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475B1 -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475B1
KR100781475B1 KR1020070019474A KR20070019474A KR100781475B1 KR 100781475 B1 KR100781475 B1 KR 100781475B1 KR 1020070019474 A KR1020070019474 A KR 1020070019474A KR 20070019474 A KR20070019474 A KR 20070019474A KR 100781475 B1 KR100781475 B1 KR 10078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vertical
spac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366A (ko
Inventor
정상근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정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정상근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07001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4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06B1/08Wooden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06B1/18Metal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30Frames of plastic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축할 때 창문을 만들려면 창틀을 미리 제작한 후 창틀을 끼운 후 벽돌 등을 쌓거나 여기에 맞추어 콘크리트구조용 임시창문을 넣고 굳은 후 이를 제거한 후 콘크리트를 약간 부셔서 창틀을 끼우는 것이 통례였으나 이로 인하여 창틀이 어긋나 벽돌집이나 콘크리트 건물에서는 창문이 기우는 현상이 생긴다.
조립식 빔 또는 철골에서도 자칫 치수가 어긋나 창틀 틈이 생기면 때우거나 임시변통하며 여러 가지로 구조상의 어려움이 따르게 마련인데 이러한 현상에 구애됨이 없이 사후에 얼마든지 깨끗한 창틀을 뒤에 설치 가능한 조립식 신축(伸縮)형 창틀을 개발하여 이를 상용화하고자 한 신제품에 관한 것이다.
신축(伸縮)문틀, 문틀덮개, 긁힘 방지, 조립식, 기본창틀, 삽입창틀, 수직창틀, 가로보판, 세로보판, 창틀 공간,

Description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The elastic assembling window Frame after its setting to easy for the building construction, thereof its manufactur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창틀부품부위별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창틀부품을 조립시킨 전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창틀바닥부위용 보호덮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창틀바닥부위용 보호덮개 내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층좌측 기본창틀, 12 : 상층좌측 삽입창틀,
14 : 상층좌측 수직창틀, 16 : 상층삽입 가로보판,
18 : 상층좌측 세로보판, 20 : 상층우측 기본창틀,
22 : 상층우측 창틀 공간, 24 : 상층우측 수직창틀,
26 : 상층우측 세로보판, 30 : 수직좌측 기본창틀,
32 : 수직좌측 상단 공간, 34 : 수직좌측 하단 공간,
40 : 수직우측 기본창틀, 42 : 수직우측 상단 공간,
44 : 수직우측 하단 공간, 50 : 하층좌측 기본창틀,
52 : 하층좌측 삽입창틀, 54 : 하층좌측 수직창틀,
56 : 하층삽입 가로보판, 60 : 하층우측 기본창틀,
62 : 하층우측 창틀 공간, 64 : 하층우측 수직창틀,
66 : 하층우측 가로보판, 70 : 아래나사못,
72 : 위 나사못, 74 : 좌 방향 나사못,
76 : 우 방향 나사못, 78 : 양방향 나사못,
80 : 보판용 못, 90 : 창틀덮개,
92 : 우측고정 틀, 94 : 좌측고정 틀,
본 발명은 건물의 창틀을 미리 끼우고 시멘트 내지 콘크리트 타설(打楔)이나 벽돌 등으로 채우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창틀이 어긋하거나 더러워져 다시 도장을 하며 보정시공을 해야 하였고 깨끗한 창틀을 사전에 설치하지 못하고 철골 건물에서는 최고급 재료를 사용하려면 시공 상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방법이 없어 창틀은 항상 별도 도장 내지 별도시공을 하는 것이 관행으로 여겼으며 당연 시 하여 왔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비닐필름을 덮어 끼운 후 비닐을 뜯어내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도 알루미늄 내지 철재창틀에서 사용하고 목재에서는 미리 설치하는 것으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보조창틀을 사용한 후 이를 뜯 어내고 깨끗한 새 창틀을 조립식으로 끼울 수 있는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하고자 조립식으로 제작되는 창틀을 사전에 균일하게 제작하여 기성품으로 시공 후 뒤에 설치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조립식에서 문제점이 되는 것은 삽입창틀로 수축시켜 설치한 후 잡아 뽑으면 뽑은 자리만큼 함몰부위가 발생하는데 여기에 합당한 보판을 미리 제작하여 길이만 자르면 정확하게 끼울 수 있게 하는 제품도 동시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보판에 사용될 못도 별도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질은 목재, 철재 및 알루미늄과 특수 피브이시 재질도 사용이 되는데 제작하는 방법은 기존이 평수를 사용하여 9자 및 12자 등의 사용에 맞추기 보다는 건축법령에 의한 사전제출 설계도에 따른 주문제작도 가능하다.
제작할 부품별 명칭을 사용한다면 좌우상하 4면을 모두 2분하되 대략 높이는 낮고 폭이 넓은 관계로 상층 가로 창틀(10, 12, 20, 22)과 하층 가로 창틀(50, 52, 60, 62)은 두 쪽으로 구성되지만 세로창틀(30, 32, 34, 40, 42, 44)은 하나로 구성시켜도 가로 수직창틀(14, 24, 54, 64)이 구성되므로 제작할 때 하나만으로 족하고 세로보판(18, 26)만 있어도 가능하므로 시공에 어려움이 없다.
먼저 하층좌측 수직창틀(54)을 세운 하층좌측 기본창틀(50)에 이어지는 하층좌측 삽입창틀(52)을 우측에 끼워지게 제작하는데 하층우측 기본창틀(60)도 하층우측 수직창틀(64)을 양방향 나사못(78)으로 세우고 이어지는 하층우측 창틀 공간(62)을 가지면 이곳에 삽입창틀(52)이 끝까지 끼워 조립할 때 뽑으면서 차이지는 하층우측 삽입창틀(52)부위 4주위에 두 하층가로보판(56, 66)과 보판용 못(80)을 사용하여 조립시키고 다음은 상층좌측 기본창틀(10)을 제작하는데 상층우측 기본창틀(20)의 창틀 공간(22)에 알맞게 들어 갈 상층좌측 삽입창틀(12)을 제작한 후 조립할 때는 창틀벽면(도면에 없음)까지 뽑아내면 상층좌측 삽입창틀(12)의 일부분이 나오면서 두 기본창틀(10, 20)과 달리 4주면으로 차이가 지는 부위를 상층삽입 가로보판(16)을 채우고 보판용 못(80)으로 마감한다.
이 두 종류에서 하층좌측 수직창틀(54)에는 수직좌측 기본창틀(30)의 수직좌측 하단 공간(34)에 끼우고 위의 수직좌측 상단 공간(34)은 상층좌측 수직창틀(14)을 끼우고 하층우측 수직창틀(64)은 수직우측 하단 공간(44)에 끼운 후 역시 수직우측 상단 공간(42)에는 상층우측 수직창틀(24)을 끼우면서 위아래 벽면(도시 없음)에 붙여 뽑은 후 차이지는 두 상단 공간(32, 42) 끝과 좌우상층 기본창틀(10, 20) 사이에 좌우상층 세로보판(18, 26)으로 메우고 각 부위나사못(70, 72, 74, 76)으로 조이면 조립은 완성된다.
본 발명의 창틀은 아파트와 같은 동일한 창틀로 여러 채를 동시에 설치할 때는 본 발명제품으로 시공하기 쉬우며 혹 시공 후 공사가 이어질 때를 고려하여 아래 하층의 좌우기본창틀(50, 60)과 창틀 공간(62)은 물론 가장 조심해야 할 틈새인 하층좌측 삽입창틀(52)과 삽입부분인 하층우측 창틀 공간(62)이므로 이곳을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려면 창틀덮개(90)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창틀덮개(90)의 특징은 밑바닥에 우측고정 틀(92)과 좌측고정 틀(94)이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두 하층 기본창틀(50, 60) 및 삽입창틀(52)과 창틀 공간(62)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을 사용해야 하층 좌우측 창틀들(50, 52, 60, 62)을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창틀이 발명됨으로 인하여 이제까지 미리 제작된 창틀을 미리 세워놓고 콘크리트 타설 내지 벽돌들을 쌓을 때 더러워지는 창틀을 사후에 설치하거나 설치되었다 해도 창틀덮개를 사용하므로 창틀을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업 시에 이것에 신경을 쓰지 아니하게 하므로 작업능률도 향상되어 진다.
창틀을 설치할 때 약간 창틀을 넓히고자 하는 것도 가능하며 조망 권과 햇빛 등을 감안하여 창틀을 줄이거나 늘리는 작업이 가능하여 공사하는 이들의 심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또는 철제로 제작되는 창틀에서 :
    하층좌측 기본창틀(50)에 이어지는 하층좌측 삽입창틀(52)이 하층우측 기본창틀(60)의 하층우측 창틀 공간(62)에 삽입되고 일 끝에 양방향 나사못(78)으로 고정시킨 하층좌측 수직창틀(54)은 수직좌측 하단 공간(34)에 수용시키고 수직좌측 기본창틀(30)의 수직좌측 상단 공간(32)은 상층좌측 기본창틀(10) 일 측 끝에 양방향 나사못(78)으로 부착시킨 상층좌측 수직창틀(14)을 삽입하고
    상층우측 기본창틀(20)의 상층우측 수직창틀(24)이 수직우측 상단 공간(42)에 삽입되고 아래 수직우측 하단 공간(44)에 하층우측 수직창틀(64)을 삽입시키고 상층우측 창틀 공간(22)에 상층우측 삽입창틀(12)을 삽입시키고 나사못(70, 72, 74, 76)을 고정시킨 후 창틀크기로 뽑아진 부위(12, 14, 24, 52)는 각각의 가로보판(16, 18, 26, 56, 66)으로 벌려진 차이만큼 재단하여 메워 조립되어지는 것이 특징인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
  2. 바닥에는 하층우측 수직창틀(64)을 갖는 하층우측 기본창틀(60)에 하층우측 창틀 공간(62)에 하층좌측 삽입창틀(52)이 삽입되고 하층좌측 기본창틀(50) 일 끝의 하층좌측 수직창틀(54)은 수직좌측 하단 공간(34)에 삽입되고 수직좌측 상단 공간(32)에 상층좌측 수직창틀(14)이 삽입되고 상층좌측 삽입창틀(12)은 상층우측 창틀 공간(22)에 삽입되면서 수직우측 하단 공간(44)에 하층우측 수직창틀(64)을 삽 입하고 수직우측 상단 공간(42)에는 상층우측 수직창틀(24)을 삽입하여 사각형으로 조립되어지는 것이 특징인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의 제작방법
KR1020070019474A 2007-02-23 2007-02-23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KR10078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74A KR100781475B1 (ko) 2007-02-23 2007-02-23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74A KR100781475B1 (ko) 2007-02-23 2007-02-23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366A KR20070031366A (ko) 2007-03-19
KR100781475B1 true KR100781475B1 (ko) 2007-12-03

Family

ID=4163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474A KR100781475B1 (ko) 2007-02-23 2007-02-23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009B1 (ko) * 2018-11-16 2020-06-17 박상대 다양한 높이에 사용 가능한 가변형 문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86U (ja) 1982-07-15 1984-01-25 松下電工株式会社 ガラス扉
JPH0874473A (ja) * 1994-09-01 1996-03-19 Minoru Yoshimura 建具装置における開口寸法可変機構とその機構を用いた建具装置
JPH11256932A (ja) 1998-03-13 1999-09-21 Yamaha Livingtec Corp 窓 枠
JP2000027552A (ja) 1998-07-15 2000-01-25 Tostem Corp 戸 体
KR200283737Y1 (ko) 1996-07-10 2002-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창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86U (ja) 1982-07-15 1984-01-25 松下電工株式会社 ガラス扉
JPH0874473A (ja) * 1994-09-01 1996-03-19 Minoru Yoshimura 建具装置における開口寸法可変機構とその機構を用いた建具装置
KR200283737Y1 (ko) 1996-07-10 2002-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식창틀
JPH11256932A (ja) 1998-03-13 1999-09-21 Yamaha Livingtec Corp 窓 枠
JP2000027552A (ja) 1998-07-15 2000-01-25 Tostem Corp 戸 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366A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73909A1 (en) Modular stone panel
RU2380499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пло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US20130212956A1 (en) Brick Tile Inserts
US8297012B2 (en) Wall structure with hollow plastic modules
KR100781475B1 (ko) 신축성을 지닌 조립식 창틀과 이의 제작방법
KR20210115404A (ko) 슬림벽돌 레일시스템
RU2507347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вертикальными стенами, содержащими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олимер
US20080236083A1 (en) Modular Concrete Wall System
JP2008223322A (ja) 板セパレータ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の板塀。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GB2417964A (en) Brick effect lintel cover
RU71682U1 (ru) Несъемная опалубка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стен с одновременной облицовкой фасада
JP5686758B2 (ja) パネル塀製作方法およびパネル塀
KR100603752B1 (ko) C형강, h빔, 원목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ITMI20120222A1 (it) Kit per casseforme a perdere per la costruzione di recinzioni
CA2722363C (en) Wall facing system and devices for supporting and anchoring stone facing elements
KR101127538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102227404B1 (ko) 건물 장식 벽체와 이러한 장식 벽체의 제조방법
RU2004127005A (ru)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WO2006004396A1 (en) Assembly for a building construction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101192632B1 (ko) 외장 마감용 사이딩 패널 결합구조
KR20230000181U (ko) 건축용 줄눈의 성형부재
KR20230163156A (ko) 한옥의 모듈형 벽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