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808B1 -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 Google Patents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808B1
KR100778808B1 KR1020070089808A KR20070089808A KR100778808B1 KR 100778808 B1 KR100778808 B1 KR 100778808B1 KR 1020070089808 A KR1020070089808 A KR 1020070089808A KR 20070089808 A KR20070089808 A KR 20070089808A KR 100778808 B1 KR100778808 B1 KR 10077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lope
drain pipe
fil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7008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성토 비탈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원통형상의 관체로 양단면 상측에는 내측으로 호형상의 체결이동홈이 각각 요부형성되고, 중심측 저면에는 하부로 수직연결되는 판체로 다수개의 마찰통공을 갖고 하단은 쇄기형상인 지반보강받침대가 형성되는 배수관체와; 상기 배수관체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관체인 몸체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양단에는 상기 배수관체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동일평면을 이루는 삽입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체의 체결이동홈과 대응되는 몸체부 선단면에는 내측으로 작동요부가 각각 형성되되 작동요부 선단면에는 상기 체결이동홈과 대응되게 체결장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구와; T형상으로 수평방향의 걸림이동바가 형성되고, 걸림이동바 중심측에서 하부로 나사산을 갖는 체결바가 형성되어 걸림이동바의 일단은 상기 배수관체의 체결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부의 체결장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T형체결볼트와; 반원형상의 판체로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수장공이 형성되고, 상하단부는 상기 배수관체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는 호형상의 밀착요부가 각각 형성되며, 밀착요부 중심측에는 상기 T형체결볼트의 체결바가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힌 쌍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토사가 충전되어 조경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체결식재판틀을 구비하는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수공을 갖고 측면이 반원형상인 식재지지판체를 토공 과 정에서 도로 주변에 형성되게 되는 최초 성토 비탈면이나 표면부에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성토 비탈면의 구조적인 안정과 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동시에 비탈면을 보호하고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조경식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식물의 성장과 토질에 아무런 장애와 악영향을 제공하지 않고 조경식물의 성토 비탈면에서의 식재를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배수관체, 연결구, T형체결볼트, 체결식재판틀

Description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PROTECTIVE MEMBER OF SOIL REINFORCEMENT SLOPE FOR ROAD IN PRO-ENVIRONMENT}
본 발명은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공을 갖고 측면이 반원형상인 식재지지판체를 토공 과정에서 도로 주변에 형성되게 되는 최초 성토 비탈면이나 표면부에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성토 비탈면의 구조적인 안정과 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동시에 비탈면을 보호하고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조경식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식물의 성장과 토질에 아무런 장애와 악영향을 제공하지 않고 조경식물의 성토 비탈면에서의 식재를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는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자연토층을 절토하거나 기초지반 위에 성토를 취하는 공사를 도로 토공(road earthwork)이라 한다.
여기서, 노상면을 정형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자연토층을 절토한 이후에는 이 절토된 부위에 비탈지게 성토를 다짐하게 된다.
이는, 이 절토된 부위가 외부적인 기후 요인에 의해 도로상으로 붕괴되어 교통에 장애를 일으킬 문제의 요인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성토를 취하는데 있어서 성토 높이를 불가피하게 높게 형성할 경우, 성토재료가 고함수비의 점성토 등 전단강도가 낮은 경우, 산사태나 산붕괴 등을 일으킬 염려가 있는 불안정한 지반 및 급한 사면에 성토할 경우에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성토 비탈면 경사는 성토 안정에 충분하도록 안정계산으로 정해야하지만, 보통은 아래에 표시한 표 1-1과 같이 성토 재료의 종류, 성토 높이에 따라서 시험적인 표준치가 주어져 있으므로 안정계산을 할 필요 없이 표를 참조하여 현장의 지형, 토질, 기상조건, 인접하는 물건, 비탈면 보호공의 종류, 시공법 등을 고려하여 정하면 된다.
표 1-1 성토비탈면의 경사
[표 1]
성토재료 성 토 높 이(m) 비 탈 면 경 사(할)
입도분포가 좋은모래입도분포가 좋은 자갈질토 0 ~ 5 5 ~ 15 1.5 ~ 1.8 1.8 ~ 2.0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0 ~ 10 1.8 ~ 2.0
암괴, 조약돌 0 ~ 10 10 ~ 20 1.5 ~ 1.8 1.8 ~ 2.0
사질토단단한 점질토,단단한 점토 0 ~ 5 5 ~ 10 1.5 ~ 1.8 1.8 ~ 2.0
연약한 점질토,연약한 점토 0 ~ 5 1.8 ~ 2.0
여기서, 비탈면 보호공은 성토만을 취할 경우에는 외부적인 기후적 요인에 의해 비탈면과 이에 연속된 사면의 안전을 꾀할 수 없으므로 비탈면의 표면 지질과 토질에 적합한 방법으로 보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탈면 보호는 식물 또는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이 취해진다.
보통 공비, 경관 등으로 보아 식물에 의한 보호가 바람직하나 시공의 시기 및 지질, 토질, 경사, 용수의 상황 등으로 식물에 의한 보호가 곤란할 경우에는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이 쓰인다.
이와 같이 성토 비탈면은 시공 전에 상당한 주위와 검토가 선행된 후 시공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위와 검토를 취한 후 시공되는 성토 비탈면이라 할지라도 시공과정 및 시공후 실사용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속된 성토 비탈면의 사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비탈면 보호공을 시공해 주지만 외부적인 기후 요인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강우를 동반하는 우기에는 보호공을 동반한 산사태와 붕락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를 항시 내재하고 있어 항상 주위 관리를 소홀히 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 있었다.
둘째, 시공 시기 및 지질, 토질, 경사, 용수의 상황 등에 의해 식물에 의한 비탈면 보호만으로는 비탈면의 안정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붙이기공, 돌쌓기공, 돌붙이기공 및 불록붙이기공, 뿜어붙이기공 편책공 등과 같이 고시공비가 소요됨은 물론이고, 생태계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구조물에 의한 보호공을 불가피하게 시공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술한 구조물 보호공 중 편책공은 식생으로 비탈면을 안정시키려 할때 식생이 완전히 발육할 동안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탈면에 나무말뚝을 박 고 여기에 섶가지나 대나무 등을 엮어서 흙막이를 만들어 식물을 키우고 강우로 인한 비탈면 토사의 유출을 막고 흙막이로 낙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것은 견고한 성토의 다짐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대형 붕락사고의 원인을 가중시키는 문제는 물론이고, 외부 경관 등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성토층이 투수가 용이하게 취해지지 않는 보통의 토사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강우시 또는 융설기 등에 그 내부에 침투한 물에 의해 안정을 잃고 붕괴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는 사면에 발생되는 지표수가 성토층으로 침투할 경우 이를 구조물 뒤채움의 배수시설로 신속히 배수처리 할 수 없는 성토층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완책으로 제시된 구조물에 의한 여러 보호공 역시 성토 비탈면의 견고함이 우선적으로 취해지지 않고는 오랜 세월 동안에 강우로 인한 침식과 풍우설상 등의 풍화작용의 영향을 받는 성토 비탈면의 안전을 꾀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공을 갖고 측면이 반원형상인 식재지지판체를 토공 과정에서 도로 주변에 형성되게 되는 최초 성토 비탈면이나 표면부에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성토 비탈면의 구조적인 안정과 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동시에 비탈면을 보호하고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조경식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식물의 성장과 토질에 아무런 장애와 악영향을 제공하지 않고 조경식물의 성토 비탈면에서의 식재를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는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성토 비탈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원통형상의 관체로 양단면 상측에는 내측으로 호형상의 체결이동홈이 각각 요부형성되고, 중심측 저면에는 하부로 수직연결되는 판체로 다수개의 마찰통공을 갖고 하단은 쇄기형상인 지반보강받침대가 형성되는 배수관체와;
상기 배수관체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관체인 몸체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양단에는 상기 배수관체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동일평면을 이루는 삽입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체의 체결이동홈과 대응되는 몸체부 선단면에는 내측으로 작동요부가 각각 형성되되 작동요부 선단면에는 상기 체결이동홈과 대응되게 체결장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구와;
T형상으로 수평방향의 걸림이동바가 형성되고, 걸림이동바 중심측에서 하부로 나사산을 갖는 체결바가 형성되어 걸림이동바의 일단은 상기 배수관체의 체결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부의 체결장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T형체결볼트와;
반원형상의 판체로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수장공이 형성되고, 상하단부는 상기 배수관체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는 호형상의 밀착요부가 각각 형성되며, 밀착요부 중심측에는 상기 T형체결볼트의 체결바가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힌 쌍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토사가 충전되어 조경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체결식재판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공을 갖고 측면이 반원형상인 식재지지판체를 토공 과정에서 도로 주변에 형성되게 되는 최초 성토 비탈면이나 표면부에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성토 비탈면의 구조적인 안정과 보호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동시에 비탈면을 보호하고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조경식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식물의 성장과 토질에 아무런 장애와 악영향을 제공하지 않고 조경식물의 성토 비탈면에서의 식재를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는, 성토 비탈면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관체(10)와, 배수관체(10)를 연결하는 연결구(20)와, 배수관체(10)와 연결구(20)를 연결고정시킴과 동시에 체결식재판틀(40)을 배수관체(10)에 체결고정시키는 T형체결볼트(30)와, 조경식물(41)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체결식재판틀(40)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체(10)는 도로의 성토 비탈면(50)이나 성토 표면부(51)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관체로, 양단면 상측에는 내측으로 호형상의 체결이동홈(11)이 각각 요부형성되고, 중심측 저면에는 하부로 수직연결되는 판체로 다수개의 마찰통공(13)을 갖고 하단은 쇄기형상인 지반보강받침대(12)가 형성되어 성토 비탈면(50)이나 성토 표면부(51)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배수관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관체인 몸체부(21)가 형성되고, 몸체부(21) 양단에는 상기 배수관체(10)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내주연이 동일평면을 이루는 삽입관(2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체(10)의 체결이동홈(11)과 대응되는 몸체부(21) 선단면에는 내측으로 작동요부(22)가 외측으로 각각 형성되되 작동요부(22) 선단면에는 상기 체결이동홈(11)과 대응되게 체결장홈(23)이 내측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T형체결볼트(30)는 배수관체(10)와 연결구(20)를 연결고정시킴과 동시에 체결식재판틀(40)을 배수관체(10)에 체결고정시키는 T형상의 볼트로, 수평방향의 걸림이동바(31)가 형성되고, 걸림이동바(31) 중심측에서 하부로 나사산(33)을 갖는 체결바(32)가 형성되어 걸림이동바(31)의 일단은 상기 배수관체(10)의 체결이동홈(11)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구(20) 몸체부(21)의 체결장홈(23)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체결식재판틀(40)은 조경식물(41)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반원형상의 판체로,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수장공(43)이 형성되고, 상하단부는 상기 배수관체(10)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는 호형상의 밀착요부(44,44a)가 각각 형성되며, 밀착 요부(44,44a) 중심측에는 상기 T형체결볼트(30)의 체결바(32)가 삽입되어 너트(46)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한 쌍의 체결공(45,45a)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토사(42)가 충전되어 조경식물(41)의 식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관체(10)를 지반보강받침대(12)를 이용하여 도로의 성토 비탈면(50)이나 최초 성토 표면부(51)에 삽입고정시킨 후 연결구(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고정된 배수관체(10)의 상하측으로 체결식재판틀(40)의 체결공(45,45a)을 배수관체(10)의 체결이동홈(11)과 연결구(20)의 체결장홈(23)에 이동가능하게 걸림이동바(31)가 결합된 T형체결볼트(30)의 체결바(32)에 각각 삽입시킨 다음, 너트(46)로 체결고정시킴으로써 체결식재판틀(40)의 체결공(45,45a) 간격만큼 배수관채(10)의 상하부에 또 다른 배수관체(10)를 시공하면 된다.
이때, 배수관체(10)의 체결이동홈(11)과 연결구(20)의 체결장홈(23)에 이동가능하게 걸림이동바(31)가 결합된 T형체결볼트(30)는 이동이 가능하므로 성토 비탈면(50)인 경사면과 최초 성토 표면부(51)인 평면 사이의 꺽임각도도 무난하게 보상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급하지 않은 무난한 예각 내에서는 배수관체(10)와 체결식재판틀(40)의 체결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런 상태에서 성토 비탈면(50) 및 최초 성토 표면부(51)와 체결식재판틀(40) 사이의 틈새와 체결식재판틀(40) 상면에 토사(42)를 채운 다음 조경식물(41)의 식재를 이루어지면 된다.
이에 따라 체결식재판틀(40)의 반원형상에 의해서 조경식물(41)의 식재가 보 다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성토 비탈면(50)이 보다 견고하게 져뎌지고, 체결식재판틀(40)의 배수장공(43)에 의해서는 빗물의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발명 실시 예인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관체 11 : 체결이동홈
12 : 지반보강받침대 13 : 마찰통공
20 : 연결구 21 : 몸체부
22 : 작동요부 23 : 체결장홈
24 : 삽입관 30 : T형체결볼트
31 : 걸림이동바 32 : 체결바
33 : 나사산 40 : 체결식재판틀
41 : 조경식물 42 : 토사
43 : 배수장공 44,44a : 밀착요부
45,45a : 체결공 46 : 너트
50 : 성토 비탈면 51 : 성토 표면부

Claims (1)

  1. 도로의 성토 비탈면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원통형상의 관체로 양단면 상측에는 내측으로 호형상의 체결이동홈이 각각 요부형성되고, 중심측 저면에는 하부로 수직연결되는 판체로 다수개의 마찰통공을 갖고 하단은 쇄기형상인 지반보강받침대가 형성되는 배수관체와;
    상기 배수관체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관체인 몸체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양단에는 상기 배수관체의 내주연으로 삽입되어 동일평면을 이루는 삽입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체의 체결이동홈과 대응되는 몸체부 선단면에는 내측으로 작동요부가 각각 형성되되 작동요부 선단면에는 상기 체결이동홈과 대응되게 체결장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구와;
    T형상으로 수평방향의 걸림이동바가 형성되고, 걸림이동바 중심측에서 하부로 나사산을 갖는 체결바가 형성되어 걸림이동바의 일단은 상기 배수관체의 체결이동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구 몸체부의 체결장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T형체결볼트와;
    반원형상의 판체로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수장공이 형성되고, 상하단부는 상기 배수관체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는 호형상의 밀착요부가 각각 형성되며, 밀착요부 중심측에는 상기 T형체결볼트의 체결바가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힌 쌍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측에 토사가 충전되어 조경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체결식재판틀을 구비하는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KR1020070089808A 2007-09-05 2007-09-05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KR10077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08A KR100778808B1 (ko) 2007-09-05 2007-09-05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08A KR100778808B1 (ko) 2007-09-05 2007-09-05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808B1 true KR100778808B1 (ko) 2007-11-22

Family

ID=3908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808A KR100778808B1 (ko) 2007-09-05 2007-09-05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224A (zh) * 2016-01-28 2016-06-15 重庆亦凡矿产品有限公司 坡地立体农业生态系统构建方法
KR20200024584A (ko) * 2018-08-28 2020-03-09 국립생태원 생태적 복원용 화분 및 생태적 복원용 시공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852Y1 (ko) 2005-04-06 2005-06-23 (주)화신엔지니어링 환경 친화적인 연약지반 하수로용 암거구조
KR100592659B1 (ko) 2005-11-26 2006-06-26 (주)정도엔지니어링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 보호시설물
KR100697638B1 (ko) 2007-01-15 2007-03-20 김형준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852Y1 (ko) 2005-04-06 2005-06-23 (주)화신엔지니어링 환경 친화적인 연약지반 하수로용 암거구조
KR100592659B1 (ko) 2005-11-26 2006-06-26 (주)정도엔지니어링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 보호시설물
KR100697638B1 (ko) 2007-01-15 2007-03-20 김형준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0224A (zh) * 2016-01-28 2016-06-15 重庆亦凡矿产品有限公司 坡地立体农业生态系统构建方法
CN105660224B (zh) * 2016-01-28 2019-05-03 重庆亦凡矿产品有限公司 坡地立体农业生态系统构建方法
KR20200024584A (ko) * 2018-08-28 2020-03-09 국립생태원 생태적 복원용 화분 및 생태적 복원용 시공 구조체
KR102097475B1 (ko) * 2018-08-28 2020-04-06 국립생태원 생태적 복원용 화분 및 생태적 복원용 시공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CN105421470B (zh) 装配式锚杆拱形骨架复合式生态护坡施工方法
KR20070033301A (ko) 식생형 중공블록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130131833A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CN105239530A (zh) 一种外贴式景观防汛墙结构
KR100778808B1 (ko) 환경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KR100684542B1 (ko) 도로용 법면 보호블록 설치구조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200403507Y1 (ko) 식생형 중공블록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CN212026135U (zh) 一种滨水步道护坡结构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CN202954368U (zh) 一种边坡生态混凝土防护结构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9980065268A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CN110130369A (zh) 一种岩质边坡生态加固方法
JPH0978590A (ja) 枠材、枠材を利用した法面の保護工法、枠材を利用した法面の植生工法、及び枠材を利用した法面拡幅または垂直土留壁の施工法
KR100601894B1 (ko)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KR100481126B1 (ko) 옹벽을 구성하는 l형 조립식 강재틀 및 이를 이용한옹벽구조
KR200292728Y1 (ko) 환경 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40009810A (ko) 환경 친화형 도로의 성토비탈면 보호구
CN220058018U (zh) 一种风化软岩路堑边坡窗式护面墙防护结构
KR100641626B1 (ko) 공동주택용 친환경적인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