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230B1 -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230B1
KR100781230B1 KR1020060041909A KR20060041909A KR100781230B1 KR 100781230 B1 KR100781230 B1 KR 100781230B1 KR 1020060041909 A KR1020060041909 A KR 1020060041909A KR 20060041909 A KR20060041909 A KR 20060041909A KR 100781230 B1 KR100781230 B1 KR 10078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edge
width
speak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224A (ko
Inventor
이재민
이미현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23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파로 변환하여 발생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접합되어 진동판이 원활한 진동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에지와; 상기 에지와 접합되고, 내부에 자기회로부를 구비한 외함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에지는 진동판의 반경에 따라 폭을 좁게 또는 넓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진동판의 원활한 진동을 유지하는 에지의 폭이 상기 진동판의 반경에 따라 동일한 폭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진동판의 유효 진동을 최적화시키게 되어 최적화된 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타원형스피커, 진동판, 에지

Description

무선단말기용 스피커{SPEAKER FOR WIRELESS TERMINAL}
도 1 은 종래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의 결합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진동판 22;에지
23; 프레임 A; 장축부
B; 단축부 D; 에지의 폭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단말기용 스피커는 휴대폰이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 스피커는 장착되는 기기의 특성상 장착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장착 공간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그 크기를 소형,박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소형, 박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스피커는 원형, 트랙형, 타원형으 로 형성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기기의 액정이나 주변 부품이 커짐에 따라 공간 활용을 이용한 트랙형,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랙형, 타원형의 스피커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에서 실질적으로 소리를 발생하는 진동판(11)과; 상기 진동판(11)의 원활한 진동을 지지하는 에지(12)와; 상기 에지(12)를 고정하여 외함을 형성하는 프레임(13)으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지(12)의 경우 장착 공간의 제약에 받게 되어 상기 진동판(11)의 반경이 길게 형성된 장축부(A) 즉 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은 부분은 폭(D)을 넓게 형성하고, 반면에 반경이 짧은 형성된 단축부(B) 즉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는 부분은 폭(D)을 좁게 형성하게 되므로 유효한 진동 반경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진동판(11)의 반경이 짧아 좁게 형성되는 에지(12)는 상기 진동판(11)의 유효 진동에 제한을 주게 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 구동하는 진동판(11)은 제한된 진동에 의하여 원활한 진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최적화된 음의 효과를 구현하는데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원형 진동판에 접합되어 상기 진동판의 원활한 진동을 유지하는 에지의 폭을 상기 진동판의 반경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형성하여 상기 진동판의 유효 진동을 최적화함으로써, 최적화된 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파로 변환하여 발생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접합되어 진동판이 원활한 진동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에지와; 상기 에지와 접합되고, 내부에 자기회로부를 구비한 외함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에지는 상기 진동판의 반경이 긴 장축부에 형성되는 폭을 좁게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의 반경이 짧은 단축부에 형성되는 폭을 넓게 형성하여 상기 에지의 폭이 전체적으로 동일 폭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에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용 스피커의 결합 평면도로서, 본 발명은 진동판(21), 에지(22), 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판(21)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파를 발생하는 판으로, 장착될 기기에 따라 크기와 형상을 달리하여 장착하게 되며, 상기 진동판(21)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지(22)는 상기 진동판(21)의 연부에 소정의 폭으로 접합되어 상기 진동판(21)의 진동시 원활한 진동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되고, 상기 에지(22)는 상기 진동판(21)의 반경이 긴 장축부(A)에 형성되는 폭(D)을 비교적 좁게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21)의 반경이 짧은 단축부(B)에 형성되는 폭(D)은 최대한으로 넓게 형성하여 상기 에지(22)의 폭(D)이 전체적으로 동일 폭을 갖도록 형성하게 된다.
삭제
상기 프레임(23)은 상기 에지(22)와 접합되어 상기 에지(22)를 지지 고정하게 되고, 내부에 상기 진동판(21)에 진동을 전달하는 자기회로부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3)은 상기 에지(22)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부에 자기회로부를 구비하고, 반경이 긴 장축부(A)와 짧은 단축부(B)의 외주연 부위를 직선으로 형성한 프레임(23)상에 타원형의 진동판(21)을 내주연에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D)을 갖는 에지(22)의 외주연부를 접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레임(23)상에는 내측에 진동판(21)을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D)을 갖는 에지(22)로 접합하게 되므로, 상기 진동판(21)에 프레임(23)의 내측에 장착된 자기회로부로 부터 진동이 전달되면, 상기 진동판(21)의 긴 장축부(A)와 짧은 단축부(B)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D)을 갖는 에지(22)에 의하여 긴 장축부(A)나 짧은 단축부(B)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유효 진동의 제한을 주지 않고 전체적으로 최적화된 진동이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21)은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진동하여 유효 진동을 최적화하게 되어 최적화된 음을 효과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적용되는 타원형 스피 커의 진동판에 접합 되어 상기 진동판에 원활한 진동이 유지되도록 지지 고정하는 에지의 폭을 상기 진동판의 반경의 긴 장축부는 좁게 형성하고, 반경이 짧은 단축부는 넓게 형성하여 상기 에지의 폭이 진동판의 반경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갖도록 함으로써, 진동시 진동판이 어느 하나의 부위에서 유효 진동에 제한을 받지않고 전체적으로 최적화된 진동을 유지하게 되므로 최적화된 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파로 변환하여 발생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접합되어 진동판이 원활한 진동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에지와; 상기 에지와 접합되고, 내부에 자기회로부를 구비한 외함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에지는 상기 진동판의 반경이 긴 장축부에 형성되는 폭을 좁게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의 반경이 짧은 단축부에 형성되는 폭은 넓게 형성하여 상기 에지의 폭이 전체적으로 동일 폭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에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KR1020060041909A 2006-05-10 2006-05-10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KR10078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909A KR100781230B1 (ko) 2006-05-10 2006-05-10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909A KR100781230B1 (ko) 2006-05-10 2006-05-10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24A KR20070109224A (ko) 2007-11-15
KR100781230B1 true KR100781230B1 (ko) 2007-12-03

Family

ID=3906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909A KR100781230B1 (ko) 2006-05-10 2006-05-10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2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088A (ja) 1996-09-19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326984Y1 (ko) 2003-06-04 2003-09-19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420925Y1 (ko) 2006-04-05 2006-07-06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088A (ja) 1996-09-19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326984Y1 (ko) 2003-06-04 2003-09-19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420925Y1 (ko) 2006-04-05 2006-07-06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24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7075B2 (en) Speaker
KR101039090B1 (ko) 스피커장치
US8379905B2 (en) Micro-speaker
US9807512B2 (en) Speaker
JPWO2006011604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3209377A (zh) 多功能扬声器
JP2011041241A (ja) イヤホン
US9820051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JP2007174234A (ja) スピーカー装置用振動板及びスピーカー装置並びに携帯電話機
CN101141831A (zh) 电声变换器
TW201505454A (zh) 揚聲器結構
JP2008270879A (ja) 受話装置
JP5987911B2 (ja) イヤホン
WO2012060046A1 (ja) 電子機器
US10674274B2 (en) Speaker
JP2008092560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0781230B1 (ko)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KR20080085467A (ko) 스피커
WO2020029643A1 (zh) 扬声器
CN203193868U (zh) 多功能扬声器
WO2020029646A1 (zh) 扬声器
JP6853027B2 (ja) 耳あな型補聴器
KR101045613B1 (ko) 마이크로 스피커
US9621993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US8141675B2 (en) Micro-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