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073B1 - Gate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Gate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073B1
KR100778073B1 KR1020050099437A KR20050099437A KR100778073B1 KR 100778073 B1 KR100778073 B1 KR 100778073B1 KR 1020050099437 A KR1020050099437 A KR 1020050099437A KR 20050099437 A KR20050099437 A KR 20050099437A KR 100778073 B1 KR100778073 B1 KR 10077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ignal
fire
gat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3312A (en
Inventor
김태정
Original Assignee
(주)쎌컴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쎌컴비젼 filed Critical (주)쎌컴비젼
Priority to KR102005009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073B1/en
Publication of KR20070043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역의 출입용 개찰구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evice installed in the ticket gate for the subway station.

이 같은 본 발명은, 비상전원에 의해 게이트장치가 소정의 시간동안만 정상동작할 때 그 게이트장치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수단을 부가하여, 전원공급차단으로 인한 승객 탑승여부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는 물론, 비상상황시 승객들의 대피를 저해하는 병목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종래의 문제점 개선을 통해 승강장에 위치하는 승객들이 지하철역내의 출입용 개찰구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passengers' data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by adding means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gate device when the gate device operates normally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emergency power. In addi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has been the main cause of bottlenecks that hinder the evacuation of passengers in an emergency situation, passengers located in the platform can be evacuated to the safe area more quickly through the entrance ticket gate in the subway station. Provided is a gate control apparatus using a fire receiver.

개찰구, 게이트, 지하철, 비상전원 Ticket gates, gates, subways, emergency power

Description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Gate control device}Gate control device using fire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장치의 전체 블럭 구성도.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ga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PC의 내부 블럭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DP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유무선단말기의 전면 패널 구성도.Figure 3 is a front panel configuration of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유무선단말기의 블럭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and wireless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화재감지부 20; 비상전원공급부10; Fire detection unit 20; Emergency power supply

30; 게이트 제어부 31; 신호수신기30; Gate controller 31; Signal receiver

32; 마이크로 컨트롤러 33; 게이트 개폐기32; Microcontroller 33; Gate switchgear

34; 출력부 40; 무선단말기34; An output unit 40; Wireless terminal

41; 자동/수동 모드설정 버튼부 42; 오픈신호 버튼부41;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unit 42; Open signal button

43; 부저 44; 전송부43; Buzzer 44; Transmission

본 발명은 지하철역의 출입용 개찰구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게이트장치에 소정의 시간동안 비상전원이 인가될 때 게이트 장치를 자동 오픈시켜 지하철 승강장에 남아있는 사람들이 출입용 개찰구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evice installed in the entrance gates of a subway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and the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gate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gate device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subway platform. It relates to a gate control device that allows people who are left to evacuate through the entrance gates quickly.

즉, 본 발명은 대구지하철 참사(2003년 2월18일)로 인해 화재시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구상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화재발생시 역무원등은 승객의 대피를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인해 장비 등의 동작을 따로 할 여력이 없어 자동으로 화재신호를 수신해 자동 동작하도록 고안된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ways to safely evacuate passengers in case of fire due to the Daegu subway disaster (February 18, 2003), and one of them must handle passenger evacuation quickly in case of fire. Therefore, there is no room to operate the equipment separately, so it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receive a fire signal and operate automatically.

지하철을 타기 위해서는 승객은 게이트를 통과하여야 승차 및 하차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는 무임 승차를 방지하고자 승객이 티켓이나 교통카드 등을 체크하여 선택적으로 통과를 할 수 있다. 하지만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객이 승강장에서 역 외부로 대피를 할 때에는 일일이 체크를 하여 나가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하겠다.To ride the subway, passengers must pass through the gate to get on and off.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ree riding, the passenger can selectively pass by checking a ticket or a traffic card. However,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when passengers evacuate from the platform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check them out.

이로인해 본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 장치는 지하철 역무실에 있는 화재수신반과 연동해 화재 신호가 들어오면 바로 자동으로 본 장치에서 각각의 게이트를 제어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대구지하철 참사이후 고안된 전원제어 방식의 문제점 밍 아직 설치되어지지 낳은 모든 지하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rai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vic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each gate in the device automatically when the fire signal is interlocked with the fire receiving panel in the subway station office, the problem of the power control scheme devised after the Daegu subway disaster Ming not yet installed Applicable to all subway stations.

한편, 지하철역 등의 출입용 개찰구에는 해당 티켓이나 패스 등을 체크하여 선택적으로 출입을 허용하는 게이트 장치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gate device for selectively entering and exiting a ticket gate for a subway station or the like is provided by checking a ticket or a pass.

이러한 게이트 장치로서 종래에는 삼발이 형상의 회전봉을 구비한 턴 스타일 게이트(Turn style gate)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플랩(Flap) 방식과 같이 개찰용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할 수 있는 자동 게이트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대부분 이 방식으로 대체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turn-style gate having a tricycle-shaped rotating rod is mainly used as such a gate device. However, in recent years, an automatic gate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a wicket passage like a flap method is used. Is widely used and is expected to be replaced this way in the future.

이때, 상기와 같은 게이트 장치들은 그 개폐에 있어 승객들의 탑승유무를 체크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바, 화재 등에 의한 정전이 발생하여 분전반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 소정의 시간(약 2∼3분)동안 비상전원을 공급받아 체크된 정보 즉, 승객들의 탑승유무를 체크한 정보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In this case, the gate devices as described above have a function of checking the passengers' presence or absence 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 devices, and a predetermined time (approximately 2-3 minutes) when the power supply is not received from the distribution panel due to a power failure due to fire or the like. Th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prevent the loss of checke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passengers' boarding.

즉, 종래 지하철역 출입용 개찰구에 설치된 게이트장치는 디피씨(DPC; Direct Power Program 또는 Direct Program Controller)라는 게이트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비상상황에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는 분전반에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DPC가 구동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게이트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That is, the gate device installed in the entrance gate for the conventional subway station is controlled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a gate control program called DPC (Direct Power Program or Direct Program Controller), which at the same time the power supply from the distribution panel is cut off, The DPC is driven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gate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단지 승객들의 탑승유무에 대한 체크정보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뿐, 화재 등의 발생으로 인해 승강장에 위치하는 승객들의 대피로를 오히려 차단하는 안전상의 커다란 문제점을 노출하였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is merely to prevent the check information of passengers from boarding and disappearing, and a big safety problem that blocks the evacuation paths of passengers located in the platform due to fire or the like. Was exposed.

즉, 화재가 발생되면 승강장에 위치하는 승객들이 개찰구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게이트장치를 오픈시켜야 하지만, 종래의 DPC는 단지 게이트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그 게이트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 로, 이와 같이 게이트 장치가 비상전원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그 열림은 승객들이 소지한 티켓이나 패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In other words, when a fire occurs, the gate device should be opened so that passengers at the platform can quickly evacuate through the ticket gate, but the conventional DPC only supplies power to the gate device so that the gate device maintains its normal operation state. In this way, when the gate device operates norm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emergency power supply, the opening is inevitably made by a ticket or a pass possessed by the passengers.

하지만, 화재 등의 발생으로 인해 신속한 대피가 필요로 하는 시점에서 승객들이 일일이 게이트 장치에 패스나 티켓을 접촉(또는 비접촉)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관계로, 지하철역사내에서 화재가 발생시 대부분의 승객들이 개찰구를 뛰어 넘어갈 수 밖에 없었으며, 이 경우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임산부의 경우에는 개찰구를 제대로 뛰어 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최악의 경우 많은 인명피해가 초래될 수 밖에 없는 등 종래의 게이트장치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시 승객들의 대피를 저해하는 병목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for passengers to contact (or non-contact) a pass or a ticket with a gate device at a time when a rapid evacuation is necessary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is case, children, senior citizens or pregnant women are often unable to jump through the ticket gates, and in the worst case, many casualties are inevitable. It was the main cause of bottlenecks that hindered evacuation of passengers in situa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상황에서 비상전원에 의해 게이트장치가 소정의 시간동안만 정상동작할 때 그 게이트장치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게이트 제어부를 구성하여, 승강장에 위치하는 승객들을 출입용 개찰구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gate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gate device when the gate device operates normally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emergency power supp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te control device using a fire receiver to evacuate passengers located in the platform through the entrance gates more quickly to prevent human injur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제어장치의 전체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PC의 내부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유무선단말기의 전면 패널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유무선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이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ga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DP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f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d and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로 이루어진 지하철역내의 출입용 개찰구(100)에 각각 게이트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게이트장치(200)는 분전반(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패스나 티켓의 접촉(또는 비접촉)상태에 따라 개폐 구동하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As shown in Figures 1 to 4, each gate device 200 is installed in the ticket gate 100 for a plurality of subway stations, the gate device 20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a distribution panel (not shown) In the gate control system to open and close the drive according to the contact (or non-contact) state of the pass or ticket,

상기 지하철역내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Fire detection unit 10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subway station;

상기 지하철역내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분전반에서의 전원공급이 차단시 소정의 시간동안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 공급부(20); 및,Emergency power supply unit 20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supply in the distribution panel is cut off due to the fire in the subway station; And,

상기 비상전원 공급부(20)로부터 비상전원이 공급시, 상기 화재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찰구(100)를 통해 승객들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상기 게이트장치(200)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게이트 제어부(30);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emergency power is supplied from th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20, the gate device 200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enable rapid evacuation of passengers through the ticket gate 100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0. A gate controller 30 to ope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figuration.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gate controller 30,

상기 화재 감지부(1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31);A signal receiver 31 f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10;

상기 신호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게이트장치(200)의 열림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2);A microcontroller 32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gat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31;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2)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장치(200)의 개폐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 개폐기(33); 및,A gate switch 33 generating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device 2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 controller 32; And,

상기 게이트 개폐기(33)로부터 발생된 개폐신호를 각각의 게이트장치(200)로 전달하는 출력부(34);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n output unit 34 which transmits an open / close signal generated from the gate switch 33 to each gate device 200;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figuration.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 유무선단말기(40)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gate control unit 3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유무선단말기(40)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상기 게이트 제어부(30)의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자동/수동 모드설정 버튼부(41);An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unit 41 for setting a remote control mode of the gate control unit 30;

상기 수동모드 설정시 게이트 장치(200)의 열림 제어를 위한 오픈신호를 발생시키는 오픈신호 버튼부(42);An open signal button unit 42 generating an ope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gate device 200 when the manual mode is set;

화재감지부(10)로부터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저(43); 및,A buzzer 43 fo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0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And,

상기 각각의 버튼부(41)(42)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상기 부저(43)에 의해 수신된 화재감지신호를 게이트 제어부(30)로 전송하는 전송부(44);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 transmission unit 44 which transmits a signal generated by each of the button units 41 and 42 and a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buzzer 43 to the gate control unit 30;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유무선단말기(40)는 역무실내에 설치하여, 부저(43)에 의한 경보음 출력과 동시에 역무원이 신속하게 게이트 제어부(30)로 게이트장치(200)의 열림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Here, the wire / wireless terminal 40 is installed in the station room, and at the same time as the alarm sound output by the buzzer 43, the station attendant can quickly output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gate device 200 to the gate control unit 30. To make it possible.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attached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패스나 티켓의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해 개폐 구동이 이루어지는 게이트 장치(200) 및, 상기 게이트 장치(200)의 개폐 구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30)를 지하철역내의 각 출입용 개찰구(100)에 설치하고,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 역무실내에 구비되는 유무선단말기(40)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설정한다.First, the gate device 200 in which opening and closing driving is performed by contact or non-contact with a pass or a ticket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from a distribution board, and the gate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riving of the gate device 200 in a subway station Installed in each entrance ticket gate 100, the gate control unit 30 is set to be remotely controlled by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provided in the station office.

즉, 역무실내에서 역무원이 유무선단말기(40)에 구비된 자동/수동 모드 설정버튼부(41)를 자동모드로 설정하여 둔다.That is, the station attendant sets the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part 41 provided in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40 to the automatic mode in the station room.

그러면, 상기의 자동모드 설정신호는 전송부(44)를 통해 각각의 출입용 개찰구(100)에 설치된 게이트 제어부(30)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 자동모드로 전환되면서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n, the automatic mode sett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ate control unit 30 installed in each entry gate 100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4, and the gate control unit 30 switches to the automatic mode and waits. State is maintained.

이때, 지하철역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분전반에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의 화재신호는 화재감지부(10)가 감지하고, 상기의 감지신호는 게이트 제어부(30)내의 신호수신기(31)는 물론, 역무실내의 유무선단말기(40)에 구비된 부저(43)로 전달된다.At this time, when a fire occurs in the subway station and the power supply to the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the fire signal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unit 10, and the detection signal is the signal receiver 31 in the gate controller 30. Of course, it is delivered to the buzzer 43 provided in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in the station room.

그러면, 상기 부저(43)는 화재 발생에 따른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아울러 상기 부저(43)에 의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는 전송부(44)를 통해 게이트 제어부(30)내의 신호수신기(31)에서 수신하게 된다.Then, the buzzer 43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and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buzzer 43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receiver 31 in the gate controller 30 through the transmitter 44. Will receive.

이때, 상기 개찰구(100)에 설치된 게이트 장치(200)는 물론 게이트 제어부(30)에는 비상전원 공급부(20)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비상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바,At this time, the gate device 200 installed in the ticket gate 100, as well as the gat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emergenc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20,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32)는 상기 신호수신기(31) 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게이트장치(200)의 열림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게이트 개폐기(3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개폐기(33)는 게이트장치(200)의 개폐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신호는 다시 출력부(34)를 통해 게이트 장치(200)로 전달된다.The microcontroller 32 in the gate controller 30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gat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31, and then outputs the signal to the gate switch 33. The gate switch 33 generates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device 200, and the generated signal is again transmitted to the gate device 200 through the output unit 34.

따라서, 상기 게이트장치(200)는 상기 출력부(34)로부터 출력되는 열림 제어신호로부터 티켓이나 패스의 접촉(또는 비접촉)이 없더라도 승강장내의 승객들이 개찰구(100)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개찰구(100)를 개방하는 열림상태로 그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gate apparatus 200 may allow the passengers in the platform to quickly evacuate through the ticket gate 100 even though there is no contact (or non-contact) of the ticket or the pass from the open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34. The driving is to be made in the open state to open (100).

한편, 역무실내에서 역무원이 유무선단말기(40)에 구비된 자동/수동 모드 설정버튼부(41)를 수동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의 수동모드 설정신호는 전송부(44)를 통해 각각의 출입용 개찰구(100)에 설치된 게이트 제어부(30)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 수동모드로 전환되면서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tion attendant sets the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part 41 provided in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40 to the manual mode in the station room, the manual mode setting signal is enter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4, respectively. The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the gate control unit 30 installed in the ticket gate 100, the gate control unit 30 is switched to the manual mode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이때, 지하철역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분전반에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의 화재신호는 화재감지부(10)가 감지하고, 상기의 감지신호는 게이트 제어부(30)내의 신호수신기(31)는 물론, 역무실내의 유무선단말기(40)에 구비된 부저(43)로 전달된다.At this time, when a fire occurs in the subway station and the power supply to the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the fire signal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unit 10, and the detection signal is the signal receiver 31 in the gate controller 30. Of course, it is delivered to the buzzer 43 provided in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in the station room.

그러면, 상기 부저(43)는 화재 발생에 따른 경보음을 출력시키고, 아울러 상기 부저(43)에 의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는 전송부(44)를 통해 게이트 제어부(30)내의 신호수신기(31)에서 수신하게 된다.Then, the buzzer 43 output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and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buzzer 43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receiver 31 in the gate controller 30 through the transmitter 44. Will receive.

이때, 상기 개찰구(100)에 설치된 게이트 장치(200)는 물론 게이트 제어부(30)에는 비상전원 공급부(20)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비상전원을 공급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gate device 200 installed in the ticket gate 100 as well as the gate control unit 30 is supplied with emergenc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emergency power supply unit 20.

이때, 역무원이 유무선단말기(40)에 구비된 오픈신호 버튼부(42)를 누르지 않을 경우,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32)는 상기 신호수신기(31)에서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게이트장치(200)의 열림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tation attendant does not press the open signal button 42 provided in the wired / wireless terminal 40, the microcontroller 32 in the gate controller 30 receives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er 31. Even if it does not generat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gate device 200.

그러나, 역무원이 유무선단말기(40)에 구비된 오픈신호 버튼부(42)를 누르고, 상기 오픈신호 버튼부(42)의 누름에 따른 신호가 전송부(44)를 통해 신호수신기(31)에 의해 수신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32)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2)는 상기 신호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오픈신호에 따라 게이트장치(200)의 열림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게이트 개폐기(33)로 출력한다.However, the station attendant presses the open signal button 42 provided in the wire / wireless terminal 40, and th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open signal button 42 is transmitted by the signal receiver 31 through the transmitter 44. When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microcontroller 32, the microcontroller 32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gate device 200 in accordance with the open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31 and then the gate switch Output to (33).

그러면, 상기 게이트 개폐기(33)는 게이트장치(200)의 개폐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신호는 다시 출력부(34)를 통해 게이트 장치(20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게이트장치(200)는 상기 출력부(34)로부터 출력되는 열림 제어신호로부터 티켓이나 패스의 접촉(또는 비접촉)이 없더라도 승강장내의 승객들이 개찰구(100)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개찰구(100)를 개방하는 열림상태로 그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gate switch 33 generates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device 200, the generated signal is transmitted back to the gate device 200 through the output unit 34, the gate device 200 ) Is open to open the ticket gate 100 so that passengers in the platform can quickly evacuate through the ticket gate 100 even if there is no contact (or non-contact) of the ticket or pass from the ope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34. The driving can be made in a state.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 상기와 같이 유무선단말기(40)에 의해 원격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유무선단말기(40)를 사용하지 않고 화재 발 생으로 게이트장치(200)에 비상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게이트 장치(200)의 개폐 구동을 바로 자동 제어되도록 초기 설치단계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Here, the gate control unit 30 is preferably remotely controlled by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as described above, but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gate device 200 by the occurrence of a fire without using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40. At the same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riving of the gate device 200 may be set in the initial installation step so as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즉, 화재 발생으로 게이트 장치(200)는 물론 게이트 제어부(30)로 비상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30)는 화재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바로 게이트 장치(200)에 대한 열림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게이트 장치(200)의 구동을 열림상태로 자동 제어하고, 이에따라 승강장내의 승객들은 개찰구(100)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지하철역 밖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gate controller 200 as well as the gate device 200 due to the fire, the gate controller 30 immediately starts the gat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fire detector 10.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open), the drive of the gate device 20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the open state, thereby allowing passengers in the platform to evacuate more quickly out of the subway station through the ticket gate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장치는 비상전원에 의해 게이트장치가 소정의 시간동안만 정상동작할 때 그 게이트장치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전원공급차단으로 인한 승객 탑승여부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는 물론, 비상상황시 승객들의 대피를 저해하는 병목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종래의 문제점 개선을 통해 승강장에 위치하는 승객들이 지하철역내의 출입용 개찰구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ate control device using the fire rece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opens the gate device when the gate device operates normally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emergency power supply, so that the passenger boarding due to the power supply cutoff In addition to preventing data loss, and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has been the main cause of bottlenecks that prevent passengers from evacuating in an emergency, passengers located in the platform are able to reach the safety zone more quickly through entrance gates in subway station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vacuate is to be obtain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4)

다수로 이루어진 지하철역내의 출입용 개찰구에 각각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패스나 티켓의 접촉(또는 비접촉)상태에 따라 개폐구동하는 게이트 장치, 지하철역내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지하철역내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분전반에서의 전원공급이 차단시 소정의 시간동안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 공급부, 그리고 상기 비상전원 공급부로부터 비상전원이 공급시 게이트장치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화재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 상기 신호수신기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게이트장치의 열림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장치의 개폐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 개폐기 및, 상기 게이트 개폐기로부터 발생된 개폐신호를 각각의 게이트장치로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부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A gate device tha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distribution panel to a ticket gate in a subway station, and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contact (or non-contact) state of a pass or ticket, a fire detector that detects a fire in a subway station, and a fire in a subway station. An emergency power supply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distribution board is interrupted due to occurrence, and detec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unit to automatically open the gate device when emergency power is supplied from the emergency power supply.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microcontroller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gat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receiver, a gate for generating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controller Switchgear and the gate switch A ga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gate controller including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transfer the generated open / close signal to each gate device,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유무선단말기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제어장치.The gat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remotely controlled by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단말기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d or wireless terminal,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자동/수동 모드설정 버튼부;An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unit for setting a remote control mode of the gate control unit; 상기 자동/수동 모드설정 버튼부를 수동모드로 설정시 게이트 장치의 열림 제어를 위한 오픈신호를 발생시키는 오픈신호 버튼부;An open signal button unit for generating an ope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a gate device when the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unit is set to a manual mode; 상기 화재감지부로부터 화재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저; 및,A buzze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And, 상기 자동/수동 모드설정 버튼부와 오픈신호 버튼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와, 상기 부저에 의해 수신된 화재감지신호를 게이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제어장치.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generated by the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button unit and an open signal button unit, and a fir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buzzer to a gate controller; Ga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050099437A 2005-10-21 2005-10-21 Gate control device KR100778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37A KR100778073B1 (en) 2005-10-21 2005-10-21 Gate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37A KR100778073B1 (en) 2005-10-21 2005-10-21 Gat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12A KR20070043312A (en) 2007-04-25
KR100778073B1 true KR100778073B1 (en) 2007-11-21

Family

ID=3817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437A KR100778073B1 (en) 2005-10-21 2005-10-21 Gate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0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17B1 (en) 2013-05-31 2014-01-27 금동숙 A gat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92B1 (en) * 2010-07-23 2013-04-09 김국배 Automatic open and shut system emergency gate for train station and open and shut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63U (en) * 1992-09-16 1994-04-22 日本信号株式会社 Automatic ticket gate
JPH11110592A (en) 1997-10-07 1999-04-23 Shibaura Mechatronics Corp Automatic ticket examination machine
KR20040053056A (en) * 2004-05-31 2004-06-23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Ballot counting machine and collection counting machine using handicapped
KR200385184Y1 (en) 2005-02-18 2005-05-25 (주)유니맥시스템 Automatic gat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inducing safe rou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863U (en) * 1992-09-16 1994-04-22 日本信号株式会社 Automatic ticket gate
JPH11110592A (en) 1997-10-07 1999-04-23 Shibaura Mechatronics Corp Automatic ticket examination machine
KR20040053056A (en) * 2004-05-31 2004-06-23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Ballot counting machine and collection counting machine using handicapped
KR200385184Y1 (en) 2005-02-18 2005-05-25 (주)유니맥시스템 Automatic gat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inducing safe rou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17B1 (en) 2013-05-31 2014-01-27 금동숙 A gat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12A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6726A (en) A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fire
KR101180411B1 (e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of a fire door
JPH09110326A (en) Control method for elevator car, and control mechanism for elevator
KR20180022599A (en) Communication with a trapped passenger in a transportation system
KR100778073B1 (en) Gate control device
KR100761023B1 (en) A safty system and its controlling method with platform screen door
EP3339129B1 (en) Rail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a rail vehicle
KR20100130844A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exit and entry of automatic door
US20230159064A1 (en) Cableway Station Having a Safety Barrier
KR101218973B1 (en)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Train Doo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20160064663A (en) Evacuation guidance device and train fire evacuation guidance method using thereof
JP4703358B2 (en) Elevator equipment
EP28760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vacuation of a lift system in a case of fire
JP2001328531A5 (en)
KR20080051564A (en) System and methode to open the platform screen door at emergency
JP2004035249A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with crime preventing function
JP2937759B2 (en) Elevator non-stop control system
JP6787498B2 (en) Elevator landing destination floor input device, elevator control system
CN207175126U (en) A kind of fireman's switch control system for elevator
KR101211676B1 (en) system for preventing injuries and death from a fall at a railroad platform
KR100485665B1 (en) Emergency exit door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system
EP3281834B1 (en) Railway vehicle with end doors release inhibition
KR101755275B1 (en) Emergency exit locking system with a status notification
KR102128019B1 (e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 fire emergency
JP4451157B2 (en) Danger avo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