)의 말단에 부착되는 센서는 트랜시버(transceiver) 센서(112)로서, 부이(4)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 센서(41)와 신호를 주고 받아 이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nsor attached to the end of the rod member 111 is a transceiver sensor 112, which exchanges a signal with a transponder sensor 41 attached to the buoy 4 and the buoy 4. It is made to detect the position of.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4)에는 상기 막대 부재(111) 말단의 트랜시버 센서(112)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를 보내는 복수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복수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는 부이(4)의 하부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uoy 4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ransponder sensors 41 which transmit a signal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transceiver sensor 112 at the end of the rod member 111. These transponder sensors 41 are preferab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of the buoy 4.

도면에는 모두 6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부이(4)의 외주에 2개 이상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Although all six transponder sensors 41 are shown at equal intervals in the figur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transponder sensors 4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oy 4 are equally spaced. It is enough to be arranged.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수면 아래의 3차원적인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부이(4)의 위치를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검출해 내기 위해서, 부이(4)의 외주에 3 ~ 6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in order to reliably and efficient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4 flowing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below the sea level, three to six transponder sensors 41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oy 4. It is good to arrange at equal intervals.

상기 제1 구동 수단(113)으로서는 유압 실린더를 비롯하여, 상기 막대 부재(111)를 승강 구동시킬 수 있다면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the first driving means 113, any known one can be used as long as the rod member 111 can be elevated and driven, including a hydraulic cylinder.

상기 승강 감지 수단은, 상기 막대 부재(111)가 상승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115)와, 상기 막대 부재(111)가 하강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116)를 포함하고 있다.The lifting detecting means includes a first sensor 115 for detecting that the bar member 111 is in a raised position, and a second sensor 116 for detecting that the bar member 111 is in a lowered position. It includ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 감지 수단은 2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지만, 센서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 등은 설계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etecting means includes two sensors, but the number of mounting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nsor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t design tim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 유닛(110)의 막대 부재(111)는 반드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일 필요는 없으며, 선박에 있어서의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설치위치 등을 감안하여 수평방향이나 비스듬한 경사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 member 111 of the elevating unit 11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obliqu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n the ship, etc.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an oblique direction.

상기 개폐 유닛(120)은, 상기 승강 유닛(110)의 막대 부재(111)가 통과하는 개구부(21)를 개폐하는 게이트 부재(121)와, 상기 게이트 부재(121)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수단(123)과, 상기 게이트 부재(12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opening / closing unit 120 includes a gate member 121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ing 21 through which the rod member 111 of the elevating unit 110 passes, and the gate member 121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And a second driving means 123 for driving in and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gate member 121.

상기 제2 구동 수단(123)으로서는, 제1 구동 수단(113)과 마찬가지로, 유압 실린더를 비롯하여, 상기 게이트 부재(121)를 개폐 구동시킬 수 있다면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the second driving means 123, any well-known one can be used as long as the second driving means 123 can open and close the gate member 121, including a hydraulic cylinder.

상기 개폐 감지 수단은, 상기 게이트 부재(121)가 개방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3 센서(127)와, 상기 게이트 부재(121)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제4 센서(128)를 포함하고 있다.The open / close detection means may include a third sensor 127 for detecting that the gate member 121 is in an open position, and a fourth sensor 128 for detecting that the gate member 121 is in a closed position. It includ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 감지 수단과 마찬가지로, 상기 개폐 감지 수단은 2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지만, 센서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 등은 설계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lift detection means,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includes two sensors, but the number of installation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t the time of design. It is not limited.

이하, 상기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는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해 낼 필요가 없는 평상시의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승강 유닛(110)의 막대 부재(111)는 선박(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승되어 있고, 상기 개폐 유닛(120)의 게이트 부재(121)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2 shows a state of 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in the usual state in which it is not necessar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4. As shown in FIG. 2, normally, the rod member 111 of the elevating unit 110 is raised to be accommodated in the vessel 2, and the gate member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is closed. To keep it.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개폐 유닛(120)의 제2 구동 수단(123)에 의해 게이트 부재(121)를 개방시킨다. 이때 게이트 부재(121)가 완전히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개폐 감지 수단의 제3 센서(127)에 의해서 감지한다.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4 is to be detected in this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3, the gate member 121 is first opened by the second driving means 123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120. At this time, whether the gate member 121 is fully opened or not is sensed by the third sensor 127 of the open / close detection means.

게이트 부재(121)의 완전 개방이 감지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유닛(110)의 제1 구동 수단(113)에 의해 막대 부재(111)가 하강되어 선박(2)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막대 부재(111)가 완전히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승강 감지 수단의 제2 센서(116)에 의해서 감지한다.When the full opening of the gate member 121 is detected, as shown in FIG. 4, the rod member 111 is lowered by the first driving means 113 of the elevating unit 110 to the outside of the ship 2. It protrudes. At this time, it is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16 of the lift detecting means whether the rod member 111 is completely lowered.

여기에서, 게이트 부재(121)가 완전히 개방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막대 부재(111)가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ar member 11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lowered only when it is sensed that the gate member 121 is fully opened.

막대 부재(111)의 완전 하강이 감지되면, 이 막대 부재(111)의 말단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시버 센서(112)에 전원이 공급되어 신호를 송출하기 시작한다.When the complete drop of the rod member 111 is detected, power is supplied to the transceiver sensor 112 attached to the end of the rod member 111 to start transmitting a signal.

이와 같이 트랜시버 센서(112)가 신호를 보내면, 부이(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트랜스폰더 센서(41)가 각각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응답 신호를 보낸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ceiver sensor 112 sends a signal, the plurality of transponder sensors 41 (in this embodiment, six) provided in the buoy 4 send a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each having a unique frequency.

계속해서 트랜시버 센서(112)는 트랜스폰더 센서(41)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받아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보내어, 부이(4)의 위치를 계산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transceiver sensor 112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transponder sensor 41 and sends it to a controller (not shown)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buoy 4.

이와 같이 막대 부재(111)가 개구부(21)를 통하여 선박(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부이(4)의 위치를 계속해서 검출하게 된다.As such, 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continuously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uoy 4 while the rod member 111 protrudes out of the ship 2 through the opening 21.

더 이상 부이(4)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없게 되면, 트랜시버 센서(112)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막대 부재(111)는 선박(2)의 내부로 상승하여 수용된다. 이때 승강 감지 수단의 제1 센서(115)에 의해서 막대 부재(111)가 완전히 상승된 것을 감지하였을 때에만 상기 게이트 부재(12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When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4, the power supplied to the transceiver sensor 112 is cut off and the rod member 111 is lifted into the vessel 2 to be accommodated. In this case, the gate member 121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closed position only when the first sensor 115 of the lift detecting means detects that the rod member 111 is fully raised.

계속해서 게이트 부재(121)가 폐쇄되어 제4 센서(128)에 의해서 게이트 부재(121)의 완전 폐쇄가 감지되면, 도 2에서와 같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다음의 부이 위치 검출작업이 행해질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gate member 121 is closed and the complete closure of the gate member 121 is detected by the fourth sensor 128, the gate member 121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2 until the next buoy position det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I will wai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thus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drawings illustrate It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LNG 재기화 선박 내에 마련된 구조물인 터릿과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시 LNG 재기화 선박으로부터 돌출되어 부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nect the turret, which i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and buoys suspended below the sea surface, to protrude from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if necessary to find the exact position of the buoys. A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a detecting method are provided.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면 위에 떠있으면서 유동하는 선박에서 해저에 계류되어 유동하고 있는 부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of buoys floating and floating on the sea floor in a floating vessel floating on the sea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센서가 선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센서를 선박의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오염이나 고장의 우려가 없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or protrudes out of the hull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the sensor can be safely accommodated inside the ship in normal times, so there is no risk of contamination or failure, It can be performed easily.

Claims (18)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낼 수 있으며, 검출시 선박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로서,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buoys which are moored below the sea level so that the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can be connect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provided with the onshore piping, A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nstalled on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때에는 선박으로부터 돌출되고,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선박 내부에 수용되는 검출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buoy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protruding from the vessel whe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and housed inside the vessel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not detect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때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될 때에는 상기 통로를 폐쇄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includes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the passage so that the detecting sensor can protrude from the vessel whe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and closing the passage when the detecting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vessel.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부이 위치 검출장치는, 상기 검출용 센서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과, 상기 개폐 수단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며, The buoy position detecting device further includes lif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ift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여기에서, 상기 개폐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개폐 수단이 개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센서는 하강하지 않고, 상기 승강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검출용 센서의 하강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개폐 수단은 폐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Here, the detection sensor does not descend unless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detected to be open by the opening / closing detecting means, and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not closed when the falling state of the detecting sensor is detected by the lifting detecting means.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not.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검출용 센서는 트랜시버 센서로서, 부이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스폰더 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며, The detection sensor is a transceiver sensor, and is mad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send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transponder sensor attached to the buoy, 상기 트랜스폰더 센서는 복수개가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transponder sensor is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oy.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로서, A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the sea level so that they can be coupled to a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an LNG regasification vessel equipped with an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to an onshore pipeline.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는 검출용 센서를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고,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내부에 수용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 설치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projecting the detection sensor to the outside of the ship, when not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comprises a lift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detection sensor inside the ship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installed.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승강 유닛은, 말단에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검출용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막대 부재와, 상기 막대 부재를 상승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rod member having a detecting member attached at the end thereof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od member between a raised position and a lowered position. Position detection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개방하고,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to be detected, when the detection sensor opens an opening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detection sensor protrudes out of the ship so that the detection sensor can protrude out of the ship, and when the detection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hip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closing the opening. 청구항 8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승강 유닛의 검출용 센서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게이트 부재와, 상기 게이트 부재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es a gate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etection sensor of the elevating unit passes, 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gate member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검출용 센서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게이트 부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며, The lifting unit further includes lift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lifting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further includes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gate member, 여기에서, 상기 개폐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게이트 부재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센서는 하강하지 않고, 상기 승강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검출용 센서의 하강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게이트 부재는 폐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Here, the detection sensor is not lowered if the gate member is not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and the gate member is not closed when the falling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by the lift detection means. Buoy position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not. 청구항 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검출용 센서는 트랜시버 센서로서, 부이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스폰더 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며, The detection sensor is a transceiver sensor, and is mad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send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transponder sensor attached to the buoy, 상기 트랜스폰더 센서는 복수개가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transponder sensor is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oy.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으로서, A 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the sea surface so that the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can be coupl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provided with the onshore pipeline,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 검출용 센서를 승강 유닛에 의해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와, Projecting the detection sensor out of the ship by the lift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to be detected;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 상기 검출용 센서를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해 선박 내부에 수용시키는 단계Accommodating the detection sensor inside the ship by the elevat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not detect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서의 부이 위치 검출방 법.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comprising a. 청구항 1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개폐 유닛에 의해 개방하는 단계와, Opening an opening,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detection sensor protrudes out of the ship, by an opening and closing unit so that the detection sensor can protrude out of the ship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to be detected;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 상기 개구부를 상기 개폐 유닛에 의해 폐쇄하는 단계Closing the opening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when the detecting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hip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검출용 센서의 승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승강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게이트 부재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n elevat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elevating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gate member, 여기에서, 상기 개폐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게이트 부재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용 센서는 하강하지 않고, 상기 승강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검출용 센서의 하강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게이트 부재는 폐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Here, the detection sensor is not lowered if the gate member is not opened by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and the gate member is not closed when the falling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by the lift detection means. 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not. 청구항 1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검출용 센서는 트랜시버 센서로서, 부이에 부착되어 있는 트랜스폰더 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며, The detection sensor is a transceiver sensor, and is mad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send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transponder sensor attached to the buoy, 상기 트랜스폰더 센서는 복수개가 부이의 외주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장치.The transponder sensor is buoy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oy.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이 마련된 LNG 재기화 선박의 배관과 육상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선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수면 아래에 계류되어 있는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으로서, A 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buoys moored below the sea surface so that the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can be coupled to the vessel to connect the piping of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provided with the onshore pipeline,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할 때에 개폐 유닛에 의해 검출용 센서가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는 통로인 개구부를 개방하는 단계와, Opening an opening,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detection sensor protrudes out of the ship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to be detected; 승강 유닛에 의해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와, Projecting the detection sensor out of the ship by a lifting unit; 선박 외부로 돌출된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단계와,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by the detecting sensor protruding out of the ship, 부이의 위치를 검출하지 않을 때에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해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내부에 수용시키는 단계와, Accommodating the detecting sensor inside the ship by the lifting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is not detected;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개폐 유닛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Closing the opening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when the detecting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hip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선박에서의 부이 위치 검출방법.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comprising a. 청구항 16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승강 유닛에 의해 상기 검출용 센서를 선박 외부로 돌출시키기 전에 계폐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개폐 유닛이 개방된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Detecting that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opened by a lock detection means before protruding the detection sensor out of the ship by the lifting unit; 상기 개폐 유닛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기 전에 승강 감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검출용 센서가 선박 내부에 수용된 것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that the detection sens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hip by the lift detection means before closing the opening by the opening / clos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상기 선박 외부로 돌출된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해 부이의 위치를 검출해 내는 단계는,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by the detection sensor protruding out of the vessel, 상기 검출용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ting a signal; 상기 검출용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부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응답 센서가 각각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a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each having a unique frequency to a plurality of response sensors provided in the buoy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상기 검출용 센서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Receiving the plurality of response signals by the detection sensor;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어 부이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buoy by sending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o the controller; 더 이상 부이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없게 되면 상기 검출용 센서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When the position of the buoy no longer needs to be detected,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sens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이 위치 검출방법.Buoy position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060071160A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0781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60A KR100781867B1 (en)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60A KR100781867B1 (en)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867B1 true KR100781867B1 (en) 2007-12-05

Family

ID=3913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160A KR100781867B1 (en) 2006-07-28 2006-07-28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86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1B1 (en) 2006-07-28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uoy connected with a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1239341B1 (en) 2010-09-03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gasific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KR101618618B1 (en) 2014-03-07 2016-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ining ship and mining system using it
CN105620667A (en) * 2015-12-23 2016-06-0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Buoy releas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71A (en) 1978-06-27 1980-01-12 Zeniraito V:Kk Navigation aiding device
JPS5551683A (en) 1978-10-04 1980-04-15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Automatic fixed-position retaining buoy
JPS55127281A (en) 1979-03-20 1980-10-0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Automatic-positioning mooring buoy
US4547163A (en) 1980-06-03 1985-10-1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Oil transfer apparatus
US5456622A (en) 1991-11-27 1995-10-10 Den Norske Stats Oleselskap A.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loading buoy to a floating vess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71A (en) 1978-06-27 1980-01-12 Zeniraito V:Kk Navigation aiding device
JPS5551683A (en) 1978-10-04 1980-04-15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Automatic fixed-position retaining buoy
JPS55127281A (en) 1979-03-20 1980-10-01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Automatic-positioning mooring buoy
US4547163A (en) 1980-06-03 1985-10-1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Oil transfer apparatus
US5456622A (en) 1991-11-27 1995-10-10 Den Norske Stats Oleselskap A.S.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loading buoy to a floating vess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61B1 (en) 2006-07-28 2012-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Buoy connected with a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1239341B1 (en) 2010-09-03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gasific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KR101618618B1 (en) 2014-03-07 2016-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ining ship and mining system using it
CN105620667A (en) * 2015-12-23 2016-06-0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Buoy relea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613B2 (en) System using a catenary flexible conduit for transferring a cryogenic fluid
KR101449691B1 (en) Offshore platform using guide pil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N103697326A (en) Transporting and managing liquefied natural gas
KR100775528B1 (en) Method for testing an operation of a lng regasification vessel using a dummy buoy for the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0781867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a buoy arranged in a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0676615B1 (en) Lng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offshore floating structure
KR100781868B1 (en) Marine lng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upting its operation
AU20112554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NG cargo tanks
KR20080070412A (en) Dummy buoy for a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1135461B1 (en) Buoy connected with a lng regasification vessel
KR100678853B1 (en) Vaporizer for lng regasification carrier
CN110254645B (en) Movable floating type bilateral operation LNG lightering maritime work platform and lightering method
KR100779780B1 (en) Lng vessel with safety recess well for receiving leaked lng
KR20100065828A (en) Floating storage unit for storaging carbon dioxid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unit
KR100779779B1 (en) Method for treating offshore lng regasification system for lng regasification ship
KR101064574B1 (en) High pressure pump apparatus in lng regasification ship
KR101665405B1 (en) Natural flowing type crude oil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100701398B1 (en) Spray device arranged in a turret of a lng regasification ship and method for preventing hull deformation using the spray device
KR100747378B1 (en) Lng vessel with a pressure decreasing apparatus arranged on a turret
KR101135462B1 (en) Winch equipment in lng regsification vessel
KR20100133057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sea water for regassificating of lng carrier and method the same
KR100995801B1 (en) Lng vessel with protective equipment arranged near turret
KR100747408B1 (en) Lng vessel with flexible riser
US10086994B2 (en) Subsea storage unit, system and method
KR1007473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equipments of lng carrier for its maintenace and lng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