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365B1 - 의류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365B1
KR102259365B1 KR1020200150074A KR20200150074A KR102259365B1 KR 102259365 B1 KR102259365 B1 KR 102259365B1 KR 1020200150074 A KR1020200150074 A KR 1020200150074A KR 20200150074 A KR20200150074 A KR 20200150074A KR 102259365 B1 KR102259365 B1 KR 10225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re space
coupled
car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시풍
Original Assignee
유시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시풍 filed Critical 유시풍
Priority to KR102020015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제로 제거하고 살균 및 탈취기능까지 겸비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관리기는 내부에 케어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케어공간에 설치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행거와,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어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부와, 케어공간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제로 제거하고 살균 및 탈취기능까지 겸비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clothes care)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관리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교환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의류 등의 구김 제거, 탈취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납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는 기계실에 구비된 열교환장치에 의하여 관리실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는 열교환장치에 의해 제습되어 다시 관리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에 의류를 수납하는 방법으로, 옷걸이를 이용하여 거는 방법과, 랙에 얹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6601호에는 의류관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캐비닛,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생성모듈, 상기 캐비닛의 내부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스팀생성모듈에 의한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스팀가이드 및 상기 스팀가이드로부터 상기 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팀가이드를 바라보는 일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는 무빙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의 의류관리기는 의류의 구김을 펴기 위해 뜨거운 온도의 스팀을 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나, 뜨거운 스팀을 이용할 경우 열에 약한 의류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오히려 구김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관리기는 제습을 위해 냉동사이클을 이용하고 있다. 냉동사이클을 이용할 경우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을 함께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6601호: 의류관리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가습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고 살균 및 탈취기능까지 겸비한 의류관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관리기는 내부에 케어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케어공간에 설치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행거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어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부와; 상기 케어공간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케어공간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박스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상기 케어공간으로 분사하는 무화분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케어공간으로 보내는 팬유닛과, 상기 팬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을 살균 및 탈취하기 위한 살균탈취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도어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파지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도어패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도어패널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행거를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무빙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케어공간의 상부에 위치한 장착패널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행거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모듈과,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이동수단과, 상기 제 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이동수단은 상기 장착패널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장착패널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편심캠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습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살균 및 탈취기능까지 겸비하는 다기능의 의류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관리기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제로 제거하므로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종래의 의류관리기에 비해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캠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의류관리기에 설치된 행거를 효과적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제습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무빙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행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무빙유닛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무빙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무빙유닛을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적용된 도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류관리기는 내부에 케어공간(2)이 마련된 본체(1)와, 케어공간(2)에 설치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행거(100)와, 본체(1)의 일면에 결합되어 케어공간(2)을 개폐하는 도어(60)와, 본체(1)에 설치되어 케어공간(2)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와, 본체(1)에 설치되어 케어공간(2)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부와, 케어공간(2)의 외부에 설치되어 케어공간(2)에서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한다.
본체(1)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케어공간(2)을 가지면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본체(1)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박스(50)가 마련된다. 하부박스(50)의 내부에는 수분공급부와 열풍공급부가 설치된다. 하부박스(50)의 후면에는 통기구가 설치된다. 본체(1)의 상부에는 상판(4)이 설치되고, 상판(4)과 케어공간(2) 사이에 장착패널(5)이 설치된다.
본체(1)의 내부에는 의류를 지지하는 행거(100)가 설치된다. 행거(100)에는 다수의 걸이홈이 마련된다. 걸이홈에는 통상적인 옷걸이를 걸 수 있다.
도어(60)는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되어 케어공간(2)을 개폐한다.
도어(60)는 도어패널(61)과, 도어패널(61)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1)와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66)과, 도어패널(61)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와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68)과, 도어패널(61)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62a)를 구비한다.
도어패널(61)은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도어패널(61)은 실링부재(62a)가 구비된 플레이트(62)와, 플레이트(62)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63)로 이루어진다.
커버(63)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63)의 좌우 양측에는 절곡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절곡부(64)(65)가 각각 마련된다. 제 1절곡부(64)는 파지홈(64a)이 만들어지도록 절곡된다. 이러한 파지홈(64a)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파지홈(64a)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부위이다. 이러한 구조의 파지홈(64a)은 도어(60)를 열고 닫을 때 손잡이 역할을 한다.
커버(63)의 제 1 및 제 2절곡부(64)(65)는 플레이트(62)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홈에 끼어져 결합된다.
상부프레임(66)은 도어패널(6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프레임(66)은 상부힌지브라켓(67)에 의해 본체(1)와 힌지결합된다.
하부프레임(65)은 도어패널(61)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프레임(65)은 하부힌지브라켓(69)에 의해 본체(1)와 힌지결합된다.
실링부재(68)는 도어패널(61)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실링부재(62a)는 도어(60)를 닫았을 경우 케어공간(2)의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실링부재가 적용된다.
수분공급부는 본체(1)에 설치되어 케어공간(2)으로 수분을 공급한다.
수분공급부는 케어공간(2)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박스(5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조(51)와, 하부박스(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5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케어공간(2)으로 분사하는 무화분사부를 구비한다.
수조(51)는 하부박스(5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구로 인입되어 하부박스(50)에 설치된다. 수조(51)에는 뚜껑이 마련되어 내부로 물을 채워넣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화분사부는 수조(51)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무화시켜 분사한다. 무화분사부로 초음파를 이용한 구조를 예로 들수 있다. 이러한 무화분사부는 통상적인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무화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수분은 하부박스(50)의 상부에 형성된 수분공급홀(53)을 통해 케어공간(2)으로 유입된다.
케어공간(2)으로 유입된 수분은 행거(100)에 걸린 의류의 구김을 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무화분사부는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온의 물방울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종래의 의류관리기를 이용할 경우 열에 약한 의류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오히려 구김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온의 물방울을 공급하므로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는 본체(1)에 설치되어 케어공간(2)으로 열풍을 공급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열풍공급부는 일예로 하부박스(5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케어공간(2)으로 보내는 팬유닛과, 팬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을 구비한다.
팬유닛은 하부박스(50)의 후면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박스(50)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55)를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히팅수단으로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히터는 팬유닛의 토출구와 배기구(55)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설치될 수 있다. 팬유닛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연결관을 지나면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배기구(55)를 통해 케어공간(20으로 유입된다.
케어공간(2)으로 유입된 열풍은 행거(100)에 걸린 의류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케어공간(2) 내의 공기는 제습수단을 통과하여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습수단은 케어공간(2)의 외부에 설치된다. 제습수단은 케어공간(2)에서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습수단은 제습케이스(70)와, 제습케이스(70)의 내부에 수용된 제습제(79)를 구비한다.
제습케이스(70)는 장착패널(5)에 장착되는 하부케이스(73)와, 하부케이스(73)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76)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73)의 바닥에는 다수의 유입홀들(74)이 형성된다. 유입홀(74)을 통해 케어공간(2) 내부의 공기 및 수분이 제습케이스(7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부케이스(76)는 하부케이(73)스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케이스(76)의 상부에는 다수의 토출구들(77)이 형성된다. 토출구(77)를 통해 제습케이스(7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부케이스(76)의 상부는 상판(4)에 형성된 사각의 관통홀(3)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제습제(79)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제(79)로 실리카겔을 이용할 수 있다.
제습케이스(7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제습제(79)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토출구(77)를 통해 제습케이스(7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관리기에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습제로 제거하므로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제습하는 종래의 의류관리기에 비해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살균탈취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살균탈취수단은 케어공간(2)을 살균 및 탈취시킨다. 이러한 살균탈취수단의 일 예는 케어공간(2)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80)이다. 자외선램프(8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살균과 탈취에 유효하다. 도시된 예에서 자외선램프(80)는 본체(1)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살균탈취수단의 다른 예는 플라즈마 발생기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방전으로 발생시킨 오존가스와 OH라디칼은 케어공간 내의 세균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행거를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무빙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무빙유닛은 케어공간의 상방에 위치한 장착패널(5)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과,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행거(100)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모듈(20)과, 슬라이딩모듈(2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이동수단과, 제 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딩모듈(20)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장착패널(5)과 본체(1)의 상판(2) 사이에 무빙유닛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장착패널(5)은 베이스플레이트(6)와, 베이스플레이트(6)의 상부에 결합된 장착커버(7)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10)은 장착커버(7)에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레일(10)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전후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0)의 일측은 장착커버(7)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하우징(9)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10)의 타측은 장착커버(7)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11)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모듈(20)은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모듈(20)은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는 이동블록(21)과, 베이스플레이트(6)를 관통하여 이동블록(21)과 행거(100)를 연결하는 연결대(23)와, 이동블록(2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롤러(25)를 구비한다.
이동블록(21)은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어 장착커버(7)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동블록(21)은 장착커버(7)와 이격된다. 이동블록(21)에는 가이드레일(10)이 삽입되는 2개의 삽입홀이 형성된다. 삽입홀은 이동블록(21)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연결대(23)는 이동블록(21)의 하부에 결합된다. 연결대(23)가 베이스플레이트(6)를 관통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6)에는 사각의 관통홀(8a)이 형성된다. 관통홀(8a)의 좌우 폭은 이동블록(21)의 좌우 이동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동블록(21)에 결합된 연결대(23)의 하부는 행거(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블록(21)이 좌우로 이동하면 행거(100) 역시 좌우로 이동한다. 연결대의 행거는
행거(100)의 좌우 이동시 행거(1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행거의 좌우 양측 각각에 보조연결대(29)가 설치된다. 보조연결대(29)가 베이스플레이트(6)를 관통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6)에는 사각의 보조관통홀(8b)이 형성된다. 보조관통홀(8b)의 좌우 폭은 이동블록의 좌우 이동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보조연결대(29)의 상부에는 걸림패널(28)이 설치된다. 걸림패널(28)의 전후 길이는 보조관통홀(8b)의 전후 길이보다 더 크다. 따라서 걸림패널(28)은 베이스플레이트(6) 위에 얹혀진다. 걸림패널(28)은 슬라이딩모듈(20)의 좌우 이동시 함께 좌우로 이동한다. 걸림패널(28)의 저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6)와 접촉하는 구름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롤러(25)는 이동블록(21)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동블록(21)의 일측 상부에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고정축에 회전롤러(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이동수단은 슬라이딩모듈(2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이동수단은 장착커버(7)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베이스플레이트(6)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33)과, 모터(31)의 회전력을 회전축(33)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회전축(33)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모듈(20)을 회전축(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편심캠(35)을 구비한다.
모터(31)는 장착커버(7)의 상부에 설치된다. 모터(7)는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축(33)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축(33)은 베이스플레이트(6)에 설치되어 고정하우징(9)을 관통하여 고정하우징(9)의 상방으로 노출된다.
동력전달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터(31)의 회전력을 회전축(3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일 예로 동력전달부는 모터(31)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풀리(41)와, 회전축(33)에 결합된 종동풀리(43)와, 구동풀리(41)와 종동풀리(43)를 연결하는 벨트(45)와, 벨트(45)와 접촉하여 벨트(45)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셔너(47)를 구비한다.
구동풀리(41)는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구동풀리(41)는 종동풀리(4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구동풀리(41)는 모터(31)의 구동축 상부에 결합된다.
종동풀리(43)는 외주면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 종동풀리(43)는 구동풀리(4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종동풀리(43)는 회전축(33)의 상부에 결합된다.
한편, 동력전달부는 기어와 기어를 연결하는 방식, 스프라킷과 체인을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편심캠(35)은 회전축(33)에 결합된다. 편심캠(35)은 종동풀리(43)의 하방에 위치한다. 편심캠(35)은 회전축(33)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즉, 회전축(33)은 편심캠(35)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편심캠(35)의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한다.
편심캠(35)은 회전롤러(25)와 접촉된다. 따라서 편심캠(35)이 회전할 경우 회전롤러(25)는 회전하면서 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일방향은 회전축(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 2이동수단은 제 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딩모듈(20)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2이동수단은 일측이 슬라이딩모듈(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장착커버(7)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모듈(20)을 회전축(33)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기기 위한 탄성부재(5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50)로 인장 스프링을 이용할 있다. 탄성부재(50)의 일측은 이동블록(21)에 형성된 제 1돌기(51)에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50)의 타측은 고정하우징(9)에 형성된 제 2돌기(53)에 결합된다. 편심캠(35)에 의해 이동블록(21)이 회전축(33)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발생되는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블록(21)은 회전축(33)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이동블록(21)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블록(21)이 왕복이동하여 행거(100)가 의류를 좌우로 흔들면 의류의 탈취, 건조 및 주름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무빙유닛이 행거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전후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본체 5: 장착패널
10: 가이드레일 20:슬라이딩모듈
21: 이동블록 25: 회전롤러
31: 모터 33: 회전축
35: 편심캠 60: 도어
70: 제습케이스 100: 행거

Claims (7)

  1. 내부에 케어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케어공간에 설치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행거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어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부와;
    상기 케어공간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행거를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무빙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케어공간의 상부에 위치한 장착패널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행거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모듈과,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이동수단과, 상기 제 1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이동수단은 상기 장착패널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장착패널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편심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이동수단은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모듈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모듈을 상기 회전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기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케어공간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박스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무화시켜 상기 케어공간으로 분사하는 무화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케어공간으로 보내는 팬유닛과, 상기 팬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어공간을 살균 및 탈취하기 위한 살균탈취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파지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도어패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도어패널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관리기.
  6. 삭제
  7. 삭제
KR1020200150074A 2020-11-11 2020-11-11 의류관리기 KR10225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74A KR102259365B1 (ko) 2020-11-11 2020-11-11 의류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74A KR102259365B1 (ko) 2020-11-11 2020-11-11 의류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365B1 true KR102259365B1 (ko) 2021-05-31

Family

ID=7615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074A KR102259365B1 (ko) 2020-11-11 2020-11-11 의류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1984A (ko) * 2021-10-12 2023-04-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제조 장치
KR20230061008A (ko) 2021-10-28 2023-05-08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청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798A (ko) * 2008-08-20 201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0955219B1 (ko) * 2009-09-21 2010-05-06 (주)썬트리즈 제습,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기능성 가구
KR20110067837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82652A (ko)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의류 관리기
KR102106601B1 (ko) 2019-04-22 2020-05-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798A (ko) * 2008-08-20 201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0955219B1 (ko) * 2009-09-21 2010-05-06 (주)썬트리즈 제습,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기능성 가구
KR20110067837A (ko) * 2009-12-15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80082652A (ko)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의류 관리기
KR102106601B1 (ko) 2019-04-22 2020-05-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1984A (ko) * 2021-10-12 2023-04-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제조 장치
WO2023063595A1 (ko) * 2021-10-12 2023-04-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제조 장치
KR102635267B1 (ko) 2021-10-12 2024-0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제조 장치
KR20230061008A (ko) 2021-10-28 2023-05-08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020510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525568B1 (ko) 의류 처리 장치
EP2385998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259365B1 (ko) 의류관리기
US8505340B2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TWI496968B (zh) 衣物處理裝置
KR20110067834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0595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5995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778357B1 (ko)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US2023028762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CN116670354A (zh) 衣物处理设备
KR102425538B1 (ko) 의류관리기
KR102386713B1 (ko) 의류처리장치
JP3240761U (ja) 衣類のuv殺菌乾燥装置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CN116670353A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