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893B1 - 수건 건조기 - Google Patents

수건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893B1
KR102005893B1 KR1020180142091A KR20180142091A KR102005893B1 KR 102005893 B1 KR102005893 B1 KR 102005893B1 KR 1020180142091 A KR1020180142091 A KR 1020180142091A KR 20180142091 A KR20180142091 A KR 20180142091A KR 102005893 B1 KR102005893 B1 KR 10200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wer
towel
hot ai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재
Original Assignee
박효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재 filed Critical 박효재
Priority to KR102018014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수건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의 일부가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수건이 거치되는 수건 거치봉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된 수건을 건조하도록 열풍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열풍을 순환시키는 건조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히터에 의한 발열을 팬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수건의 전 면적을 고루 건조시킴과 동시에 자외선 살균등으로 살균시킴으로써, 수건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히터에 의한 발열을 외부 환경에 따라 팬으로 배출함으로써, 다습한 외부 환경을 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건 건조기{TOWEL DRY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건 건조기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욕실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수건은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에 묻어있는 물기를 닦아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사용된 수건은 벽체에 설치된 거치대에 걸어서 자연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된 수건은 젖은 상태가 되어 세균이 번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므로 인체에 유해하고 신체기능을 저하시키는 각종 세균들과, 박테리아, 진드기 등이 수건에 번식하게 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키거나 세균 전염 및 악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각종 세균과 박테리아들은 실온(약 26°정도)에서 활동적이며, 인체 온도에서는 번식력이 최고가 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온난다습한 화장실의 환경에서는 젖은 수건이 세균의 온상이 될 가능성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과거에는 젖은 수건을 바람에 의해 건조하는 방법이 사용된 바 있는데, 바람에 의한 건조방식의 경우 바람이 닿는 부위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건조될 뿐, 수건 전 면적에 대한 건조는 잘 이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건조되는 동안에도 수건 온도는 여전히 실온 또는 그 이하(기화열로 인해)이므로, 고온에 의한 살균효과는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건을 건조하여도 여전히 온난다습한 화장실의 환경에 의하여 살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87650호 (2007.12.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에 의한 발열을 팬으로 순환시켜 수건의 전 면적을 고루 건조시킴과 동시에 자외선 살균등으로 살균시켜 수건을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에 의한 발열을 외부 환경에 따라 팬으로 배출하여 다습한 외부 환경을 건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의 일부가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수건이 거치되는 수건 거치봉;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된 수건을 건조하도록 열풍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열풍을 순환시키는 건조실을 포함하는 수건 건조기가 제공된다.
상기 건조실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열풍을 상승시키는 제1 송풍기;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된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도록 상기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기는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제1 송풍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된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비율로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된 수건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된 수건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된 수건이 감지되면, 건조 및 살균하도록 건조실 및 자외선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실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열풍을 상승시키는 제1 송풍기; 및 상기 제1 송풍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된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히터에 의한 발열을 팬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수건의 전 면적을 고루 건조시킴과 동시에 자외선 살균등으로 살균시킴으로써, 수건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히터에 의한 발열을 외부 환경에 따라 팬으로 배출함으로써, 다습한 외부 환경을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건 건조기(10)는 본체(100), 수건 거치봉(200), 건조실(300), 습도 센서(400), 자외선 램프(500), 조작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수건(11)을 걸어 보관하고 살균하며 건조할 수 있는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전면에 후술할 제2 송풍기(330), 습도 센서(400) 및 조작부(6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건 거치봉(200)에 수건(11)을 거치할 수 있도록 전면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개방된 전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110)가 설치될 수 있다.
수건 거치봉(200)은 본체(100)의 개방된 전면으로 수건(11)을 거치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실(300)은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건조실(300)에는 히터(310), 제1 송풍기(320), 제2 송풍기(330) 및 감지 센서(340)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310)는 본체(10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310)는 수건(11)을 효과적으로 건조하되 사용자가 화상을 당하지 않도록 최대 90°의 온도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히터(310)는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제1 송풍기(320)는 히터(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제1 송풍기(320)는 히터(310)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가열된 공기(열풍)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1 송풍기(320)는 열풍을 상승시켜 본체(100) 내부를 순환하도록 본체(10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풍기(320)는 수건 거치봉(200)의 아래에 설치되어 히터(310)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상승시켜 수건 거치봉(200)에 거치된 수건(11)을 건조할 수 있다.
제2 송풍기(330)는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제2 송풍기(330)는 본체(100) 내부의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여 본체(100) 내부의 열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제2 송풍기(330)는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제1 송풍기(320)에 의하여 상승된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의 열풍이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송풍기(330)는 제1 송풍기(320)에 의해 상승된 열풍이 본체(100) 내부를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 송풍기(320)와 이격되고, 대류순환이 완료되는 지점인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송풍기(320)가 본체(100)의 하단부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송풍기(320)에서 배출된 열풍은 제1 송풍기(320)의 상부로 이동한 후 본체(100)의 상단부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본체(100)의 하부로 이동하며 본체(100)의 하단부 타측에 이르게 된다. 이때, 제2 송풍기(330)를 본체(100)의 하단부 타측에 배치함으로써, 대류 순환이 완료되는 시점에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본체(100) 내에서 대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2 송풍기(330)는 제1 송풍기(320)의 회전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에 의하여 제1 송풍기(320)에 의해 상승하는 열풍이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본체(100) 내부를 순환하게 되어 수건 거치봉(200)에 거치된 수건(11)의 전 면적을 고루 건조시킬 수 있다.
감지 센서(34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건 거치봉(200)에 거치되는 수건(11)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340)는 수건(11)이 감지되면 수건 건조기(10)가 작동하도록 작동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습도 센서(400)는 본체(100)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400)는 외부의 습도에 따라 제2 송풍기(3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회전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자외선 램프(500)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수건 거치봉(200)에 거치되는 수건(11)을 살균할 수 있다.
조작부(600)는 본체(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수건 건조기(10)의 조작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조작부(6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입력을 제공받으면 조작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조작부(600)는 외부전원을 온, 오프 하기 위한 전원버튼, 히터(310)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설정 버튼, 건조 및 살균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감지 센서(340)로부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히터(310), 제1 송풍기(320), 제2 송풍기(330) 및 자외선 램프(500)를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히터(310), 제1 송풍기(320), 제2 송풍기(330) 및 자외선 램프(500)를 작동하여 수건 거치봉(200)에 거치된 수건을 건조 및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습도 센서(400)로부터 외부 습도 정보가 입력되면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외부 습도 정보가 기 설정된 습도 이상일 경우,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외부로 열풍을 배출할 수 있다. 이에, 화장실과 같은 다습한 외부 환경에 의하여 수건(11)에 세균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을 증가하여 외부 환경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0)는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가 제1 송풍기(320)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가 제1 송풍기(320)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제1 송풍기(320)의 회전 속도를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비율로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송풍기(330)의 회전 속도에 의하여 제1 송풍기(320)에 의해 상승하는 열풍이 수건(11)을 건조하지 못하고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조작부(600)로부터 온도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히터(310)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타이머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수건(11)을 건조 및 살균하도록 히터(310), 제1 송풍기(320), 제2 송풍기(330) 및 자외선 램프(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및 타이머에 따라 수건(11)을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2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20)은 컴퓨팅 장치(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2)는 제어부(7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2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 및 통신 버스(2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는 컴퓨팅 장치(2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2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에 저장된 프로그램(30)은 프로세서(2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2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28)는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2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2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2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3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3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36)는 통신 버스(2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3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컴퓨팅 장치(2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3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34)는 컴퓨팅 장치(2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2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2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2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10: 도어
200: 수건 거치봉
300: 건조실
310: 히터
320: 제1 송풍기
330: 제2 송풍기
340: 감지 센서
400: 습도센서
500: 자외선 램프
600: 조작부
700: 제어부

Claims (8)

  1. 수건 건조기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의 일부가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수건이 거치되는 수건 거치봉;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되는 수건을 건조하도록 열풍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열풍을 순환시키는 건조실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실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열풍을 상승시키는 제1 송풍기;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되는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도록 상기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건 건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기는,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송풍기는,
    상기 제1 송풍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되는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는, 수건 건조기.
  4. 삭제
  5. 삭제
  6. 수건 건조기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면의 일부가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수건이 거치되는 수건 거치봉;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되는 수건을 건조하도록 열풍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열풍을 순환시키는 건조실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실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열풍을 상승시키는 제1 송풍기;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되는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도록 상기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와 동일한 비율로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수건 건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되는 수건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되는 수건을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건 거치봉에 거치되는 수건이 감지되면, 건조 및 살균하도록 건조실 및 자외선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건 건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본체 내부의 하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의 열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열풍을 상승시키는 제1 송풍기; 및
    상기 제1 송풍기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상승되는 열풍이 상기 본체 내부를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건 건조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외부 습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2 송풍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송풍기의 회전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건 건조기.

KR1020180142091A 2018-11-16 2018-11-16 수건 건조기 KR10200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91A KR102005893B1 (ko) 2018-11-16 2018-11-16 수건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91A KR102005893B1 (ko) 2018-11-16 2018-11-16 수건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893B1 true KR102005893B1 (ko) 2019-07-31

Family

ID=6747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091A KR102005893B1 (ko) 2018-11-16 2018-11-16 수건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9098A (zh) * 2022-09-14 2023-01-03 深圳市商海龙实业有限公司 一种酒店毛巾消毒用循环式烘干机
KR102587814B1 (ko) * 2023-02-28 2023-10-10 방선경 Uv 살균 기능성 타월장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10Y1 (ko) * 2002-02-21 2002-05-04 김범진 위생 수건 건조 장치
KR200344715Y1 (ko) * 2003-12-24 2004-03-12 김성근 수건 살균 및 건조장치
KR100778357B1 (ko) * 2006-09-06 2007-11-29 이수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KR100787650B1 (ko) 2006-11-23 2007-12-21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건 건조기
KR20110101716A (ko) * 2010-03-09 2011-09-16 박상기 행주 살균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710Y1 (ko) * 2002-02-21 2002-05-04 김범진 위생 수건 건조 장치
KR200344715Y1 (ko) * 2003-12-24 2004-03-12 김성근 수건 살균 및 건조장치
KR100778357B1 (ko) * 2006-09-06 2007-11-29 이수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KR100787650B1 (ko) 2006-11-23 2007-12-21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건 건조기
KR20110101716A (ko) * 2010-03-09 2011-09-16 박상기 행주 살균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9098A (zh) * 2022-09-14 2023-01-03 深圳市商海龙实业有限公司 一种酒店毛巾消毒用循环式烘干机
CN115559098B (zh) * 2022-09-14 2024-05-03 深圳市商海龙实业有限公司 一种酒店毛巾消毒用循环式烘干机
KR102587814B1 (ko) * 2023-02-28 2023-10-10 방선경 Uv 살균 기능성 타월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893B1 (ko) 수건 건조기
JP2017521150A (ja) 衣服消毒器
KR101740325B1 (ko) 구강스캐너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스캐너 시스템
KR102297550B1 (ko)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JP2006198318A (ja) 自動ドア連動型乾燥殺菌装置
KR200480835Y1 (ko) 도마 살균기
KR20180067874A (ko) 욕실관리시스템
KR200441777Y1 (ko) 양치질 유도용 칫솔 살균건조장치
KR20180054004A (ko) 빌트인 신발장
KR200417336Y1 (ko) 위생신발장
KR200344715Y1 (ko) 수건 살균 및 건조장치
KR102197117B1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JP2006075311A (ja) 紫外線殺菌キャビネット
KR101337572B1 (ko) 싱크대 설치용 원적외선 및 건조장치
KR100669181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살균보관방법
KR20100006283A (ko) 전자 옷장
KR101981018B1 (ko) 건조 살균 기능을 갖는 수건걸이대
KR102395130B1 (ko) 전기 소독기
KR200403752Y1 (ko) 살균 핸드 드라이어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102297551B1 (ko) 탈취제 주입 및 건조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관리 시스템
KR102453232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수건걸이
KR20070083401A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KR200415480Y1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KR200245151Y1 (ko) 욕실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