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54B1 - 화장 프레임 - Google Patents

화장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54B1
KR100776354B1 KR1020017014908A KR20017014908A KR100776354B1 KR 100776354 B1 KR100776354 B1 KR 100776354B1 KR 1020017014908 A KR1020017014908 A KR 1020017014908A KR 20017014908 A KR20017014908 A KR 20017014908A KR 100776354 B1 KR100776354 B1 KR 10077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main body
lid
inner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668A (ko
Inventor
코이치 와다
Original Assignee
코이치 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6596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22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868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4219A/ja
Application filed by 코이치 와다 filed Critical 코이치 와다
Publication of KR2002001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20Ceiling roses or other lighting s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체 및 뚜껑에 의해서 화장 프레임이 구성된다. 본체는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의 주벽을 갖는다. 또한, 안쪽 구멍이 주벽 내에 형성되고, 바깥 방향 플랜지가 주벽의 일단에 설치되고, 주벽이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투과 구멍에 끼워지고, 바깥방향 플랜지는 천장 마감재의 윗면으로 밀어 붙여진다. 또, 지지 수단이 본체와 조합되어 본체를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장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뚜껑은 본체의 안쪽 구멍을 닫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 프레임{Decorative frame}
본 발명은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하는 화장(化粧)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선 기구의 증설 공사에 있어서, 천장 속에 전선을 배선할 때에는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서 천장 속에서 이동하고, 천장 속에서 전선을 끌어당기면서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시간 및 수고가 매우 요구된다. 공조 덕트, 배기 덕트, 수도관 등의 설비 기기가 천장 속의 적소(適所)에 배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서 천장 속을 이동할 때, 설비 기기에 의해서 이동 등이 저해 받는다는 문제도 있다. 신체가 설비 기기에 충돌하여 설비 기기가 파손하는 경우도 있다. 천장 속이란, 천장 속의 천장면과 천장 마감재 사이의 공간을 말하며, 종방향 바 및 횡방향 바에 의해서 이중 천장 골조가 구성되고, 석고 보드, 베니어 판 등의 천장 마감재가 이중 천장의 골조에 붙들어 매달려 있으며,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할 때, 작업자의 중력에 의해서 골조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으며, 천장 마감재가 깨지는 경우도 있다. 골조 및 천장 마감재가 낙하는 경우도 있으며, 작업자 자신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 보통,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전에 다수의 화재 감지기를 천장 속의 천 장면에 장착하여 설치하고 있지만 그 작업도 용이하지 않았다.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전에, 천장 속의 천장면에 있어서, 나사(screw)에 의해서 화재 감지기를 장착하는 데는, 우선 앵커를 천장면에 박아 넣고, 그 후 나사를 앵커에 죄어 박아 화재 감지기를 장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게다가, 이 작업은 고공 작업이다. 작업자가 접사다리 위에 올라가서 앵커를 박아 넣고, 나사를 비틀어 넣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노력 및 시간이 요구되며, 또한 위험도 동반한다.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후, 화재 감지기를 천장 속의 천장면에 장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 천장 속의 화재 감지기의 경우, 일본에서는 소방법에 의해서 년간 2회의 점검 및 화재 시험이 의무로 되어 있지만, 그 작업도 용이하지 않다. 화재 감지기가 공조 덕트, 배기 덕트, 수도관 등의 설비 기기에 가리어서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아 점검 및 화재 시험 때마다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하여 화재 감지기에 접근해야만 한다. 따라서, 전선의 배선 작업과 마찬가지로, 시간 및 수고가 요구된다.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할 때, 설비 기기에 의해서 이동이 저해된다는 문제도 있다. 신체가 설비 기기에 충돌하여 설비 기기가 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작업자의 중력에 의해서 골조가 파손하는 경우도 있고, 천장 마감재가 깨지는 경우도 있다. 골조 및 천장 마감재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고, 작업자 자신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 화재 감지기가 고장났을 때, 그것을 새로운 화재 감지기와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 설비 기기가 있는 천장 속에서 화재 감지기를 떼어내고 교환해야 하는 등, 그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천장 속의 가스 누출 검지기도 천장 속의 천장면에 장착되어 설치되는데, 천 장 속의 화재 감지기와 동일한 문제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콘센트, 통신용 잭, TV용 직렬 유닛 등의 배선 기구를 새롭게 설치할 때, 그것을 천장 마감재의 적소에 장착하면, 전기 기기의 전선을 천장 마감재의 배선 기구에 접속할 수 있어서, 옥내 레이아웃 상, 그 설치 방식이 요망되는 일은 적지 않다. 그러나, 그 장착 공사는 제쳐놓고라도 문제는 배선 공사이다. 전선 기구를 천장 마감재의 적소에 장착하여 새롭게 설치하는데는, 노출된 전선을 천장 마감재의 아래 면을 따라서 부설하고 배선 기구에 접속시키지 않으면 안되나, 그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시간 및 수고가 요구되며, 공기가 길어져서 공사비용이 높아진다. 노출된 전선의 경우, 보호 커버로 케이블을 피복하여 보호해야 하므로 재료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도 있다. 노출된 전선을 천장 마감재의 아래 면을 따라서 부설하면, 천장 마감재의 외관이 손상된다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 그 원인을 조사할 때, 배선 기구의 접속 상태를 확인 및 점검하기 위해서는 배선 기구를 일단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
기타, 감시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기를 천장 마감재의 적소에 장착하여 새롭게 설치하는 것도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적외선식 또는 열선식 방범 감지기, 온도 검지기, 습도 검지기, 가스 누출 검지기 등의 각종 검지기를 천장 마감재의 적소에 장착하여 새롭게 설치하는 것도 요망되는 경우도 있다. 또, 버저(경적) 등의 경보기를 천장 마감재의 적소에 장착하여 새롭게 설치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노출된 전선을 천장 마감재의 아래 면을 따라서 부설하지 않으면 안되나, 그 작업은 용이하지 않아서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는 것도 위와 동일하다. 노출된 전선의 경우, 보호 커버에 의해서 케이블을 피복하여 보호해야 하므로 재료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는 것도 동일하다. 노출된 전선에 의하여 천장 마감재의 외관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도 동일하다. 감시 카메라, 화재 감지기, 각종 검지기 또는 경보기의 접속 상태를 확인 및 점검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일단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거롭다는 문제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천장 속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천장 속에 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천장 속의 화재 감지기의 설치 작업, 점검 및 화재 시험 작업 그리고 교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천장 속의 가스 누출 검지기의 설치 작업, 점검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배선 기구, 감시 카메라, 화재 감지기, 각종 검지기 또는 경보기를 천장 마감재의 적소에 설치할 때, 그 배선 공사가 용이해져서 공기가 단축되어 공사비용이 낮아지도록 하는 것, 재료 코스트가 저하하도록 하는 것, 천장 마감재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 그리고 접속 상태의 확인 및 점검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및 뚜껑에 의해서 화장 프레임이 구성된다. 본체는 원통 형상 또는 각통(角筒) 형상의 주벽(peripheral wall)을 갖는다. 또, 안쪽 구멍이 주벽 내에 형성되고, 바깥 방향 플랜지가 주벽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 주벽이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투과 구멍에 끼워지고, 바깥 방향 플랜지는 천장 마감재의 아래 면으로 밀어 붙어진다. 또, 지지 수단이 본체와 조합되어, 본체를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장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뚜껑은 본체의 안쪽 구멍을 닫기 위한 것이다.
주벽은 원통 형상의 것으로, 안쪽 구멍은 원 형상이고, 그 직경은 80∼300mm가 바람직하다.
또, 안쪽 구멍의 직경은 125∼200mm가 바람직하다.
뚜껑은 천장 마감재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깥 프레임에 의해서 뚜껑의 외주연이 피복되며, 뚜껑 및 바깥 프레임을 본체의 안쪽 구멍에 끼워 넣어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를 뚫어 투과 구멍이 형성되고, 떼어낸 천장 마감재에 의해서 뚜껑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수단은 복수의 발톱(a presser foot stitch tongue)으로 이루어지고, 본체의 주벽과 조합되어 천장 마감재의 윗면에 밀어 붙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톱 및 바깥 방향 플랜지에 의해서 본체를 장착하고,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천장 속에 전선을 배선할 때, 그 배선 경로 내의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 본체가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장착되고, 작업자의 팔이 본체의 안쪽 구멍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삽입되어, 천장 속에 전선이 배선된다. 그 후, 뚜껑에 의해서 본체의 안쪽 구멍이 닫힌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장 프레임이 천장 속의 장착 프레임과 조합된다. 장착 프레임은 천장 속의 천장면과 천장 마감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단 및 하단을 가지는데, 하단은 본체의 주벽에 고정된다. 또, 화재 감지기 또는 가스 누출 검지기가 장착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천장 속의 천장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그 위치에 지지되어 본체의 안쪽 구멍에 대향한다.
장착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며, 각 다리부가 화장 프레임의 안쪽 구멍의 주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그 하단이 화장 프레임의 주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 프레임은 각 다리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화재 감지기 또는 가스 누출 검지기는 그 연결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가 천장 속의 천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선 기구, 감시 카메라, 화재 감지기, 각종 검지기 또는 경보기가 화장 프레임의 뚜껑에 장비되고, 천장 속의 전선이 배선 기구, 감시 카메라, 화재 감지기, 각종 검지기 또는 경보기에 접속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장 프레임의 단면도.
도 3은 다른 위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후크의 단면도.
도 5는 도1의 화장 프레임에 의해 전선을 배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5의 다음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도 7의 장착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화장 프레임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화장 프레임의 저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천장 속의 배선 경로의 설명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화장 프레임의 단면도.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화장 프레임은 본체(1) 및 뚜껑(2)으로 구성되며, 본체(1)는 원통 형상의 주벽(3)을 가진다. 또, 안쪽 구멍(4)이 주벽(3) 내에 형성되고, 바깥 방향 플랜지(5)가 주벽 (3)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의 투과 구멍(透孔)을 천장 마감재(6)에 형성하고, 그 직경을 주벽(3)보다 약간 크게 선정하면, 주 벽(3)을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고 바깥 방향 플랜지(5)를 천장 마감재 (6)의 아래 면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
안쪽 구멍(4; 內孔)은 원 형상으로, 그 직경(D1)은 80∼300mm가 바람직하다. 최적 값은 125∼200mm이다. 바깥방향 플랜지(5)는 주벽(3)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폭(W)은 15∼20×2mm이다. 따라서, 안쪽 구멍(4)의 직경(D1) 및 바깥방향 플랜지(5)의 폭(W)에 의해서 본체(1)의 외경(D2)이 결정된다. 안쪽 구멍(4)의 직경(D1)이 80∼300mm일 때, 외경(D2)은 110∼340mm이다. 안쪽 구멍(4)의 직경(D1)이 125 ∼200mm일 때, 외경(D2)은 155∼240mm이다.
또, 지지 수단이 본체(1)와 조합되어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장착하고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수단은 복수의 발톱(7)으로 구성되며, 본체(1)의 주벽(3)과 조합되어 천장 마감재(6)의 윗면으로 밀어 붙여진다. 따라서 발톱(7) 및 바깥방향 플랜지(5)에 의해서 본체(1)를 장착,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홀더(8)가 주벽(3)의 직경 방향 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그 외면이 고정되어 한 쌍의 발톱(7)이 그것과 조합되어 있다. 홀더(8)는 채널재로 이루어지고, 발톱(7)을 수용하는 수용홈(9)을 갖는다. 발톱(7)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그 자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조작은 용이하다. 손으로 발톱(7)의 손잡이(10)를 잡고 편평화시키면, 그 발톱(7)을 홀더(8)의 수용홈(9)에 삽입하고 수용홈(9)을 따라서 하강시켜서, 천장 마감재(6)의 윗면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 또, 천장 마감재 (6)의 윗면으로 밀어붙인 후, 발톱(7)의 손잡이(10)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서 발톱(7)이 확대되어 수용홈(9)에 록킹(lock)된다. 따라서, 바깥방향 플랜지(5)를 천장 마감재(6)의 아래 면으로 밀어 붙여서 발톱(7)을 천장 마감재(6)의 상면으로 밀어 붙여 본체(1)를 장착,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손으로 발톱(7)의 손잡이(10)를 잡고 홀더(8)의 수용홈(9)을 따라서 상승시켜서 발톱(7)을 수용홈(9)에서 빼낼 수 있다. 본체(1), 발톱(7) 및 홀더(8)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의 것이다.
한편, 뚜껑(2)은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닫기 위한 것으로, 천장 마감재 (6)는 석고 보드, 베니어 판 등의 재료로 구성되며, 뚜껑(2)도 이것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또, 뚜껑(2)은 디스크 형상의 것으로 삽입식이다. 바깥 프레임(11)에 의해서 뚜껑(2)의 외주연이 피복되고, 뚜껑(2)은 바깥 프레임(11)에 지지 또는 고정된다. 그리고,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쪽 방향 플랜지(12) 및 바깥 방향 플랜지(13)가 바깥 방향 프레임(11)의 일단에 형성되고, 뚜껑(2)은 안쪽 방향 플랜지(12)에 계합 (係合)되어 지지된다. 또, 복수의 금구(金具: 14)가 바깥 프레임(1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안쪽으로 돌출하고, 나사(15)에 의해서 금구(14)와 바깥 프레임(11)이 조여져 고정된다. 나사(15)는 바깥 프레임(11)에 형성된 슬롯(16)에 삽입되어 관통한다. 따라서, 나사(15)를 일단 느슨하게 하여, 금구(14)를 슬롯(16)을 따라서 눌러서 뚜껑(2)에 밀어붙일 수 있다. 그후, 나사(15)에 의해서 금구(14)와 바깥 프레임(11)이 조여지고, 금구(14)에 의해서 뚜껑(2)이 고정되는 것이다. 나사(15)를 빼내고 금구(14)를 제거하여 뚜껑(2)과 바깥 프레임(11)을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후크(17)가 바깥 프레임(11)의 적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듯이, 후크(17)는 판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바깥 프레임 (1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바깥 프레임(11)의 반경 방향으로 휘어져 돌출하고, 그 하단은 바깥 프레임(1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단은 바깥 프레임(11)에 형성된 잘린 부분(18)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끼워 넣으면, 각 후크(17)가 주벽(3)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밀어 붙여지고, 그 반력에 의해서 각 후크(17)가 탄성 변형하여 수축하고, 후크(17)는 바깥 프레임(11)의 잘린 부분(18; notch)에 수용되어 주벽(3)의 내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그 후, 각 후크(17)가 주벽(3)의 윗가장자리를 넘었을 때, 탄성에 의해서 각 후크(17)가 변위, 확대되어, 그 후크(17)가 주벽(3)의 윗가장자리에 계합되고, 후크(17)에 의해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이 지지되고,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이 닫힌다. 그 후, 본체(1) 및 바깥 프레임(11)의 바깥 방향 플랜지(5, 13) 사이에서, 공구를 바깥 방향 플랜지(13)에 형성된 칼집(19)에 밀어 넣고, 이것에 의해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을 눌러 내리고 분리하여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열 수도 있다. 바깥 프레임(11)도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이다.
또한, 이 화장 프레임에서는, 뚜껑 낙하 방지구에 의해서 뚜껑(2)과 주벽(3)이 연결된다. 예를 들면, 뚜껑 낙하 방지구로서 체인 또는 밧줄(20)이 사용되며, 체인 또는 밧줄(20)에 의해서 바깥 프레임(11)과 홀더(8)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이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떨어졌을 때, 체인 또는 밧줄(20)에 의해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의 낙하가 방지된다. 또, 본체 낙하 방지구가 주벽(3)과 조합된다. 예를 들면, 본체 낙하 방지구로서 금구(21)가 사용되고, 금구(21)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각 홀더(8)의 상단에 고정되어 바깥방향 및 아랫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가 천장 마감재 (6)의 투과 구멍에서 떨어졌을 때, 금구(21)가 천장 마감재(6)의 윗면에 계합되어 금구(21)에 의해서 본체(1)의 낙하가 방지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속에 전선(22)을 배선할 때, 전선(22)의 배선 경로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작업자가 접사다리(23)에 타고 우선,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을 형성한다. 그 후, 접사다리(23) 위에서 화장 프레임의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고 장착한다. 본체 (1)의 장착에 있어서는, 그 주벽(3)을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고, 바깥방향 플랜지(5)를 천장 마감재(6)의 아래면으로 밀어붙이고, 그 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손으로 발톱(7)의 손잡이(10)를 잡아 홀더(8)의 수용홈(9)에 삽입하고, 수용홈(9)을 따라서 하강시켜서 천장 마감재(6)의 윗면으로 밀어붙이면, 본체(1)를 장착할 수 있어서 문제는 없다.
그 후, 예를 들면, 제 1 위치에서, 작업자의 팔 및 케이블 캣처(24)를 본체 (1)의 안쪽 구멍(4)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삽입하고, 본체(1)의 안쪽 구멍(4) 내에서 케이블 캣처(24)를 조작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캣처(24)를 전선삽입 위치를 향해서 신장시키면, 전선 삽입 위치에서 작업자의 팔 및 전선(22)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전선(22)을 케이블 캣처(24)에 걸어 맞출 수 있다. 따라서, 그 후, 제 1 위치에서, 본체(1)의 안쪽 구멍(4) 내에서 케이블 캣처(24)를 조작하여 수축시키면, 케이블 캣처(24)에 의해서 전선(22)을 끌어당길 수 있다. 케이블 캣처(24)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 삽입 위치에서, 삽입된 전선(22)을 제 1 위치를 향해서 던져 늘어뜨리고, 제 1 위치에서, 작업자의 팔로 그것을 끌어 당겨도 좋다. 그리고, 그 후 다음 위치에서 동일하게 본체(1)의 안쪽 구멍(4) 내에서 케이블 캣처(24)를 조작하여 이것을 제 1 위치를 향해서 신장시키면, 케이블 캣처(24)에 의해서 전선(22)을 끌어당길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 천장 속의 전선(22)을 다음 위치를 향해서 던지고 늘어뜨리고, 다음 위치에 있어서, 작업자의 팔로 그것을 끌어 당겨도 좋다.
이 작업을 각 위치에서 반복하여 천장 속의 전선(22)을 배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선(22)의 배선 후, 접사다리(23) 위에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 (11)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끼워 넣으면,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닫을 수 있다. 뚜껑(2)에 대해서는,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을 형성할 때, 커터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6)를 뚫어 투과 구멍을 형성하고, 떼어낸 천장 마감재(6)에 의해서 뚜껑(2)을 형성한다. 그 후, 뚜껑(2)을 바깥 프레임(11)에 끼워 넣고 금구(14)에 의해서 그것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화장 프레임의 경우,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지 않아도 천장 속에 전선(22)을 배선할 수 있으며, 그 작업은 용이하다. 시간 및 수고가 요구되지 않아서 공기는 단축되고, 공사비용은 낮아진다. 또, 공조 덕트, 배기 덕트, 수도관 등의 설비 기기가 천장 속의 적소에 배치되어 있지만,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할 필요가 없어서 설비 기기에 의해서 이동이 저해된다는 문제도 없다. 신체가 설비 기기에 충돌하여 이것에 의해서 설비 기기가 파손되는 일도 없다. 천장 속이란, 천장 속의 천장면과 천장 마감재(6) 사이의 공간을 말하며, 종방향 바 및 횡방향 바에 의해서 이중 천장의 골조가 구성되며, 천장 마감재 (6)가 이중 천장의 골조에 붙들어 매달리지만,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중력에 의해서 골조가 파손되는 일도 없으며, 천장 마감재가 깨지는 일도 없다. 골조 및 천장 마감재가 낙하하는 일도 없어서, 작업자 자신이 낙하할 염려도 없다.
더구나, 뚜껑(2)은 천장 마감재(6)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전선 (22)의 배선 후,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닫으면, 천장 마감재 (6)의 외관이 유지되어 위화감은 거의 없다. 또, 천장 마감재(6)는 석고 보드, 베니어 판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비교적 약하지만, 작업자의 팔, 케이블 캣처(24) 및 전선(22)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전선(22)을 배선할 때, 본체(1)의 주벽(3)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6)가 보호되어 천장 마감재(6)가 손상할 염려도 없다. 뚜껑(2)도 천장 마감재(6)와 동일한 재료로 비교적 약하지만, 바깥 프레임(11)에 의해서 보호되어 뚜껑(2)이 손상될 우려도 없다.
또,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에 대해서는, 후크(17)에 의해서 그것이 지지되고,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이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빠질 리는 없겠지만, 만일 빠지더라도 문제는 없다. 체인 또는 밧줄(20)에 의해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하다. 본체(1)에 대해서도, 발톱(7) 및 바깥방향 플랜지(5)에 의해서 본체(1)가 장착, 지지되어 본체(1)가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서 빠질 리는 없겠지만, 만일 빠지더라도 문제는 없다. 금구(21)를 천장 마감재(6)의 윗면에 걸어 맞추어, 금구(21)에 의해서 본체(1)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하다.
또,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대해서는, 안쪽 구멍(4)은 원형 형상으로, 그 직경(D1)은 80∼300mm인 것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이 값은 중요하다. 안쪽 구멍 (4)의 직경(D1)이 80mm에 달하지 않을 때, 작업자의 팔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곤란하므로 의미가 없다. 반대로, 안쪽 구멍(4)의 직경(D1)이 300mm를 넘으면, 본체(1)의 외경(D2)이 그것보다도 증대되어 이것을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우선, 커다란 화장 프레임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6)의 조화가 깨진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조명 기구, 공조기, 환기 팬, 열 교환기, 스프링클러 등의 기기가 천장 마감재 (6)의 적소에 장비되어, 본체(1)의 외경(D2)이 너무 크면, 각 기기 사이에서 천장 마감재(6)에 투과 구멍을 형성하고, 화장 프레임의 본체(1)를 끼워 넣을 수 없어 천장 마감재(6)의 설계상,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쪽 구멍(4)의 직경(D1)을 80∼300mm로 선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며, 이 값은 임계적 의미를 갖는다. 최적 값은 125∼200mm이다. 안쪽 구멍(4)의 직경(D1)이 125∼200mm이라면, 작업자의 팔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천장 마감재(6)의 조화를 손상시키지 않아서 각 기기가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장비되어 있어도 전선(22)의 배선 경로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화장 프레임의 본체(1)를 지장 없이 장착할 수 있어서 문제는 없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화장 프레임이 천장 속의 장착 프레임과 조합되어 있 다. 화장 프레임은 도 1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로, 본체(1) 및 뚜껑(2)을 가지고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장착 프레임은 천장 속의 천장면 (25)과 천장 마감재(6)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 및 하단을 가지며, 하단은 본체(1)의 주벽(3)에 고정된다. 또, 천장 속의 화재 감지기(26)가 장착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그 위치에 지지되고,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대향한다.
또, 천장 속의 화재 감지기(26)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소방법에 의해서 그 설치 위치가 규정되어 화재 감지기(26)를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접촉시키던지, 또는 천장면(25)에서 30cm 이내에 접근시키는 것이 의무지워져 있다. 따라서, 장착 프레임의 길이를 적당하게 선정하고, 화재 감지기(26)를 천장면(25)에서 30cm 이내로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프레임의 길이를 적당하게 선정하고, 화재 감지기(26)를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접촉시켜도 좋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27)를 가진다. 그리고, 각 다리부(27)가 안쪽 구멍(4)의 주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하단이 본체(1)의 주벽(3)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안쪽 구멍(4)의 주변에서 한 쌍의 다리부(27)가 주벽(3)의 직경 방향 대칭 위치에 배치되고, 각 다리부(27)에 채널재가 사용되어 그 하단이 각 홀더(8)에 끼워져 나사(28)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홀더(8)에 의해서 다리부(27)와 주벽(3)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장착 프레임은 각 다리부(27)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9)를 가지며, 화재 감지기(26)는 그 연결부(29)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착 프레임의 연결부(29)로서 평판 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그 양단이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다리부(27)의 상단에 서로 끼워져서 나사(3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고, 연결부(29)는 다리부(27)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또, 장착 프레임의 연결부(29)에 투과 구멍 (31) 및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전선(23)을 연결부(29)의 투과 구멍(31)을 통해서, 화재 감지기(26)를 그 전선(32)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후, 화재 감지기 (26)를 연결부(29)의 아래면으로 밀어붙이고, 나사(33)를 연결부(29)의 나사 구멍을 통해서, 화재 감지기(26)의 베이스에 맞죄어서 화재 감지기(26)를 장착할 수 있다.
화재 감지기(26)는 그 작동을 확인하는 작동 확인 램프(34)를 가지고 있다. 화재 시험기(35)에 의해서 화재 시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화장 프레임 및 장착 프레임을 작업 현장으로 반송할 때, 홀더(8), 다리부(27) 및 연결부(29)를 서로 분리시킨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후, 미리 천장 속의 천장면(25)과 천장 마감재(6) 사이의 거리를 측정 또는 산정하여 그 거리에 의해서 각 다리부(27)의 길이를 선정하고, 바닥면 위에서 각 다리부(27)를 그 길이로 절단한다. 또, 바닥면 위에서 나사(30)에 의해서 연결부(29)와 다리부(27)를 연결, 고정하여 나사(28)에 의해서 다리부(27)와 홀더(8)를 연결하여 고정하면 좋다.
또, 천장 마감재(6)를 붙인 후, 작업자가 접사다리에 타고 접사다리 위에서, 천장 마감재(6)에 투과 구멍을 형성하고, 천장 속에 있는 전선(32)을 그 투과 구멍 을 통해서 천장 속에서 끄집어낸다. 그후, 바닥면 위에서, 화재 감지기(26)를 그 전선(32)에 접속하고, 장착 프레임의 연결부(29)에 장착한다. 그후, 작업자가 접사다리에 타고, 접사다리 위에서 화장 프레임 및 장착 프레임을 들어 올려, 다리부 (27) 및 연결부(29)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돌출시키고,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하면 화재 감지기(26)를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접근 또는 접촉시켜 그 위치에 지지하고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장착에 있어서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그 주벽(3)을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고, 바깥방향 플랜지(5)를 천장 마감재 (6)의 아래면으로 밀어붙이고, 그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손으로 발톱(7)의 손잡이(10)를 잡고, 이것을 홀더(8)의 수용홈(9)에 삽입하여 수용홈(9)을 따라서 하강시켜 천장 마감재(6)의 윗면으로 밀어붙이면, 본체(1)를 장착할 수 있어서 문제는 없다. 그후, 접사다리 위에서, 뚜껑(2) 및 바깥 프레임(11)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끼워 넣고,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종래와 같이,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전에, 화재 감지기를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장착할 필요는 없다.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후, 화장 프레임의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하고, 화재 감지기(26)를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접근 또는 접촉시켜서 그 위치에 지지할 수 있어서 그 작업이 용이하다. 더구나, 이중 천장의 골조 시공 후, 전선(32)을 천장 속에서 끄집어내어 화재 감지기(26)를 접속할 수 있어서 작업 공정상 바람직하다.
또, 화재 감지기(26) 설치 후, 화재 감지기(26)는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대향한다. 따라서, 뚜껑(2)을 열면,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의해서 검출구가 형성되어, 바닥면 위에서 검출구(4)를 통해서 화재 감지기(26)를 점검할 수 있다. 검출구(4)에서 작동 확인 램프(34)를 확인할 수 도 있다. 바닥면 위에서 검출구(4)로 화재 시험기(35)를 삽입하고, 늘어 빼서 화재 감지기(26)에 접근시켜서 화재 시험기(35)로 화재 감지기(26)를 화재 시험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점검 및 화재시험 때마다,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하여 화재 감지기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서 그 작업도 용이하다. 작업자가 천장 속으로 들어가 천장 속을 이동할 때, 설비 기기에 의해서 이동이 저해된다는 문제도 없다. 신체가 설비 기기에 충돌하여 설비 기기가 파손되는 일도 없다. 작업자의 중력에 의해서 골조가 파손되는 일도 없어서 천장 마감재가 깨질 염려도 없다. 골조 및 천장 마감재가 낙하하는 일이 없어져서 작업자 자신이 낙하할 염려도 없다.
본체(1)의 바깥방향 플랜지(5)에 작동 확인 램프를 장착하고, 이것을 화재 감지기(26)에 접속하면, 뚜껑(2)을 열지 않아도 바닥면에서 작동 확인 램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화재 감지기(26)가 고장났을 때, 이를 새로운 화재 감지기와 교환할 필요가 있다. 교환에는, 우선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서 떼어내어 내리고, 다리부(27) 및 연결부(29)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부터 꺼낸다. 화재 감지기(26)의 전선(32)에 대해서도, 이를 연결부(29)와 함께 꺼내면 좋다. 본체(1)를 떼어 낼 때에 있어서는,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손으로 발톱(7)의 손잡이(10)를 잡고, 이것을 홀더(8)의 수용홈(9)을 따라서 상승시켜서 수용홈(9)에서 빼내면 되어 문제는 없다. 따라서, 그후, 바닥면 위에서 화재 감지기(26)를 제거하고 교환할 수 있다. 그후, 다리부(27) 및 연결부(29)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돌출시키고,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하면 된다. 상기 종래와 같이, 설비 기기가 있는 천장 속에서 화재 감지기를 떼어내고, 교환할 필요가 없어져서 그 작업도 용이하다.
천장 속의 화재 감지기(26)를 증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서, 새롭게 투과 구멍을 형성하고, 전선(32)을 천장 속에서 꺼내고, 화재 감지기(26)를 접속시키고 연결부(29)에 장착한다. 그후,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하여, 화재 감지기(26)를 증설할 수 있어서 그 작업도 용이하다.
또, 다리부(27) 및 연결부(29)에 대해서는, 연결부(29)는 다리부(27)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이 경우, 천장 속의 천장면(25)이 천장 마감재(6)에 평행일 때, 연결부(29)는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화재 감지기(26)도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대신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속의 천장면(25)이 천장 마감재(6)에 대해 경사져 있을 때, 연결부(29)를 다리부(27)에 대해 경사시켜서 연결부(29) 및 화재 감지기(26)가 천장 속의 천장면(25)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재 감지기(26)를 대신하여 가스 누출 검지기를 사용하여, 가스 누출 검지기를 장착 프레임의 연결부(29)에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천장 속의 가스 누출 검지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 가스 누출 검지기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어서 용이하게 교환할 수도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화장 프레임에 있어서, 배선 기구가 그 뚜껑 (2)에 장비되어 있다. 배선 기구는 콘센트(36)로 구성되며, 매설식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뚜껑(2)에 관통홈이 형성되어 콘센트(36)가 삽입되어 매설된다. 장착 금구(37) 및 나사(38)에 의해서 콘센트(36)와 뚜껑(2)이 고정되어 있고, 콘센트(36)는 뚜껑(2)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뚜껑(2)의 위쪽에서, 천장 속의 전선(39)이 콘센트(36)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전기 기기(40)의 전선 (41)에 플러그(42)가 설치되어 있고, 뚜껑(2)의 아래쪽에서, 플러그(42)를 콘센트 (36)에 질러 넣어, 전기 기기(40)의 전선(41)을 뚜껑(2)의 콘센트(36)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콘센트(36)를 새롭게 설치하고,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장착할 때,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업자가 접사다리에 올라가 천장 마감재(6)에 투과 구멍을 형성하고, 본체(1)를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 장착한다. 그후, 접사다리 위에서 천장 속에 있는 전선(39)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꺼낸다. 또, 접사다리 위 또는 바닥면 위에서, 그 전선(39)을 뚜껑(2)으로 유도하여 콘센트(36)에 접속한다. 그후, 접사다리 위에서 뚜껑(2) 및 바깥 프 레임(11)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끼워 넣고, 뚜껑(2)으로 안쪽 구멍(4)을 닫으면 콘센트(36)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그후, 전기 기기(40)의 전선(41)을 천장 마감재(6)의 콘센트(36)에 접속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천장 속에 있는 전선(39)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꺼내는 것이 아니라, 뚜껑(2)으로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닫기 전에 새로운 전선을 콘센트(36)에 접속한다. 그후, 그 전선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삽입하여, 천장 속에 전선을 배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그후,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닫으면 콘센트(36)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 있어서, 전기 기기(40)의 전선(41)을 콘센트(36)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콘센트(36)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때, 상기 종래와 같이, 노출된 전선을 천장 마감재(6)의 아래면을 따라서 부설하고, 콘센트에 접속할 필요는 없다. 천장 속의 전선(39)을 콘센트(36)에 접속할 수 있다. 그후, 뚜껑(2)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끼워 넣고, 뚜껑(2)으로 안쪽 구멍(4)을 닫으면 콘센트(36)를 설치할 수 있어서 그 작업은 용이하다. 시간 및 수고가 요구되지 않아 공기는 짧아지고, 공사비용은 낮아진다.
또, 천장 속의 전선(39)에 대해서는, 노출된 전선과는 달리, 보호 커버로 피복하여 보호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아 재료 코스트도 낮아진다. 더구나, 노출된 전선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6)의 외관이 손상되는 일도 없다. 본체(1)의 안쪽 구멍 (4)에 대해서도, 뚜껑(2)을 닫아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 (6)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도 없다. 뚜껑(2)은 천장 마감재(6)와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으므로 천장 마감재(6)의 외관이 유지되어 위화감은 거의 없다. 또, 어떤 트러블이 발생하여 그 원인을 조사할 때, 콘센트(36)의 접속 상태를 확인 및 점검할 때에는 뚜껑(2)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떼어내고 콘센트(36)의 접속 상태를 확인 및 점검할 수 있다. 콘센트(36)를 뚜껑(2)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어져서 그 작업도 용이하다.
천장 속에 있는 전선(39)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에서 꺼낼 때, 본체(1)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6)가 보호되어 천장 마감재(6)가 손상될 염려도 없다. 새로운 전선을 본체(1)의 안쪽 구멍(4)을 통해서 천장 속으로 삽입할 때, 본체(1)에 의해서 천장 마감재(6)가 보호되어 천장 마감재(6)가 손상될 우려도 없다. 뚜껑(2)에 대해서도, 바깥 프레임(11)에 의해서 보호되어 뚜껑(2)이 손상될 우려도 없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43)에 노출식의 것을 사용하여, 이것을 뚜껑(2)에 장비하여도 좋다. 노출식 콘센트(43)의 경우, 뚜껑(2)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천장 속의 전선(39)을 여기에 삽입하여, 콘센트(43)의 베이스(44)로 유도하여 단자에 접속한다. 그후, 베이스(44)를 뚜껑(2)의 아래면으로 밀어붙이고, 나사(45)로 고정하여 보호 커버(46)를 베이스(44)에 서로 끼워 넣으면, 뚜껑(2)의 아래쪽에서, 플러그(42)를 콘센트(43)에 질러 넣을 수 있어서, 전기 기기(40)의 전선 (41)을 콘센트(43)에 접속할 수도 있다.
콘센트(36, 43)를 대신해서, 통신용 잭 또는 TV용 직렬 유닛을 사용하고, 이것을 뚜껑(2)에 장비하여 천장 속의 전선(39)을 통신용 잭 또는 TV용 직렬 유닛에 접속하면, 통신용 잭 또는 TV용 직렬 유닛을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도 있어서, 전기 기기의 전선을 천장 마감재(6)의 통신용 잭 또는 TV용 직렬 유닛에 접속할 수 있다. 다른 배선기구를 뚜껑(2)에 장비하고, 천장 속의 전선(39)을 그에 접속하여도 좋다.
감시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기를 새롭게 설치할 때, 그것을 뚜껑(2)에 장비(裝備)하고, 천장 속의 전선(39)을 감시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기에 접속하면, 감시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기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적외선식 또는 열선식 방범 검지기(47)를 새롭게 설치할 때, 그것을 뚜껑(9)에 장비하고, 천장 속의 전선(39)을 적외선식 또는 열선식 방범 검지기(47)에 접속하면, 적외선식 또는 열선식 방범 감지기(47)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적외선식 또는 열선식 방범 검지기(47)에 한정하지 않고, 온도검지기, 습도 검지기, 가스 누출 검지기 등의 각종 검지기를 새롭게 설치할 때, 그것을 뚜껑(2)에 장비하고, 천장 속의 전선(39)을 각종 검지기에 접속하면 각종 검지기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부저 등의 경보기를 새롭게 설치할 때, 그것을 뚜껑(2)에 장비하고, 천장 속의 전선(39)을 경보기에 접속하면, 경보기를 천장 마감재(6)의 적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0의 천장 속의 배선 경로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장 프레임에 있어서, 콘센트(A1)가 뚜껑(2)에 장비되고,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이 닫혀져 있고, 콘센트(A1)와는 별도로, 콘센트(A2)가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 다른 화장 프레임에 있어서, 본체(1) 및 뚜껑(2)에 의해서 천장 속의 전선(22, 39)이 배선되고, 그 전선(22, 39)이 콘센트(A1, A2) 및 분전반(A3)에 접속되며, 전기 기기(A4)의 전선이 콘센트(A1, A2)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화장 프레임에 있어서, 통신용 잭(B1)이 뚜껑(2)에 장비되고,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이 닫히고, 통신용 잭(B1)과는 별도로, 통신용 잭 (B2)이 벽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천장 속의 전선(22, 39)이 통신용 잭(B1, B2) 및 통신용 단자반(B3)에 접속되어 있고, 전화기(B4)의 전선이 통신용 잭(B1, B2)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른 화장 프레임에 있어서, TV용 직렬 유닛(C1)이 뚜껑(2)에 장비되고,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이 닫히고, 천장 속의 전선(22, 39)이 TV용 직렬 유닛(C1) 및 TV 분배기(C3)에 접속되어 있고, TV(C4)의 전선이 TV용 직렬 유닛(C1)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감시 카메라(D1), 화재 감지기(E1) 및 적외선식 또는 열선식 방법 검지기(F1)가 뚜껑(2)에 장비되고, 뚜껑(2)에 의해서 본체(1)의 안쪽 구멍(4)이 닫혀지고, 천장 속의 전선(22, 39)이 그것에 접속되어, 모니터반(D3), 화재 수신기(E3) 및 방범 수신기(F3)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 천장 속의 전선(22, 39)이 조명 기구(G4)에 접속되고, 분배반(A3)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발톱(7) 이외의 지지 수단에 의해서 본체(1)를 지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 및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수단에 복수의 탄성 핑거(48)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핑거(48)가 주벽(3)의 직경 방향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그 외면에 고정되어 있고, 핑거(48)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주벽(3)의 하단에서 윗방향으로 연장되어 바깥 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손으로 각 핑거(48)를 잡고, 수축시켜서 주벽(3)을 천장 마감재(6)의 투과 구멍에 끼워 넣으면, 투과 구멍 내에서 탄성에 의해 각 핑거(48)가 확대되고, 각 핑거(48)가 투과 구멍의 윗가장자리에 걸어 맞추어지고, 핑거(48) 및 바깥방향 플랜지(5)에 의해 본체(1)를 장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체(1)의 주벽(3)이 원통 형상인 것을 설명하였지만, 각통 형상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5)

  1. 원통 형상 또는 각통 형상의 주벽, 상기 주벽 내에 형성된 안쪽 구멍, 및 상기 주벽의 일단에 설치된 바깥 방향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주벽을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투과 구멍에 끼워 넣고, 상기 바깥방향 플랜지는 상기 천장 마감재의 아래면으로 밀어 붙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장착하여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상기 안쪽 구멍을 닫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은 상기 천장 마감재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바깥 프레임에 의해서 상기 뚜껑의 외연이 피복되며, 상기 뚜껑 및 바깥 프레임을 상기 안쪽 구멍에 끼워 넣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안쪽 구멍은 원 형상이며, 그 직경은 80∼3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구멍의 직경이 125∼2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커터에 의해서 상기 천장 마감재를 뚫어 상기 투과 구멍이 형성되고, 뚫어진 천장 마감재에 의해서 상기 뚜껑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복수의 발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벽과 조합되어, 상기 천장 마감재의 윗면으로 밀어 붙여져, 상기 발톱 및 상기 바깥방향 플랜지에 의해서 상기 본체를 상기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장착하여,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7. 삭제
  8. 제 1 항 내지 3 항, 5 항 및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프레임은 천장 속 장착 프레임과 조합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은 천장 속의 천장면과 상기 천장 마감재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 및 하단을 가지고, 상기 하단이 상기 주벽에 고정되고, 화재 감지기 또는 가스 누출 검지기가 상기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천장 속의 천장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여 그 위치에 지지되어, 상기 안쪽 구멍에 대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며, 상기 각 다리부가 상기 안쪽 구멍의 주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그 하단이 상기 주벽에 고정되어 있고, 또,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기 각 다리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화재 감지기 또는 가스 누출 검지기는 그 연결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천장 속의 천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11. 제 1 항 내지 3 항, 5 항 및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선 기구, 감시 카메라, 화재 감지기, 각종 검지기 또는 경보기가 상기 뚜껑에 장비되어 있고, 천장 속의 전선을 상기 배선 기구, 감시 카메라, 화재 감지기, 각종 검지기 또는 경보기에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12. 안쪽 구멍을 가지며, 천장 마감재에 형성된 투과 구멍에 끼워 넣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 마감재의 하면으로 밀어붙여지는 바깥방향 플랜지와;
    상기 본체와 조합되고, 상기 천장 마감재의 상면으로 밀어붙여져 상기 본체를 상기 천장 마감재의 투과 구멍에 장착,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상기 본체 자체에 지지되고, 상기 안쪽 구멍을 닫는 뚜껑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및 하단을 가지며, 상기 하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화재 감지기 또는 가스 누출 검지기가 상기 상단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상기 본체의 상기 안쪽 구멍에 대향하도록 한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구멍은 원 형상이고, 그 직경은 8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프레임.
  14. 삭제
  15. 삭제
KR1020017014908A 1999-05-28 2000-05-24 화장 프레임 KR100776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50454 1999-05-28
JP15045499 1999-05-28
JPJP-P-1999-00265964 1999-09-20
JP11265964A JP2001052269A (ja) 1999-05-28 1999-09-20 天井裏火災感知器取り付け具
JP11286867A JP2001054219A (ja) 1999-05-28 1999-10-07 化粧枠および天井裏配線方法
JPJP-P-1999-00286867 1999-10-07
JP2000123987 2000-04-25
JPJP-P-2000-00123987 200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668A KR20020018668A (ko) 2002-03-08
KR100776354B1 true KR100776354B1 (ko) 2007-11-15

Family

ID=2747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908A KR100776354B1 (ko) 1999-05-28 2000-05-24 화장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91652A1 (ko)
KR (1) KR100776354B1 (ko)
CN (1) CN100377460C (ko)
WO (1) WO2000074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2948A1 (en) * 2001-09-26 2003-05-01 Ivalo Lighting Inc. Lighting fixture mounting apparatus
GB0815640D0 (en) * 2008-08-28 2008-10-08 Protec Fire Detection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ion systems
CN111719758B (zh) * 2020-06-29 2021-05-04 铭创(江苏)幕墙新材料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铝合金吊顶龙骨架
KR102541062B1 (ko) * 2021-05-12 2023-06-12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화재감지기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15A (ja) * 1997-06-25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装置
KR19990007808A (ko) * 1995-04-20 1999-01-25 루이카 제포,페졸라 티모 동물용 스트레스 조절제
KR19990007808U (ko) * 1997-07-31 1999-02-25 조용만 천정면 및 벽면 매립형 조명등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506A (en) * 1981-03-27 1982-11-02 Airmaster Fan Company Swag kit for ceiling mounted fans
JPS6041090U (ja) * 1983-08-26 1985-03-23 松下電工株式会社 天井埋込枠の取付構造
JPH01127318U (ko) * 1988-02-24 1989-08-31
JPH0716808Y2 (ja) * 1989-09-26 1995-04-19 株式会社間組 曲面屋根骨組構造
JPH0470782U (ko) * 1990-10-31 1992-06-23
JPH0511718U (ja) * 1991-07-25 1993-02-12 松下電工株式会社 埋込器具の取付装置
JPH0523720U (ja) * 1991-08-27 1993-03-26 松下電工株式会社 埋込器具の取付装置
CA2137987A1 (en) * 1993-12-16 1995-06-17 Jack R. Kerr, Jr. Electrical box for ceiling fan support
JPH08168129A (ja) * 1994-12-08 1996-06-25 F C Soken Kk 配線用作業杆
US5558537A (en) * 1995-02-24 1996-09-24 Su; Hsiu-Ling Ceiling fixture mounting structure
CN2285865Y (zh) * 1996-09-19 1998-07-08 黄建英 一种易检修的嵌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808A (ko) * 1995-04-20 1999-01-25 루이카 제포,페졸라 티모 동물용 스트레스 조절제
JPH1116415A (ja) * 1997-06-25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装置
KR19990007808U (ko) * 1997-07-31 1999-02-25 조용만 천정면 및 벽면 매립형 조명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74190A1 (fr) 2000-12-07
KR20020018668A (ko) 2002-03-08
CN100377460C (zh) 2008-03-26
CN1361934A (zh) 2002-07-31
EP1191652A1 (en)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443B2 (en) Fire rated recessed lighting assembly
US7473005B2 (en) Combined insulation capable and non-insulation capable recessed lighting assembly
US8051614B1 (en) Intumescent structure for ducting carrying communications cabling
CN104080289A (zh) 能够安装至吊顶的罩
US7262705B2 (en) Recessed detector assembly for detecting and venting airborne substances
US20060138251A1 (en) Self-adjusting intumescent firestopping apparatus
KR100776354B1 (ko) 화장 프레임
WO2021040322A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EP2884019A1 (en) Suspended ceiling system and method
US20030231881A1 (en) Fire-rated dome housing for security cameras
US20160115689A1 (en) Fixture-supporting rail for suspended ceilings
US4467514A (en) Locating arrangement for building wiring installation
US11454389B1 (en) Combination recessed lighting and smoke detector
JP2002017022A (ja) 化粧枠
WO2022025572A1 (ko) 체결용 앵커
KR200455495Y1 (ko) 부가기기 고정장치
KR102058682B1 (ko)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JP2001054219A (ja) 化粧枠および天井裏配線方法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JP7476773B2 (ja) 配線固定具及び配線固定方法
WO2019177480A1 (en) A procedure and a device for a manipulation with difficult approachable equipment by a rope
JP2007250256A (ja) 照明装置
KR102541062B1 (ko) 화재감지기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시공방법
KR101342707B1 (ko) 감시 카메라
KR102513471B1 (ko)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