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42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426B1
KR100776426B1 KR1020060041999A KR20060041999A KR100776426B1 KR 100776426 B1 KR100776426 B1 KR 100776426B1 KR 1020060041999 A KR1020060041999 A KR 1020060041999A KR 20060041999 A KR20060041999 A KR 20060041999A KR 100776426 B1 KR100776426 B1 KR 10077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burner
cooking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256A (ko
Inventor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42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ionisation-sensitive elements, i.e. flame rods
    • F23N5/12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ionisation-sensitive elements, i.e. flame rod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2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를 착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애자와 버너에서의 착화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프레임로드를 하나의 애자로 구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 시작시 고전압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점화트랜스와 상기 점화트랜스의 일단자와 연결되며, 조리시작시에는 상기 고전압에 의하여 버너에서의 착화를 위한 불꽃을 트리거시키고 상기 버너에 점화가 이루어진 후 착화 여부를 감지하는 애자와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저항값에 반비례하는 저항치를 가지는 배리스터 및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연결되어 연결된 단자의 전압레벨에 기초하여 버너의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염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장부에는 제 1 접지가 연결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본체에는 제 2 접지가 연결되어, 점화시에는 제 2 접지를 통해 고전류가 본체로 흡수되고 점화 후에는 제 1 접지를 통하여 상기 염검지부의 구동전압을 통해 야기된 전류가 흡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리기기를 사용하느 경우, 종래에 비하여 조리기기에 채용되는 애자의 갯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조리기기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점화, 염검지, 애자, 배리스터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utensil}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가스오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식 가스오븐 전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가스오븐 전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회로도이다.
도 4는 버너에 점화가 이루어진 경우에 형성되는 폐회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점화된 버너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등가회로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40: 애자 43: 버너
44: 가스밸브 46;교류전압
110:마이컴 130:염검지부
310:릴레이부 320:점화트랜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개의 애자로 버너를 점화시킴과 아울러 버너의 착화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본 발명은 버너를 착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애자와 버너에서의 착화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프레임로드를 하나의 애자로 구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조리기기의 일예인 전자식 가스오븐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리기기의 상단부에는 조리를 위한 버튼또는 조절 스위치 등이 다수개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 버튼 또는 조절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리기기 내부의 전장부(미도시)로 조리를 위한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식 가스오븐의 상단부에는 조리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온도 버튼(11)과, 조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 조절 스위치(12)와, 조리의 시작을 나타내는 조리 시작 버튼(13)과, 조리를 강제적으로 종료시키는 조리 종료 버튼(14)과, 기타 조리에 필요한 기능 버튼(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조리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어(16)를 개방하고 조리 대상물을 조리실 내부에 안착시킨 다음 도어(16)를 닫는다. 그리고 나서, 다수개의 온도 버튼(11)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조리 온도를 선택하고 시간 조절 스위치(12)를 이용하여 조 리 시간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 온도와 조리 시간을 설정한 다음, 조리 시작 버튼(13)을 선택하여 조리를 시작하게 된다.
조리가 시작되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 예컨대 버너로 가스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점화부에서는 버너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하여 점화플러그애자에 고압을 인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내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조리 시작시 조리기기의 전장부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도 1의 전자식 가스오븐 전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장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일부분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마이컴(110)은 전자식 가스오븐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점화부(120)는 마이컴(110)의 제어를 받아 점화플러그애자(41)를 트리거시키며, 염검지부(130)는 버너의 착화 여부를 검지하는 프레임로드(4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컴(1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마이컴(110)은 가스배관(45)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가스밸브(44)의 개폐를 제어하여 버너(43)로의 가스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1의 조리 시작 버튼(13)을 선택하게 되면, 전장부의 마이컴(110)은 이를 인식하고 가스 밸브(44)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스 배관(45)을 통하여 버너(43)로 가스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다음, 마이컴(110)은 점화부(12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점화부(120)로 인가한다. 그러면, 점화부(120)는 주기적으로 고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고전압에 의하여 점화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점화플러그애자(41)에서는 버너(43)의 착화를 위한 불꽃이 트리거된다.
버너(43)에서 점화가 이루어지면, 프레임로드(42)는 이를 감지하게 되며, 염검지부(130)는 프레임로드(42)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시켜 마이컴(110)으로 전송한다.
마이컴(110)은 염검지부(130)로부터 점화가 이루어졌다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가스밸브(44)의 개방 상태가 계속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염검지부(130)로부터 점화가 이루어졌다는 신호를 소정 시간내에 전달받지 못한 경우, 마이컴(110)은 안전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 가스밸브(44)를 닫힘 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전자식 조리기기의 경우, 버너(43)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착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애자(41)와, 버너(43)에서 점화가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는 프레임로드(42)가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이처럼, 점화용 점화플러그애자와 염검지용 프레임로드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 구성 소자의 증가로 인하여 조리기의 제조 단가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애자를 사용하여 버너의 착화 기능과 버너에서의 점화 감지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시작시 고전압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점화트랜스, 상기 점화트랜스의 일단자와 연결되며, 조리시작시에는 상기 고전압에 의하여 버너에서의 착화를 위한 불꽃을 트리거시키고 상기 버너에 점화가 이루어진 후 착화 여부를 감지하는 애자,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저항값에 반비례하는 저항치를 가지는 배리스터,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연결되어 연결된 단자의 전압레벨에 기초하여 버너의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염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장부에는 제 1 접지가 연결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본체에는 제 2 접지가 연결되어, 점화시에는 제 2 접지를 통해 고전류가 본체로 흡수되고 점화 후에는 제 1 접지를 통하여 상기 염검지부의 구동전압을 통해 야기된 전류가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너와 상기 제 1 접지 사이에는 저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하나의 애자를 사용하여 버너를 착화시키고 버너에서의 점화가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점화가 이루어진 버너의 등가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에서 설명한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과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는 도 3에서도 동일한 번호로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은 도 1에서 예시한 일반적인 전자식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되는 개념이라는 것을 인식한 상태에서 아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에서, 마이컴(110)은 조리기기의 전장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전면 상단부 등에 장착되어 있는 온도 버튼, 조리 시간 버튼 등을 이용하여 조리 온도, 조리 시간 등을 설정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마이컴(110)으로 전송되고, 마이컴(110)은 이렇게 수신된 신호에 따라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기술되는 조리기기의 구성 요소를 동작시킨다.
애자(40)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점화부(300)는 크게 릴레이부(310)와 점화트랜스(320)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릴레이부(310)와 점화트랜지스(320)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고 생각되는 부가 회로를 삭제한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릴레이부(310)는 전자 스위치로서, 마이컴(1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턴온/오프되며, 당업자는 공지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스위칭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릴레이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릴레이부(310)는 조리기기로 공급되는 가정용 교류전압(46)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부(310)가 턴온되면 교류전압(46)이 릴레이부(310)로 공급되게 된다.
점화트랜스(320)는 1차 코일(N1)과 2차 코일(N2)로 이루어지는 변압기이다. 동작에 있어서, 릴레이부(310)가 턴온되어 점화트랜스(320)의 1차 코일(N1)로 교류전원(46)이 인가되면, 2차 코일(N2)에서는 이를 증폭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자에는 상기 고전압에 응답하여 스파크를 일으키는 애자(40)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자는 단자(a)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a)와 조리기기의 본체와 연결되는 접지(GND2) 사이에는 배리스터(VR)가 연결되어 있다.
배리스터(VR)는 일종의 가변 저항으로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반비례하는 저항치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단자(a)와 접지(GND2)사이에 배리스터(VR)를 연결하는 놓은 이유는, 2차 코일(N2)에 고전압 유기되는 경우, 배리스터(VR)의 저항치를 제로로 접근시켜 단자(a)의 전압 레벨을 접지(GND2) 레벨에 근접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단자(a)는 염검지부(130)와도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염검지부(130)는 버너(43)에 점화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회로로, 단자(a)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버너(43)에서 점화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가스배관(45)은 조리기기의 버너(43)에서 점화용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가스배관(45)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밸브(44)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버너(43)로의 가스 공급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가스밸브(44)는 마이컴(11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였다.
상기 버너(43)는 가스배관(45)에 의하여 안내 및 공급되는 가스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부분으로, 애자(40)로부터 발생된 스파크와 반응하여 점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이기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너(43)와 조리기기의 전장부의 접지(GND1) 사이에는 저항(R)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버너(43)의 바디(body)중 임의의 일측(즉, 단자(b))와 조리기기의 전장부의 접지(GND1) 사이에 저항(R)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b)는 조리기기의 본체와 통하는 접지(GND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R)을 단자(b)와 접지(GND1)사이에 연결시키는 이유와 상기 단자(b)를 접지(GND2)에 연결시키는 이유는 추후에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조리 온도, 조리 시간 등을 설정한 후, 조리 시작을 나타내는 버튼을 선택하면, 마이컴(110)은 이에 응답하여 솔레이노드 밸브로 구성되는 가스밸 브(44)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마이컴(11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가스밸브(44)가 개방되면, 가스밸브(44)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던 가스가 가스배관(45)을 통하여 버너(43)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가스밸브(44)를 개방시킨 다음, 마이컴(110)은 릴레이부(310)를 턴온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릴레이부(310)가 턴온되면, 릴레이부(310)는 교류전원(46)을 공급받아 소정 시간 동안 짧은 주기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점화트랜스(320)의 1차 코일(N1)은 릴레이부(310)로부터 전송되는 펄스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2차 코일(N2)은 1차 코일(N1)에 인가되는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참고로, 2차 코일(N1)에서 발생하는 고전압 레벨은 1차 코일(N1)과 2 차 코일(N2)의 코일 회전수에 의하여 결정되며, 조리기기의 제품 사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점화트랜스(320)의 2차 코일(N2)에 고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점화트랜스(320)의 2 차 코일과 연결되어 있는 애자(40)가 트리거되어 불꽃(스파크)이 생성된다. 버너(43)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가스는 애자(40)에 의하여 생성된 불꽃과 반응하여 착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점화트랜스(320)의 2차 코일(N2)에 고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배리스터(VR)의 고유 특성으로 인하여 배리스터(VR)의 저항치는 제로에 근접하게 되고, 단자(a)의 전압 레벨은 접지 전압(GND2)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염검지부(130)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은 착화 동작이 일어나기 전의 상태와 사실상 동일하다. 즉, 점화가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염검지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논리 레벨(로우 또는 하이 레벨로 표시됨)은 버너(43)가 점화되기 직전의 상태와 동일하다. 마이컴(110)은 염검지부(130)로부터 전송받은 논리 레벨에 기초하여 릴레이부(310)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경우, 마이컴(110)은 릴레이부(310)를 턴온시키는 명령을 유지하게 될 것이고, 릴레이부(310)는 전술한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릴레이부(310)의 동작-점화트랜스(320)의 2차 코일(N2)에서의 고전압 발생-애자(40)의 트리거로 인한 불꽃 생성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버너(43)에서 점화가 이루어지면, 버너(43)의 가스 배출공에서는 도 4와 같이 가스불이 붙는다.
당업자에게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 가스불의 외염은 -전하를 띠고, 가스불의 내염은 +전하를 띤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가스불와 가스 배출공이 형성된 버너(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회로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도 5에서, 저항(R51)은 가스불 자체의 저항을 나타내며, 가스불의 화력에 따라 가변된다. 다이오드(D1)는 -전하를 띠는 외염과 +전하를 띠는 내염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항(R52)는 버너(43)의 자체 저항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43)에 가스불이 붙는 경우, 가스불과 버너(43)는 저항(R51), 다이오드(D1) 및 저항(R52)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등가회로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블록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43)에 가스불이 붙으면, 염검지부(130)를 구동하는 구동전압(47)은 단자(a), 단자(c) 및 접지 전압(GND1)을 통하여 폐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즉, 구동전압(47)에 의하여, 단자(a)를 거쳐 2차 코일(N2)-애자(40)-저항(R51)-다이오드(D1)-저항(R52)-단자(c)를 경유하면서 전류(I1)가 흐르게 됨과 아울러, 단자(a)를 거쳐 배리스터(VR)-접지(GND2)-단자(c)를 경유하면서 전류(I2)가 흐르게 된다.
단자(c)로 인가된 전류(I1+I2)는 저항(R)을 거쳐 접지(GND1)로 유입된다. 접지(GND1)는 염검지부(130)의 접지(GND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폐루프가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 단자(a)의 전압 레벨은 접지(GND1)보다 높은 하이 레벨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데, 대략 구동전압(47)의 전압 레벨과 비슷하다.
단자(a)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걸리면, 염검지부(130)는 점화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마이컴(110)으로 전송한다.
마이컴(110)이 염검지부(130)를 통하여 버너(43)에 점화가 이루어졌음을 인식하게 되면, 턴온되어 있는 릴레이부(310)를 턴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부(310)로 전송하게 된다. 릴레이부(310)가 턴오프되면, 버너(43)를 점화시키기 위한 애자(40)의 트리거 동작은 자연스럽게 정지된다.
위에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지(GND2)는 조리기기의 본체와 연결되며, 접지(GND1)는 조리기기의 전장부와 연결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조리기기의 본체 접지(GND2)와 조리기기의 전장부 접지(GND1)를 구분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 점화 동작시에 2차 코일(N2)에서는 고전압이 발생한다. 2차 코일(N2)에서 발생한 고전압은 애자(40)를 통하여 강력한 스파크 불꽃을 생성시킴과 아울러 배리스터(VR)을 통하여 상당한 전류가 흐르게 하는 원인이 된다. 2차 코일(N2)에 고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배리스터(VR)의 저항치는 거의 제로에 근접한다. 따라서, 배리스터(VR)를 통하여 접지(GND2)로 흐른 전류는 조리기의 본체를 통하여 흡수된다. 즉, 접지(GND2)는 2차 코일(N2)에 유도된 고전압으로 인한 고전류를 조리기 본체로 흡수하게끔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점화가 이루어지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폐루프가 형성된다. 폐루프가 형성된다는 것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루프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염검지부(130)의 구동전압(47)에 의하여 야기된 전류는 최종적으로 조리기기의 전장부의 접지(GND1)로 흡수된다. 여기서, 조리기기의 본체와 연결되는 접지(GND2)는 전장부의 접지(GND1)에 대하여 소정의 저항 성분으로 인식되게 된다.
그런데, 만약, 본 발명과 달리, 조리기기 본체의 접지와 조리기기의 전정부의 접지를 동일하게 연결하면, 최초 점화 동작시 2차 코일(N2)에서 발생한 고전압에 의하여 야기된 매우 큰 전류가 전장부로 흘러 들어가 전장부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을 파괴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점화 동작시의 접지(GND2)와 점화후 동작시의 접지(GND1)를 구분하여 놓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스가 배출되는 버너를 점화시키는 동작과 버너에 불이 붙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열검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하나의 점화플러그 애자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전압용 배리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점화트랜스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배리스터의 저항치가 거의 0Ω으로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점화 동작시 발생하는 고전압이 염검지부로 인가되지 않도록 하였다는 것에 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배리스터의 존재로 인하여 하나의 애자를 사용하여 점화 동작과 염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음은 기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점화 및 염검지 동작을 하나의 애자로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리기기를 사용하느 경우, 종래에 비하여 조리기기에 채용되는 애자의 갯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어 조리기기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조리 시작시 고전압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점화트랜스;
    상기 점화트랜스의 일단자와 연결되며, 조리시작시에는 상기 고전압에 의하여 버너에서의 착화를 위한 불꽃을 트리거시키고 상기 버너에 점화가 이루어진 후 착화 여부를 감지하는 애자;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저항값에 반비례하는 저항치를 가지는 배리스터;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연결되어 연결된 단자의 전압레벨에 기초하여 버너의 점화 여부를 감지하는 염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장부에는 제 1 접지가 연결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본체에는 제 2 접지가 연결되어, 점화시에는 제 2 접지를 통해 고전류가 본체로 흡수되고 점화 후에는 제 1 접지를 통하여 상기 염검지부의 구동전압을 통해 야기된 전류가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점화트랜스의 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와 상기 제 1 접지 사이에는 저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60041999A 2006-05-10 2006-05-10 조리기기 KR10077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999A KR100776426B1 (ko) 2006-05-10 2006-05-1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999A KR100776426B1 (ko) 2006-05-10 2006-05-10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56A KR20070109256A (ko) 2007-11-15
KR100776426B1 true KR100776426B1 (ko) 2007-11-16

Family

ID=3906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999A KR100776426B1 (ko) 2006-05-10 2006-05-1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54B1 (ko) * 2008-10-31 2009-03-12 정봉수 직접 열풍 분사방식을 이용한 피자용 가스 데크 오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6315A (ja) * 1991-06-12 1992-12-18 Hitachi Home Tec Ltd 点火ヒータ制御装置
KR970043939U (ko) * 1995-12-30 1997-07-31 로터리 히터용 점화플러그 및 플레임 로드의 고정구조
JP2000193239A (ja) * 1998-12-24 2000-07-1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点火プラグ又は炎検知器の製造方法
JP2001132946A (ja) * 1999-11-08 2001-05-1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点火プラグ又は炎検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6315A (ja) * 1991-06-12 1992-12-18 Hitachi Home Tec Ltd 点火ヒータ制御装置
KR970043939U (ko) * 1995-12-30 1997-07-31 로터리 히터용 점화플러그 및 플레임 로드의 고정구조
JP2000193239A (ja) * 1998-12-24 2000-07-1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点火プラグ又は炎検知器の製造方法
JP2001132946A (ja) * 1999-11-08 2001-05-1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点火プラグ又は炎検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256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884B2 (en) Control system for the ignition of a gas burner
US8882492B2 (en) Control systems for the ignition of a gas burner
CA2693418C (en) Burner ignition system & method of ignition
US20110086319A1 (en) Fuel gas ignition system for gas burners including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11133930A2 (en) Ignition system having control circut with learning capabilities and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TWM584874U (zh) 瓦斯爐自動熄火安全裝置
KR100776426B1 (ko) 조리기기
JP6800086B2 (ja) 燃焼機器
CN109386845B (zh) 一种灶具及其点火控制方法
JP2001065869A (ja) 消し忘れ防止機能を有するコンロ
TWM515074U (zh) 具有防火功能的排油煙機與瓦斯爐組合
CN215446552U (zh) 灶具
US4242081A (en) Oil burner primary control for interrupted ignition system
CN212644694U (zh) 一种燃气灶具
JP3204498B2 (ja) 調理器用制御装置
CN212644695U (zh) 燃气灶
CN112443862B (zh) 火焰点燃和检测系统以及包含其的燃气装置
KR101795507B1 (ko) 조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1090952A (ja) ガスコンロ
KR930007396B1 (ko) 자동요리장치 제어회로
JP2937822B2 (ja) ガス加熱調理器
AU750586B2 (en) Gas grill burner system
KR100790032B1 (ko) 조리기기
CN111045376A (zh) 一种家用燃气灶用的防干烧点火控制装置
CN116379483A (zh) 燃气灶具的控制方法、燃气灶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