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256B1 - 공기 디퓨져 - Google Patents

공기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256B1
KR100776256B1 KR1020060067030A KR20060067030A KR100776256B1 KR 100776256 B1 KR100776256 B1 KR 100776256B1 KR 1020060067030 A KR1020060067030 A KR 1020060067030A KR 20060067030 A KR20060067030 A KR 20060067030A KR 100776256 B1 KR100776256 B1 KR 10077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diffusion plate
duct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주의성
권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환기 또는 온도조절 등을 위하여 중앙의 공기조화 시스템과 연결되는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공기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로 급기 및 흡기되는 공기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기량을 조절하더라도 소음이 증가되지 않으며, 공급되는 공기를 자체적으로 여과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급기유로가 형성된 급기덕트, 상기 급기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급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급기덕트에 진퇴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산판과, 상기 급기유로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확산판과 접하고 탄성변형 가능한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급기유로내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 디퓨져{Air diff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디퓨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공기 디퓨져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확산판이 후퇴하여 공기량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공기 디퓨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급기덕트, 11 : 지지부,
12 : 요철부, 20 : 확산판,
23 : 개도조절부, 30 : 필터체,
40 : 흡입덕트, 50 : 하우징,
본 발명은 공기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환기 또는 온도조절 등을 위하여 중앙의 공기조화 시스템과 연결되는 덕트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공기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중앙식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의 경우 공기조화기를 거친 공기는 천장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이동되어 실내에 설치된 디퓨져를 통해 실내의 적정위치에 고르게 공급된다.
이때 공기 디퓨져는 공기가 고르게 확산되도록 공기를 단순히 여러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만을 하는 기본형과, 공기를 토출하는 기능 이외에 흡기기능도 갖추고 있는 흡,토출 일체형으로 분류된다.
도 4는 종래의 공기 디퓨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써, 토출기능만 수행하는 기본형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공기 디퓨져는 원통형의 본체(1)가 천장에 매설되어 일단은 실내에 노출된 상태에서 급기구(5)를 형성하고, 타단은 천장내부에 설치된 덕트(미도시)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급기구(5)에는 급기되는 공기를 넓게 확산시키고 급기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급기구(5)의 전방에 원형 안내판(3)이 설치된다.
상기 원형 안내판(3)은 급기구(5) 전방에서 진퇴하며 급기구(5)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앙에 볼트부(4)가 마련되고, 급기구(5) 중심에는 상기 볼트부(4)가 체결되는 너트부(2)가 마련되어 원형 안내판(3)을 회전시킴에 따라 원형안내 판(3)이 상하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풍량조절기능은 단순히 급기구(5)의 개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만 이루어지므로 급기량을 줄이기 위하여 급기구(5)의 개도를 낮추면 안내판(3)의 외주연과 급기구(5)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유속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소음발생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퓨져에 의한 급기는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어떠한 여과장치 없이 그대로 실내로 이루어지므로 덕트의 오염정도에 따라 급기되는 공기도 오염되어 실내로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내로 급기 및 흡기되는 공기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기량을 조절하더라도 소음이 증가되지 않는 공기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자체적으로 여과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디퓨져는, 내부에 급기유로가 형성된 급기덕트, 상기 급기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급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급기덕트에 진퇴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산판과, 상기 급기유로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확산판과 접하고 탄성변형 가능한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급기유로내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덕트의 외측에 마련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외주연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판에는 상기 확산판이 진퇴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그 외주연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개도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확산판사이에 상기 확산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장치는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확산판 중 어느 일측에 상기 급기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된 면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상기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디퓨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수 있도록 흡기구(44)와 급기구(2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디퓨져는 중앙식 공기 조화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급기와 배기를 겸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기를 환기를 위하여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와 전열교환한 후 여과하여 실내로 급기하는 환기 시스템(미도시)이 적용된 건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공기 디퓨져의 내부 구조는 나타낸 단면도로써, 디퓨져 내부에는 관형의 급기덕트(10)가 마련되고 이 급기덕트(10)의 일단은 실내와 연통되며, 타단은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되는 송풍덕트(미도시)와 연결된다.
급기덕트(미도시)의 전방에는 급기되는 공기를 실내로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20)이 마련되며, 이 확산판(20)은 공기를 안내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갖는 안내부(21)와, 이 이 안내부(21) 사이에 형성되는 급기구(22)를 포함한다.
확산판(20)은 공기를 실내의 여러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기능 이외에 급기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급기조절기능은 확산판(20)과 급기덕트(10)사이에 필터체(30)를 설치하고 이 필터체(30)가 가압됨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손실을 증가시켜 급기되는 공기의 감속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터체(30)는 가압됨에 따라 압축되어 부피가 감소되고 가압된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즉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필터체(30)의 가압을 위하여 필터체(30)의 일단은 확산판(20)의 일측에 접하며, 필터체(30)의 반대쪽 타단을 지지하여 급기덕트(10)내에서 필터체(30)가 이동되지 않도록 급기덕트(10)내의 급기유로(13)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지지부(11)가 마련된다.
확산판(20)과 지지부(11) 사이에 설치된 필터체(30)가 확산판(20)의 진퇴에 따라 수축 또는 팽챙되도록 확산판(20)은 급기덕트(10)와 슬라이딩 운동가능한 구 조로 설치되며, 실시예에 의하면 확산판(20)에 급기덕트(10)의 외주연을 감싸는 관부(24)가 마련되어 급기덕트(10)의 외주면과 관부(24)의 내주면이 슬라이딩 되면서 확산판(20)이 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확산판(20)의 진퇴에 따라 필터체(30)를 적절히 가압하여 필터체(30)가 수축함에 따라 증가되는 압력손실에 의해 급기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확산판(20)이 최초 돌출된 위치와 도 3에서와 같이 확산판(20)을 밀어 넣어 필터체(30)가 최대한도로 수축된 상태의 확산판(20)의 위치사이에서 확산판(20)의 위치를 고정하여 필터체(30)의 가압정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가 필요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장치는 급기덕트(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과 함몰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서 일정한 굴곡면을 형성하는 요철부(12)와, 이 요철부(12)에서 함몰된 형상에 결합되어 확산부(20)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걸림부(24a)를 포함한다.
걸림부(24a)는 원부(24)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요철부(12)와 걸림부(24a)는 그 위치를 바꾸어 요철부가 확산부(2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걸림부가 급기덕트(10)측에 마련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장치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확산판(20)의 이동경로상에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의 다른 실시예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필터체(30)는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필터체(30)를 교체 또는 청소할 수 있도록 확산판(30)을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체(30)는 사용자가 청소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세척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에서 필터체(30)는 발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기 디퓨져는 실내에 급기하는 기능이외에 환기 시스템과 같은 중앙의 공기조화시스템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이러한 흡입기능을 위해 급기덕트(10)의 외주면에 소정간격만큼 이격되어 감싸는 구조로 흡입덕트(40)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급기덕트(10)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흡입유로(41)를 형성된다.
흡입유로(41)는 천장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덕트(미도시)에 연결되어 환기 시스템 등과 연결되고, 흡입덕트(40)의 외주연에는 실내로부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42)과, 흡입구(42) 사이에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그릴(43)이 형성되어 있다.
실내로의 급기량의 증감에 따라 실내로부터 흡입하는 공기량도 증감되는데, 이러한 흡입량에 따라 흡입구(42)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확산판(20)에는 개도조절부(23)가 마련된다.
상기 개도조절부(23)는 확산판(20)의 진퇴에 따라 흡입구(42)의 개도, 즉 흡입구(42)의 단면적을 증감시킬 수 있도록 확산판(20)의 원부(2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흡입구(42)와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확산판(20)의 진퇴에 따라 흡입구(42)의 개도가 조절되므로 공기 디 퓨져에 의한 공기의 급기와 흡입은 급기량에 따라 흡입량도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흡입구(42)는 바로 실내로 노출된 상태가 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덕트(4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하우징(50)을 더 포함하여 이격된 공간이 실내에 노출되는 흡기구(44)를 형성하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때 확산판(20)이 전진함에 따라 급기구(21)와 흡기구(44)사이의 거리도 증가하게 되므로 급기구(21)와 흡기구(44)가 인접함에 따른 재흡입 등의 문제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디퓨져는 급기유로에 필터체가 마련되어 급기되는 공기를 자체적으로 여과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산부의 진퇴에 따라 필터체가 가압되면서 그에 따른 압력손실의 증감에 의해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급기량을 조절하더라도 흡입소음이 증가되지 않아 정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기량의 조절에 따라 흡입량에 영향을 미치는 흡입구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급기구와 흡입구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여 흡기와 급기의 간섭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급기유로가 형성된 급기덕트, 상기 급기유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급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급기덕트에 진퇴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산판과, 상기 급기유로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확산판과 접하고 탄성변형 가능한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급기유로내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디퓨져.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급기 덕트의 외측에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디퓨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에는 상기 확산판이 진퇴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그 외주연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개도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디퓨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확산판사이에 상기 확산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디퓨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장치는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확산판 중 어느 일측에 상기 급기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된 면으로 형성되는 요철부와,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상기 요철부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디퓨져.
KR1020060067030A 2006-07-18 2006-07-18 공기 디퓨져 KR10077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30A KR100776256B1 (ko) 2006-07-18 2006-07-18 공기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30A KR100776256B1 (ko) 2006-07-18 2006-07-18 공기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256B1 true KR100776256B1 (ko) 2007-11-15

Family

ID=3906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30A KR100776256B1 (ko) 2006-07-18 2006-07-18 공기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95B1 (ko) 2010-05-14 2013-05-31 고려산업 주식회사 송풍 및 흡입에 의한 살균 여과 장치
KR101375311B1 (ko) 2013-06-20 2014-03-18 정철용 공기조화용 소음 디퓨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45A (ja) * 1993-07-23 1995-02-03 Shinagawa Refract Co Ltd MgO部分安定化ZrO2焼結体製ダイス又はニップル
JPH10220857A (ja) * 1997-02-06 1998-08-21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JP2000104985A (ja) * 1998-09-28 2000-04-11 Daikin Ind Ltd 天井取付型の空気吹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45A (ja) * 1993-07-23 1995-02-03 Shinagawa Refract Co Ltd MgO部分安定化ZrO2焼結体製ダイス又はニップル
JPH10220857A (ja) * 1997-02-06 1998-08-21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JP2000104985A (ja) * 1998-09-28 2000-04-11 Daikin Ind Ltd 天井取付型の空気吹出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7-3244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0498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2085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95B1 (ko) 2010-05-14 2013-05-31 고려산업 주식회사 송풍 및 흡입에 의한 살균 여과 장치
KR101375311B1 (ko) 2013-06-20 2014-03-18 정철용 공기조화용 소음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484B1 (ko) 개인 대응형 공기청정장치
US20080182505A1 (en) Air diffuser for high velocity hvac systems
CN104481932B (zh) 风扇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0776256B1 (ko) 공기 디퓨져
MY138414A (en) Air conditioner
WO2009057923A2 (en) Multiple ventilation system
KR200427321Y1 (ko) 개인대응형 테이블 고정 베큠 장치
JPH09503045A (ja) 換気スペースへの送気方法及び装置
FI122284B (fi) Ilmavirtauksen päätelaite
TW200626847A (en)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having automatic filter cleaning function
KR200376798Y1 (ko) 가변 풍량 디퓨저
FI125242B (fi) Tuloilmaventtiili
KR100595568B1 (ko) 레인지용 후드
KR20120113028A (ko) 가습 장치
KR20210089434A (ko) 공기조화기
KR200292511Y1 (ko)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KR200457916Y1 (ko) 환기장치
CN109200414B (zh) 一种降噪呼吸机系统
CN204061112U (zh) 风扇及其用于风扇的喷嘴
KR100953903B1 (ko) 디퓨져 조립체
KR101333081B1 (ko) 공기조화기의 디퓨져 조절장치
KR20040107511A (ko) 필터모듈과 같은 장치를 지지하는 연결가능한 지지면을갖춘 지지체를 구비한 환기장치
KR20170103150A (ko) 풍량비 조절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KR100221475B1 (ko) 공기조화장치용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