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586B1 -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586B1
KR100778586B1 KR1020060110734A KR20060110734A KR100778586B1 KR 100778586 B1 KR100778586 B1 KR 100778586B1 KR 1020060110734 A KR1020060110734 A KR 1020060110734A KR 20060110734 A KR20060110734 A KR 20060110734A KR 100778586 B1 KR100778586 B1 KR 10077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as
lpg
open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5Failure diagnosis or prevention; Safety measures;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51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02M21/0254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 or piezo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6Fail safe control for fuel injection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은 주입된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의 연소실 각각에 상기 연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인젝터들, 액화 석유 가스를 저장하는 다수의 연료탱크, 상기 가스 인젝터들에 일체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컷솔들; 상기 컷솔의 개폐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LPG 연료탱크들과 상기 가스 인젝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LPG 연료탱크에서 공급된 상기 연료 가스의 압력을 저압으로 낮추는 압력 레귤레이터, 상기 LPG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 상기 LPG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각 구성과 엔진 컨트롤 유닛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키 온 상태시,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의 전반적인 통신 시스템인 캔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캔 메시지를 수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압이 크랭킹 중 상기 컷솔들의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여부에 따라 크랭킹 시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크랭킹 여부에 따라, 상기 캔 시스템으로부터의 메시지 및 첫번째 투스(Tooth) 인식 후 상기 컷솔의 개방 지연 시간 경과후 상기 컷솔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PG, LPI 시스템, 고압 분사, 인젝터 누기

Description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Fuel Leak Protection Method In Liquefied Petroleum Injection System Using liquefied petroleum gas}
도 1은 종래 연료 누기 현상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및 엔지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LPG 연료 탱크 20 :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
30 : 압력 레귤레이터 40 : 가스 인젝터
50 : 엔진 60 : 인터페이스 모듈
70 : 엔진 컨트롤 유닛 100 : 컷솔
본 발명은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키 온 이후 연료 라인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발생하게 되는 연료의 누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LPI(Liquefied Petroleum Injection) 시스템은 LPG(liquefied petroleum gas : 액화 석유 가스) 연료를 고압 액상화 시켜 인젝터(Injector)를 이용하여 기통별로 연료를 분사하는 기술이다. 이 LPI 시스템은 가솔린엔진과 같은 MPI(multi point injecter type)방식으로 연비우수 및 출력/가속성능 등이 대폭 향상되었다. LPI 시스템은 기존 LPG 차량의 믹서(MIXER) 방식과 비교하여, 엔진의 가장 큰 특징은 인젝터를 이용, 고압의 액체상태로 연료를 직접 분사한다는 차이 점이 있다. 이에 따라, LPI 시스템은 기화기, 믹서 등의 기존 엔진장치는 더 이상 불필요한 반면, 파워 및 가속성능, 연비, 배기가스 등이 획기적으로 개선시켰으며, 또한, 겨울철 시동불량 등 기존 품질문제도 근본적으로 개선시켰다.
이를 상세히 하면, 기존 LPG엔진은 액체상태로 있는 LPG를 기화시킨 뒤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실로 분사하는 MIXER 방식이므로 겨울철 "시동불량" 및 "타르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미연소된 연료가 흡기관 방향으로 역류되어 흡기관 내부에서 연소되는(굉음동반) "역화현상(Back Fire)"의 위험등 많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LPI엔진은 LPG연료의 기화과정을 없애고 MIXER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효율적이며, 기존 LPG엔진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LPI 시스템의 시동요령은 먼저, 초기시동시 연료라인에 연료압이 형성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동 키 ON 위치에서 LPI램프 점등 및 소등 확인후 시동(START)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계기판의 LPI 램프가 점등되고, 시동은 LPI 램프 소등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LPI 2.0 엔진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최대출력(ps/rpm): 164마력(기존 138마력)으로 기존과 비교하여 18.8%향상되었으며, 최대토크(kg.m/rpm): 24.8/4000(기존 22.8/3500)으로, 8.8%향상, 인증연비(km/ℓ): 7.4 (기존 7.2), 2.8%향상(3등급), 정속연비(60km/ℓ): 13.9(기존 12.8), 8.6%향상되었다.
이러한, LPI 엔진은 자연과 사람을 생각하는 환경친화적 엔진입니다. 즉, LPI 엔진은 규제강화된 산화수소와 증발가스의 배출억제 뿐만아니라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 까지도 규제치 대비 현저히 낮게 배출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LPG엔진의 제반 품질문제 즉, 기존 믹서타입의 LPG엔진은 겨울 "시동성불량", "타르발생", "역화현상" (미연소된 연료역류로 굉음동반)의 문제점이 발생하나 LPI엔진은 "-25℃까지 시동가능"하며 "타르"와 "역류현상"이 없다.
그러나, 종래의 LPI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Key-on 후 5초간 Pump가 3회 이상 고속 구동할 경우, 연료 라인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인젝터(Injector)에 누기가 있을 경우 Key-on 시간 동안 연료가 흡기매니폴드로 누출되는 연료 누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연료 탱크의 연료 공 급을 제어하는 밸브인 커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Cut-off Sol)가 Key-on시 개방되므로 Key on 직후 시동을 걸지 않고 대기할 경우 누기 인젝터에서 누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PI 인젝터의 경우 내구 진행에 따라 인젝터에 누기가 발생할 경우, 인젝터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컷솔들을 차단하여, 차량 소킹(Soaking)중 누출된 연료로 인한 연료 누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은 주입된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의 연소실 각각에 상기 연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인젝터들, 액화 석유 가스를 저장하는 다수의 연료탱크, 상기 가스 인젝터들에 일체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컷솔들; 상기 컷솔의 개폐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LPG 연료탱크들과 상기 가스 인젝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LPG 연료탱크에서 공급된 상기 연료 가스의 압력을 저압으로 낮추는 압력 레귤레이터, 상기 LPG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상 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 상기 LPG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각 구성과 엔진 컨트롤 유닛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키 온 상태시,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의 전반적인 통신 시스템인 캔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캔 메시지를 수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압이 크랭킹 중 상기 컷솔들의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여부에 따라 크랭킹 시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크랭킹 여부에 따라, 상기 캔 시스템으로부터의 메시지 및 첫번째 투스(Tooth) 인식 후 상기 컷솔의 개방 지연 시간 경과후 상기 컷솔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컷솔들의 개방은 상기 컷솔들을 일정 개수로 구분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들을 순차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컷솔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은 엔진 컨트롤 유닛을 부터 캔 시스템을 통해 받는 냉각수온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컷솔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컷솔들을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순차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I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의 LPI 시스템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I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의 LPI 시스템 다이아그램은 주입된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50), 엔진(50)의 연소실(52)에 연료인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인젝터(40), LPG 가스를 저장하는 LPG 연료탱크(10), LPG 연료탱크(10)와 가스 인젝터(40)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20),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20)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컷솔(100)의 개폐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 LPG 연료탱크(10)와 가스 인젝터(40) 사이에 배치되어 LPG 연료탱크(10)에서 공급된 가스의 압력을 저압으로 낮추는 압력 레귤레이터(30), LPG 연료탱크(10) 및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ECU)(70), LPG 연료탱크(10) 및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각 구성과 엔진 컨트롤 유닛(70)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60), 가스 인젝터(40)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인젝터(40)의 가스 분사를 조절하는 컷솔(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진(50)은 주입되는 연료 가스를 연소시키고, 연소된 힘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한 후, 이를 모터에 전달함으로서, 차량을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가스 인젝터(40)는 엔진(50)의 연소실(52)에 가스를 주입하는 장치로서, 가스를 고압의 액상으로 분사하게 된다.
LPG 연료탱크(10)는 LPG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고로서, 연료 펌프(12)를 이용하여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가스 인젝터(40)에 공급하게 된다. LPG 연료탱크(10)에 포함된 연료 펌프(12)는 엔진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그 양을 조절하게 된다.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20)는 LPG 연료탱크(10)와 가스 인젝터(40) 사이에 배치되어 LPG 연료탱크(10)에 저장된 가스가 연료 펌프(12)에 의하여 펌핑되어 연소실(52)에 공급될 때, 그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컷 오프 솔레노이드 밸브(20)는 인터페이스 모듈(60)을 통하여 엔진 컨트롤 유닛(70)에 제어를 받게 된다.
압력 레귤레이터(30)는 LPG 연료탱크(10)와 가스 인젝터(40) 사이에 배치되어 LPG 연료탱크(10)에서 펌핑되어 공급되는 고압의 가스를 엔진(50)에 적합한 압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즉, 압력 레귤레이터(30)는 LPG 연료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연료 가스의 압력을 저압으로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모듈(60)은 LPG 연료탱크(10) 및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각 구성과 엔진 컨트롤 유닛(70)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엔진 컨트롤 유닛(7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기계적 신호를 각 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컷솔(100)은 가스 인젝터(4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배치되는 컷 솔레노이드로서 가스 인젝터(40)의 가스 분사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컷솔(100)은 엔진의 실린더별로 배치되는 가스 인젝터(40) 각각에 일체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컷솔(100)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뱅크 그룹 단위의 운용에 이용된다. 이를 위하여 컷솔(100)들은 인터페이스 모듈(60)을 통하여 엔진 컨트롤 유닛(70)에 제어를 받게 된다.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엔진 및 LPG 연료탱크(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 즉, 액셀레이터의 변화에 따라 연료 가스의 주입 및 엔진의 회전수 등을 제어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엔진(50)의 크랭킹(Cranking)을 인식한 후, 컷솔(100)을 개방하여 시동전 Key-on 상태 방치시 연료 누기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크랭킹 신호는 엔진 컨트롤 유닛(70)으로부터 전달되는 크랭킹 신호를 첫번째 유효 투스(1 Valid Tooth) 등을 캔(CAN) 통신 등을 통하여 받아 사용한다.
한편,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배터리 충전 상태가 불량할 경우 크랭킹중 컷솔(100)을 개방하면 저전류에 의해 컷솔(100)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배터리 저전압시에 키 온(Key-on) 상태에서 컷솔(100)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순차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10도 이하 극저온 시동시 시동 전류 소모량이 증가하고, 고온에서는 컷솔(100)의 온-오프 저항의 증가에 따라 리프팅 포스(Lifting force)가 감소하므로 냉각수온 조건에 따라 키 온(Key-on)상태에서 컷 솔(100)의 강제 개방을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컷솔(100) 1개당 개방을 위한 소모 전력은 0.4A * 12V가 필요하다. 그러나, 저전압 상황에서 밸브에 동일 전력을 제공해야함으로 더 많은 전류가 필요하며, 또한, 고온에서 코일 저항의 증가로 솔레노이드의 자력이 감소하므로, 컷솔(100) 개방을 위한 전력을 얻기 위해 고전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컷솔(100) 전체를 다수개 예를 들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개방함으로서, 동일 전력을 이용하여 저전압 및 냉각수온에 따른 컷솔(100) 개방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컷솔(100) 개방시 순간 소비 전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컷솔(100)을 2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개방하며, 실제의 제품의 예를 들면, 차량 V6의 경우 컷솔(100)을 뱅크1/뱅크2로 분리한후, 각각 뱅크 1 및 뱅크 2를 순차적으로 개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원발명에서는 가스 인젝터(40)별로 설치된 컷솔(100)들을 두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캔 통신에 의한 캔 메시지 전달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엔진 컨트롤 유닛(70)이 차량에 통신 시스템으로 설계되는 캔(CAN)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캔 메시지는 엔진 컨트롤 유닛(70)으로부터 발생하여 각 장치에 전달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은 먼저, 차량의 키 온 상태가 되면(S101), 엔진 컨트롤 유닛(70)은 차량의 전반적인 통신 시스템인 캔(CAN)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 수령 여부를 확인한다(S102).
S102 단계에서, 캔 메시지를 수령한 경우, 배터리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03).
S103 단계에서, 일정전압은 크랭킹 중 컷솔(100)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으로 엔진 컨트롤 유닛(70)으로부터 캔 시스템을 통해 받는 냉각수온의 함수이다. 그리고, 배터리는 컷솔(100)들을 개폐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S103 단계에서, 배터리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인 경우, 크랭킹 시작 여부를 확인한다(S104).
S104 단계에서, 크랭킹 시작 안된 경우, 크랭킹이 시작될 때까지 대기한다.
S104 단계에서, 크랭킹이 시작된 경우, 일정 대기시간 경과후 제 1 뱅크의 컷솔(100)들을 개방한다(S105).
S105 단계에서, 일정 대기시간은 캔 메시지 및 첫번째 투스(Tooth) 인식 후 컷솔(100)들의 개방 지연 시간이다.
S103 단계에서, 배터리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인 경우, 배터리 충전을 대기한 후, S105 단계로 분기한다.
또한, S102 단계에서, 캔 메시지를 수령하지 못할 경우, 캔 에러 발생 또는 일정 대기시간 이내에 유효 캔 메시지 수령 여부를 확인한다(S106).
S106 단계에서, 캔 메시지 수령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S102 단계로 복귀하여 메시지 수령 여부를 다시 확인한다.
S106 단계에서, 유효 캔 메시지를 수령한 경우, S103 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S106 단계에서, 일정 시간은 캔 메시지 수령 대기 시간을 의미한다.
제 1 뱅크의 컷솔(100) 개방 이후, 일정 대기시간 이후, 제 2 뱅크의 컷솔(100)들을 개방한다(S107).
S107 단계에서, 일정 대기시간은 캔 메시지 및 첫번째 투스(Tooth) 인식 후, 제 2 뱅크들의 컷솔(100)들의 개방 지연 시간이다.
한편, S104 및 S107 단계에서 제 1 뱅크 및 제 2 뱅크는 컷솔(100)들을 임의적으로 분할한 것으로, 홀수개의 컷솔(100)들 및 짝수개의 컷솔(100)들로 구분되거나, 일정개수만큼씩 분할한 컷솔(100)들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은 차량 시동키 온 이후, 엔진 컨트롤 유닛(70)의 제어에 따라, 초기 시동 후, 크랭킹 시작 전에 일정 대기 시간 동안은 컷솔(100)들을 오프시키고 대기하다가, 크랭킹이 시작되면, 각 컷솔(100)들을 일정 개수로 분할하여 각각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초기 시동시 발생할 수 있는 가스 인젝터(40)의 누기 현상을 방지하고, 컷솔(100)들을 일정개수로 구분하여 순차로 개방함으로써, 환경조건에 따른 컷솔(100)들의 개폐오류를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가스 분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은, LPI 인젝터의 경우 내구 진행에 따라 인젝터에 누기가 발생할 경우, 인젝터에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컷솔들을 차단하여, 차량 소킹(Soaking)중 누출된 연료로 인한 연료 누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주입된 연료 가스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의 연소실 각각에 상기 연료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인젝터들, 액화 석유 가스를 저장하는 다수의 연료탱크, 상기 가스 인젝터들에 일체형으로 각각 배치되어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컷솔들; 상기 컷솔의 개폐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LPG 연료탱크들과 상기 가스 인젝터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LPG 연료탱크에서 공급된 상기 연료 가스의 압력을 저압으로 낮추는 압력 레귤레이터, 상기 LPG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 상기 LPG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 가스의 주입에 필요한 각 구성과 엔진 컨트롤 유닛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키 온 상태시, 상기 엔진 컨트롤 유닛의 전반적인 통신 시스템인 캔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 수령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캔 메시지를 수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 전압이 크랭킹 중 상기 컷솔들의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압 여부에 따라 크랭킹 시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크랭킹 여부에 따라, 상기 캔 시스템으로부터의 메시지 및 첫번째 투스(Tooth) 인식 후 상기 컷솔의 개방 지연 시간 경과후 상기 컷솔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솔들의 개방은
    상기 컷솔들을 일정 개수로 구분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들을 순차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솔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은
    엔진 컨트롤 유닛을 부터 캔 시스템을 통해 받는 냉각수온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컷솔 개방을 위한 최소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컷솔들을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순차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
KR1020060110734A 2006-11-09 2006-11-09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KR10077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734A KR100778586B1 (ko) 2006-11-09 2006-11-09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734A KR100778586B1 (ko) 2006-11-09 2006-11-09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586B1 true KR100778586B1 (ko) 2007-11-22

Family

ID=3908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734A KR100778586B1 (ko) 2006-11-09 2006-11-09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789A (ko) * 2001-03-30 2002-10-11 (주)모토닉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KR20050017643A (ko) * 2003-08-08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pg차량용 자동 연료누출 감지 및 차단시스템과 그제어방법
KR20060110129A (ko) * 2005-04-19 2006-10-2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엘피지 액상 분사 시스템의 인젝터에서의 연료누설 개선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789A (ko) * 2001-03-30 2002-10-11 (주)모토닉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KR20050017643A (ko) * 2003-08-08 2005-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pg차량용 자동 연료누출 감지 및 차단시스템과 그제어방법
KR20060110129A (ko) * 2005-04-19 2006-10-2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엘피지 액상 분사 시스템의 인젝터에서의 연료누설 개선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3471B2 (ja) Lpiエンジン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0747210B1 (ko) 엘피아이 엔진 시스템
KR101284804B1 (ko) 직접분사 엘피아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00394002C (zh) 一种氢气-汽油混合燃料发动机及控制方法
JP2005214079A (ja) バイフューエルエンジンの始動制御方法並びに停止制御方法
US20160290248A1 (en) Fuel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759855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
CN114427494A (zh) 一种双燃料发动机系统及点火方法
KR100778586B1 (ko)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KR20120103833A (ko) 직접분사 엘피아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5075545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uel suppl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2015249640B2 (en) Fuel control systems for operating gasoline engines based on ethanol-water-hydrogen mixture fuels
KR100757136B1 (ko) Lpg 액상 고압 분사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연료 누기방지 방법
KR100767518B1 (ko) Lpi시스템을 이용하는 차량의 연료 누기 방지 방법
KR20030050162A (ko) 엘피아이 차량의 인젝터 누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67297B2 (ja) バイフューエルエンジンの停止制御方法
JP2018177061A (ja) Lpg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方法
KR100793995B1 (ko) Lpi 시스템 차량의 연료 오학습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4168893B2 (ja) 燃料供給装置
KR100757123B1 (ko) 엘피지 차량 인젝터 아이싱 방지장치
KR100765640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실화진단 제어 방법
US20160053694A1 (en) Engine system of duel injector
CN214247501U (zh) 一种发动机助燃冷机启动装置
KR100692130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인젝터 연료라인압 제거시스템
KR100802284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