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468B1 - 유리 용융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용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468B1
KR100780468B1 KR1020060115797A KR20060115797A KR100780468B1 KR 100780468 B1 KR100780468 B1 KR 100780468B1 KR 1020060115797 A KR1020060115797 A KR 1020060115797A KR 20060115797 A KR20060115797 A KR 20060115797A KR 100780468 B1 KR100780468 B1 KR 10078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glass
glass
molten
suction pipe
stora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구
안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피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피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피디이
Priority to KR102006011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4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tank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67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equipment, e.g. by molten glass, hot gases, ba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4Cooling arrangements for furnac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1/00Heating processes for glass melting in glass melting furnaces
    • C03B2211/70Skull melting, i.e. melting or refining in cooled wall crucibles or within solidified glass crust, e.g. in continuous walled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며 유리 원료를 용융시키는데 필요한 비용 및 작업 소요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리 용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리 원료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며, 냉매가 출입할 수 있는 쿨링 자켓을 구비하는 용융유리 저장부와, 용융유리 저장부의 상측으로 축조되어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와 함께 유리 원료의 용융공간을 형성하는 내화벽과, 내화벽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공간으로 용융열을 공급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의 용융열 공급에 따라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에 용융상태로 저장된 용융 유리를 유리 용융장치 내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치구를 제공한다.
프릿, 용융, 가열장치, 내화물

Description

유리 용융장치{MELTTING EQUIPMENT FOR GLAS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용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융유리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흡입관로를 지지대를 이용한 거치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융유리 저장부 11...유리 원료
12...본체 13...유리 원료 투입장치
14...용융 유리 원료 20...쿨링자켓
21...냉매 공급부 25...냉매
27...냉매 배출부 30...내화벽
40...가열장치 50...배출치구
51...흡입관로 53...배출관로
55...진공펌프 57...지지대
본 발명은 유리 용융장치 즉, 연속식 유리 용융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향상되며 유리 원료를 용융시키는데 필요한 비용절감 및 용융작업의 효율증대를 가능하도록 하는 유리 용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원료는 내화물 용융로에서 용융되어 여러 형태의 유리 성형 제품 및 커릿 형태와 유리분말로 제조된다.
이러한 유리 용융장치는 프릿 유리와 PDP 유리분말의 제조에 사용되며, 이중 프릿 유리는 유리와 유리, 유리와 금속, 금속과 금속을 접착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된다. PDP용 유리분말은 상판유전체(버스 전극의 절연피막), 격벽(셀형성), 하판유전체(어드레스 전극의 절연피막), 전극재 및 봉착재에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리 용융장치는, 내화물로 축조된 구조물로 구성되어 유리원료를 투입하여 용융유리를 수용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의 외측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저장부를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자켓과, 저장부의 상측으로 구성되며 내화물로 축조된 내화 구조물을 구비한다. 이러한 내화 구조물에 가스 버너를 장착하여 가열방식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유리원료를 용융시키며, 용융된 유리는 저장부의 외측에 설치된 배출치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성형기로 보내져 유리 커릿을 제조한다.
그러나 전술한 유리 용융장치는 용융된 용융 유리가 저장부의 내화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내화물의 침식으로 인해 용융 유리에 내화물 성분이 녹아 들 어감에 따라 용융 유리의 조성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부를 구성하는 내화물의 침식으로 인한 저장부의 수명이 단축되어, 1~2년의 가동 후에는 보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부의 내화물의 보수시 수 십 일간 가동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상기 내화물 구조 용융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백금을 이용한 유리 용융로를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용융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용융원료의 금속성분과 반응으로 인한 침식으로 백금로의 수명이 짧아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유리 원료를 용융시키는데 필요한 비용절감 및 용융작업의 효율을 증대 시키고, 불순물 유입을 방지하여 고순도의 품질을 유지하는 유리 용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 용융장치는, 유리 원료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냉매가 출입할 수 있는 쿨링 자켓을 구비하는 용융유리 저장부;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상측에서부터 축조되어 용융유리 저장부의 상부를 덮어 용융공간을 형성하는 내화벽; 상기 내화벽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공간으로 용융열을 공급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의 용융열 공급에 따라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에 용융상태로 저장된 용융 유리를 유리 용융장치 내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치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는, 상기 유리 원료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냉각하는 쿨링 자켓;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쿨링 자켓은, 상기 본체에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냉매 공급부; 및 상기 냉각 유로를 경유하는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쿨링자켓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치구는,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저면 측으로 연장되는 흡입관로; 상기 흡입관로에 연통되며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흡입된 용융 유리 원료를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관로; 및 상기 흡입관로에 연통되어 상기 흡입관로 내부를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형성하여, 상기 용융 유리 원료의 배출 구동력을 부여하는 진공펌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의 용융유리 저장부 저면측으로 연장된 일단에는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저면과 상기 흡입관로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흡입관로의 일단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흡입관로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가스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용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용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용융유리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흡입관로를 지지대를 이용한 거치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용융장치(100)는, 용융시키고자 하는 유리 원료(11)이 저장되는 용융유리 저장부(10)와, 용융유리 저장부(10)와 함께 용융공간(18)을 형성하는 내화벽(30)과, 용융공간(18)에 용융열을 공급하는 가열장치(40)와, 용융 유리 원료(14)를 용융유리 저장부(10)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치구(50)를 구비한다.
유리 원료(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원료 투입장치(13)를 이용하여 내화벽(30)에 형성된 투입구(미도시)를 통해 용융유리 저장부(10)로 투입되어 용융된다.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10)는 유리 원료(11)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는 본체(12) 와, 본체(12)의 내부에 마련되어 냉매가 이동되는 쿨링 자켓(20)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12)는 냉매의 이동 경로가 마련되는 쿨링 자켓(20)과 일체 또는 외측으로 접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와 쿨링 자켓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예시한다. 이러한 본체(12)는 쿨링 자켓(20)에 의한 냉각이 용이하도록 열전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2)의 재질의 예로서는 스테인레스 강, 탄소 강판 또는 특수 내열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쿨링 자켓(20)은 본체(12)의 내부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부(21)와, 냉매(25)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부(27)를 포함한다. 냉매 공급부(21)는 본체(12)의 외측으로 연통되어 소정의 냉매 공급수단(미도시)을 통해 펌핑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냉매 공급부(21)는 본체(12)의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2)의 일측에 하나가 관통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냉매 공급부(21)는 본체(12)의 저면으로 연통됨도 가능하다. 이러한 냉매 공급부(21)를 통해 유입된 냉매(25)는 본체(12) 내부를 순환하여 냉매 배출부(27)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용융유리 저장부(10)는 쿨링 자켓(20)이 제공됨으로서, 용융 유리 원료가 저장되는 부분의 내화물을 축조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가열장치(40)의 가열에 의해 유리 원료가 고온의 용융 유리원료(14)로 용융될 경우, 본체(12)와 용융 유리 원료(14) 간의 접촉부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유리 원료 응고체(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용융 유리 원료 응고체(16)는 용융 유리 원료(14)의 일부가 쿨링자켓(20) 내부에서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고체화 된 것으로 서, 용융된 유리를 저장하는 용기로 작용하므로 종래의 내화물 작용을 대체한다. 따라서, 용융유리 저장부(10)의 본체(12)는 용융 유리 원료 응고체(16)가 형성됨으로써, 본체(12)의 내구성 및 내식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용융유리 저장부(10)는 열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내화물 저장용기에서 용융 유리(14)에 의한 내화물의 침식 및 열전달에 따른 크랙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화벽(30)은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상단부분에서부터 상부측으로 축조되어, 용융유리 저장부(10)와 함께 유리 원료(11)의 용융을 위한 용융 공간(18)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화벽(30)은 용융유리 저장부(10)와 함께 용융 공간을 밀폐한 상태로 유리 원료(11)을 용융하게 된다. 내화벽(30)의 내측에는 가열장치(40)가 장착되어 용융열을 공급하며, 이러한 가열장치(40)는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스 버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화벽(30)은 유리 원료(11)의 용융 작동이 계속됨에 따른 내구성 저하로 주기적인 교체가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내화벽(30)은 용융유리 저장부(10) 상측에만 구비됨으로써, 내화벽 교체에 따른 비용이 절감 및 용융작업의 효율 증대가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용융유리 저장부(10)에 용융상태로 저장된 용융 유리(14)는 배출치구(50)를 통해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배출치구(5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저면 측으로 연장되는 흡입관로(51)과, 흡입관로(51)에 연통되며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흡입된 용융 유리(14)를 용융유리 저장부(10)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관로(53)와, 흡입관로(51)에 연통되어 흡입관로(51) 내부를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형성함으로써 유리 용융장치 내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용융 유리의 배출 구동력을 부여하는 진공펌프(55)를 구비한다.
즉, 진공펌프(55)의 작동을 통해 흡입관로(51)가 대기압 이하 상태의 압력으로 유지되면 별도의 펌핑 구동력의 전달 없이도 흡입관로(51)를 통해 용융 유리 원료(14)의 계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입관로(51)의 선단에는 흡입관로(51)와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저면과의 흡착에 따른 용융 유리 원료(14)의 흡입력 저하 또는 중단됨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57)가 장착된다. 즉, 지지대(57)가 흡입관로(51)의 선단과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저면과 일정거리(b) 항상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용융 유리 원료(14)가 용이하게 흡입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한 지지대(57)의 구성은 흡입관로(51) 선단에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방사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입관로(51)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지됨을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치구(50)로서 흡입관로(51)를 이용함으로써, 용융 유리 원료(14)의 수위에 상관없이 용이한 용융 유리 원료(14)의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과 같은 흡입관로(51)는 용융유리와의 화학적 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고온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 지며, 이러한 물질의 일 예로서 백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 용융장치를 이용한 유리 원료의 용융과 배출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유리 원료(11)는 유리 원료 투입장치(13)를 통해 용융유리 저장부(10) 에 투입된다.
다음, 미도시된 냉매 공급수단을 작동시켜,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쿨링 자켓(20)에 냉매의 순환 작동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어서, 가열장치(40)의 작동으로 용융공간(18)의 온도를 상승시켜, 유리 원료(11)가 용융 유리(14) 상태로 용융되도록 한다. 여기서, 용융유리 저장부(10)의 용융 유리(14)의 접촉면에는 내화물의 역할을 대체하는 용융 유리 원료 응고체(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용융유리 저장부(10)는 고온의 용융 유리 원료(14)의 열전달에 따른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 용융유리(14)는 배출치구(50)의 작동으로 용융유리 저장부(1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용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유리 원료를 용융하는 용융유리 저장부를 쿨링 자켓으로 형성하여, 고온의 용융 유리 원료에 의한 용융유리 저장부의 내구성 저하됨을 방지한다.
둘째, 내화벽이 용융유리 저장부의 상측에만 구비됨으로, 내화벽의 교체시 보다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다.
셋째, 흡입 관로가 용융유리 저장부의 저면에 근접되게 연장되며, 진공 펌프를 이용한 흡입으로 용융 유리 원료의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용융 유리 원료의 수위에 상관없이 용이한 용융 유리 원료의 배출이 가능하다.

Claims (9)

  1. 유리 원료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냉매가 출입할 수 있는 쿨링 자켓을 구비하는 용융유리 저장부;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상측에서부터 축조되어 용융유리 저장부의 상부를 덮어 용융공간을 형성하는 내화벽;
    상기 내화벽에 장착되어 상기 용융공간으로 용융열을 공급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의 용융열 공급에 따라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에 용융상태로 저장된 용융 유리를 유리 용융장치 내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치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는,
    상기 유리 원료를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냉각하는 쿨링 자켓;을 구비하는 유리 용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자켓은,
    상기 본체에 냉매를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냉매 공급부; 및
    상기 냉각 유로를 경유하는 냉매를 배출하는 냉매 배출부;를 구비하는 유리 용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쿨링자켓은 일체로 형성되는 유리 용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치구는,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저면 측으로 연장되는 흡입관로;
    상기 흡입관로에 연통되며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흡입된 용융 유리 원료를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관로; 및
    상기 흡입관로에 연통되어 상기 흡입관로 내부를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형성하여, 상기 용융 유리 원료의 배출 구동력을 부여하는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유리 용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의 용융유리 저장부 저면측으로 연장된 일단에는 상기 용융유리 저장부의 저면과 상기 흡입관로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유리 용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흡입관로의 일단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유리 용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흡입관로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유리 용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가스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융장치.
KR1020060115797A 2006-11-22 2006-11-22 유리 용융장치 KR10078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797A KR100780468B1 (ko) 2006-11-22 2006-11-22 유리 용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797A KR100780468B1 (ko) 2006-11-22 2006-11-22 유리 용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468B1 true KR100780468B1 (ko) 2007-11-28

Family

ID=3908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797A KR100780468B1 (ko) 2006-11-22 2006-11-22 유리 용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532A (en) 1991-03-05 1994-11-2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Furnace for the continuous melting of oxide mixtures by direct induction with high frequency, a very short refining time and a low energy consumption
US6751989B1 (en) 1999-08-21 2004-06-22 Schott Glas Device and method for melting or refining glass or glass ceramics
KR20060093302A (ko) * 2005-02-21 2006-08-24 류봉기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유리용융장치 및 이를 이용한유리용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532A (en) 1991-03-05 1994-11-2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Furnace for the continuous melting of oxide mixtures by direct induction with high frequency, a very short refining time and a low energy consumption
US6751989B1 (en) 1999-08-21 2004-06-22 Schott Glas Device and method for melting or refining glass or glass ceramics
KR20060093302A (ko) * 2005-02-21 2006-08-24 류봉기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유리용융장치 및 이를 이용한유리용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378B2 (en) Apparatus for making glass and methods
JP4242586B2 (ja) 無機物質を溶融ないし精製するためのスカル坩堝
US9505645B2 (en) Vacuum degassing apparatus,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war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ware
KR20150022984A (ko) 유리 용융 설비 및 방법
EP2889274A1 (en) Energy-efficient and environmentally-friendly method for producing glass, and glass melting furnace
CN112074488A (zh) 玻璃物品的制造方法
KR102497517B1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용융로
KR100780468B1 (ko) 유리 용융장치
JP6792825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溶融炉
KR100510196B1 (ko) 연속식 프릿 용융시스템
JP2005076972A (ja) 溶解保持炉制御装置
CN110981164B (zh) 熔融装置和熔融方法
KR100836578B1 (ko) 용융로 장치
CN201250175Y (zh) 玻璃熔炉的出料装置
CN106082589A (zh) 玻璃熔炼设备
US3507768A (en) Electrolytic cell
KR101870312B1 (ko) 용융로
CN112723734A (zh) 一种生产连续玄武岩纤维的电熔窑炉
JP2006143549A (ja) 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熔融装置
JP4526251B2 (ja) アルミニウム溶解炉
KR101159968B1 (ko) 전기로용 냉각 패널
CN218403957U (zh) 熔窑及进料系统
CN216237317U (zh) 一种通过电解熔融电解质生产金属的装置
US20090277226A1 (en) Modular melter
CN219546865U (zh) 一种玻璃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