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357B1 -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357B1
KR100778357B1 KR1020060085571A KR20060085571A KR100778357B1 KR 100778357 B1 KR100778357 B1 KR 100778357B1 KR 1020060085571 A KR1020060085571 A KR 1020060085571A KR 20060085571 A KR20060085571 A KR 20060085571A KR 100778357 B1 KR100778357 B1 KR 10077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wel
rotating roller
moto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102006008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직후 또는 세탁 후 보관중인 수건을 고온, 열풍 및 스팀을 통해 간편하게 건조 및 살균할 수 있으며, 음이온 또는 방향을 외부로 발산함으로써 공기정화, 스트레스 완화 및 향기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면도기 살균부를 구비하여 면도기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한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는 개폐덮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모터와 제 1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와,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와, 상기 제 1 회전롤러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폐덮개의 개방시에 양측의 링크축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을 향해 스팀을 분사시키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 송풍발생부, 스팀발생부, 공기정화부 및 센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건, 살균, 건조, 롤러, 송풍발생부, 스팀발생부, 공기정화부, 제어부

Description

수건용 살균건조장치{DRY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TOW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내부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10 : 본체
20 : 제 1 모터
30 : 제 1 회전롤러
40 : 송풍발생부
50 : 제 2 회전롤러
60 : 스팀발생부
70 : 센서
80 : 제어부
90 : 공기정화부
본 발명은 수건을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 직후 또는 세탁 후 보관중인 수건을 고온, 열풍 및 스팀을 통해 간편하게 건조 및 살균할 수 있으며, 음이온 또는 방향을 외부로 발산함으로써 공기정화, 스트레스 완화 및 향기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면도기 살균부를 구비하여 면도기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한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는 얼굴이나 몸에 묻은 수분을 닦는 용도로 욕실내에 수건걸이를 구비하고 수건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거치되어 있는 수건은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물기나 습기 등을 다량 함유하게 되므로 젖은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어 잘 마르지 않고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세균이 번식하는 등 위생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건을 햇볕에 말려 건조 시키거나 끓는 물에 수건을 삶기도 하고 락스 등으로 세균을 멸균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로는 수건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지 못하며, 방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살균을 한 다음 다시 햇볕에 건조를 하는 과정에서 세균에 재감염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살균건조를 한 다음, 보관하는 과정에서 습기에 의해 수건이 젖게 될 경우, 다시 살균 후 세탁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 직후 또는 세탁 후 보관중인 수건을 고온, 열풍 및 스팀을 통해 간편하게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이온 또는 방향을 외부로 발산함으로써 공기정화, 스트레스 완화 및 향기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도기 살균부를 구비하여 면도기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한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개폐덮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모터와 제 1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와,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와, 상기 제 1 회전롤러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폐덮개의 개방시에 양측의 링크축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을 향해 스팀을 분사시키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 송풍발생부, 스팀발생부, 공기정화부 및 센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본체 상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와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기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송풍발생부는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내부를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되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모터의 구동축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팀발생부는 물 저장탱크와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증기화하여 상기 제 2 회전롤러 상에 거치되어 있는 수건을 향해 분사하는 스팀분사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본체의 전면에는, 내측 에 면도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자외선 살균램프가 구비되며, 회동가능한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면도기 살균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는 개폐덮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와, 상기 제 1 모터와 제 1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와,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와, 상기 제 1 회전롤러와 제 2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며 수건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제 1 회전롤러 및 스팀발생부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의 링크축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 송풍발생부, 스팀발생부, 공기정화부 및 센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팀발생부는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물 저장탱크와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증기화하여 상기 제 2 회전롤러 상에 거치되어 있는 수건을 향해 분사하되 양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팀분사장치와, 상기 스팀분사장치의 양단 상에서 각각 회전되되 일단에 위치하는 것은 전술한 제 2 벨트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롤러 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타단에 위치하는 것은 제 2 회전롤러에 맞닿아 회전되는 제 3 회전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내부모습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는 개폐덮개(11)가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20)와, 상기 제 1 모터(20)와 제 1 벨트(2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31)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32)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30)와, 상기 제 1 회전롤러(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30)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40)와, 상기 제 1 회전롤러(3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폐덮개(11)의 개방시에 양측의 링크축(5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 (200)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50)와,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수건(200)을 향해 스팀을 분사시키는 스팀발생부(60)와,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수건(200)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70)와,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20), 송풍발생부(40), 스팀발생부(60), 공기정화부(90) 및 센서(7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하부면에 회동되어 개폐되는 개폐덮개(11)가 설치되며, 내부가 격벽(12)에 의해 구획되어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인 것으로 하되, 그 외의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개폐덮개(11)는 본체(10) 상에 양측이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를 사용할 시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닫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전면과 양측면에는 각각 전면그릴(13)과 측면그릴(14)이 형성되는데, 이 전면그릴(13)과 측면그릴(14)은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전면그릴(13)의 경우에는 추후에 설명될 공기정회부(90)로부터 발산되는 음이온 및 향기를 외부공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고, 전술한 측면그릴(14)의 경우에는 추후에 설명될 송풍발생부(40)의 제 2 모터(41)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송풍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면그릴(13)과 측면그릴(14)이 형성되는 본체(10)의 전면에는 면도기 살균부(100)가 구비되는데, 이 면도기 살균부(100)는 면도기(104)를 수용하여 적외선 램프를 이용해 살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도기 살균부(100)는 내측에 면도기(104)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01)와 자외선 살균램프(102) 및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03)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면도기 살균부(100)는 수동 면도기(104)를 거치하여 살균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미용가위, 자동면도기의 면도날, 손톱깎이 등 수용가능한 용품들은 모두 살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자외선 살균램프(102)는 전원코드(30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받는 상용전력을 통해 점멸되는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며, 자외선 살균램프(102)의 제어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내측에는 제 1 모터(20)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모터(20)는 제 1 벨트(21)에 의해 연결되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회전롤러(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 1 모터(20)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에 의해서 그 구동이 제어되는데, 추후에 설명될 제 1 회전롤러(3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 회전롤러(50)에 거치되는 수건(200)이 골고루 살균 및 건조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작동 후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모터(20)의 작동은 전원코드(300)를 통해 공급받는 외부전력에 의한 것으로 하되, 전원코드(300)와 제 1 모터(20)와의 전기적 연결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모터(20)가 설치되는 본체(10)의 내측에는 제 1 모터(20)와 제 1 벨트(2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31)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32)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30)가 설치된다.
전술한 제 1 회전롤러(3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이 본체(10) 상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5) 상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전술한 제 1 모터(20)에 일측이 끼워지는 제 1 벨트(21)의 타측이 끼워져 제 1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제 1 회전롤러(30)의 표층에는 발열부재(31)가 구비되는데, 이 발열부재(31)는 수건(200)을 건조 및 살균시킬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발열코일 또는 면상발열체 인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발열부재(31)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에 의해서 그 발열이 제어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한데, 발열부재(31)를 발열토록 하는 전력은 전원코드(300)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코드(300)와 발열부재(31)와의 전기적 연결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회전롤러(30)의 양측에는 즉, 전술한 고정브라켓(15)의 내측에는 각각 송풍발생부(40)가 설치되는데, 이 송풍발생부(40)는 제 1 회전롤러(30)의 내부를 송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술한 송풍발생부(40)는 제 1 회전롤러(30)의 양측에 내부를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되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모터(41)와, 이 제 2 모터(41)의 구동축(42)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43)으로 이루어진다.
발열부재(31)에 의해 발열된 제 1 회전롤러(30)의 양측에서 그 내부를 향해 송풍을 할 경우, 제 1 회전롤러(30) 상에 형성되는 관통구(32)를 통해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 열풍으로 인해 수건(200)이 건조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송풍발생부(40)의 제 2 모터(41)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에 의해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 2 모터(41)를 구동시키는 전력은 전원코드(300)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코드(300)와 제 2 모터(41)와의 전기적 연결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회전롤러(30)의 하측에는, 제 1 회전롤러(3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폐덮개(11)의 개방시에 양측의 링크축(51)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200)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50)가 설치된다.
전술한 제 2 회전롤러(50)는, 수건(200)이 거치된 상태로 발열부재(31)에 의해 발열된 제 1 회전롤러(30)와 맞물려 회전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건(200)을 거치할 시에는 본체(10) 상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덮개(11)를 열어 링크축 (51)에 의해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롤러(50)를 인출시킨 후, 수건(200)을 거치한 다음, 제 1 회전롤러(30)와 맞닿을 수 있도록 본체(10) 내로 밀어 넣어준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회전롤러(50)는 제 1 회전롤러(30)와 맞닿은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지지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제 2 회전롤러(50)의 인출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의 컨트롤러(82)에 의해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 2 회전롤러(50)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0) 상에는 스팀발생부(60)가 설치되는데, 이 스팀발생부(60)는 수건(200)을 향해 스팀을 분사시킴으로써 살균 및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팀발생부(60)는 물저장탱크(61)와, 물저장탱크(61)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증기화하여 제 2 회전롤러(50) 상에 거치되어 있는 수건(200)을 향해 분사하는 스팀분사장치(62)로 이루어진다.
물저장탱크(61)의 경우, 일측으로 외부와 통하는 물충전구(61a)가 형성되어 물저장탱크(61) 내에 물이 소진될 경우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물저장탱크(61)가 위치하는 본체(10)의 일측은 물의 충전량이 확인가능하도록 눈금이 표시된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스팀발생부(60)의 스팀분사장치(62)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에 의해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팀분사장치(62)로부터 스팀을 분사토록 하는 전력은 전원코드(300)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코드(300)와 스팀분사장치(62)의 전기적 연결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스팀발생부(60)가 설치되는 본체(10) 상에는 센서(70)가 설치되는데, 전술한 센서(70)는 제 2 회전롤러(50) 상에 거치되는 수건(200)의 거치유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70)의 감지신호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80)에 의해 확인되는데, 제어부(80)의 컨트롤러(82)에 의해서 제 1 회전롤러(30)의 발열부재(31) 및 스팀발생부(60)의 스팀분사장치(62) 등 추후에 설명될 공기정화부(90)와 면도기 살균부(100)를 제외한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의 작동명령이 내려지더라도 센서(70)가 수건(200)의 거치를 확인하지 못하게 될 경우,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는 그 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센서(70)가 설치되는 본체(10) 상에는 제어부(80)가 설치되는데, 이 제어부(80)는 전술한 제 1 모터(20), 제 1 회전롤러(30)의 발열부재(31), 송풍발생부(40)의 제 2 모터(41), 스팀발생부(60)의 스팀분사장치(62), 추후에 설명될 공기정화부(90)의 음이온 발생장치와 향기발생장치(92) 및 면도기 살균부(100)의 자외선 살균램프(102)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제어부(80)는, 본체(10) 내측에 설치되는 회로패널(도시되지 않음)과, 본체(10) 외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81) 및 컨트롤러(82)로 이루어지는 데, 이 제어부(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부재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어부(80)가 설치되는 본체(10) 상에는 공기정화부(90)가 더 설치되는데, 이 공기정화부(90)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91)와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기발생장치(92)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음이온발생장치(91) 및 향기발생장치(92)는 종래기술에 따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되, 향기발생장치(92)에서 발생 되는 향기는 아로마, 또는 허브 등 스트레스 완화 및 향기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 있으나 공기정화부(90) 역시 전술한 제어부(80)에 의해서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하되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전력은 전원코드(300)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코드(300)와 공기정화부(90)의 전기적 연결은 도시되지 않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코드(300)를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콘센트(400)에 삽입시킨 후 컨트롤러(82)를 조작하여 전원을 켠다.
그런 다음, 본체(10)의 개폐덮개(11)를 개방하고 링크축(51)을 회전시켜 제 2 회전롤러(50)를 본체(10) 외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런 다음, 제 2 회전롤러(50) 상에 수건(200)을 거치시킨 다음 본체(10) 상으로 인입시킨다.
이때, 제 2 회전롤러(50)에는 수건(200) 뿐만 아니라 행주, 손수건 등의 살균 및 건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런 다음, 본체(10)의 컨트롤러(82)를 조작하여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를 작동시키면 먼저 제 1 모터(20)가 회전하게 되고, 제 1 모터(20)와 제 1 벨트(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1 회전롤러(3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 1 회전롤러(30)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발열부재(31)에서 열이 발산되게 된다.
이때, 센서(70)에 의해 수건(200)의 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82)를 조작한다 해도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 1 회전롤러(3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 2 모터(41)가 회전함에 따라 송풍팬(43)이 회전하게 되면서 제 1 회전롤러(30)의 내부를 향해 송풍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송풍은 제 1 회전롤러(30)의 발열부재(3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풍으로 변하게 되고, 제 1 회전롤러(3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구(32)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1 회전롤러(30)와 맞닿아 회전하게 되는 제 2 회전롤러(50) 상에 거치되는 수건(200)은 전술한 제 1 회전롤러(3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와 열풍으로 인해 살균 및 건조되게 된다.
이때, 제 2 회전롤러(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후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건(200)이 전체적으로 살균 및 건조되게 된다.
또한, 스팀발생부(60)의 스팀분사장치(62)로부터 발생 되는 고온의 스팀은 수건(200)을 향해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수건(200)은 살균되게 된다.
이러한 스팀의 분사는 수건(200)이 살균 및 건조되는 동안 컨트롤러(82)의 조작을 통해서 소정 간격으로 분사되게 되며, 분사간격은 제어부(80)를 통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회전롤러(50) 상에 거치된 수건(200)은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살균 및 건조를 마치게 되고, 본체(10) 외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81) 상에 종료신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수건(200)의 살균 및 건조와는 별도로,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에는 자외선 살균램프(102)가 구비되는 면도기 살균부(100)가 설치되는데, 도어(103)를 개방하여 면도기(104)를 거치대(101) 상에 거치시킨 후, 컨트롤러(82)를 조작하여 면도기(104)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부(90)에 설치되는 음이온발생장치(91)와 향기발생장치(92)를 작동시켜 공기정화, 스트레스 완화 및 향기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건(200)의 살균 및 건조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시에는 본체(10)의 개폐덮개(11)를 닫아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는 개폐덮개(11)가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20)와, 상기 제 1 모터(20)와 제 1 벨트(2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31)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32)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30)와, 상기 제 1 회전롤러(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30)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40)와, 상기 제 1 회전롤러(30)와 제 2 벨트(6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며 수건(200)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60)와, 상기 제 1 회전롤러(30) 및 스팀발생부(6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의 링크축(51)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200)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50)와,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수건(200)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70)와,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20), 송풍발생부(40), 스팀발생부(60), 공기정화부(90) 및 센서(7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는 스팀발생부(60)가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물저장탱크(61)와 상기 물저장탱크(61)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증기화하여 제 2 회전롤러(50) 상에 거치되어 있는 수건(200)을 향해 분사하되 양단이 상기 본체(10)의 내측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팀분사장치(62)와, 스팀분사장치(62)의 양단 상에서 각각 회전되되 일단에 위치하는 것은 전술한 제 2 벨트(64)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롤러(30)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타단에 위치하는 것은 회전하는 제 2 회전롤러(50)에 맞닿아 회전되는 제 3 회전롤러(63)로 이루어진다는 점과, 제 2 회전롤러(50)가 전술한 제 1 회전롤러(30)와 제 3 회전롤러(63)에 맞닿아 회전된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부재 및 전체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1)와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는 세탁 직후 또는 세탁 후 보관중인 수건을 고온, 열풍 및 스팀을 통해 간편하게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 또는 방향을 외부로 발산함으로써 공기정화, 스트레스 완화 및 향기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면도기 살균부를 구비하여 면도기를 간편하게 살균할 수 있도록 한 수건용 살균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7)

  1. 개폐덮개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
    상기 제 1 모터와 제 1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
    상기 제 1 회전롤러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폐덮개의 개방시에 양측의 링크축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을 향해 스팀을 분사시키는 스팀발생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 송풍발생부, 스팀발생부 및 센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장치와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기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공기정화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발생부는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내부를 향하도록 각각 설치되되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모터의 구동축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물 저장탱크와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증기화하여 상기 제 2 회전롤러 상에 거치되어 있는 수건을 향해 분사하는 스팀분사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내측에 면도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자외선 살균램프가 구비되며, 회동가능한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면도기 살균부가 돌 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6. 개폐덮개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모터;
    상기 제 1 모터와 제 1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며, 표층에 발열부재를 구비하되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회전롤러;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회전롤러의 내부를 향해 풍량을 발생시키는 송풍발생부;
    상기 제 1 회전롤러와 제 2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며 수건을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
    상기 제 1 회전롤러 및 스팀발생부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양측의 링크축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수건이 거치되는 제 2 회전롤러;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수건의 거치유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모터, 송풍발생부, 스팀발생부 및 센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물 저장탱크와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증기화하여 상기 제 2 회전롤러 상에 거치되어 있는 수건을 향해 분사하되 양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팀분사장치와, 상기 스팀분사장치의 양단 상에서 각각 회전되되 일단에 위치하는 것은 전술한 제 2 벨트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롤러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타단에 위치하는 것은 제 2 회전롤러에 맞닿아 회전되는 제 3 회전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KR1020060085571A 2006-09-06 2006-09-06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KR10077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571A KR100778357B1 (ko) 2006-09-06 2006-09-06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571A KR100778357B1 (ko) 2006-09-06 2006-09-06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357B1 true KR100778357B1 (ko) 2007-11-29

Family

ID=3908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571A KR100778357B1 (ko) 2006-09-06 2006-09-06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3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875B1 (ko) 2016-03-23 2017-12-28 오중권 수건 살균 걸이대
KR102005893B1 (ko) * 2018-11-16 2019-07-31 박효재 수건 건조기
WO2021101095A1 (ko) * 2019-11-20 2021-05-27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커튼 소독 장치
CN114794942A (zh) * 2022-05-07 2022-07-29 宁波良基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杀菌电动浴室柜
CN116473449A (zh) * 2023-06-20 2023-07-25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镜子结合毛巾架
WO2024101628A1 (ko) * 2022-11-10 2024-05-16 박민근 Uv 살균기능을 가진 수건걸이
CN117959469B (zh) * 2024-04-02 2024-05-28 安徽咏鹅家纺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布料自动消毒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286A (ja) 2000-09-11 2002-03-26 Toto Ltd 乾燥機能付タオル掛け
JP2003047572A (ja) 2001-08-07 2003-02-18 Saitama Fuji:Kk タオル乾燥機
KR200344715Y1 (ko) 2003-12-24 2004-03-12 김성근 수건 살균 및 건조장치
KR20050091121A (ko) * 2004-03-10 2005-09-15 이석영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286A (ja) 2000-09-11 2002-03-26 Toto Ltd 乾燥機能付タオル掛け
JP2003047572A (ja) 2001-08-07 2003-02-18 Saitama Fuji:Kk タオル乾燥機
KR200344715Y1 (ko) 2003-12-24 2004-03-12 김성근 수건 살균 및 건조장치
KR20050091121A (ko) * 2004-03-10 2005-09-15 이석영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875B1 (ko) 2016-03-23 2017-12-28 오중권 수건 살균 걸이대
KR102005893B1 (ko) * 2018-11-16 2019-07-31 박효재 수건 건조기
WO2021101095A1 (ko) * 2019-11-20 2021-05-27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형 커튼 소독 장치
KR20210061840A (ko) * 2019-11-20 2021-05-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커튼 소독 장치
KR102350135B1 (ko) * 2019-11-20 2022-01-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커튼 소독 장치
CN114794942A (zh) * 2022-05-07 2022-07-29 宁波良基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杀菌电动浴室柜
WO2024101628A1 (ko) * 2022-11-10 2024-05-16 박민근 Uv 살균기능을 가진 수건걸이
CN116473449A (zh) * 2023-06-20 2023-07-25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镜子结合毛巾架
CN116473449B (zh) * 2023-06-20 2023-09-15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镜子结合毛巾架
CN117959469B (zh) * 2024-04-02 2024-05-28 安徽咏鹅家纺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布料自动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357B1 (ko)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KR101037245B1 (ko) 신발 살균 처리 장치
JP2021045520A (ja) 旋転送風機能を有する医療器械消毒乾燥設備
US9156067B2 (en) Toothbrush steam cleaning container
KR20080055288A (ko) 광촉매를 이용한 신발 살균 자판기
KR20100009091U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WO2015109634A1 (zh) 自动消毒烘干装置
KR20160129452A (ko) 살균탈취 기능이 구비된 옷걸이
KR200291502Y1 (ko) 위생 신발장
KR200348688Y1 (ko) 살균기가 구비된 핸드 드라이어
KR101674170B1 (ko) 수건 건조기
KR102259365B1 (ko) 의류관리기
JP2016137034A (ja) 洗濯機
JP2004211959A (ja) 浴室空調装置
KR20060006702A (ko) 다용도 벽걸이 살균기
KR100639349B1 (ko)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KR20070083401A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JP2021180746A (ja) 手指殺菌装置
KR200420456Y1 (ko) 자외선 살균드라이기
JP2001104441A (ja) 蒸気発生装置とその洗浄方法、およびサウナ装置
KR100530602B1 (ko) 전기열풍방식 빨래건조대
CN215959558U (zh) 一种自动消毒干手器
JP3240761U (ja) 衣類のuv殺菌乾燥装置
CN111956815A (zh) 一种洗漱产品杀菌消毒器具
JPH047002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