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121A -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 Google Patents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121A
KR20050091121A KR1020040016200A KR20040016200A KR20050091121A KR 20050091121 A KR20050091121 A KR 20050091121A KR 1020040016200 A KR1020040016200 A KR 1020040016200A KR 20040016200 A KR20040016200 A KR 20040016200A KR 20050091121 A KR20050091121 A KR 20050091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hot air
hanger
bathroom
towel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349B1 (ko
Inventor
이석영
Original Assignee
이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영 filed Critical 이석영
Priority to KR102004001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는 걸이봉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체결구 중에서 어느 일측 체결구의 내부에 전기히터와 송풍팬 그리고 이온발생장치 및 향발생장치 등을 설치하고, 그 체결구와 걸이봉에는 분사공을 각각 통공하여,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팬에 의해 체결구와 걸이봉의 각 분사공을 통해 외부로 송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기히터와 송풍팬을 가동시켜 체결구와 걸이봉의 각 분사공을 통하여 열풍을 분사시켜 머리를 감은 후에 머리를 말릴거나 걸이봉에 걸어져 있는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고, 동시에 욕실의 내부를 건조시켜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열풍과 함께 이온 및 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세탁물의 상태와 섬유질감을 원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욕실을 보다 신선하고 향긋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전기히터와 송풍팬 및 이온발생장치와 향발생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세탁물을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열풍을 발생시켜 욕실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A Electric Hot Wind Type Towel Hanger}
본 발명은 주로 욕실에 설치되어 수건을 걸어 놓는 수건걸이대를 개선하여, 열풍을 분사시켜 주도록 하되, 이온과 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걸이봉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체결구 중에서 어느 일측 체결구의 내부에 전기히터와 송풍팬 그리고 이온발생장치 및 향발생장치 등을 설치하고, 체결구와 걸이봉에는 분사공을 통공하여,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팬에 의해 걸이봉과 체결구의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시켜 걸이봉에 걸어져 있는 젖은 수건을 건조시키거나 머리를 감은 후에 건조시킬 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욕실의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열풍과 함께 이온 및 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열풍과 함께 분사시켜 줌으로서 욕실을 보다 쾌적하고 상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수건걸이대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1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수건걸이대는 볼트(8)를 이용하여 욕실의 벽면에 이격 고정된 각 고정컵(6)의 전면에 지지대(4)와 체결구(3)가 일체로 된 지지컵(5)을 씌운 상태에서 핀볼트(7)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이격된 체결구(3)의 사이에는 걸이봉(2)의 양단을 삽입시켜 장착하며, 수건을 걸이봉(2)에 걸어주게 되며, 특히 젖어 있는 수건은 걸이봉(2)에 걸어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건조되어지도록 방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수건걸이대는 단순히 수건을 걸어주도록 하는 극히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고, 젖어 있는 수건을 걸어줄 때에는 자연 건조될 때까지 방치하게 되므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용되고 습기에 의해 걸이봉이 부식하게 되며, 특히 젖은 수건을 걸어주게 되면 수건에서 발생되는 수분에 의해 욕실의 내부에는 곰팡이가 발생하여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건걸이대의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2- 3657호 "욕실용 수건건조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 269788호 "열풍식 구건살균건조대"가 알려져 있다.
전자는 발열선이 내장된 발열판을 래칫기구에 의해 욕실에 고정 설치되는 수건걸이대에 설치해 주도록 된 것으로, 수건걸이대의 걸이봉에 걸어져 있는 수건이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발열판의 열기에 의해 건조되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발열선이 내장된 발열판을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소요되고, 단순히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젖은 수건을 건조시키므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기를 낭비하게 되며, 발열판의 내부에 내장된 발열선에서 열기가 발생되어 발열판의 주변에만 열기가 미치게 되므로 욕실을 건조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발열선을 장시간 가동시켜야 하지만 건조가 용이치 못하고 오히려 전기를 크게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후자는 상하로 이격된 지지대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기발열체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일 측에 제어판과 오존발생장치 및 송풍팬을 상중하로 설치하고, 이들의 전면과 배면에 방열공이 통공된 상자형의 금속하우징판을 설치하여, 전기발열체와 제어판과 오존발생장치 및 송풍팬을 내장시켜 열풍식 수건살균건조대를 형성하되, 상기 열풍식 살균건조대를 욕조의 벽체에 설치된 수건걸이대에 걸어 주도록 된 것으로서, 전기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기를 발생시키는 상태에서 송풍팬을 작동시키면 열풍이 금속하우징판의 방열공을 통하여 외부(욕실)로 분사되면서 수건걸이대에 걸어져 있는 수건을 건조시키고, 동시에 욕실을 건조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전기발열체가 등이 내장된 열풍식 수건살균건조대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소요되고, 열풍식 수건살균건조대를 욕실의 수건걸이대에 걸어 설치하여야 하므로 수건 걸이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건걸이대의 하측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2- 3657호 "욕실용 수건건조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 269788호 "열풍식 구건살균건조대"에는 이온 및 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열선 또는 전기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단순히 수건을 건조시키거나 욕실을 건조시킬 뿐 수건 및 욕실의 실내를 신선하고 싱그러우면서도 향기롭게 유지시킬 수 없는 단순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걸이봉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체결구 중에서 어느 일측 체결구의 내부에 전기히터와 송풍팬 그리고 이온발생장치 및 향발생장치 등을 설치하고, 걸이봉에는 분사공을 통공하여,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팬에 의해 그 체결구와 걸이봉의 분사공을 통해 외부로 송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히터와 송풍팬을 가동시켜 체결구와 걸이봉의 각 분사공을 통하여 열풍을 분사시켜 줌으로서, 머리를 감아 말려주도록 하고나 걸이봉에 걸어져 있는 젖은 수건을 건조시키고, 동시에 욕실의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욕실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풍과 함께 이온 및 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열풍과 함께 분사시켜 줌으로서 욕실을 살균시키고 보다 신선하고 쾌적하며 상큼하면서도 향긋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수건걸이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열풍발생장치를 부가적으로 제작(제조)하거나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그에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수건걸이대의 하측 공간을 그대로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팬에 의해 송풍시켜 걸이봉의 분사공을 통하여 많은 량의 열풍을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젖은 수건의 건조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건을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열풍을 발생시켜 욕실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한 쌍의 고정컵(6)을 볼트(8)를 이용하여 욕실의 벽면에 이격 고정시키고, 각 고정컵(6)의 전면에 지지대(4)와 체결구(3)가 일체로 된 지지컵(5)을 씌운 상태에서 핀볼트(7)로 체결 고정시키며, 이격 고정 설치된 체결구(3)의 사이에는 걸이봉(2)의 양단을 삽입 장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의 내부를 공간부로 형성하여 걸이봉(2)과 연통시킨 것과,
어느 일측의 체결구(3)의 내부에는 통상의 송풍팬(20)과 전기히터(21) 및 이온발생장치(22)와 향발생장치(23)를 설치한 것과,
그 체결구(3)의 외면에 컨트롤러(11)를 구비하되, 컨트롤러(11)에는 전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ON/OFF스위치(12)와, 체결구(3)의 내부에 내장된 송풍팬(20)과 전기히터(21)와 이온발생장치(22) 및 향발생장치(23)의 작동을 단속하는 팬작동스위치(13)와 히터작동스위치(14)와 이온발생스위치(15) 및 향발생스위치(16)를 구비한 것과,
각종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체결구(3)에 에어분사공(3-1)을 통공하고, 걸이봉(2)에 분사공(10)을 통공한 것과,
각종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그 체결구(3)와 걸이봉(2)의 연결부에 열풍의 유통을 단속하는 에어개폐장치를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2c는 도 1에 예시된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에서 일측 체결구에 설치되어지는 에어개폐장치 및 작동관계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에 설치되어지는 열풍과 음이온 및 향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회5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한 쌍의 고정컵(6)을 볼트(8)를 이용하여 욕실의 벽면에 이격 고정시키고, 각 고정컵(6)의 전면에 지지대(4)와 체결구(3)가 일체로 된 지지컵(5)을 씌운 상태에서 핀볼트(7)로 체결 고정시키며, 이격 고정 설치된 체결구(3)의 사이에는 걸이봉(2)의 양단을 삽입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기히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구(3)의 내부를 공간부로 형성하여 걸이봉(2)과 연통되어지도록 하되, 양측의 체결구(3)중에서 어느 일측의 체결구(3)의 전면에는 에어분사공(3-1)을 통공하였고, 그 체결구(3)의 내부에는 통상의 송풍팬(20)과 전기히터(21) 및 이온발생장치(22)와 향발생장치(23)를 설치하였으며, 그 체결구(3)의 외면에 컨트롤러(11)를 구비하였다.
일측 체결구(3)에 설치되는 상기 컨트롤러(11)에는 전기플러그(18)와 다운트랜스(1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할 수 있도록 ON/OFF스위치(12)를 설치하였고, 또한 체결구(3)의 내부에 내장된 송풍팬(20)의 작동을 단속하는 팬작동스위치(13)와, 전기히터(21)의 작동을 단속하는 히터작동스위치(14)와, 이온발생장치(22)의 작동을 단속하는 이온발생스위치(15) 그리고 향발생장치(23)의 작동을 단속하는 향발생스위치(16)를 각각 구비하였으며, 상기 다운트랜스(17)는 체결구(3)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체결구(3)의 외측에 노출시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종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체결구(3)와 걸이봉(2)과의 연결(접속)부에는 에어(열풍)의 유통을 단속할 수 있도록 에어개폐장치를 설치하였다.
상기 에어개폐장치는 걸이봉(2)의 내부선단에 유통공(25)이 등각으로 통공된 고정판(24)을 고정 설치하였고, 체결구(3)측에는 유통공(17)이 등각으로 통공된 개폐판(26)을 구비하여 그 중심을 축(28)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였으며, 개폐판(26)의 외주에는 체결구(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29)를 설치하여 개폐판(26)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유통공(25)(26)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이격된 체결구(3)의 사이에 설치되는 걸이봉(2)에는 분사공(10)을 통공하였는데, 도 1 및 도 2a에 예시된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길게 통공하거나, 또는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이 홀(구멍)을 등각도 및 등간격으로 유지시켜 통공할 수 있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는 도 1 및 도 2a에 예시된바와 같이 욕실의 벽면에 장착(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전기플러그(18)를 콘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꽂아 주면, 공급되는 교류전압(110 ~ 220V)은 다운트랜스(17)에 의해 직류 저 전압(DC 9V)으로 낮춰 진 상태에서 컨트롤러(11)로 공급되어지며, 컨트롤러(11)에 직류 저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스위치인 ON/OFF스위치(12)를 ON시켜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여준다.
전기히터작동스위치(14)를 ON시키면 전원이 체결구(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히터(21)로 공급되어 전기히터(21)는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전기히터(21)가 전열되고 있는 상태에서 팬작동스위치(13)를 ON시켜 송풍팬(20)을 작동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전기히터(21)와 송풍팬(20)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열풍을 걸이봉(2)의 분사공(10)으로 분사시켜 주고자 할 때에는 체결구(3)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29)를 전방으로 당겨 도 4c에 예시된바와 같이 개폐판(26)의 유통공(27)을 고정판(24)의 유통공(25)에 일치시켜 줌으로서 열풍을 걸이봉(2)의 분사공(10)으로 분사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팬(20)이 작동하게 되면 전기히터(21)에서 발생되는 전열은 걸이봉(2)측으로 이동하면서 걸이봉(2)에 통공되어 있는 분사공(10)을 통하여 열풍상태로 분사되어지며, 분사공(10)을 통하여 욕실로 분사되어지는 열풍에 의해 걸이봉(2)에 걸려져 있는 젖은 수건은 건조되어지고 또한 욕실의 습기도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진다.
또한 이온발생스위치(15)를 ON시키게 되면 이온발생장치(22)에서는 이온이 발생되어지고, 향발생스위치(16)를 ON시키게 되면 향발생장치(23)에서도 향이 발생되어지며, 이와 같이 이온발생장치(22) 및 향발생장치(23)에서 발생되는 이온 및 향은 송풍팬(20)의 풍력(풍압)에 의해 걸이봉(2)으로 이동하여 분사공(10)을 통하여 열풍과 함께 분사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온발생장치(22)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거나 향발생장치(23)에 의해 향기를 발생시킬 때에, 전기히터(21)와 함께 가동시켜 열풍과 함께 분사시켜 줌으로서 수건을 건조시키거나 욕실을 건조시킬 때에 음이온과 향기를 발생시켜 수건에 향기가 배이도록 하거나 욕실의 공기를 청정하고 향긋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더불어 세탁물의 상태를 원상태로 보존하고 섬유질감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또는 전기히터(21)를 가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시켜 단순히 송풍팬(20)에서 발생되는 풍력(바람)과 함께 분사시켜 욕실의 공기를 청정하고 향긋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온발생장치(22)와 향발생장치(23)를 작동시켜 음이온과 향기를 욕실에 분사시켜 주게 되면 수건 또는 욕실의 내부(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그럽고 향긋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향발생장치(23)에 장전되는 향수병은 향기가 다른 향수병을 선택적으로 장전시켜 줌으로서 취향에 따라 다양한 향기를 발생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1)에서 열풍과 음이온 및 향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통상의 수건걸이처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전원의 공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송풍팬(20)과 전기히터(21)와 이온발생장치(22) 및 향발생장치(23)의 작동을 원천적으로 중지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열풍을 체결구(3)의 에어분사공(3-1)으로 분사시켜 젖은 머리를 말려주고자 할 때에는, 레버(29)를 도 4b에 예시된바와 같이 역으로 회전시켜 주게되면 개폐판(26)의 유통공(27)이 고정판(24)의 유통공(26)과 어긋나 유통공(26)이 개폐판(26)의 폐쇄부분에 의해 폐쇄되면서 열풍은 걸이봉(2)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체결구(3)의 에어분사공(3-1)을 통하여 분사되어지며, 이와 같이 에어분사공(3-1)으로 분사되어지는 열풍을 이용하여 젖은 머리를 건조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는 걸이봉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체결구 중에서 어느 일측 체결구의 내부에 전기히터와 송풍팬 그리고 이온발생장치 및 향발생장치 등을 설치하고, 그 체결구와 걸이봉에는 분사공을 각각 통공하여, 전기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송풍팬에 의해 체결구와 걸이봉의 각 분사공을 통해 외부로 송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전기히터와 송풍팬을 가동시켜 체결구와 걸이봉의 각 분사공을 통하여 열풍을 분사시켜 머리를 감은 후에 머리를 말릴거나 걸이봉에 걸어져 있는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욕실의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시켜 욕실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열풍과 함께 이온 및 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줌으로서 세탁물의 상태와 섬유질감을 원상태로 유지시키고 동시에 욕실을 보다 신선하고 상큼하면서도 향긋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벽면에 설치되는 수건걸이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열풍발생장치를 부가적으로 제작(제조)하거나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와 송풍팬 및 이온발생장치와 향발생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세탁물을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열풍을 발생시켜 욕실의 습기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를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에서 일측 체결구에 설치되어지는 에어개폐장치 및 작동관계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에 설치되어지는 열풍과 음이온 및 향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2: 걸이봉 3: 체결구
4: 지지대 5: 지지컵 6: 고정컵
10: 분사구 11: 컨트롤러 12: ON/OFF스위치
13: 팬작동스위치 14: 히터작동스위치 15: 이온발생스위치
16: 향발생스위치 17: 다운트랜스 20: 송풍팬
21: 전기히터 22: 이온발생장치 23: 향발생장치

Claims (4)

  1. 한 쌍의 고정컵(6)을 볼트(8)를 이용하여 욕실의 벽면에 이격 고정시키고, 각 고정컵(6)의 전면에 지지대(4)와 체결구(3)가 일체로 된 지지컵(5)을 씌운 상태에서 핀볼트(7)로 체결 고정시키며, 이격 고정 설치된 체결구(3)의 사이에는 걸이봉(2)의 양단을 삽입 장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의 내부를 공간부로 형성하여 걸이봉(2)과 연통시킨 것과,
    어느 일측의 체결구(3)의 내부에는 통상의 송풍팬(20)과 전기히터(21) 및 이온발생장치(22)와 향발생장치(23)를 설치한 것과,
    그 체결구(3)의 외면에 컨트롤러(11)를 구비하되, 컨트롤러(11)에는 전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ON/OFF스위치(12)와, 체결구(3)의 내부에 내장된 송풍팬(20)과 전기히터(21)와 이온발생장치(22) 및 향발생장치(23)의 작동을 단속하는 팬작동스위치(13)와 히터작동스위치(14)와 이온발생스위치(15) 및 향발생스위치(16)를 구비한 것과,
    각종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체결구(3)에 에어분사공(3-1)을 통공하고, 걸이봉(2)에 분사공(10)을 통공한 것과,
    각종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그 체결구(3)와 걸이봉(2)의 연결부에 열풍의 유통을 단속하는 에어개폐장치를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종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체결구(3)와 걸이봉(2)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에어개폐장치는,
    걸이봉(2)의 내부선단에 유통공(25)이 등각으로 통공된 고정판(24)을 고정 설치한 것과,
    체결구(3)측에는 유통공(17)이 등각으로 통공된 개폐판(26)을 구비하여 그 중심을 축(28)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과,
    개폐판(26)의 외주에는 체결구(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레버(29)를 설치하여 개폐판(26)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유통공(25)(26)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걸이봉(2)에 통공되는 분사공(10)은,
    걸이봉(2)의 외주에 일직선상으로 길게 통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걸이봉(2)에 통공되는 분사공(10)은,
    걸이봉(2)의 외주에 등각 및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통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KR1020040016200A 2004-03-10 2004-03-10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KR100639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200A KR100639349B1 (ko) 2004-03-10 2004-03-10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200A KR100639349B1 (ko) 2004-03-10 2004-03-10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121A true KR20050091121A (ko) 2005-09-15
KR100639349B1 KR100639349B1 (ko) 2006-10-27

Family

ID=3727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200A KR100639349B1 (ko) 2004-03-10 2004-03-10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57B1 (ko) * 2006-09-06 2007-11-29 이수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CN103142175A (zh) * 2013-03-27 2013-06-12 桂郁青 毛巾架装置
CN104729242A (zh) * 2015-03-27 2015-06-24 蒋莺 一种毛巾烘干器
CN106108407A (zh) * 2016-08-22 2016-11-16 苏州市华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适用于衣柜的烘干装置
CN106120272A (zh) * 2016-08-31 2016-11-16 蒋景助 热风机及具有该热风机的干衣机
KR102205296B1 (ko) * 2019-12-09 2021-01-20 주식회사 파괴연구소 수건 건조대
KR102478518B1 (ko) * 2021-08-06 2022-12-16 김현호 타월 건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57B1 (ko) * 2006-09-06 2007-11-29 이수호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CN103142175A (zh) * 2013-03-27 2013-06-12 桂郁青 毛巾架装置
CN104729242A (zh) * 2015-03-27 2015-06-24 蒋莺 一种毛巾烘干器
CN106108407A (zh) * 2016-08-22 2016-11-16 苏州市华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适用于衣柜的烘干装置
CN106120272A (zh) * 2016-08-31 2016-11-16 蒋景助 热风机及具有该热风机的干衣机
KR102205296B1 (ko) * 2019-12-09 2021-01-20 주식회사 파괴연구소 수건 건조대
KR102478518B1 (ko) * 2021-08-06 2022-12-16 김현호 타월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349B1 (ko) 200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EP203561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301766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8783070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for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TWI383080B (zh) Laundry dryer
KR100639349B1 (ko) 전기열풍방식 수건걸이대
BRPI0714946B1 (pt) Máquina de tratamento auxiliar de lavagem de roupa e máquina de múltiplos tratamentos de roupa para lavar incluindo a mesma
KR20080105499A (ko)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CN102822409A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778357B1 (ko) 수건용 살균건조장치
CN110499631A (zh) 一种可自动熨衣的浴室消毒柜
KR20100018855A (ko) 향 공급유닛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CN103142175A (zh) 毛巾架装置
KR100530602B1 (ko) 전기열풍방식 빨래건조대
KR20130057340A (ko)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CN207532130U (zh) 具有烘干去味功能的挂鞋架组件及安装该组件的鞋柜
KR20210126448A (ko) 신발 겸용 의류 관리기
KR200269788Y1 (ko) 열풍식 수건살균건조대
CN203314862U (zh) 毛巾架装置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1228550B1 (ko) 다용도 복합건조기
JP2012148149A (ja) 洗濯乾燥機
KR10088063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808173B1 (ko) 리프레쉬 장치
CN2154278Y (zh) 晒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