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313B1 -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313B1
KR100780313B1 KR1020070050850A KR20070050850A KR100780313B1 KR 100780313 B1 KR100780313 B1 KR 100780313B1 KR 1020070050850 A KR1020070050850 A KR 1020070050850A KR 20070050850 A KR20070050850 A KR 20070050850A KR 100780313 B1 KR100780313 B1 KR 10078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wavelength
end st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시현
Original Assignee
주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단국과 단국을 연결하는 광선로 또는 단국과 교환국을 연결하는 광선로의 양단에 중계 접속되어 다수의 광 채널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1 단국과 제2 단국을 연결하는 광선로(20) 또는 교환국과 제2 단국을 연결하는 광선로(20)의 양단에 중계 접속되어, 제1 단국, 제2 단국 또는 교환국의 다수 광 채널을 광선로(20)를 통해 전송하는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있어서, 제1 단국 또는 교환국의 순방향 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각각 변조하고, 제2 단국의 역방향 신호를 상기 제1 단국 또는 교환국에서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환하며,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다수개가 장착되며 각각 변조되는 파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파장변환기(1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광선로(20)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파장으로 변조된 순방향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선로(20)로 전송하고, 상기 광선로(20)로부터 전송된 역방향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대응하는 상기 파장변환기(100)에 전달하며,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다중화기(2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상기 다중화기(200) 사이를 연결하여 변조된 광신호를 전달하는 변조신호 연결선(3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 교환국 또는 단국의 광통신 장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광코어를 8:1 비율로 절감할 수 있으며, 우회 경로 또는 예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요 채널이 증설되어도 기존 광가입자망과 호환되는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치이다.
광선로, 절감, 다중화, 역다중화, 파장, 광가입자망

Description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OPTICAL FIBER SAVER DEVIC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IT}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른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단국 사이에 이루어지는 광통신 전송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에 있어서, 파장변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에 있어서, 다중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를 이용한 단국 사이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송망.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에 있어서, 애드/드롭 다중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상기 도 6의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를 이용한 단국 사이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송망.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1, 10-2, 10-3) : 단국 20, 21 : 광선로
100(100-1~100-4) : 파장변환기 110 : 제1 광전변환부
111 : 제1 데이터추출부 120 : 제2 광전변환부
121 : 제2 데이터추출부 130 : 신호 감시부
131 : 데이터 감시부 132 : 감시결과 출력결정부
133 : 버퍼 134 : 엘이디표시부
140 : 전원부 200 : 다중화기
210(210-1~210-4) : 채널포트 220 : 광도파로격자
230 : 필터 240 : 선로감시제어부
251 : 인터페이스장치 연결부 252 : 망관리시스템 연결부
260 : 동작상태 표시부 300 : 광선로 절감장치
310 : 케이스 320 : 변조신호 연결선
400 : 애드/드롭 다중화기 420 :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
431 : 상향필터 432 : 하향필터
440 : 애드/드롭 선로감시제어부 460 : 애드/드롭 동작상태표시부
500 :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
본 발명은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단국과 단국을 연결하는 광선로 또는 단국과 교환국을 연결하는 광선로의 양단에 중계 접속되어 다수의 광 채널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가입자망은 기간망에 접속된 교환국과 각 가입자 장치 사이에 점대점(Point-to-Point)으로 연결된 광선로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의 광선로는 모든 가입자 장치에 개별로 시설될 수도 있지만, 각 가입자 장치가 위치하는 단국간을 연결하는 기간 선로망을 구성하여 기간 선로망에서 코어를 취하여 가입자 장치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환국에 근접한 가입자 장치 지점에는 다수의 광코어로 이루어지는 광선로가 지나가게 되며, 최근에는 각 가입자 장치에도 다양한 통신서비스의 증가로 다수 채널을 공급하기 위한 광선로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른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단국 사이에 이루어지는 4채널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국(10-1)과 제2 단국(10-2) 사이에 전송되는 광신호는, 동일 파장 1310nm으로 이루어지며,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광선로(20)의 서로 다른 광코어를 통해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채널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8가닥의 광코어가 소요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광가입자망은, 상향 및 하향 광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두가닥의 광코어로 이루어지는 개별 채널로서, 각 가입자 장치까지 점대점(Point-to-Point)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시설해야 하는 광코어가 너무 많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 실정으로 인하여, 다양한 광대역 통신 서비스의 증가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광선로를 교환국으로부터 수용되는 가입자 장치까지 새로 시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각 채널의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기술이 있다. 하지만, 현 광가입자망에 있어 교환국 및 단국 간에 이루어지는 광신호의 파장은 대부분 1310nm을 사용하며, 일부에서는 850nm 파장 또는 상향 및 하향 광신호를 구분하여 1310nm와 1550nm의 파장을 사용하므로, 상기의 기술을 현 광가입자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채널별 상이한 파장을 사용하도록 교환국 및 단국의 전송 장비를 교체해야하는 비용 부담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상기 WDM기술을 광가입자망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교환국 또는 단국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광선로를 절감할 수 있는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광가입자망에 사용되는 광모듈 장치 또는 그와 호환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광선로를 이용하더라도 광통신 채널의 증설이 용이한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단국(10-1)과 제2 단국(10-2)을 연결하는 광선로(20) 또는 교환국과 제2 단국(10-2)을 연결하는 광선로(20)의 양단에 중계 접속되어 제1 단국(10-1), 제2 단국(10-2) 또는 교환국의 다수 광 채널을 광선로(20)를 통해 전송하는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있어서,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의 순방향 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각각 변조하고, 제2 단국(10-2)의 역방향 신호를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에서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환하며,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다수개가 장착되며 각각 변조되는 파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파장변환기(1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광선로(20)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파장으로 변조된 순방향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선로(20)로 전송하고, 상기 광선로(20)로부터 전송된 순방향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대응하는 상기 파장변환기(100)에 전달하며,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다중화기(2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상기 다중화기(200) 사이를 연결하여 변조된 광신호를 전달하는 변조신호 연결선(3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장변환기(100)는,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의 순방향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역방향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광전변환부(110)와; 상기 제1 광전변환부(110)의 순방향 전기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추출하며, 역방향 신호 데이터에 따라 역방향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 광전변환부(110)에 전달하는 제1 데이터추출부(111)와; 상기 제1 데이터추출부(111)의 순방향 신호 데이터에 따라 순방향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역방향 전기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데이터추출부(111)에 전달하는 제2 데이터추출부(121)와; 상기 제2 데이터추출부(121)의 순방향 전기신호를 순방향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역방향 광신호를 변환하여 역방향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광전변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장변환기(100)는, 상기 제1 데이터추출부(111) 및 제2 데이터추출부(121)에서 획득된 클럭 또는 신호 데이이터에 따라 상기 선로 상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신호 감시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중화기(200)는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에서 감지된 동작상태의 이상 유무 신호를 망관리시스템(미도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화기(200)는,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와; 상기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에서 전달받은 서로 다른 파장의 순방향 광신호들을 다중화하고, 전달받은 서로 다른 파장이 다중화된 역방향 광신호들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에 전달하는 광도파로격자(220)와; 상기 광도파로격자(220)의 순방향 다중화 신호와 수신되는 역방향 다중화 신호를 하나의 광 코어(core)로 통하도록 하되, 순방향 및 역방향 다중화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230)와; 상기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인터페이스장치 연결부(25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태값을 전달하며, 망관리시스템 연결부(252)를 통해 광통신망의 망관리시스템에 연결되는 선로감시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는, 상기 파장변환기(100)들의 동작상태 정보를 별도 파장의 채널 광신호로 상기 광도파로격자(220)에 전달하고, 상기 광선로(20)에 연결된 타국의 동작상태 정보 광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광도파로격자(220)는,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에서 전달받은 상태 정보 광신호를 순방향 채널 광신호에 합파하여 다중화하며, 광선로(20)로부터 수신한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를 역다중화할 때에 타국 동작상태 정보 광신호도 분기하여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광선로(21)로 연결되고 또다른 제3 단국(10-3)과 광선로(20)로 연결되는 제2 단국(10-2)에서, 상기 제2 단국(10-2)이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광신호를 드롭(Drop)하고 제3 단국(10-3)과 통신하기 위한 새로운 채널 광신호를 애드(Add)하는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국(10-2)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의 통신 광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는 상향 파장변환기와; 제3 단국(10-3)과의 통신 광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는 하향 파장변환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500)에 다수개가 장착되어 각각 변조되는 파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파장변환기(1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채널포트(210)와;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광선로(21)로 접속되며, 상향 광신호는 상기 광선로(21)에 전송하되 하향 광신호는 분리하는 상향필터(431)와; 상기 제3 단국(10-3)과 광선로(20)로 접속되며, 하향 광신호는 상기 광선로(20)에 전송하되 상향 광신호는 분리하는 하향필터(432)와;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의 통신채널에 연결된 상향 파장변환기의 광신호와 상기 상향필터(431)에 의해 분리된 광신호를 다중화/역다중화하여 연결하고, 제3 단국과의 통신채널에 연결된 하향 파장변환기의 광신호와, 상기 하향필터(432)에 의해 분리된 광신호를 다중화/역다중화하여 연결하는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드/드롭 다중화기(4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00) 사이를 연결 하여 변조된 광신호를 전달하는 변조신호 연결선(3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00)는,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제3 단국(10-3)과 직접 통신하는 광신호를 상기 상향필터(431) 및 하향필터(432)에서 각각 받아 상향 및 하향 광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에서 상기 파장변환기(100)의 채널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역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00)는, 상향 또는 하향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별도 파장의 광신호로 하여 채널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하여 상기 제1 단국 또는 교환국과 상기 제3 단국에 전송하며, 상기 제1 단국 또는 교환국과 상기 제3 단국에 전송되는 동작상태 정보를 채널 광신호의 역다중화 과정에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또다른 제2 단국(10-2) 사이에 다수의 통신 채널 신호를 광선로(20)를 통해 전송하는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광선로를 절감하기 위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은,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의 각 채널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어 순방향 및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제1 광점퍼 연결부(301)와;
상기 각 제1 광점퍼 연결부(301)의 타단이 연결되며, 순방향 광신호들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상기 광선로(20) 중에 하나의 광코어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하나의 광코어를 통해 전송되는 역방향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채널별 파장 신호에 따라 분기하고 상기 제1 단국(10-1)의 입력단에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광점퍼 연결부(301)를 통해 상기 제1 단국(10-1)에 전송하는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와;
상기 광선로(20) 중 하나의 광 코어(Core)로서,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의 다중화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광코어와:
상기 광코어에 연결되며, 상기 광코어를 통해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다중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채널별 파장 신호에 따라 분기하고 상기 제2 단국(10-2)의 입력단에서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단국(10-2)에서 전달하는 채널별 역방향 광신호들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상기 광코어를 통해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로 전송하는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와;
상기 제2 단국(20)의 채널별 순방향 및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며, 상기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와 연결시키는 다수의 제2 광점퍼 연결부(302);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코어 양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2)에서 있어서, 변조되는 광신호의 파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 또는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는, 광신호의 파장 변환과정에서 데이터 및 클럭의 이상 유무 감시하며, 그 결과값을 상기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 또는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 각각 전달하되,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에 포함된 파장과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에 함께 다중화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300)의 외형 사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300)는, 4개의 파장변환기(100-1~100-4)와; 변조신호 연결선(320)에 의해 상기 4개의 파장 변환기(100-1~100-4)에 연결되는 1개의 다중화기(200)와; 상기 4개의 파장변환기(100-1~100-4) 및 1개의 다중화기(200)가 고정설치되는 케이스(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4개의 파장변환기(100-1~100-4)는, 단국 또는 교환국의 광통신 채널의 통로가 되는 제1 광전변환부(110-1~110-4)와, 변조된 파장 신호의 통로가 되는 제2 광전변환부(120-1~120-4)와, 신호의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엘이디표시부(134)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다중화기(200)는, 변조신호 연결선(320-1~320-4)을 통하여 상기 파장변환기(100-1~100-4)의 제2 광전변환부(120-1~120-4)에 연결되어 변조된 파장의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와, 다중화신호의 통로가 되며 광선로(20)에 연결되는 광다중화신호 포트(230)와, 광선로 절감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장치 연결부(251)와, 광선로 절감장치(300)의 선로 감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망관리시스템 연결부(252)와,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 표시부(260)를 구비한다.
도 3은 동일한 4개의 파장변환기(100-1~10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도 2의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있어서 각 파장변환기(1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 파장변환기(100)는, 제1 광전변환부(110), 제1 데이터추출부(111), 제2 데이터추출부(121), 제2 광전변환부(120), 신호감시부(130) 및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파장변환기(100)를 설명하기 위해 단국(10) 또는 교환국(미도시)에서 광선로(20)로 전송되는 순방향 신호와 상기 광선로(20)에서 상기 단국(10) 또는 교환국(미도시)로 전송되는 역방향 신호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국(10) 또는 교환국(미도시)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광신호는 제1 광전변환부(110)에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제1 데이터추출부(111)에서 클럭 및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및 데이터는 제2 데이터추출부(121)를 거쳐 제2 광전변환부(120)로 전달된다. 상기 제2 광전변환부(120)는 신호 데이터를 클럭 신호에 따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상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신호 연결선(320)을 통해 다중화기(200)의 채널포트(210) 중 연결된 하나의 채널포트로 전달된다.
상기 변조신호 연결선(320)을 통해 상기 다중화기(200)의 채널포트(210)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광신호는, 제2 광전변환부(120)에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제2 데이터추출부(121)에서 클럭 및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럭 및 데이터는 제1 데이터추출부(111)를 거쳐 제1 광전변환부(110)로 전달된다. 상기 제1 광전변환부(120)는 신호 데이터를 클럭 신호에 따라 단국(10) 또는 교환국(미도시)에서 요구되는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 추출부(111, 121)에서 추출된 클럭 및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감시부(131)에도 전달되어, 클럭 신호가 추출되는지, 신호 데이터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감시신호의 손실이 있는지 또는 입력 광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며, 감시결과 출력결정부(132)는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신호를 버퍼(133)을 통해 다중화기(200)의 선로감시제어부(240)에 전달하고, 판단된 결과가 정상인지 또는 신호 손실이 있는지를 엘이디표시부(134)에 출력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 또는 제2 광전변환부(110, 120)는 광커넥터가 접속되는 광어뎁터를 구비하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모듈화된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와 같은 광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광전변환부(120)에서 변환되는 광신호의 파장은, 하나의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포함된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파장값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서는 지정된 광 파장 신호를 출력하는 SFP를 선택하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추출부(111, 121)는 변환된 전기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생성하는 CDR(clock and data recover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기(140)에는 내부 구성에 필요한 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40)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있어서,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광선로(20) 사이에 연결되어 광신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다중화기(200)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다중화기(200)는, 다수의 채널포트(210-1~210-4), 광도파로격자(220), 필터(230) 및 선로감시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4의 다중화기(2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도 3의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의 흐름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파장변환기(100-1~100-4)로부터 전달되는 채널별 서로 다른 파장(λ1, λ2, λ3, λ4)의 순방향 광신호는, 채널포트(210-1~210-4)를 통해 입력받아 광도파로격자(220)의 제1 내지 제4 포트에 전달되며, 다중화되어 제 5포트를 통해 필터(230)로 전달되어 광선로(20)로 전송된다.
상기 광선로(20)로부터 전송되는 서로 다른 파장(λ5, λ6, λ7, λ8)의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는, 상기 필터(220)로 수신되어 광도파로격자(220)의 제5' 포트로 전달되고, 각 채널별로 역다중화되어 분기되며, 제1' 내지 제8' 포트를 통해 상기 채널포트(210-1~210-4)를 전달되어 대응하는 파장변환기(100-1~100-4)로 전송된다.
상기 필터(220)는, 순방향 및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상기 광선로(20)에서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만을 상기 제5' 포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5 포트를 통해 전달되는 다중화된 순방향 광신호를 상기 광선로(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는 각 파장변환기(100-1~100-4)의 동작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별도의 채널 파장(λ0)의 광신호로 상기 광도파로격자(220)의 제7 포트 에 전달하며, 상기 동작상태 정보 광신호는 채널 신호와 함께 다중화되어 광선로(2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광선로(20)에 연결된 타 단국에서의 파장변환기 동작상태 정보 광신호(λ0')를 수신하여, 상기 광도파로격자(220)에서 제7' 포트로 전달되고 역다중화 및 분기되며, 분기된 광신호(λ0')는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에 전달받는다.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는, 상기 파장변환기(100-1~100-4)의 동작상태 정보 및 수신된 타 단국의 동작상태 정보를 동작상태표시부(260)로 출력함은 물론, 망관리시스템 연결부(252)를 통해 망관리시스템(미도시)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는, 인터페이스장치 연결부(251)를 통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장치(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각 구성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선로 절감장치(300)를 이용한 단국 사이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은, 동기식 계위 장비로써 STM-1급, STM-4급 및 STM-16급의 광신호를 1310nm의 파장으로 제1 단국(10-1) 및 제2 단국2(10-2) 사이에 전송하고, 100M 내지 1G 대역의 인터넷 광신호를 상기 제1 단국(10-1) 및 제2 단국(10-2) 사이에 전송하기 위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국1(10-1)과 광선로(20) 사이와 광선로(20)과 제2 단국(10-2) 사이에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2)를 각각 삽입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순방향 광신호의 전송에 대해 설명하면, 제1 단국(10-1)의 출력신호인 1310nm 파장 또는 100/1000M 대역의 순방향 광신호가 광선로 절감장치(300-1)의 파장변환기(100-1~100-4)에 의해 (λ1, λ2, λ3, λ4)파장의 광신호로 각각 변환되고, 광선로 절감장치(300-1)의 동작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λ0)파장의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기(200)에 의해 다중화되어 광선로(20) 중 하나의 광 코어(core)에 실리어 제2 단국(10-2)에 설치된 광선로 절감장치(300-2)에 전송된다. 전송된 다중화 순방향 광신호는,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2)에 포함된 다중화기(200)에 의해 역다중화되어 (λ1, λ2, λ3, λ4, λ0)파장의 광신호로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광신호 중 (λ1, λ2, λ3, λ4)파장의 광신호들은 각각 파장변환기(100-1~100-4)에 의해 1310nm 파장 또는 100/1000M 대역의 광신호로 변환되어 제2 단국(10-2)의 각 모듈(10-2-1~10-2-4)에 입력되고, (λ0)파장의 광신호는 제2 단국(10-2)의 선로감시제어부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제2 단국(10-2)에서 제1 단국(10-1)으로 전송되는 역방향 광신호의 전송에 대해 설명하면, 제2 단국(10-2)의 출력신호인 1310nm 파장 또는 100/1000M 대역의 역방향 광신호가 광선로 절감장치(300-2)의 파장변환기(100- 1~100-4)에 의해 (λ5, λ6, λ7, λ8)파장의 광신호로 각각 변환되고, 광선로 절감장치(300-2)의 동작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λ0')파장의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기(200)에 의해 다중화되어 광선로(20) 중 상기의 광 코어(core)에 실리어 제1 단국(10-1)에 설치된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 전송된다. 전송된 다중화 역방향 광신호는,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 포함된 다중화기(200)에 의해 역다중화되어 (λ5, λ6, λ7, λ8, λ0')파장의 광신호로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광신호 중 (λ5, λ6, λ7, λ8)파장의 광신호들은 각각 파장변환기(100-1~100-4)에 의해 1310nm 파장 또는 100/1000M 대역의 광신호로 변환되어 제1 단국(10-1)의 각 모듈(10-2-1~10-2-4)에 입력되고, (λ0')파장의 광신호는 제1 단국(10-1)의 선로감시제어부에 전달된다.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2)에 있어서, 변조되는 광신호의 파장(λ1, λ2, λ3, λ4, λ5, λ6, λ7, λ8, λ0, λ0')은 서로 다른 파장값을 갖게 되어, (λ1, λ2, λ3, λ4)파장의 순방향 광신호와 (λ5, λ6, λ7, λ8)파장의 역방향 광신호가 상기 광선로(20) 중 하나의 광 코어(core)에 실리어도 간섭등으로 인한 신호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λ1, λ2, λ3, λ4, λ5, λ6, λ7 및 λ8는 1470nm, 1490nm, 1510nm, 1530nm, 1550nm, 1570nm, 1590nm 및 1610nm의 파장값으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λ0 또는 λ0'는 1310nm의 파장값으로 설정되어도 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도 5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은, 기존 방법에 의한 도 1의 전송시스템과 비교하면, 8가닥의 광 코어(core) 중에 1가닥의 광 코어(core)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7가닥의 광 코어(core)를 차후에 증설되는 광통신 선로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다수의 광 단국(10)간에 우회 경로로서 예비 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에 있어서, 애드/드롭 다중화기(4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를 이용한 단국 사이의 광통신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송망이다.
상기 도 6과 도 7에 따른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다수의 파장변환기(100-1~100-4), 애드/드롭 다중화기(400) 및 변조신호 연결선(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 6에서는, 변조신호 연결선(32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파장변환기들은 상기 도 2 및 도 3의 파장변환기(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의 애드/드롭 다중화기(400)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를 설명하기 위해, 제1 단국(10-1)에서 제2 단국(10-2) 또는 제3 단국(10-3)으로 전송되거나 제2 단국(10-2)에서 제3 단국(10-3)으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하향 광신호로 하고, 제2 단국(10-2)에서 제1 단국(10-1)로 전송되거나 제3 단국(10-3)에서 제1 단국(10-1) 또는 제2 단국(10-2)로 전송되는 광신호를 상향 광신호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하향 광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도 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광선로 절감장치(300-1)는, 제1 단국(10-1)에서 전송되는 STM-1, STM-4, STM-16 및 인터넷의 광신호를 1310nm의 파장으로 전달받아 각각 λ1, λ2, λ3, λ4 파장으로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광선로(21)을 통해 제2 단국(10-2)에 설치된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에 전송한다.
상기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수신된 하향 광신호를 애드/드롭 다중화기(400)의 상향필터(431)로 통과시켜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의 제6' 포트로 입력받아 역다중화하고, 제2 단국(10-2)과 제1 단국(10-1) 간에만 이루어지는 STM-1의 λ1 및 STM-4의 λ2 파장의 채널 신호만을 파장변환기(100-2-3, 100-2-4)로써 1310nm 파장 신호로 변환하여 제2 단국(10-2)의 드롭(Drop) 채널 STM-1(10-2-3) 및 STM-4(10-2-4)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제2 단국(10-2)의 애드(Add) 채널 STM-1'(10-2-1) 및 STM-4'(10-2-2)에서 전달되는 1310nm 파장의 하향 광신호를 파장변환기(100-1, 100-2)로써 λ1 및 λ2 파장 광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제1 단국(10-1) 측의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서 전송받은 λ3 및 λ4 파장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광신호는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의 제5 포트와 하향필터(432)를 거쳐 광선로(20)을 통해 제3 단국(10-3)으로 전송된다. 제3 단국에서의 하향 광신호 처리는 도 5의 제2 단국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3 단국(10-3)으로 전송되는 하향 광신호는 제1 단국(10-1)에서 전송되는 STM-16(10-1-3) 및 인터넷(10-1-4) 채널신호와, 제2 단국(10-2)에 서 전송되는 STM-1'(10-2-1) 및 STM-4'(10-2-2) 채널신호이다.
먼저, 상향 광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도 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광선로 절감장치(300-3)는, 제3 단국(10-1)에서 전송되는 STM-1', STM-4', STM-16 및 인터넷의 광신호를 1310nm의 파장으로 전달받아 각각 λ5, λ6, λ7, λ8 파장으로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광선로(20)을 통해 제2 단국(10-2)에 설치된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에 전송한다.
상기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수신된 상향 광신호를 애드/드롭 다중화기(400)의 하향필터(431)로 통과시켜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의 제5' 포트로 입력받아 역다중화하고, 제2 단국(10-2)과 제3 단국(10-3) 간에만 이루어지는 STM-1'D의 λ5파장 및 STM-4'의 λ6 파장의 채널 신호만을 파장변환기(100-2-1, 100-2-2)로써 1310nm 파장 신호로 변환하여 제2 단국(10-2)의 애드(Add) 채널 STM-1'(10-2-1) 및 STM-4'(10-2-2)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제2 단국(10-2)의 드롭(Drop) 채널 STM-1(10-2-3) 및 STM-4(10-2-4)에서 전달되는 1310nm 파장의 상향 광신호를 파장변환기(100-3, 100-4)로써 λ5 및 λ6 파장 광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상기 제3 단국(10-3) 측의 광선로 절감장치(300-3)에서 전송받은 λ7 및 λ8 파장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광신호는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의 제6 포트와 상향필터(431)를 거쳐 광선로(21)을 통해 제1 단국(10-1)으로 전송된다.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국(10-1)과 제2 단국(10-2) 사이에는 STM-1 및 STM-4 채널이, 제2 단국(10-2)과 제3 단국(10-3) 사이에는 STM-1' 및 STM-4' 채널이, 제1 단국(10-1)과 제3 단국(10-3) 사이에는 STM-16 및 인터넷 채널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서도, 상기 단국(10-1, 10-2, 10-3) 사이의 광선로(20, 21)는 하나의 광 코어(Core)만을 사용한다.
상기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의 애드/드롭 다중화기(400)는, λ0 파장의 광신호를 하향 광신호 또는 상향 광신호와 함께 각각 다중화하여 동작상태 정보를 제1 또는 제3 단국(10-3)측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3)에 전달하며, 제1 또는 제3 단국(10-3)측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3)에서 전송되는 λ0' 파장의 광신호를 채널 신호와 함께 역다중화하여,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3)의 동작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으로 구축된 기존 광가입자망에 있어서, 새로운 장치로 교체할 필요없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기술로서 광선로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통신 채널의 증설이 요구되더라도 기존 광가입자망에 사용되는 광모듈 장치 또는 그와 호환되는 장치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광선로에 여분의 회선을 확보하므로써 예비 회선 또는 우회 회선을 제공하여 광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제1 단국(10-1)과 제2 단국(10-2)을 연결하는 광선로(20) 또는 교환국과 제2 단국(10-2)을 연결하는 광선로(20)의 양단에 중계 접속되어 제1 단국(10-1), 제2 단국(10-2) 또는 교환국의 다수 광 채널을 광선로(20)를 통해 전송하는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있어서,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의 순방향 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각각 변조하고, 제2 단국(10-2)의 역방향 신호를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에서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환하며,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300)에 다수개가 장착되며 각각 변조되는 파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파장변환기(1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광선로(20)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파장으로 변조된 순방향 신호를 다중화하여 상기 광선로(20)로 전송하고, 상기 광선로(20)로부터 전송된 역방향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대응하는 상기 파장변환기(100)에 전달하며,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다중화기(2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상기 다중화기(200) 사이에 연결되어 변조된 광신호를 전달하는 변조신호 연결선(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장변환기(100)는,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의 순방향 광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역방향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광전변환부(110)와;
    상기 제1 광전변환부(110)의 순방향 전기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추출하며, 역방향 신호 데이터에 따라 역방향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 광전변환부(110)에 전달하는 제1 데이터추출부(111)와;
    상기 제1 데이터추출부(111)의 순방향 신호 데이터에 따라 순방향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역방향 전기신호로부터 클럭 및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데이터추출부(111)에 전달하는 제2 데이터추출부(121)와;
    상기 제2 데이터추출부(121)의 순방향 전기신호를 순방향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역방향 광신호를 변환하여 역방향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광전변환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기(200)는,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와;
    상기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에서 전달받은 서로 다른 파장의 순방향 광신호들을 다중화하고, 서로 다른 파장이 다중화된 역방향 광신호들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채널포트(210-1, 210-2, 210-3, 210-4)에 전달하는 광도파로격자(220)와;
    상기 광도파로격자(220)의 순방향 다중화 신호와 수신되는 역방향 다중화 신호를 하나의 광 코어(core)로 통하도록 하되, 순방향 및 역방향 다중화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230)와;
    상기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인터페이스장치 연결부(251)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태값을 전달하며, 망관리시스템 연결부(252)를 통해 광통신망의 망관리시스템에 연결되는 선로감시제어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기(100)는,
    상기 제1 데이터추출부(111) 및 제2 데이터추출부(121)에서 획득된 클럭 또는 신호 데이이터에 따라 클럭 신호가 추출되는지, 데이터 손실이 있는지 또는 입력 광신호가 있는지 등의 신호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신호 감시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는, 변조된 채널 파장과 다른 별도 파장의 채널 광신호로 상기 파장변환기(100)들의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광도파로격자(220)에 전달하고, 상기 광선로(20)에 연결된 타국의 동작상태 정보 광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광도파로격자(220)는,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에서 전달받은 상태 정보 광신호를 순방향 채널 광신호에 합파하여 다중화하며, 광선로(20)로부터 수신한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를 역다중화할 때에 타국 동작상태 정보 광신호도 분기하여 상기 선로감시제어부(240)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6.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광선로(21)로 연결되고 또다른 제3 단국(10-3)과 광선로(20)로 연결되는 제2 단국(10-2)에서, 상기 제2 단국(10-2)이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광신호를 드롭(Drop)하고 제3 단국(10-3)과 통신하기 위한 새로운 채널 광신호를 애드(Add)하는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국(10-2)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애드/드롭 광선로 절감장치(500)는,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의 통신 광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는 상향 파장변환기와; 제3 단국(10-3)과의 통신 광신호를 지정된 파장의 광신 호로 변조하는 하향 파장변환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선로 절감장치(500)에 다수개가 장착되어 각각 변조되는 파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파장변환기(1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채널포트(210)와;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광선로(21)로 접속되며, 상향 광신호는 상기 광선로(21)에 전송하되 하향 광신호는 분리하는 상향필터(431)와; 상기 제3 단국(10-3)과 광선로(20)로 접속되며, 하향 광신호는 상기 광선로(20)에 전송하되 상향 광신호는 분리하는 하향필터(432)와;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의 통신채널에 연결된 상향 파장변환기의 광신호와 상기 상향필터(431)에 의해 분리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다중화/역다중화하고, 제3 단국과의 통신채널에 연결된 하향 파장변환기의 광신호와 상기 하향필터(432)에 의해 분리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다중화/역다중화하여 연결하는 애드/드롭 광도파로격자(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드/드롭 다중화기(400);
    상기 다수의 파장변환기(100)와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00) 사이를 연결하여 변조된 광신호를 전달하는 변조신호 연결선(32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00)는, 변조되는 채널 파장과는 다른 별도 파장의 광신호로하여 상향 또는 하향 파장변환기(100)의 동작상태 정보를 채널 광신호와 함께 다중화하여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상기 제3 단국(10-3)에 전송 하며,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상기 제3 단국(10-3)에서 전송되는 동작상태 정보를 채널 광신호의 역다중화 과정에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
  8.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과 또다른 제2 단국(10-2) 사이에 다수의 통신 채널 신호를 광선로(20)를 통해 전송하는 광통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광선로를 절감하기 위한 광통신 전송시스템은,
    상기 제1 단국(10-1) 또는 교환국의 각 채널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어 순방향 및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제1 광점퍼 연결부(301)와;
    상기 각 제1 광점퍼 연결부(301)의 타단이 연결되며, 순방향 광신호들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상기 광선로(20) 중에 하나의 광코어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하나의 광코어를 통해 전송되는 역방향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채널별 파장 신호에 따라 분기하고 상기 제1 단국(10-1)의 입력단에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광점퍼 연결부(301)를 통해 상기 제1 단국(10-1)에 전송하는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와;
    상기 광선로(20) 중 하나의 광 코어(Core)로서,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의 다중화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광코어와:
    상기 광코어에 연결되며, 상기 광코어를 통해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다중화 광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채널별 파장 신호에 따라 분기하고 상기 제2 단국(10-2)의 입력단에서 요구되는 파장으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단국(10-2)에서 전달하는 채널별 역방향 광신호들을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조하고 다중화하여 상기 광코어를 통해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로 전송하는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와;
    상기 제2 단국(20)의 채널별 순방향 및 역방향 광신호의 통로가 되며, 상기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와 연결시키는 다수의 제2 광점퍼 연결부(302);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코어 양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1, 300-2)에서 있어서, 변조되는 광신호의 파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 또는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는,
    광신호의 파장 변환과정에서 데이터 및 클럭의 이상 유무 감시하며, 그 결과값을 상기 제2 광선로 절감장치(300-2) 또는 제1 광선로 절감장치(300-1)에 각각 전달하되,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에 포함된 파장과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다중화 광신호에 함께 다중화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절감장치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KR1020070050850A 2007-05-25 2007-05-25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KR10078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850A KR100780313B1 (ko) 2007-05-25 2007-05-25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850A KR100780313B1 (ko) 2007-05-25 2007-05-25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313B1 true KR100780313B1 (ko) 2007-11-28

Family

ID=3908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850A KR100780313B1 (ko) 2007-05-25 2007-05-25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21B1 (ko) * 2007-12-28 2010-08-16 주식회사 케이티 파장분할 다중화/시분할 다중화 복합 광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장치
KR102141544B1 (ko) * 2019-04-17 2020-08-06 (주) 코아네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보호 연산기 계통, 발전소 자료수집 계통, 발전소 컴퓨터 계통 및 공학적 안전설비작동 계통에 구비된 광 모뎀 간의 통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983A (en) * 1989-01-19 1993-06-2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Passive photonic loop architecture employing wavelength multiplexing
JP2001127706A (ja) * 1999-10-29 2001-05-11 Ddi Corp Wdm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送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983A (en) * 1989-01-19 1993-06-2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Passive photonic loop architecture employing wavelength multiplexing
JP2001127706A (ja) * 1999-10-29 2001-05-11 Ddi Corp Wdm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送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21B1 (ko) * 2007-12-28 2010-08-16 주식회사 케이티 파장분할 다중화/시분할 다중화 복합 광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장치
KR102141544B1 (ko) * 2019-04-17 2020-08-06 (주) 코아네트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보호 연산기 계통, 발전소 자료수집 계통, 발전소 컴퓨터 계통 및 공학적 안전설비작동 계통에 구비된 광 모뎀 간의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8228C (en) Wdm systems and methods
JP4786720B2 (ja) Ponシステムおよびpon接続方法
US8275268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KR100734873B1 (ko) 파장 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망에서의 파장 추적장치 및 방법
CA2612169C (en) Modular adaptation and configuration of a network node architecture
EP0721275A2 (en) OAM controll system in an optical network
US20150326955A1 (en) Optical signal routing
WO2014137183A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양방향 cwdm 환형 네트워크 시스템
JP2010041444A (ja) 光波長多重分割システムの自動波長チューニング制御方式
JP3798642B2 (ja) Wdmネットワークの管理装置
KR100780313B1 (ko) 광선로 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전송시스템
JP2004140834A (ja) 2−光ファイバ環状光ネットワーク
EP2096780A2 (en) Multidrop communications system using wave division multiplexing
EP0936759A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end terminal and optical receiver
JP2003298514A (ja) 光受信装置、光送信装置、光送受信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2007295507A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中継装置
JP2007514380A (ja) 光トラフィックを通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8026749A (ja) 光伝送システム、光ノード装置及び光伝送方法
KR20090063834A (ko) 광대역 무선 서비스를 위한 광 네트워크 시스템
US10070209B2 (en) Cascade-for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oelectronic transceiver device, system and method
US112335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migrating data traffic from an existing optical WDM transmission system to a new optical WDM transmission system
US7228075B2 (en) Wavelength multiplexing apparatus and signal conversion apparatus
KR100509819B1 (ko) 링형 wdm pon 시스템
US20040223760A1 (en) Optical communications access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KR100608902B1 (ko)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광전송 시스템을 위한 외장형 다중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