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215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215B1
KR100781215B1 KR1020067010039A KR20067010039A KR100781215B1 KR 100781215 B1 KR100781215 B1 KR 100781215B1 KR 1020067010039 A KR1020067010039 A KR 1020067010039A KR 20067010039 A KR20067010039 A KR 20067010039A KR 100781215 B1 KR100781215 B1 KR 10078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 direction
downward
air conditioner
direction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270A (ko
Inventor
마사키 오츠카
유키시게 시라이치
유지 우에하라
마사카즈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04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490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04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22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04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8826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송풍 경로(6) 내의 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6a)의 진행 방향 전방으로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110a,110b)를 설치하고, 취출구(5)로부터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풍향 가변부(110a,110b) 근방의 정압 분포가 전방 안내부(6a)의 정압보다 고압인 고정압부(90)를 가지며,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이 풍향 가변부(110a,110b)를 향해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의 유통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도록 풍향 가변부(110a,110b)를 배치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캐비닛에 받아들여진 공기의 상태를 조절하여 실내에 송출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47은 일본공개특허 제2002-266437호에 명시된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을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은 통상,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캐비닛(2)에 의해 본체부가 유지되어 진다. 캐비닛(2)는 후측면에 제공된 클로(도시 안됨)를 갖고, 실내의 측벽(Wl)에 장착된 설치판(도시 안됨)으로 클로를 맞물림에 의해 지지된다.
캐비닛(2)에는 표면쪽과 전면쪽으로 흡입 구(4)가 설치된 프론트 패널(3)로 장착되어 자유자재로 설치된다. 프론트 패널(3)의 하단부와 캐비닛(2)의 하단부의 사이틈에는, 실내기(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취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실내기(1)의 내부에는,흡입 구(4)부터 취출구(5)로 연통하는 송풍 경로(6)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 경로(6) 내에는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 팬(7)이 배열돼 있다. 프론트 패널(3)을 직면하는 위치에는, 흡입 구(4)를 통하여 흡수된 공기에 함포된 먼지를 수거하고 제거하는 공기 필터(8)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경로(6)의 송풍 팬(7)과 공기 필터(8)의 사이에는 실내 열교환기(9)가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9)는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도시 안됨)에 연결되고,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동 사이클이 작동한다. 냉동 사이클의 작동에 의해 냉방시에는 실내 열교환기(9)가 주위 온도보다 저온으로 냉각된다. 또한, 난방시에는 실내 열교환기(9)가 주위 온도보다 고온으로 가열된다.
실내 열교환기(9)와 공기 필터(8 사이에는 캐비닛(2) 내에 흡수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61)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61)는 흡입 구(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검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실온(이하,「설정 온도」라 함)과의 차이에 따라 냉동 사이클의 작동 주기 및 송풍 팬(7)의 송풍량이 제어된다.
실내 열교환기(9) 전후의 하부에는 냉방 또는 제습시에 실내 열교환기(9)로부터 떨어지며 결이슬을 수거하는 드레인 팬(10)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의 드레인 팬(10)은 프론트 패널(3)에 설치되고, 후방의 드레인 팬(10)은 캐비닛(2)과 복합적으로 형성된다.
송풍 경로(6)의 취출구(5)의 근방에는, 외부를 향하는 횡 루버(11a,11b)가 설치되어있으며, 이 종 루버는 대체로 수직방향과 후방-하부 방향 사이에서 자유롭게 변경하는 상하 방향의 송풍 각도를 허용한다. 수평 미늘창 요소(11a, 11b)의 안쪽에는 좌우 방향의 취출각도를 변경 가능한 종 루버(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난방을 개시하면, 송풍 팬(7)은 회전 작동되고, 냉각 사이클을 작동하기 위해 실외기(도시 안됨)로부터의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9)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으로 흡입 구(4)를 통 하여 공기가 흡수되고,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공기 필터(8)에 의해 제거된다.
실내기(1)으로 흡입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9)와 열교환해 가열된다. 그리고 송풍 경로(6)를 통과하고, 종 루버(louver)(12)와 횡 루버(11a,11b)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위 아래쪽 방향이 제한되고, 취출로(5)에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으로 향해 조화된 공기가 실내에 방출된다.
실내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48이 보여주듯, 횡 루버(11a,11b)에 의해 풍향은 실질적으로 바로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이것은 취출구(5)를 통해 화살표Bl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바로 아래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가 방출되고, 거실 내의 바닥면으로 도달해 바닥면을 따라서 면 전체로 퍼지게 한다.
또한, 난기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취출구(5)를 통해 송출된 기류의 일부는 화살표B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겨 올려져 상승한다. 그 결과, 단락에 의한 난방 능력저하나 거실내의 상부를 덥게 할 수 있어 하부가 충분히 덮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일본공개특허 제2003-005378호에는, 도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5)를 통하여 후방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취출구(5)를 통해 화살표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아래쪽에 송출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측벽Wl을 타고 상면에 도달한다. 따라서, 아래쪽에 송출된 난기의 상승을 방지해 난방 효율 및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반면, 특허 문헌1에는, 취출구(5)를 통해 실질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향하고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는 풍향판의 방향을 허용하는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1: 일본공개특허 제3311932호
도50은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의해 취출구(5)를 통해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며 취출구(5) 근방의 정압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취출구(5) 부근은 균일한 정압분포가 되어 있다. 그렇지만, 취출로(5)를 통해 실질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한 경우에는,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횡 루버(11a,11b)에 의해 약 45도로 풍향을 변경한다. 도51은 이실예에서 보여주듯, 취출구(5) 근방의 정압분포를 한 예로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 경로(6) 내에서 정압이 다른 곳보다 현저히 높은 곳에서 고정압부(90)(도48에서 음영선으로 보여줌)가 형성된다.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고정압부(90)를 통과한다. 즉, 고정압부(90)의 정압의 등압선과 기류의 유선이 교차해 조화된 공기가 유통한다. 이 때문에, 큰 압력손실을 일으키고, 송풍 효율을 저하한다. 즉, 송풍 팬(7)이 동일한 회상 전수일 경우에는 최고 풍량시(상기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 시)의 70∼80% 정도로 풍량이 감소한다. 즉, 고정압부(90)의 등고선과 기류가 교차하고, 기류가 고정압부(90)를 통과할 때 큰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것이 이른바 구부려짐 손실의 원인이다.
또한, 취출구(5)를 통해 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한 경우에는, 송풍 경로(6)로 유통 조화된 공기는 횡 루버(11a,11b)에 의해서 후방 아래쪽에 약 90도로 풍향이 변경된다. 도52는 이 때 취출구(5) 근방의 정압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 경로(6)에는 도51에 나타낸 경우보다 정압이 높은 고정압부(90)(도49에 음영선으로 보여줌)을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송풍 팬(7)의 회전률이 동일한 경우에 최고 풍 양시(상기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 시)의 50∼60% 정도로 풍량이 감소한다.
취출구(6)를 통해 송출되는 풍량이 감소하면 난기의 도달 거리의 단축이나 측벽Wl로부터 기류의 박리가 생겨 부력에 의한 감아 수확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거실 구석구석까지의 공기 조화가 불가능해지는 동시에 상면 근방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국소적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저하시켜 건강에 해를 준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송풍팬(7)의 회전수를 증가해 조화된 공기를 송출함에 의해 풍량을 증가하면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송풍 경로(6)를 하향에 구성해 바로 아래 방향이나 후방 아래쪽에의 송풍 당시의 압력손실을 경감해 소음을 저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수평 방향이나 전방에 송풍할 때에 풍량이 저하하는 것뿐만 아니라, 냉방 운전시에 횡 루버(11a,11b)에 이슬이 발생하기 쉬운 새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1에 개시된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급격한 풍향 변경을 하기 때문에 바람 방향으로부터 기류가 벗겨지고, 소망 방향으로 풍향을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이 장소 합계도 상기와 같이, 풍향판의 근방에 고정압부가 생기고, 기류와 교차하는 등압선이 생기고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풍량이 감소한다.
취출구에서 송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바꾸는 공기 조화기 냄새를 없애고, 거실의 구석구석 조화된 공기를 빈틈이 없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거치 음을 감소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입구와, 상기 바흡입구로 수송하여 조화된 공기를 실내에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에 안내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출구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전하방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변화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하고, 실내의 벽면에 배열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 방향으로 송출할 때, 상기 풍향 가변부 근방의 정압분포 등압선이 상기 풍향 가변부 면에 조화된 공기의 유통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바와 같이 상기 풍향 가변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냉방 가동을 하여 취출구에서 전방 아래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또한, 난방 운전을 시 풍향 가변부가 이동해 취출구에서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고, 코어다 효과에 의해 벽면을 따라서 조화된 공기를 강하한 후, 바닥면 위를 유통해 실내를 순환할 때, 풍향 가변부 근방에 형성되는 분포는 등선이 풍향 가변부에 면하고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대략 평행으로 형성된다.이것에 의해 기류는 등압선과 교차하지 않고 유통해 취출구에서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풍향 가변부의 안내에 의하고 전방 안내부에 따라 유로를 유통해 전방 아래쪽에 송출한다. 또한, 전방 안내부로 유통되는 조화된 공기는 풍향 가변부의 안내에 의해 만곡되고,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하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 방향으로 송출할 때,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는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한 풍향 가변부 근방의 공기층에 의해 진행이 가로막혀 만곡되고,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 방향으로 이끌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바취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아래쪽으로 향해 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의 상기 풍향 가변부에 접해 상기 전방 안내부의 정압보다 고압의 고정압부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는 진행 방향 전방으로 형성되었고 고정압부에 의해 진행이 가로막아져 만곡 하고,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하방으로 이끌린다.
고정압부의 단면 형상은 궁형의 2 첨점곡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래 오름 정부는 약활 형태를 형성하는 활 모양의 중앙부에 정압의 최대치를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하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 방향으로 송출할 때, 상기 정압부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유로면적을 상기 전방 안내부보다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압부에 의해 기류가 가로막히고, 조화된 공기를 유통할 수 있는 유로의 폭이 전방 안내부에서도 좁혀질 수 있다. 고정압부에 의해 좁아진 유로면적은 하류쪽에서 다시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전방안 내부의 아래쪽 내벽의 연장선상에 교차해 배합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풍향 가변부는 전방 안내부의 연장부보다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이끈다.
또한, 풍향 가변부는 송풍 경로의 가동 내벽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풍향 가변부에 의해 송풍경로를 연장해도 된다. 풍향 가변부는 취출구에 배합해져 회동에 의해 방향을 바꾸는 복수의 풍향판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의 정압분포를 검출하는 정압검지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압력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기초해 상기 풍향 가변부를 가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압검지수단에 의해 송풍 경로 내의 정압분포가 검지되고, 풍향 가변부 근방의 등압선이 유노에게 따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의 방향이 가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의 송출에 의해 실내의 난방운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로 받아들여 조화된 조화된 공기를 실내에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상기 출구에 안내하는 송풍경로와, 상기 출구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했다.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만곡되는 기류로의 벽면을 상기 풍경로 내의 정압의 차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풍 경로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풍향 가변부에 의해 기류를 만곡하며 취출구에서 송출되고, 송풍 경로 내에는 정압분포가 형성된다. 만곡 한 기류로의 벽면은 송풍 경로 내의 정압의 차에 의해 형성되고, 기류가 해벽면을 따라서 유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 유노를 형성해 상기 출구에서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만곡하고 상기 출구에서 바로 하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 방향에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풍향 가변부의 안내에 의해 만곡되고,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조화된 공기는 코어다 효과에 의해 실내의 벽면을 따라서 강하한 후, 상면위를 유통해 실내를 순환한다.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해 난방 운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해 상기 벽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는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하는 풍향 가변부 근방에 정압의 차에 의해 형성된 벽면에 의해 만곡하고, 바로 아래 방향에서는 후방 아래쪽으로 이끌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의 상기 풍향 가변부에 접해 상기 전방 안내부의 정압보다 고압의 고정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는 진행 방향 전방으로 형성된 고정압부로 구성되는 벽면에 의해 만곡하고,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이끌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바 오름 정압부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유로를 좁혀서 유로면적을 상기 전방 안내부보다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압부로 구성되는 벽면에 의해 기류가 만곡되고, 조화된 공기를 유통할 수 있는 유로의 폭을 전방 안내부보다 좁힐 수 있다. 고정압부에 의해 폭이 좁아진 유로면적을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 확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전방안 내부의 아래쪽 내벽의 연장선상에 교차해 배합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풍향 가변부 근방에 형성된 기류로의 벽면에 의해 전방 안내부의 연장선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보낸다.
또한, 풍향 가변부는 송풍 경로의 가동 내벽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풍향 가변부에 의해 송풍경로를 연장해도 된다. 풍향 가변부는 취출구에 배합해져 회동에 의해 방향을 바꾸는 복수의 풍향판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벽면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전기풍향 가변부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 결정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결정수단은 풍향 가변부가 소정위치로 배치되고, 기류로의 벽면이 풍향 가변부 근방의 정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수용하여 강화된 조화된 공기를 실내에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상기 출구에 안내하는 송풍경로와, 상기 출구에 회동할 수 있게 배합되는 제1풍향판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출구로부터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 실내의 벽면으로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풍향판은 상기 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차폐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 방향으로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이끄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에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위쪽에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이끄는 위치를 잡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고, 운전 정지시등으로 제1풍향판은 차폐 위치에 배치되어 취출구가 가려진다. 공기 조화기에 의해 예를 들면 난방운전을 개시한다고, 제1풍향판은 한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아래쪽으로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조화된 공기는 코어다 효과에 의해 벽면을 따라서 내린 후, 상면위로 유통돼 실내를 순환한다. 또한, 더욱더 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취출구로부터 조화된 공기가 전방으로 송출된다. 또한, 예를 들면 냉방 운전을 개시하며, 제1풍향판은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 등 조화된 공기가 전방 위쪽에서 송출된다. 조화된 공기는 코어다 효과에 의해 천정면에 공기 조화기에 마주하는 벽면을 따라서 강하해 실내를 순환한다. 또한, 더욱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 처음부터 받아들여 조화된 조화된 공기를 실내에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상기 출구에 안내하는 송풍경로와, 상기 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배합해지는 제1풍향판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취 출구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 실내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풍향판은 상기 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차폐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회동해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이끄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 회동해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상기 바취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송출되는 바와 같이 기류를 이끄는 위치를 잡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고, 운전 정지시등으로 제1풍향판은 차폐 위치에 배치되어 취출구가 가려진다. 공기 조화기에 의해 예를 들면 난방운전을 개시하고, 제1풍향판은 한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후방 하방으로 송출된다. 조화된 공기는 코어다 효과에 의해 벽면을 따라서 강하한 후, 상면 위를 유통해 실내를 순환한다. 또한, 더 한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에 송출된다. 또한, 예를 들면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제1풍향판은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송출된다. 조화된 공기는 코어다 효과에 의한 천정면을 따라서 공기 조화기에 마주하는 벽면을 따라서 강하해 실내를 순환한다. 또한, 더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를 가지고, 제1풍향판은 상기 출구에서 조화공 느낌을 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로 따라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해 기류를 만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제1풍향판의 안내에 의해 전방 안내부를 따라 유로를 유통해 전방 아래쪽에 송출된다. 또한,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는 제1풍향판에 의해 진행 방향 전방을 가로막아져 만곡 하고,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풍향판은 상기 차폐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 회동해 기류를 전방 아래쪽에 안내하는 위치에서 위와 돌출에 배치되고, 상기 차폐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전방 아래쪽에 안내하는 위치에서 아래로 돌출로 배치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풍향판을 위와 돌출에 배치하고, 아래 돌출에 배치해 전방 하방에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보다 위쪽으로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풍향판을 상기 차폐 위치에서 한 방으로 회동한 위치에서 난방 운전을 하는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회동 한 위치에서 냉방 운전 또는 제습 운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풍향판을 상기 출구의 하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출구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합해지는 제2풍향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취출구 하부에 배치된 제1풍향판과 상기 다수의 분치를 잡는 동시에, 취출구 상부에 배합해 제2풍향판을 소망 위치에 배치하며 각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2풍향판은 상기 취출부를 차폐하는 상부 차폐 위치와,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비해 기울어져 전방 아래쪽으로 인도하는 위치와,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비해 기울어져 수평 방향 또는 전방 위쪽으로 이끄는 위치를 잡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 배합해 제2풍향판을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하면 취출구가 가려진다.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 비해 회동해 제2풍향판을 상부 차폐 위치에 비해 경사지게 배치하면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 비해 외부 방향으로 회동해 제2풍향판을 상부 차폐 위치에 비해 기울어져 배치하면 수평 방향에서는 전방 위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제2풍향판을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 비해 한 방향으로 회동해 제2풍향판을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하면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가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를 아래쪽 방향 또는 후방-아래쪽에 송출할 때, 제2풍향판은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비해 반전해 경사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 상벽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 비해 한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풍향판을 상부 차폐 위치에 비해 반전해 기울어졌던 위치에 배치하면 송풍 경로 상벽이 연장되고, 실질적 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이 때, 제2풍향판을 제1풍향판에 접하며 위치하면 좋다. 또한, 제2풍향판을 송풍 경로 상벽에 접하며 위치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풍향 가변부 근방의 정압분포 등압선이 유로에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풍향 가변부로 유통하는 기류가 등압선과 교차하지 않는다.이 때문에, 기류에 대응하는 압력손실이 저감해 송풍 팬의 동일 회전수에서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망 풍량을 송출하는 것에 필요한 송풍 팬의 회전수를 내려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는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취출구에서의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만곡하기 때문에, 풍향의 가변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에 의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했기 때문에, 풍향 가변부 근방의 공기층에 의해 용이하게 기류를 만곡하여 풍향 가변부 근방의 등압선을 유로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의 풍향 가변부에 접해 고정압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압군에 의해 용이하게 기류를 만곡하여 고정압부의 등압선을 유로를 따라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압부의 단면 형상은 활 형태의 2 첨점곡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기류와 교차하지 않는 등압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압부는 활 형태를 형성하는 활 모양의 중앙부에 정압의 최대치를 가지기 때문에, 고정압부의 상류쪽과 하류쪽의 등압선이 대칭 형태로 이뤄진다. 이 때문에, 등압선을 따라서 기류가 보다 부드럽게 유통해 압력 손실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부터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량을 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압부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유로를 좁게하여 유로면적을 전방안 내부보다 좁게 했기 때문에, 고정압부에 인접하는 기류의 풍속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기류의 정압변동을 억제해 기류가 보다 부드럽게 흘러 압력 손실을 보다 절약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부터 송출하는 조화된 공기의 풍량을 보다 증가시킨다.
또한, 정압부에 의해 일단 좁아졌던 유로면적을 하류쪽에서 다시 한 번 확대하며, 확대되었던 유로에 의해 이른바 디퓨져(diffuser)가 구성되고, 송풍 수단의 정압상승을 보조함으로써 더욱 많은 풍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는 전방 안내부의 아래쪽 내벽의 연장선상에 교차하고 배합해지기 때문에, 기류를 대략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는 송풍 경로의 가동 내벽에 의해 형성했기 때문에, 용역에 풍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풍향 가변부 근방의 등압선을 따라서 기류를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풍향 가변부에 의해 송풍 경로가 연장되기 때문에, 전방 아래쪽으로 취출하여 당시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가 회동하는 풍향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압 검지수단의 검지 결과에 기초해 풍향 가변부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풍향 가변부 근방의 등압선을 따라서 기류를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화된 공기의 송출에 의해 실내의 난방 운전을 하기 때문에, 고풍량의 난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해 거실내를 효율적으로 공기 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에 의해 만곡되는 기류로의 벽면을 상기 송풍경로 내의 정압의 차에 의해 형성했기 때문에, 풍향 가변부에 유통하는 기류가 정압분포의 등압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류에 대응하는 압력 손실이 절약돼 송풍 팬의 1회전수에서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망 풍량을 송출하는 것에 필요한 송풍 팬의 회전수를 내려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에 의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로 따라 유로를 형성하여 취출구에서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함과 동시에, 풍향 가변부에 의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만곡하게 하여 취출구에서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기 때문에, 전방 아래쪽 방향으로 방출할 때와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방출할 때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에 의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해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했기 때문에, 풍향 가변부 근방의 정압의 차에 의해 용역에 벽면을 형성하고, 벽면을 따라서 기류를 만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의 풍향 가변부에 접한 고정압부에 의해 기류로의 벽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압부에 의해 용이하게 벽면을 형성하고, 벽면을 따라서 기류를 만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압부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유로를 좁게하여 유로면적을 전방 내부보다 좁게 했기 때문에, 고정압부에 인접하는 기류의 풍속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기류의 정압변동을 억제해 기류가 보다 부드럽게 흘러 압력 손실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부터 송출하는 조화된 공기의 풍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는 전방 안내부의 아래쪽 내벽의 연장선상에 교차하고 배합해지기 때문에, 기류를 대략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가 송풍 경로의 가동 내벽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풍향을 가변함과 동시에 풍향 가변부 근방에 정압의 차로 구성되는 벽면을 형성한다. 또한, 풍향 가변부에 의해 송풍 경로가 연장되기 때문에, 전방 아래쪽에으로 방출시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가 회동하는 풍향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벽면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풍향 가변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만들었기 때문에, 기류로의 벽면이 형성되었는지 풍향 가변부의 배치를 관리해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 회동해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고, 더욱 더 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하기 때문에 제1풍향판의 방향을 신속하게 가변 가능하다. 또한, 제1풍향판을 차폐 위치에서 외부 방향으로 회동해 수평 방향 또는 전방 위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고, 더욱 더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하기 때문에 제1풍향판의 적합을 신속하게 가변 가능하다. 따라서,신속하게 쾌적한 공기 조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에 제1풍향판에 의한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색해 기류를 만곡하게 하는 것이, 송풍 경로의 정압분포 등압선을 기류로를 따라서 형성해 등압선을 교차할 수 있어 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류에 대응하는 압력 손실이 절약돼 풍후의 동일 회전수 일때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망 풍량을 송출하는 것에 필요한 송풍 팬의 회전수를 내려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풍향판은 차폐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 회동해 기류를 전하방으로 이끄는 위치에서 위와 돌출에 배치되고,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해 전방 아래쪽으로 안내 돌출에 배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난방 운전시와 냉방 운전시에 전방 아래쪽에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방향을 바꿔 운전 상태에 따라 최적인 풍향으로 공기 조화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풍향판을 상기 차폐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 회동 한 위치에서 난방운전을 하는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서 냉방 운전 또는 제습 운전을 하기 때문에, 난방 운전시에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되는 동시에 냉방 운전 또는 제습 운전시에 전방 위쪽에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따라서, 쾌적한 공기 조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는 취출구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합해지는 제2풍향 판자를 가지기 때문에, 제1풍향판과 제2풍향판에 의해 용이하게 풍향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풍향판은 취출구의 상부를 가리는 상부 차폐 위치와, 상부 차폐 위치에 대비해 기울어져 전방 아래쪽에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상부 차폐 위치에 대비해 경사 해 수평 방향 또는 전방 위쪽의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전하방과 수평 방향 또는 전방 위쪽으로 용이하게 풍향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 제2풍향판을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송풍 경로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고 연장해 용역에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에 송출할 때, 제2풍향판은 상부 차폐 위치에 대비해 약 반전해 기울어졌던 위치에 배치되고, 송풍 경로 위 벽을 연장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바로 아래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한다. 또한,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해 송풍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풍향판이 제1풍향판 또는 송풍 경로 상부 벽에 당접하게 위치를 정하기 때문에, 간단히 제2풍향판의 위치를 정함으로써 정압분포 등압선을 따르는 유를 형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 시 취출구 근방의 정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송풍 팬의 회전수와 바람 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송풍 팬의 풍량과 소음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 시 거실내의 기류의 거동을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수평 방향의 송풍상태 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로 관계되는 다른 태모양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 시 거실 내의 기류의 거동을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풍향 가변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수평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0은,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전방 위쪽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 위 방향의 송풍상태 시 거실내의 기류의 거동을 나타내는 투시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수평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9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0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2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3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4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5는,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전방 위쪽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6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수평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7은, 본 발명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8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9는,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다른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0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1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2는,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전방 위쪽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3은,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수평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4는, 본 발명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5는,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와 비교하는 비교 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6은,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와 비교하는 비교 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취출구 근방의 정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7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8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9는,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50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 시 취출구근옆의 정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바로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 시 취출구근옆의 정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2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방 아래 방향의 송풍상태 시 취출구근옆의 정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실내기
2 캐비닛
3 프론트 패널
4 흡입구
5 취출구
6 송풍 경로
7 송풍 팬
8 공기 필터
9 실내 열교환기
10 드레인 팬
12 종 루버
25 소용돌이
61 온도 센서
90 고정압부
98 가상면
110a,110b,111a,111b,112a,112b,113a,113b,113c,(114a,114b), (115a,115b) 풍향 가변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47∼ 도52에 나타낸 종래예와 동일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제1 실시예>
도1은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를 가리키는 측면 단면도이다(후술하는 도6의 D단면을 가리키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캐비닛(2)에 의해 본체부가 유지되고, 캐비닛(2)에는 표면쪽과 전면쪽으로 흡입구(4)가 설치된 프론트 패널(3)이 착탈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캐비닛(2)은 후방 측면으로 클로(도시 안됨)가 설치되고, 거실의 측벽 Wl에 설치된 설치판(도시 안됨)로 클로를 결합함에 의해 지지된다. 프론트 패널(3)의 하단부와 캐비닛(2)의 하단부와의 간격에는, 취출구(5)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5)는 실내기(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전방 아래쪽을 향해설치되어 있다.
실내기(1)의 내부에는, 흡입구(4)로부터 취출구(5)로 연통하는 송풍 경로(6)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 경로(6) 중에는 공기를 송출하는 송풍 팬(7)이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7)으로서, 예를 들면, 크로스 플로우 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송풍 경로(6)는 송풍 팬(7)에 의해 송출되는 공기를 전방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6a)를 가지고 있다. 전방 안내부(6a)의 하류쪽에는 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풍향 가변부(110a,110b)가 설치된다. 풍향 가변부(110a,110b)에 의해 전방 안내부(6a)와 취출구(5)와의 사이의 송풍 경로(6)의 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풍향 가변부(110a,110b)는 플렉시블하게 변형되어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고, 취출구(5)의 취출 각도를 전방 상방 내지 후방 하방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송풍 경로(6) 중에는 전방쪽의 풍향 가변부(110a) 근방의 정압을 검지하는 정압검지센서(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정압검지센서의 검지에 의해 풍향 가변부(110a) 근방의 정압이 소정치가 되도록 풍향 가변부(110a,110b)를 배치할 수 있 되어 있다.
더우기, 정압검지센서를 사용하여 풍향 가변부(110a) 근방의 정압이 소정치가 되도록 풍향 가변부(110a,110b)를 가변시키고, 풍향 가변부(110a,110b)의 위치를 데이터 베이스로서 기억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운전 조건에 따른 데이터를 데 이터 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풍향 가변부(110a,110b)를 소정 위치로 배치할 수 있고, 정압검지센서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론트 패널(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흡입구(4)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제거하는 공기 필터(8)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 경로(6) 중의 송풍 팬(7)과 공기 필터(8) 사이에는, 실내 열교환기(9)가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9)는 옥외에 배치되는 압축기(도시 안됨)에 접속되어 있고,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냉동 사이클이 운전된다.
냉동 사이클의 운전에 의해 냉방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9)가 주위 온도보다 저온으로 냉각된다. 또한, 난방시에는, 실내 열교환기(9)가 주위 온도보다 고온으로 가열된다. 더우기, 실내 열교환기(9)와 공기 필터(8) 사이에는 흡수된 공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61)가 설치되고, 실내기(1)의 측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9)의 전후의 하부에는 냉방 또는 제습 때에 실내 열교환기(9)로부터 낙하된 이슬을 포집하는 드레인 팬(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개시하면, 송풍 팬(7)이 회전 구동되고, 실외기(도시 안됨)로부터의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9)로 흘러 냉동 사이클이 운전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 중에는 흡입구(4)로부터 공기가 흡수되고, 공기 필터(8)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가 제거된다.
실내기(1) 중에 취입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9)와 열교환하고, 냉각 또는 가열된다. 실내 열교환기(9)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조화된 공기는, 종 루버 (louver)(12) 및 풍향 가변부(110a,110b)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향하게 규제되고,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을 향해 실내로 송출된다.이것에 의해 실내기(1)는 전방 아래쪽으로 조화공기를 송출하는 전방 아래쪽 취출 상태가 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0a,110b)는 각각 송풍 경로(6)의 상벽 및 하벽을 직선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0a,110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에 따른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0a,110b)에 의해 송풍 경로(6)가 하류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풍향 가변부(110a,110b)가 이른바 디퓨져로서 작용하고, 풍향 가변부(110a,110b)에 면하여 유통하는 기류의 운동 에너지가 정압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취출구(5)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량이 증가되게 된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 개시 직후는 조속히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송풍 팬(7)의 회전 속도를 높게 하여 실내열교환기(9)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취출구(5)로부터 강하게 송출된다. 이것에 의해 조화된 공기는 취출구(5)로부터 전방 아래쪽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6∼7m/초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되고, 거실 내를 순환한다.
또한, 난방 운전의 경우에는 난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또는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을 때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0a,110b)가 변형된다. 그리고,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아래쪽(벽방향)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5∼6m/초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한다.
송풍 경로(6)의 상벽을 구성하는 풍향 가변부(110a)는 송풍 경로(6) 내에 면한 측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쇄한다. 송풍 경로(6)의 하벽을 구성하는 풍향 가변부(110b)는 송풍 경로(6)내에 면한 측이 볼록으로 형성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0a,110b)의 하류쪽의 단부는 후방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이로써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가 풍향 가변부(110a,110b)에 의해 만곡되어, 후방 아래쪽으로 인도된다.
도3은 송풍 경로(6)의 정압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풍향 가변부(110a)의 내면쪽에는 풍향가변부(110a)에 접하여 전방 안내부(6a)의 정압보다 높은 고정압부(90)가 형성된다. 송풍 경로(6)의 정압을 검지하는 정압검지센서(도시 안됨)의 검지 결과에 의해 풍향가변부(110a,110b)는 위치 조정되고,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이 풍향 가변부(110a)에 면하여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은 전방 안내부(6a)의 종단과 풍향 가변부(110a)의 종단을 잇는 선에 평행으로 형성되고, 고정압부(90) 근방에서 기류가 등압선(90a)에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압부(90)는 유체역학적인 벽면으로서 작용하고, 풍향 가변부(110a,110b)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송출 방향을 매끄럽게 가변하여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풍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조화된 공기를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수 있다. 더우기,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으로 송출할 때도 상기와 같이 풍향 가변부(110a,110b)의 방향에 따라서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 을 기류를 따라 형성하여, 풍량을 감소하지 않고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도4는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송풍 팬(7)의 회전수와 풍량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종축은 풍량(단위:m3/min)을 나타내고, 횡축은 송풍 팬(7)의 회전수(단위:rpm)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 Kl은 취출 풍향이 후방 아래쪽(벽방향 취출, 도2 참조)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비교를 위해서, K2, K3, K4는 각각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취출 풍향이 전방 아래쪽(최대 풍량시, 도47 참조), 바로 밑 방향(도48 참조), 후방 아래쪽(도49 참조)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의하면, 종래의 공기 조화기(K2, K3, K4)에 있어서는, 취출구(5) 근방에서의 풍향 변경 각도가 클수록 동일 회전수 때의 풍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것은, 고정압부(90)를 기류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 때문이고, 기류가 통과하는 고정압부(90)의 정압이 높을수록 압력 손실도 높아져 풍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Kl)는 취출 풍향이 후방 아래쪽(벽방향 취출)으로 되어 있더라도, 풍향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의 전방 아래쪽 취출 시(K2)와 대략 동등의 풍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아래쪽 취출 때의 송풍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송풍 팬(7)의 풍량과 소음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종축은 소음(단위:dB)을 나타내고, 횡축은 풍량(단위:m3/ min)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면 중, Kl은 취출 풍향이 후방 아래쪽(벽방향 취출, 도2 참조)일 때를 나타내고, K2, K3, K4는 각각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취출 풍향이 전방 아래쪽(최대 풍량 시, 도47 참조), 바로 밑 방향(도48 참조), 후방 아래쪽(도49 참조)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의하면, 종래의 공기 조화기(K2, K3, K4)에 있어서는, 취출구(5) 근방에서의 풍향 변경 각도가 클수록 동일 풍량 시의 소음이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고정압부(90)를 기류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에 의한 풍량 감소에 의한 것이고, 기류가 통과하는 고정압부(90)의 정압이 높을수록 압력 손실도 높아져 풍량이 감소한다. 그 결과, 소망하는 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송풍 팬(7)의 회전수를 높게 할 필요가 있어서, 소음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Kl)는 취출 풍향이 후방 아래쪽(벽방향 취출)이더라도 풍향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의 전방 아래쪽 취출 시(K2)와 대략 동등의 소음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아래쪽 취출 때의 정음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45는 본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 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서는, 고정압부(90)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역학적인 벽면이 아니라 풍향 가변부(110a)에 의해 물리적인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46은 이 때의 풍향 가변부(110a,110b) 근방의 정압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 내에는 기류의 유선과 교차하는 등압선을 가진 고정압부(90)가 형성된다. 따라서, 압력손실이 증대하고, 도4, 도5에 나타내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후방 아래쪽 취출(K4)과 같은 정도까지 풍량이 격감하게 된다.
도2에 있어서, 고정압부(90)는 대략 궁형의 2첨점 곡선으로 형성되고, 고정압부(90)는 대략 궁형을 형성하는 활 모양의 중앙부가 정압의 최고치로 되어 있다.이것에 의해 고정압부(90)의 상류쪽과 하류쪽이 대략 대칭인 정압분포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류가 등압선(90a)을 따라서 보다 부드럽게 유통하여 압력 손실을 보다 저감시키고, 공기 조화기에서 송출된다. 조화된 공기의 풍량을 또한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0a)의 전방 안내부(6a)에 면한 측의 내벽은, 하류로 갈 수록 하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취출구(5)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상면(98)과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0a)의 하단부가 가상면(98)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기류가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확실하게 인도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기류가 송출되지 않아 신뢰성이 높은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도6은 후방 아래쪽 취출 때의 거실 R내의 기류의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조화된 공기는 측벽 W1을 따라 하강하여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F, 측벽 Wl에 대향하는 측벽 W2, 천정벽 S를 순차 통하여 흡입구(4)로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해 송출된 난기의 감아오름을 방지하여 숏서키트(short circuit)에 의한 난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거실 R의 하부를 충분히 덥게 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난방 운전에 있어서,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온 도 차가 작게 된 것을 온도 센서(61)에 의해 검지하면, 송풍 팬(7)의 조정에 의해 서서히 송풍량이 저하된다. 송풍량이 저하하여도 실내기(1)로부터 아래쪽으로 송출된 조화된 공기(난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감아오르지 않고 측벽 W1을 따라서 하강되는 것을 계속하여, 거주 공간에 직접 하강하지 않고 바닥면 F를 타고 발밑에 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직접 바람이 닿지 않아서 불쾌감도 없고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직접 바람이 닿는 것에 의한 불쾌감이 없고, 동시에 정음화가 확보되기 때문에,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온도 차가 적어지더라도 풍량을 저하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항상 큰 풍량의 조화된 공기를 거실 R내에 공급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0a,110b)의 형상의 설정을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도시 안됨)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 때에, 풍향 가변부(110a,110b)에 향하여 유통하는 기류가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에 대해 만곡한다. 이때, 풍향 가변부(110a)에 접하는 고정압부(90)에 의해 정압의 차로 구성되는 기류로의 벽면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이 송풍 경로(6)를 만곡하여 유통하는 기류의 주류의 유선과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그 기류에 따른 압력 손실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큰 풍향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큰 풍량의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압부(90)에서는 주류로부터 갈라진 저속 또한 저에너지의 기류가 풍향가변부(110a)를 따라서 유통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에 대한 영향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0a,110b)에 향하여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의 주류는 고정압부(90)와 송풍 경로(6)의 하벽면에 둘러싸인 공간을 유통한다. 즉, 고정압부(90)에 의해 유로의 벽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류가 풍향 가변부(110a)와 접해 있지 않기 때문에 점성에 의한 손실이 저감되고, 더욱 풍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0a)에 의해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쇄함에 따라 용이하게 기류에 따른 등압선(90a)을 가지는 고정압부(90)를 형성하여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압부(90)는 유로의 벽면을 이루고, 고정압부(90)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유로를 좁게하여 노즐 형상을 이루게 하여 유로 면적을 전방 안내부(6a)보다도 좁게 한다. 이 때문에, 노즐의 작용에 의해 고에너지의 유체가 취출구(5)로부터 송출된다. 그 결과, 고정압부(90)에 인접하는 기류의 풍속이 크게 변화하지 않아 기류의 정압변동을 억제하여 기류가 보다 스무스하게 흘러 압력 손실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로부터 송출하는 조화된 공기의 풍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압부(90)에 의해 좁아진 유로 면적이 풍향 가변부(110a,110b)의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 확대되어 있다.이것에 의해 유로는 하류에 가면서 일단 단 면적이 감소되어 최소 단면적부(이하,「스로트부」라 한다)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확대된 유로에 의해 이른바 디퓨져가 구성되고, 송풍 팬(7)의 정압상승을 보조하여 더욱 풍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의 스로트부에는 고정압부(90)가 발생하지 않아 압력 손실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그 위치에서 유로를 만곡 하는 것에 의해 압력 손실이 생기지 않는 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5)에 플렉시블하게 변형될 수 있는 가소성의 풍향 가변부(110a,110b)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송풍 경로(6)의 벽면을 간단히 가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 경로 내의 정압분포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더우기, 냉방 운전의 경우에는, 냉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0a,110b)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5∼6m/초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한다.
즉, 전방 안내부(6a)의 상벽을 연장하는 풍향 가변부(110a)는 수평 방향으로 향해 배치된다.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연장하는 풍향 가변부(110b)는, 송풍 경로(6) 내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하류단이 수평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그리고, 풍향 가변부(110a,110b)를 따라서 조화된 공기가 유통하면, 풍향 가변부(110b)의 오목부에 2첨점 곡선으로 된 대략 궁형의 고정압부(9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송풍 팬(7)의 회전수가 동일 회전수인 경우에는, 종래 에 비해 대풍량의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고, 동일 풍량의 경우에는 종래에 비해 저소음으로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태양으로서, 공기 조화기를 이른바 코너 에어 컨디셔너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기(1b)를 거실 R의 인접하는 2 측벽 W3,W4가 교차하는 코너 L의 천정벽 S에 접하는 위치에 장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취출구에서 코너 L로 향해 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취출함에 의해 조화된 공기는 코너 L 및 측벽 W3,W4를 따라서 하강하고,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F, 측벽 W3,W4에 대향하는 측벽 W5,W6, 천정벽 S를 순차적으로 돌아서 흡입구(4)에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래 난기가 거실 R내를 순환하여 난방 운전이 행해진다. 따라서, 앞에서 말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9는 제2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전술한 도1∼ 도8에 나타낸 제1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풍향 가변부(110a,110b) 대신에 회동에 의해 송풍 경로(6)를 연장하는 풍향 가변부(111a,111b)가 설치된다. 기타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같다.
풍향 가변부(111b)는 회동축(111d)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풍향 가변부(111a)는 회동축(111d)에 연결되는 아암부(111c)를 통해 회동축(111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축(111d)은 기어(도시 안됨)를 통해 구동 모터 (111f)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1a)의 첨단에는 풍향 가변부(111a)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111g)가 설치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1a,111b)가 캐비닛(2)의 아래쪽에 수납되고,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5)로부터 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또한, 난방 운전의 경우에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1a,111b)가 전개된다. 이것에 의해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예를 들면, 측벽 Wl을 향해 풍속 약 5∼6m/초로 송출되고, 코안다 효과에 의해 측벽 Wl을 따라서 유통한다.
도11(a)∼(f)는 풍향 가변부(111a,111b)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11(a)는 풍향가변부(111a,111b)가 전개한 상태(도10 참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풍향 가변부(111a)는 전방 안내부(6a)의 상벽에 접촉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송풍 경로(6)의 상벽으로 연장하고, 전방 안내부(6a)의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1b)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송풍 경로(6)의 하벽으로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11(b)는 구동 모터(111f)가 구동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 모터(111f)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111d)이 J방향으로 회전하면, 풍향 가변부(111a,111b) 및 아암(111c)이 회전축(111d)을 중심으로 J방향으로 회동한다. 도11(c),(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111f)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111d)이 회동하면, 풍향 가변부판(111b)이 캐비닛(2)의 하면에 접촉한다.
회동축(11d)이 회전하면 풍향 가변부(111a)가 회동하고, 도1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규제부(111g)가 캐비닛(2)의 하면에 접한다. 아암부(111c)가 회동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위치 규제부(111f)가 캐비닛(2)과 습동하고, 풍향 가변부(111b)가 K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1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1a)가 풍향 가변부(111b)에 접하여 풍향 가변부(111a,111b)가 수납 상태(도9참조)가 된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1a,111b)를 전개하는 경우는 상기와 반대 순서대로 동작한다. 이 때, 풍향가변부(111a)는 송풍 경로(6)의 상벽에 접한 위치결정된다.따라서, 송풍 경로(6)의 상벽이 풍향 가변부(111a)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정압의 차에 의한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풍향 가변부(111a)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1a)의 배치를 관리하고, 확실하게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1b)는 스토퍼(도시 안됨)에 의해 도11(a)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에 의해 풍향 가변부(111b)를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10에 있어서, 풍향 가변부(111a)는 송풍 경로(6) 측이 오목으로 되고, 하류쪽의 단부가 후방 아래쪽으로 향할 수 있다. 풍향 가변부(111b)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송풍 경로(6)의 하벽으로 연장하여 배치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1b)는 송풍 경로(6) 측이 볼록으로 되고, 취출구(5)의 하벽부를 확장하여 매끄럽게 연장하 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류쪽의 단부는 후방 아래쪽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같이, 풍향 가변부(111a,111b)에 향해 조화공기가 유통할 때에 풍향 가변부(111a)에 접했던 2첨점 곡선으로 구성되는 궁형의 고정압부(90)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도3 참조)은 풍향 가변부(111a,111b)에 향한 기류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고압부(90)는 송풍 경로(6)의 정압의 차에 의해 기류로의 유체역학적인 벽면을 형성하고, 조화된 공기가 송출 방향을 매끄럽게 가변하며 압력 손실을 일으키는 일 없이 취출구(5)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풍향 가변부(111a,111b)의 첨단을 대략 바로 밑 방향으로 향해 배치하여 취출구(5)로부터 바로 밑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해도 된다.
또한, 고정압부(90)에 의해 유로가 좁아지고,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 유로가 확대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1a)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취출구(5)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가상면(98)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종 루버(12) 및 풍향가변부(111a,111b)의 설정을 가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도12는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전술한∼ 도11에 나타내는 제2 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풍향 가변부(111a,111b) 대신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풍향 가변부(112a,112b)가 설치된다. 기타의 부분은 제2 실시예와 같 다.
풍향 가변부(112b)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으로 연장하고, 구동 모터(도시 안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112f)에 의해 캐비닛(2)에 지지되어 있다. 회동축(112f)에서는 상부 아암(112c)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아암(112c)에는 아암 관절(112e)을 통해 하부 아암(112d)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풍향 가변부(112a)(제1 풍향판)는 취출구(5)에 배치되 것과 함께 구동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112g)에 의해 하부 아암(112d)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향을 바꿔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방 운전을 개시하면,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아암(112c), 하부 아암(112d)이 전개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단면 형상이 만곡한 풍향 가변부(112a)는 첨단을 아래쪽에 향하며 하면측을 오목하게 하고,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단면 형상이 만곡한 풍향 가변부(112b)는 첨단을 아래쪽을 향해 송풍 경로(6) 측을 볼록하게 하고, 송풍 경로(6)의 하벽을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풍향 가변부(112a,112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에 따른 유로를 형성하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2b)는 송풍 경로(6) 측이 볼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조화된 공기의 유로가 하류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부분을 기류가 유통하면 운동 에너지가 정압으로 변환되고, 이른바 디퓨져로서 작용 한다. 이 때문에, 풍향가변부(112a,112b)에 향해 유통하는 기류의 운동 에너지가 정압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취출구(5)로부터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량이 증가되게 되어 있다.
난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2a,112b)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2a)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송풍 경로(6)의 상벽에 일단부가 접촉하여 송풍 경로(6)의 상벽으로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풍향가변부(112a)의 외측 단부는 후방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2b)는 송풍 경로(6) 측이 볼록으로 되도록 첨단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2a)는 송풍 경로(6)의 상벽에 접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송풍 경로(6)의 상벽이 풍향 가변부(112a)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정압의 차에 의한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풍향 가변부(112a)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가변부(112a)의 배치를 관리하고, 확실하게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2b)는 스토퍼(도시 안됨)에 의해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시계방향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에 의해 풍향 가변부(112b)를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풍향 가변부(112a)에 의해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이 폐쇄되고, 풍향 가변부(112a)에 접했던 2첨점 곡선으로 구성되는 궁형의 고정 압부(90)가 형성된다. 고정압부(90)는 등압선(90a)(도3 참조)이 제1, 제2 실시예와 같이 풍향 가변부(112a,112b)에 향한 조화된 공기의 유통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고압부(90)는 송풍 경로(6)의 정압의 차에 의해 기류로의 유체역학적인 벽면을 형성하고, 조합 공기가 송출 방향을 매끄럽게 가변하여 취출구(5)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이 때, 전방 안내부(6a)의 상벽과 풍향 가변부(112a)와의 접촉 부분이 매끄러운 곡면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압부(90)에는 에디(25)가 발생하여 제1, 제2 실시예보다 송풍 효율이 약간 저하한다. 그렇지만, 종래보다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하여 제1, 제2 실시예와 대략 동등의 송풍 효율을 얻을 수 있다. 풍향 가변부(112a,112b)의 첨단을 하방 방향을 향해 취출구(5)로부터 대략 바로 밑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해도 된다.
또한, 고정압부(90)에 의해 유로가 좁아질 수 있고,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유로가 확대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2a)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취출구(5)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가상면(98)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제2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전술한 도3, 도4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와 같은 특성이 얻어지고, 취출 방향이 후방 아래쪽임에도 불구하고, 풍향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의 전방 아래쪽 취출 때와 같은 풍량 및 정음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의해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2a,112b)는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2a)는 상 부 아암(112c), 하부 아암(112d)이 전개된 상태에서 전방 안내부(6a)를 따라서 첨단을 전방 아래쪽으로 향해 하면측이 볼록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2b)는 취출구(5)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로부터 대피하여 캐비닛(20의 아래쪽에 수납된다. 그리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난방 운전시의 전방 아래쪽 취출 보다도 위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고, 온도가 낮은 조화된 공기가 자중에 의해 강하되어 실내로 확산되게 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2b)를 캐비닛(2)의 아래쪽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냉방 시의 풍향 가변부(112b)로의 이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냉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2a,112b)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2a)는 상부 아암(112c), 하부 아암(112d)이 신장 상태에서 하면측이 볼록으로 되는 동시에, 상류쪽의 단부가 송풍 경로(6)를 유통하는 기류에 대략 평행하게 기류를 2등분 하고, 하류쪽의 단부가 수평 방향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2b)는 취출구(5)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로부터 대피하여 캐비닛(2)의 아래쪽에 수납된다. 그리고,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5∼6m/초로 조화된 공기가 송출된다.
도16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면, 상부 아암(112c), 하부 아암(112d)이 접힌 상태가 되어 풍향 가 변부(112b)가 송풍 경로(6)에 배치되고, 풍향 가변부(112a)에 의해 취출구(5)가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의 내부를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종 루버(12) 및 풍향가변부(112a,112b)의 위치를 가변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112a)(제1 풍향판)는 도16에 나타내는 차폐 위치에서 난방 운전시에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12, 도13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과 후방 아래쪽과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는 난방 운전시와는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14, 도15의 상태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과 수평 방향과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쾌적한 공기 조화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더우기, 제습 운전 때에는 냉방 운전시와 같이 풍향 가변부(112a,112b)를 배치하면 된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도17은 제4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전술한 도12∼ 도16에 나타내는 제3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풍향 가변부(112a,112b) 대신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풍향 가변부(113a,113b,113c)가 설치된다. 또한, 송풍 경로(6)의 상벽은 취출구(5) 근방에서 위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기타의 부분은 제3 실시예와 같다.
풍향 가변부(113c)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으로 연장하고, 구동 모터(도시 안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113f)에 의해 캐비닛(2)에 지지되어 있다. 풍향 가변부(113a)(제2 풍향판), (113b)(제1 풍향판)은 취출구(5)에 배치되는 동시에 구동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축(113d,113e)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향을 바꿔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b,113c)는 단면 형상이 만곡되어 있고, 일면이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 면이 오목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풍향 가변부(113a)는 일면(도면 중, 하면)이 대략 평면으로 되어있고 다른 면(도면 중, 표면)이 완만한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 부근을 회전축(113d)에서 축지지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난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3a,113b,113c)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3a)는 회전축(113d)의 구동에 의해 후방 아래쪽을 향해 평면측이 배치되고, 전방 위쪽을 향해 곡면측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b)는 회전축(113e)의 구동에 의해 상류쪽 단부는 송풍 경로(6)를 유통 기류에 대략 평행히고 또한 기류를 2등분 하여 배치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b)의 전방 윗측측이 볼록으로 배치되고, 하류쪽의 단부는 전방 아래쪽을 향할 수 있다.
풍향 가변부(113c)는 첨단을 아래쪽으로 향해 송풍 경로(6) 측이 볼록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 래쪽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는 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전방 아래쪽 취출의 상태가 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c)는 송풍 경로(6) 측이 볼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조화된 공기의 유로가 하류에 갈수록 단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부분을 기류가 유통하면 운동 에너지가 정압으로 변환되고, 이른바 디퓨져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송풍 팬(7)의 풍량을 증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113c)에 의해 취출구(5)를 좁게 할수도 있다. 즉, 풍향 가변부(113a)는 전방 위쪽을 향해 평면쪽이 배치되고, 후방 아래쪽을 향해 곡면측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c)는 도17보다 위로 하여 배치되고, 풍향 가변부(113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화된 공기의 유로 면적이 축소된다. 풍향 가변부(113b)는 풍향가변부(113a,113c)의 사이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가변부(113a,113c)의 사이를 기류가 유통하면 정압이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송풍 팬의 풍량이 감소하여 취출 풍속이 증가하고, 기류의 도달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난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113b,113c)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3a)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평면측을 전면으로 향하고, 풍향가변부(113b)에 일단부가 접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3b)가 송풍 경로(6)의 상벽으로 연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a)의 외측 단부는 회동축(113e)에 접하도록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b)는 송풍 경로(6) 측이 오목으로 되도록 첨단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c)는 송풍 경로(6) 측을 볼록으로 하도록 첨단을 후방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3a)는 풍향 가변부(113b)에 접하게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풍향 가변부(113b)가 풍향 가변부(113a)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정압의 차에 의한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풍향 가변부(113a)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가변부(113a)의 배치를 관리하고, 확실하게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c)는 스토퍼(도시 안됨)에 의해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시계방향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에 의해 풍향 가변부(113c)를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3b)는 구동 모터의 회전량의 제어에 의해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이 풍향 가변부(113a,113b)에 의해 폐쇄되고, 풍향 가변부(113a,113b)에 접했던 2첨점 곡선으로 구성되는 궁형의 고정압부(90)가 형성된다.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도3 참조)는 제1∼제3 실시예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113b,113c)를 향한 조화된 공기의 유통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고정압부(90)가 유체역학적인 벽면 이 되고, 조화된 공기가 송출방향을 매끄럽게 가변하여 취출구(5)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이 때, 전방 안내부(6a)의 상벽과 풍향 가변부(113a)와의 접촉 부분이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압부(90)에는 에디(25)가 발생하여 제1,제2 실시예보다 송풍 효율이 약간 저하한다. 그렇지만, 종래보다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하여 제1, 제2 실시예와 거의 동등의 송풍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압부(90)에 의해 유로가 좁아질 수 있고,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 유로가 확대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b)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취출구(5)의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가상면(98)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제3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우기, 도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의 평면측을 송풍 경로(6)에 향해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전면 패널(3)을 따라서 풍향 가변부(113a,113b)가 배치되고, 실내기(1)의 미관이 향상된다. 이 때, 고정압부(90)는 전방 위쪽으로 기울어진 송풍 경로(6)의 위벽과 풍향 가변부(113a,113b)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압부(90) 내에서 발달하는 에디(25)가 커진다. 이 때문에, 도19의 경우에 비해 송풍 효율이 약간 저하하지만 종래보다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b,113c)의 첨단을 대략 바로 밑 방향으로 향하여 취출구(5)로부터 바로 밑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해도 된다. 이 때,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3)을 따라서 취출구(5)를 가리는 상부 차폐 위치에 풍향 가변부(113a)를 배치하면 실내기(1)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3a,113b,113c)는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3a)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평면측이 전방 위쪽을 향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에 대략 평행하고 기류를 2등분하여 아래로 볼록으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도17에 대해 약180°반전하여 배치되어 있다. 풍향 가변부(113c)는 취출구(5)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로부터 대피하여 캐비닛(2)의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난방 운전 때의 전방 아래쪽 취출보다도 위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고, 온도가 낮은 조화된 공기가 자중에 의해 강하게 실내에 확산된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3a)를 전술한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아래쪽을 면해 평면측을 배치하면 위쪽에 기류가 흐르지 않아 풍향 가변부(113a)에 이슬이 생긴다. 이 때문에, 풍향 가변부(113a)의 평면측을 표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회동축(113d)보다 아래쪽에 풍향 가변부(113a)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3a)의 양면을 따라서 저온의 조화된 공기가 유통하고, 풍향 가변부(113a)의 이슬을 방지할 수 있다.
냉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113b,113c)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3a)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평면측이 후방 위쪽을 향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3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에 대략 평행하고 기류를 2등분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배치된다. 풍향가변부(113c)는 취출구(5)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로부터 대피하여 캐비닛(2)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화된 공기는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위쪽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5∼6m/초로 송출된다. 실내에 송출된 조화된 공기는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실 R의 천정에 도달한다. 그 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천정면 S로부터 실내기(1)에 대향하는 벽면 W2, 바닥면 F, 실내기(1) 측의 벽면 Wl을 순차적으로 돌아 실내기(1)의 양측 방에서 흡입구(4)에 흡수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항상 차가운 바람이나 따뜻한 바람이 직접 송풍되는 일이 없고, 사용자의 불쾌감을 방지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방 시에는 국소적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어서 건강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기류가 거실 R 전체를 크게 각반하기 때문에, 거실 R내의 온도 분포가 설정 온도 부근에서 균일하게 된다. 즉, 거실 R의 위쪽의 일부를 제외하고, 사용자의 거주 영역 전체가 설정 온도에 대략 일치하여 온도 분산이 적고 직접풍도 대부분 사용자에게 대면하지 않는 쾌적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c)를 캐비닛(2)의 아래쪽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 냉방 시의 풍향 가변부(113c)로의 이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의 방향을 수평으로 하 면,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더우기, 전술한 도23에 나타내는 전방 아래쪽 취출 시에 풍향 가변부(113b)를 아래로 볼록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방 상방 취출 시(도24 참조) 및 수평 방향 취출 시(도26 참조)에 부드럽게 풍향가변부(113b)를 배치할 수 있다.
도27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면, 풍향 가변부(113c)가 송풍 경로(6) 내에 배치되고, 풍향 가변부(113a,113b)에 의해 취출구(5)가 차폐되고, 각각 상부 차폐 위치, 차폐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의 내부를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3)을 따라서 풍향 가변부(113a)를 배치하고, 풍향 가변부(113a)의 하단과 캐비닛(2)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풍향 가변부(113b)를 배치하면, 실내기(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종 루버(12) 및 풍향가변부(113a,113b,113c)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113b)(제1 풍향판)은 도27에 나타내는 차폐 위치에서 난방 운전시에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17∼ 도22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후방 아래쪽, 바로 밑 방향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는 난방 운전시와는 달리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23, 도24, 도26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수평 방향, 전방 위쪽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쾌적한 공기 조화를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제습 운전시에서는 냉방 운전시와 같이 풍향 가변부(113a,113b,113c)를 배치하면 좋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a)(제2 풍향판)는 도27에 나타내는 상부 차폐 위치에 대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 아래쪽(도17, 도18, 도23 참조), 후방 아래쪽(도19 참조), 바로 밑 방향(도21 참조), 전방 위쪽(도24 참조), 수평 방향(도26 참조)에 각각 용이하게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3a)를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하여 미관을 손상하지 않고 후방 아래쪽(도20 참조), 바로 밑 방향(도22 참조)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도28은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전술한 도17∼ 도27에 나타내는 제4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의 풍향 가변부(113a,113b,113c) 대신 풍향 가변부((114a,114b))가 설치된다. 기타의 부분은 제4 실시예와 같다.
풍향 가변부(114a)(제2 풍향판), (114b)(제1 풍향판)은 취출구(5)에 배치되고, 양면이 평면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축(114c,114d)은 풍향 가변부(114a,114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구동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4a,114b)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향을 바꿔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114c)은 풍향 가변부(114a)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회동축(114d)은 풍향 가변부(114b)의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난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 (114a,114b)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4a,114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4b)는 회동축(114d)측의 단부가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는 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전방 아래쪽 취출 상태가 된다.
난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a,114b)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4a)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단이 송풍 경로(6)의 상벽에 근접하여 상벽 아래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4a)의 외측 단부는 회동축(114d)에 근접하여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풍향 가변부(114b)는 첨단이 후방 아래쪽을 향해 배치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4a)는 구동 모터의 스토퍼(도시 안됨)에 의해 도면 중, 반시계 회전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에 의해 풍향 가변부(114a)를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고, 정압의 차에 의한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풍향 가변부(114a)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4a)의 배치를 관리하여, 확실하게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4b)는 구동 모터의 회전량의 제어에 의해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이 풍향 가 변부(114a,114b)에 의해 폐쇄되고, 풍향 가변부(114a,114b)에 접한 고정압부(90)가 형성된다.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도3 참조)은 제1∼제4 실시예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a,114b)를 향한 조화된 공기의 유통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고정압부(90)가 유체역학적인 벽면이 되고, 조화된 공기가 송출 방향을 매끄럽게 가변하여 취출구(5)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또한, 고정압부(90)에 의해 유로가 좁아질 수 있고,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 유로가 확대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4b)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취출구(5)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가상면(98)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제4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고정압부(90)는 제1∼제4 실시예와 같이 대략 궁형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약간 송풍 효율이 악화되지만, 종래보다 압력 손실을 저감시켜 송풍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a)를 전면 패널(3)을 따라서 배치하면 실내기(1)의 미관이 향상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4a)는 구동 모터의 스토퍼(도시 안됨)에 의해 도면 중, 시계방향의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에 의해 풍향가변부(114a)를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안내부(6a)의 상벽과 풍향 가변부(114a)와의 접촉 부분이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압부(90)에는 에디(25)가 발생하여 제1,제2 실시예보다 송풍 효율이 약간 저하한다. 그렇지만, 종래보다 압력 손실 증가를 억제하여 제1,제2 실시예와 대략 동등의 송풍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b)의 첨단을 대략 바로 밑 방향을 향해 취출구(5)로부터 바로 밑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해도 된다. 이 때,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3)을 따라서 풍향 가변부(114a)를 배치하면 실내기(1)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도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b)를 축측의 단부가 전방이 되도록 배치하여 전방 취출을 행하여도 된다. 그렇지만, 전술한 도28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취출 시에 풍향 가변부(114b)의 축측의 단부를 후방에 배치하는 것에 따라, 후방 아래쪽 취출 시(도29, 도30 참조)나 바로 밑 방향으로 송출할 때(도31, 도32 참조)에 풍향 가변부(114b)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4a,114b)는 도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4a,114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전방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4a)는 전술한 도28, 도33에 나타낸 난방 운전 전방 아래쪽 취출 시보다 전단이 위쪽으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4a)의 양면으로 기류가 통과하여 저온의 조화된 공기에 의한 풍향 가변부(114a) 표면의 이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4b)는 회동축(114d) 측의 단부가 전방이 되도록 배치 되어 있다. 그리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도록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는 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전방 아래쪽 취출의 상태가 된다.
냉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a,114b)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4a)는 전단이 후단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취출구(5) 근방에서 위쪽으로 기울어진 송풍 경로(6)의 상벽에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풍향가변부(114b)는 축측의 단부가 개방측의 단부보다 전방 아래쪽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화된 공기는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위쪽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5∼6m/초로 송출된다. 실내에 송출된 조화된 공기는 전술한 도25와 같이 거실 R의 천정에 도달한다. 그 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천정면 S로부터 실내기(1)에 대향하는 벽면 W2, 마루면 F, 실내기(1) 측의 벽면 Wl을 순차적으로 따라 실내기(1)의 양측 방에서 흡입구(4)에 흡입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와 동동하게, 쾌적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a)의 방향을 수평으로 하면,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더우기, 전술한 도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 취출 시에 풍향 가변부(114b)의 축측을 전방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방 위쪽 취출 시(도35 참조) 및 수평 방향 취출 시(도36 참조)에 부드럽게 풍향가변부(114b)를 배치할 수 있다.
도37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면, 풍향 가변부(114a,114b)가 각각 상부 차폐 위치, 차폐 위치에 배 치되고, 취출구(5)가 차폐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의 내부를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3)을 따라서 풍향 가변부(114a)를 배치하고, 풍향 가변부(114a)의 하단과 캐비닛(2)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풍향 가변부(114b)를 배치하면,실내기(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종 루버(12) 및 풍향가변부(114a,114b)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114b)(제1 풍향판)은 도37에 나타내는 차폐 위치에서 난방 운전시에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28∼ 도32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후방 아래쪽, 바로 밑 방향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는 난방 운전시와 달리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34, 도35, 도36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수평 방향, 전방 위쪽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쾌적한 공기 조화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더우기, 제습 운전시에서는 냉방 운전시와 같이 풍향 가변부(114a,114b)를 배치하면 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4a)(제2 풍향판)는 도37에 나타내는 상부 차폐 위치에 대해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 아래쪽(도28, 도33, 도34 참조), 후방 아래쪽(도29 참조), 바로 밑 방향(도31 참조), 전방 위쪽(도35 참조), 수평 방향(도36 참조)에 각각 용이하게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4a)를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하여 미관을 손상하지 않고 후방 아래쪽(도30 참 조), 바로 밑 방향(도32 참조)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도38은 제6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전술한 도28∼ 도37에 나타내는 제5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제5 실시예의 풍향 가변부(114a,114b) 대신 풍향 가변부((115a,115b))가 설치된다.기타의 부분은 제5 실시예와 같다.
풍향 가변부(115a)(제 2풍향판), (115b)(제1 풍향판)은 취출구(5)에 배치되고, 양면이 평면의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축(115c,115d)는 풍향 가변부(115a,115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구동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5a,115b)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방향을 바꿔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115c)는 풍향 가변부(115a)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회동축(115d)은 풍향 가변부(115b)의 중앙의 풍향 가변부(115b)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난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5a,115b)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5a,115b)는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5b)의 회동축(115d)은 풍향가변부(115b)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하방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는 전방 아래쪽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전방 아래쪽 취출의 상태가 된다.
또한,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b)의 회동축(115d)을 풍향 가변부(115b)의 아래쪽에 배치하여 전방 아래쪽 취출을 행하여도 된다.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115d)을 풍향가변부(115b)의 위쪽에 배치한 경우는, 먼 곳에까지 조화된 공기를 도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거실이 비교적 큰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도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115d)을 풍향 가변부(115b)의 아래쪽에 배치한 경우는, 회동축(115d)을 풍향 가변부(115b)의 위쪽에 배치한 경우보다 난방시에 근방의 공간에 부드러운 기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거실이 비교적 작은 장소에 적합하다. 따라서, 거실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난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a,115b)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5a)는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단이 송풍 경로(6)의 상벽에 접한 전방 안내부(6a)의 상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풍향가변부(115b)는 일단이 풍향 가변부(115a)에 근접하고, 다른 단이 대략 바로 밑 방향으로 향해 배치된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5a,115b)간의 틈은 매우 작고, 조화된 공기가 이 틈에서 누출되는 양은 매우 미량이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5a)는 송풍 경로(6)의 상벽에 접하게 위치 결정된다.따라서, 송풍 경로(6)의 상벽에 의해 풍향 가변부(115a)를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 구성되고, 정압의 차에 의한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하는 위치 에 풍향 가변부(115a)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5a)의 배치를 관리하고, 확실하게 기류로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우기, 풍향 가변부(115b)는 구동 모터의 회전량의 제어에 의해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전방 안내부(6a)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이 풍향 가변부(115a,115b)에 의해 폐쇄되고, 풍향 가변부(115a,115b)에 접했던 고정압부(90)가 형성된다. 고정압부(90)의 등압선(90a)(도3 참조)은 제1∼제5 실시예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a,115b)를 향한 조화된 공기의 유통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이 때문에, 고정압부(90)가 유체역학적인 벽면이 되고, 조화된 공기가 송출 방향을 매끄럽게 가변하여 취출구(5)로부터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또한, 고정압부(900에 의해 유로가 좁아질 수 있고, 하류쪽으로 다시 한 번 유로가 확대되어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5b)는 전방 안내부(6a)의 하벽을 취출구(5)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가상면(98)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제5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고정압부(90)는 제1∼제4 실시예와 같이 궁형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약간 송풍 효율이 악화되지만, 종래보다 압력 손실을 저감시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풍향 가변부(115b)는 회동축(115d)이 단부에 설치되지 않고 대략 중앙에서 소정량 떨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제5 실시예에 비해 적은 토크로 회동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의 전력 절약화나 구동 모터 출력의 다운에 의한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우기, 도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b)의 첨단을 아래쪽 방 향에서 약간 전방으로 향하게 하고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밑 방향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해도 된다. 전술한 도39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취출 시에 풍향 가변부(115b)의 회동축(115d)을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후방 아래쪽 취출 시(도40 참조)나 바로 밑 방향으로 송출할 때(도41 참조)에 풍향가변부(115b)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냉방 운전을 개시하면, 풍향 가변부(115a,115b)는 전술한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 때, 풍향 가변부(115a)는 난방시에 비해 바깥쪽 단부가 약간 위로 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풍향 가변부(115a)의 양면으로 조화된 공기를 유통시켜 풍향 가변부(115a)의 이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화된 공기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는 전방 아래으로에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는 전방 아래쪽 취출의 상태가 된다.
냉방 운전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흡입구(4)에서 취입된 공기의 온도와 설정 온도와의 차가 소정 온도보다 적은 경우에는,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a,115b)가 배치된다. 즉, 풍향 가변부(115a)는 전단이 후단보다 위쪽으로 배치되고, 취출구(5) 근방에서 위쪽으로 기울어진 송풍 경로(6)의 상벽에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풍향가변부(115b)는 바깥쪽의 단부가 내측의 단부보다 전방 아래쪽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조화된 공기는 취출구(5)로부터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위쪽으로 예를 들면 풍속 약 5∼6m/초로 송출된다. 실내에 송출된 조화된 공 기는 전술한 도25와 같이 거실 R의 천정에 도달한다. 그 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천정면 S로부터 실내기(1)에 대향하는 벽면 W2, 바닥면 F, 실내기(1) 측의 벽면 Wl을 순차적으로 거쳐 실내기(1)의 양측 방에서 흡입구(4)에 흡수된다. 따라서, 제4, 제5 실시예와 같이, 쾌적성이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a)의 방향을 수평으로 하면,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더우기, 전술한 도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아래쪽 취출 시에 풍향 가변부(115b)의 회동축(115d)을 풍향 가변부(115b)의 상방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방 위쪽 취출 시(도42 참조) 및 수평 방향 취출 시(도43 참조)에 부드럽게 풍향 가변부(115b)를 배치할 수 있다.
도44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면, 풍향 가변부(115a,115b)에 의해 취출구가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실내기(1)의 내부를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3)을 따라서 풍향 가변부(115a)를 배치하고, 풍향 가변부(115a)의 하단과 캐비닛(2)의 저면을 연결하도록 풍향 가변부(115b)를 배치하면, 실내기(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사용자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종 루버(12) 및 풍향가변부(115a,115b)의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풍향 가변부(115b)(제1 풍향판)은 도44에 나타내는 차폐 위치에서 난방 운전시에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39∼ 도41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후방 아래쪽, 바로 밑 방향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냉방 운전시에는 난방 운전시와 달리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38, 도42, 도43의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 전방 아래쪽, 수평 방향, 전방 위쪽의 풍향 가변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쾌적한 공기 조화를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제습 운전시에는 냉방 운전 때와 같이 풍향 가변부(115a,115b)를 배치하면 된다.
또한, 풍향 가변부(115a)(제2 풍향판)은 도44에 나타내는 상부 차폐 위치에 대해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 아래쪽(도38, 도39 참조), 후방 아래쪽(도40 참조), 바로 밑 방향(도41 참조), 전방 위쪽(도42 참조), 수평 방향(도43 참조)에 각각 용이하게 조화된 공기를 송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캐비닛 내로 받아들여진 공기를 조화하여 실내로 송출하는 공기 조화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6)

  1. 실내의 공기를 취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취입되어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상기 취출구에 안내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취출구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전방 아래쪽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하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전방 아래쪽을 향해 조화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전방 안내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된 상벽과 하벽을 가지며, 상기 상벽의 경사 방향이 수평 또는 윗쪽으로 변화하는 위치와 상기 하벽의 경사 방향이 바로 밑 방향으로 변화하는 위치를 통하는 면이 상기 전방 안내부의 종단으로 되고,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풍향 가변부를 송풍 경로의 벽면에 연속하여 배치하고, 상기 전방 안내부의 종단에서 상기 전방 안내부로 연속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에는 고정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종단은 상기 취출구로 되며,
    측면에서 볼때 기류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통로의 폭은 전방 안내부의 종단에서 취출구에 이르기까지 전방 안내부의 종단보다 넓게 유지되며,
    상기 고정압부는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의 상기 풍향 가변부에 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압부는 전방 안내부의 정압보다 고압이며, 상기 고정압부는 정압분포의 등압선이 상기 풍향 가변부에 면하여 유통하는 기류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압부에 의해 조화 공기의 유로가 좁아질 수 있고, 좁아진 부분의 유로 면적이 전방 안내부의 종단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에,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압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궁형의 2첨점 곡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압부는 대략 궁형을 형성하는 활 모양의 중앙부에 정압의 최대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전방 안내부의 아래쪽 내벽의 연장선상에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가 상기 송풍 경로의 가동 내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송풍 경로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취출구에 배치되어 회동에 의해 방향을 바꾸는 복수의 풍향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의 정압분포를 검지하는 정압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정압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 가변부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의 송출에 의해 실내의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5. 실내의 공기를 취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취입되어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상기 취출구에 안내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취출구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전방 아래쪽을 향해 조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조화된 공기를 상기 취출구에서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를 만곡시켜 상기 취출구에서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조화된 공기를 송출하며,
    상기 전방 안내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된 상벽과 하벽을 가지며, 상기 상벽의 경사 방향이 수평 또는 윗쪽으로 변화하는 위치와 상기 하벽의 경사 방향이 바로 밑 방향으로 변화하는 위치를 통하는 면이 상기 전방 안내부의 종단으로 되고,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풍향 가변부를 송풍 경로의 벽면에 연속하여 배치하고, 상기 전방 안내부의 종단에서 상기 전방 안내부로 연속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의 종단은 상기 취출구로 되며,
    측면에서 볼때 기류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통로의 폭은 전방 안내부의 종단에서 취출구에 이르기까지 전방 안내부의 종단보다 넓게 유지되며,
    상기 통로 내를 만곡하여 유통하는 기류의 벽면은 상기 통로 내의 정압의 차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의해 조화 공기의 유로가 좁아질 수 있고, 좁아진 부분의 유로 면적이 상기 전방 안내부의 종단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하여 난방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쇄하여 상기 벽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의 상기 풍향 가변부에 접하여 상기 전방 안내부의 정압보다 고압의 고정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전방 안내부의 아래쪽 내벽의 연장선 상에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가 상기 송풍 경로의 가동 내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풍향 가변부에 의해 상기 송풍 경로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가변부는 상기 취출구에 배치되어 회동에 의해 방향을 바꾸는 복수의 풍향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상기 풍향 가변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6. 실내의 공기를 취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취입되어 조화된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는 취출구와, 조화된 공기를 상기 취출구에 안내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취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제2 풍향판을 가지며 상기 취출구에서 송출되는 조화된 공기의 풍향을 가변하는 풍향 가변부를 구비하는,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풍향판은 상기 취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취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도록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도록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가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되도록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취출구로부터 조화된 공기가 수평 방향 또는 전방 위쪽으로 송출되도록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제2 풍향판은 상기 취출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취출구의 상부를 차폐 하는 상부 차폐 위치와,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대해 기울어져 전방 아래쪽으로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와,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대해 기울어져 수평 방향 또는 전방 윗쪽으로 기류를 안내하는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조화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하는 경우에, 제2 풍향판을 상부 차폐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7. 삭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경로는 전방 아래쪽을 향해 조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전방 안내부를 가지며, 제1 풍향판은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에 따른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취출구에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아래쪽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상기 전방 안내부를 유통하는 기류의 진행 방향 전방을 폐쇄하여 기류를 만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제1 풍향판은 상기 차폐 위치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기류를 전방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위치에서 위로 볼록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폐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위치에서 아래로 오목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0. 제26항에 있어서, 제1 향판을 상기 차폐 위치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시킨 위치에서 난방 운전을 행하는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서 냉방 운전 또는 제습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제26항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에, 제2 풍향판은 상기 상부 차폐 위치에 대해 대략 반전되어 기울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 상벽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에, 제2 풍향판은 제1 풍향판에 접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6. 제34항에 있어서, 조화된 공기를 바로 밑 방향 또는 후방 아래쪽으로 송출할 때, 제2 풍향판은 상기 송풍경로의 상벽에 접하여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67010039A 2003-11-28 2004-11-26 공기 조화기 KR100781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0410A JP4549053B2 (ja) 2003-11-28 2003-11-28 空気調和機
JP2003400401A JP3792226B2 (ja) 2003-11-28 2003-11-28 空気調和機
JPJP-P-2003-00400410 2003-11-28
JPJP-P-2003-00400457 2003-11-28
JPJP-P-2003-00400401 2003-11-28
JP2003400457A JP4458826B2 (ja) 2003-11-28 2003-11-28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270A KR20060092270A (ko) 2006-08-22
KR100781215B1 true KR100781215B1 (ko) 2007-12-03

Family

ID=3463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039A KR100781215B1 (ko) 2003-11-28 2004-11-26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07893B1 (ko)
KR (1) KR100781215B1 (ko)
AU (1) AU2004292622C1 (ko)
HK (1) HK1104078A1 (ko)
WO (1) WO2005052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6963B2 (ja) * 2003-11-28 2005-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971855B1 (ko) * 2006-01-20 2010-07-2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JP4365432B2 (ja) * 2007-09-07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335937B2 (ja) * 2007-10-23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2350534A4 (en) * 2008-10-21 2017-08-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JP2013096639A (ja)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室内機
JP5505476B2 (ja) * 2012-09-28 2014-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DE102015210258B4 (de) * 2015-06-03 2022-08-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uftausströmer und Verfahren zum Einleiten von Luft in einen Raum
AU2016391398B2 (en) 2016-02-01 2019-05-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0724759B2 (en) * 2016-02-02 2020-07-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7725425A (zh) * 2016-08-12 2018-02-23 佛山市南海南洋电机电器有限公司 一种贯流式上进风风幕机
CN106839374A (zh) * 2017-02-28 2017-06-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挂机的导风板组件及空调室内挂机
CN107238189A (zh) * 2017-07-26 2017-10-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出风结构、壁挂机以及空调器
CN207422394U (zh) * 2017-09-12 2018-05-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2506415B1 (ko) * 2017-10-16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8917148A (zh) * 2018-04-12 2018-11-30 曾培玉 一种空调器送风结构
CN114963327B (zh) * 2021-02-19 2024-04-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15435388A (zh) * 2021-06-01 2022-12-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650A (ja) * 1995-12-29 1997-07-15 Daikin Ind Ltd 壁掛形空気調和機
JPH1073302A (ja) * 1996-06-26 1998-03-17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95Y2 (ko) * 1987-06-05 1993-02-12
JPH07217985A (ja) * 1993-12-10 1995-08-1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H09196453A (ja) * 1996-01-11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EP0819894B1 (en) * 1996-06-26 2004-10-06 Kabushiki Kaisha Toshiba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3392644B2 (ja) * 1996-06-26 2003-03-3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3311932B2 (ja) * 1996-06-26 2002-08-0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0283544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650A (ja) * 1995-12-29 1997-07-15 Daikin Ind Ltd 壁掛形空気調和機
JPH1073302A (ja) * 1996-06-26 1998-03-17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7893A4 (en) 2013-06-26
AU2004292622A1 (en) 2005-06-09
AU2004292622B2 (en) 2009-06-04
HK1104078A1 (en) 2008-01-04
KR20060092270A (ko) 2006-08-22
EP1707893A1 (en) 2006-10-04
WO2005052463A1 (ja) 2005-06-09
AU2004292622C1 (en) 2010-01-14
AU2004292622B9 (en) 2009-12-24
EP1707893B1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215B1 (ko) 공기 조화기
KR100803112B1 (ko) 공기 조화기
US11674697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4791914B (zh) 空调器
JP3792226B2 (ja) 空気調和機
JP4458826B2 (ja) 空気調和機
JP2005249328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5164067A (ja) 空気調和機
JP4708199B2 (ja) 空気調和機
CN114484611B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4004458B2 (ja) 空気調和機
CN108679705B (zh) 空气调节器
JP2004308930A (ja) 空気調和機
CN112178772B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
JP4004459B2 (ja) 空気調和機
CN209558518U (zh) 空调室内机
CN114963334A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4549053B2 (ja) 空気調和機
JP2005164064A (ja) 空気調和機
KR102724053B1 (ko) 공기조화기
EP3721143B1 (en) Air conditioner
KR20030063885A (ko) 에어컨디셔너의 토출부 구조
TW574487B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CN116481081A (zh) 用于空调器的新风部件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