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43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9434A KR20210089434A KR1020200002594A KR20200002594A KR20210089434A KR 20210089434 A KR20210089434 A KR 20210089434A KR 1020200002594 A KR1020200002594 A KR 1020200002594A KR 20200002594 A KR20200002594 A KR 20200002594A KR 20210089434 A KR20210089434 A KR 202100894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onnecting member
- duct
- ceiling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천장에 매립 형태로 마련되며, 공간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본체와,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를 가진 덕트와, 본체 및 덕트 사이에 마련되며 유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본체로 제공되도록 본체 및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연결부재는, 본체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일단에 마련된 결합부와, 본체의 설치 중 덕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시 거치를 위해 타단에 마련되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치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유동시켜 실내에 토출시키는 본체를 가진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천장에 본체를 설치하는 경우에 덕트를 본체에 연결하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요구에 따라서,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기류 등의 속성을 조절하거나 또는 사용 공간의 공기의 교환 등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장치를 지칭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송풍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공간의 환경을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상태로 바꾼다. 공기조화기는 조절하는 공기의 속성에 따라서 구분되는 바, 그 예시로는 공기의 온도 조절을 위한 냉난방장치,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제습기, 필터링을 통해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공기청정기,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장치 등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필요한 기능을 하나의 본체에 의해 수행하도록 마련된 일체형과, 필요한 기능을 분담하여 수행하는 둘 이상의 본체로 마련된 분리형이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예시로는 창문형 등이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 및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예시로는 벽걸이형, 천장형(천장매립형) 등이 있다. 근래에는 실내 공간의 확보 등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 상측의 공간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방, 거실 등의 다양한 실내와, 실외기 등의 복수의 장소에 연결된 복수의 덕트가 연결된다. 복수의 덕트는 타 장소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실내기로 전달하거나 또는 실내기 내의 공기를 타 장소로 전달하는 유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덕트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한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의 설치 시에는, 천장 상측의 공간을 통해 덕트 호스가 실내기를 설치하기 위한 천장의 타공된 개구로 끌어오게 된다.
실내기 및 덕트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는, 먼저 천장의 개구에 나무, 금속 등에 의한 프레임을 설치하여 해당 프레임에 덕트 호스를 결합시키고, 개구를 통해 실내기를 천장에 매립되도록 설치할 때 실내기가 덕트 호스에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실내기의 설치 시에 프레임을 설치해야 하는 부담과 불편함을 발생시키며, 실내기를 프레임에 결합된 덕트 호스에 연결시키는 공정이 설치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용이하지 않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덕트 호스를 천장의 개구를 통해 천장 아래로 소정 길이 끌어내린 상태에서, 덕트 호스를 실내기에 연결시키고, 실내기를 천장의 개구에 매립되도록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덕트 호스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실내기를 출입하는 공기의 유로가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천장에 매립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본체와,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를 가진 덕트와,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본체로 제공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일단에 마련된 결합부와, 상기 본체의 설치 중 상기 덕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시 거치를 위해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치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개구 가장자리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서 돌출 연장되고, 연장되는 단부가 상기 덕트와의 연결 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거치부가 절곡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걸림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단에 상기 걸림지지부에 대응하는 걸림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시 상기 걸림지지부와 걸림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해제 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지지부로부터 걸림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동작시키는 걸림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거치부를 파지한 상태의 사용자의 손이 도달 가능한 거리 범위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제1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단에 상기 제1자석부에 대응하는 인력을 가지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시 상기 제1자석부에 부착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제2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공기가 흐르도록 회전하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간략히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덕트에 지지된 연결부재를 우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를 좌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부재를 옆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거치부가 천장개구의 모서리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부재가 본체의 하우징에 연결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덕트에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덕트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천장에 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체를 천장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체에 연결부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천장의 천장개구에 연결부재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연결부재를 본체에 연결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결합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덕트에 지지된 연결부재를 우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를 좌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부재를 옆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거치부가 천장개구의 모서리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부재가 본체의 하우징에 연결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덕트에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덕트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천장에 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체를 천장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체에 연결부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천장의 천장개구에 연결부재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연결부재를 본체에 연결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결합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간략히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 등 소정의 사용공간(20)의 천장(10) 내 설치공간(30)에 설치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천장(10)을 기준으로, 천장(10) 상측은 본체(100)가 수용되는 설치공간(30)으로, 천장(10) 하측은 본체(100)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사용공간(20)으로 구분된다. 천장(10)에는 천장개구(40)가 관통 형성됨으로써 사용공간(20) 및 설치공간(30)이 연통된다. 즉, 설치공간(30)에 설치된 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천장개구(40)를 통해 사용공간(20)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본체(100)는 천장매립형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활동하는 사용공간(20)이 아닌, 천장(10) 상측의 설치공간(30)에 설치된다. 본체(100)를 설치공간(30)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본체(100)는 예를 들면 환기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공기조화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또는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이거나,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의 본체이거나, 공기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공기청정기일 수도 있다. 이하, 본체(100)가 환기장치인 경우의 본체(100)의 구조 및 동작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체(100)는, 본체(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에는 공기가 출입하도록 관통된 복수의 개구(111, 112, 113)가 마련되는데, 이들 개구(111, 112, 113)는 공기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111)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마련된다. 배출구(112)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실내토출구(113)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사용공간(20)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천장(10)에 대해 기립한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실내토출구(113)는 천장개구(40)에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각 개구(111, 112, 113)에 대한 명칭은 본 실시예에서 편의상 구분을 위해 붙여진 것이며, 해당 명칭이 본체(100)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또한, 본체(100)에 형성된 각 개구(111, 112, 113)의 기능이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본체(100)는 하우징(110)에 수용되며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120)를 포함한다. 필터(120)는 공기의 다양한 이물질, 세균, 먼지 등을 필터링한다. 필터(120)의 예시로서, 망을 포함하는 프리필터(Pre-Filter), 공기중의 미립자를 필터링하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세균을 필터링하는 제균 필터 등이 있다.
본체(100)는 하우징(110)에 수용되며 공기가 개구(111, 112, 113)를 통해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팬(130)을 포함한다. 팬(130)은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가진다.
본체(100)는 인가되는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조정하는 열교환부(14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140)는 예를 들면 인가되는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기 용이하도록 저항이 높은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120)에 의해 필터링되고 열교환부(140)에 의해 온도가 조정된 이후, 배출구(112) 및 실내토출구(113)를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111) 및 배출구(112)가 각각 하나씩 마련된 것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흡입구(111) 및 배출구(11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구(111)는 소정의 제1장소에 연통되는 흡입덕트(210)에 연결된다. 흡기덕트(210)는 설치공간(30)에 설치된다. 흡기덕트(210)는 제1장소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기유로를 내부에 가지며, 흡기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흡입구(111)로 안내한다.
배출구(112)는 소정의 제2장소에 연통되는 배기덕트(220)에 연결된다. 배기덕트(220)는 설치공간(30)에 설치된다. 배기덕트(220)는 하우징(110) 내부로부터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배출유로를 내부에 가지며, 배출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제2장소에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11), 배출구(112), 흡입덕트(210) 및 배기덕트(220)라는 각각의 용어들은 단지 본체(100)를 기준으로 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서 편의상 붙여진 것에 불과함을 밝힌다.
흡입구(111) 및 흡기덕트(210)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1연결부재(300)가 마련된다. 또한, 배출구(112) 및 배기덕트(220)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2연결부재(400)가 마련된다.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 제1연결부재(300) 및 제2연결부재(4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덕트에 지지된 연결부재를 우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를 좌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덕트(210)의 단부에 제1연결부재(300)가 지지된다. 제2연결부재(400, 도 1 참조)는 제1연결부재(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용어를 간단히 하여, 제1연결부재(300)를 연결부재(300)로, 흡기덕트(210)를 덕트(210)로 각기 지칭한다.
덕트(210)는 예를 들면 섬유 등의 재질로 마련된 호스를 스프링 형태로 연장된 와이어가 지지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덕트(2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덕트(210)의 수송이 편리한 구조이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덕트(210)의 한 가지 예시일 뿐이며, 덕트(210)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덕트(210)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한 호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덕트(210)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가지며, 유로의 양 단부가 연통됨으로써 해당 유로를 통해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연결부재(300)는 덕트(210)의 유로 단부에 지지되는 연결부재본체(31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본체(310)의 중앙에는 홀(320)이 관통 형성되며, 홀(320)이 덕트(210)의 유로의 단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부재본체(310)가 덕트(210)에 지지된다. 연결부재본체(310)는 플라스틱, 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본체(310)가 덕트(210)에 지지되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덕트(210)의 단부가 연결부재본체(310)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에서, 연결부재본체(310)를 덮고 있는 덕트(210)의 단부의 외주면이 클램핑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연결부재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핀(fin)(330)을 포함한다. 핀(330)은 연결부재(300)가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개구(111, 도 1 참조)에 연결될 때, 하우징의 외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연결부재(300)가 하우징(110) 내로 완전히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재(300)는 연결부재본체(310)에 마련되며 하우징(110, 도 1 참조)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도록 마련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결합부는 다양한 설계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그 중에서 한 가지 예시에 불과함을 밝힌다. 결합부는 걸림 형상을 가지고, 연결부재(300) 및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연결 시에 하우징(110, 도 1 참조)에 걸림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걸림부(34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본체(310)는 외력에 의해 연결부재본체(310)의 중심을 향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자유단(311)을 가지는데, 걸림부(340)는 자유단(311)의 외측면 상에 돌출된다. 자유단(311)은 연결부재본체(310)의 외주면 중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며, 연결부재본체(310)의 나머지 영역인 고정단에 대해 연결부재본체(310)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탄성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본체(310)의 좌우측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걸림부(34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부(340)에서 하우징을 향하는 전면은 연결부재본체(310)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로써,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걸림부(340)의 전면은 하우징의 개구의 모서리에 접촉하며 슬라이드됨으로써 걸림부(340)가 하우징의 개구로 진입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걸림부(340)에서 덕트(210)를 향하는 후면은 연결부재본체(310)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기립하게 마련된다. 이로써, 일단 걸림부(340)가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한 이후, 걸림부(340)가 하우징 개구의 모서리에 걸림으로써, 연결부재(300)가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연결부재(300)는 연결부재(300)를 하우징으로부터 연결해제시키고자 할 때, 걸림부(340)를 하우징으로부터 걸림해제 상태가 되도록 걸림부(340)를 동작시키는 걸림해제부(350)를 포함한다. 걸림해제부(350)는 자유단(311)의 외측면 상에 마련된다. 걸림해제부(350)는 외력이 연결부재본체(310)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면, 자유단(311)을 해당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걸림부(340)가 하우징의 개구의 모서리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걸림해제부(350)는 후술할 거치부(360)로부터, 거치부(360)를 파지한 상태의 사용자의 손이 도달 가능한 거리 범위 이내에 배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연결부재(300)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연결부재(300)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중에, 덕트(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시 거치를 위해 연결부재본체(310)의 외주면에 마련된 거치부(360)를 포함한다. 거치부(360)는 본체(100, 도 1 참조)가 매립되는 천장(10, 도 1 참조)의 구조물, 예를 들면 천장개구(40, 도 1 참조)에 대응하는 거치 형상을 가진다.
이하, 거치부(360)의 구조 및 사용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연결부재를 옆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거치부가 천장개구의 모서리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는 연결부재본체(310)의 일측에 마련된 거치부(360)를 포함한다. 거치부(360)는 공기조화기의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10)의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의 형상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본체가 천장(10)에 매립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는 덕트(210)가 결합된 연결부재(300)를 거치부(360)에 의해 천장개구(40)에 거치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체를 설치하고, 설치된 본체에 덕트(210)를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거치부(360)는 연결부재본체(3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된 제1연장부(361)와, 제1연장부(361)로부터 절곡하여 덕트(210)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362)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361) 및 제2연장부(362) 사이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접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본체(310), 제1연장부(361) 및 제2연장부(36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가 수용된다. 이로써, 거치부(360)에 의해 연결부재(300)와 덕트(210)는 천장(10)의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에 거치된다. 천장(10) 하측에서 사용자가, 거치된 거치부(360)를 이용하여 연결부재(300)를 천장개구(40)의 방향으로 밀게 되면, 거치부(360)를 포함한 연결부재(300)와 덕트(210)는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로부터 이탈된다.
연결부재본체(310)의 외면으로부터 제2연장부(362)로 절곡되는 지점까지의 제1연장부(361)의 길이 W1는, 공기조화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10)의 두께 W2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W1은 W2보다 기 설정된 거리만큼 크게 마련됨으로써, 연결부재(300)를 천장개구(40)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사용자가 거치부(360)를 천장개구(4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거치부(360) 및 걸림해제부(350) 사이의 거리 W3는, 거치부(360)를 파지한 상태의 사용자의 손이 도달 가능한 거리 범위 이내로 마련된다. 이로써, 본체에 연결된 상태의 연결부재(300)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본체로부터 연결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 연결부재의 걸림부가 본체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연결부재가 본체의 하우징에 연결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우징(110)은 일측에 개구(111)가 형성되며, 개구(111)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면의 일 영역은 걸림지지부(114)를 형성한다. 걸림지지부(114)는 하우징(110) 및 연결부재(300)의 연결 시에 걸림부(340)와 걸림 상태가 된다. 연결부재(300)에서는 자유단(311) 상에 걸림부(340)가 마련된다. 걸림부(340)는 걸림지지부(114)에 대응하는 걸림 형상을 가진다.
본 도면에서 X 방향은, 하우징(110)의 개구(111)를 향하는 방향이며, -X 방향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덕트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Y 방향은 연결부재(300)의 반경방향이며, -Y 방향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연결부재(3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X 방향 및 Y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연결부재(300)은 하우징(110)에 연결되지 않은 제1위치(P1)와, 걸림부(340)가 개구(111)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제2위치(P2)와, 걸림부(340)가 걸림지지부(114)에 지지되는 제3위치(P3) 중 어느 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위치(P1)의 연결부재(300)가 외력에 의해 X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위치(P2)의 상태를 지나서 제3위치(P3)로 이동함으로써, 연결부재(300)가 하우징(110)에 연결된다.
걸림부(340)는 X 방향을 향하는 제1걸림면(341)과, 제1걸림면(341)에 접하며 -X 방향을 향하는 제2걸림면(342)을 가진다. 제1걸림면(341)은 -X 방향의 축선에 대해 0도 및 90도 사이의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비해, 제2걸림면(342)은 -X 방향의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X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부재(300)가 제2위치(P2)를 통과할 때, 개구(111)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에 걸림부(340)의 제1걸림면(341)이 접촉한다. 제1걸림면(341)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마련되므로, 접촉하는 하우징(110)에 의해 -Y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외력은 자유단(311)을 -Y 방향으로 밀게 되며, 자유단(311)은 -Y 방향을 향해 휘어진다. X 방향을 향하는 외력 및 -Y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함께 걸림부(340)에 작용함으로써, 제1걸림면(341)은 하우징(110)을 타고 슬라이드하며, 연결부재(300)는 제3위치(P3)로 이동한다.
연결부재(300)가 제3위치(P3)에 도달하면, 하우징(110)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므로 자유단(311)은 원 위치로 회귀한다. 걸림부(340)의 제2걸림면(342)은 걸림지지부(114)와 마주하게 되며, 걸림부(340)는 걸림지지부(114)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X 방향으로 연결부재(3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걸림부(340)가 걸림지지부(114)에 의해 걸리므로 연결부재(30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제3위치(P3)의 연결부재(30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걸림부(340)가 개구(111)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자유단(311)이 -Y 방향으로 휘어져야 한다. 사용자가 걸림해제부(350, 도 2 참조)를 누르게 되면 자유단(311)은 -Y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부재(300)가 -X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부재(300)는 제1위치(P1)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공기조화기 본체를 설치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덕트에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덕트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천장에 거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체를 천장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체에 연결부재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의 각각의 공정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천장(10)에 매립하기 위해 천장(10)이 타공됨으로써 천장개구(40)가 마련된다. 천장개구(40)는, 예를 들면 천장(10) 하측으로부터 천장(10) 상측으로 본체를 올릴 수 있도록, 적어도 본체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된다.
천장(10) 상측을 통해 소정의 장소로부터 덕트(210)가 천장개구(40)까지 연장되면, 연결부재(300)가 덕트(210)에 결합된다. 연결부재(300) 및 덕트(210)의 결합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연결부재(300)의 홀이 덕트(210)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300)는 덕트(210)와 클램핑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10)에 결합된 연결부재(300)는, 거치부(360)가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에 거치됨으로써 천장개구(40)의 위치에 지지된다. 덕트(210)는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소정의 장소까지 연장되므로, 연장된 길이에 따라서 무게도 증가한다. 이 때문에, 덕트(210)에 천장개구(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력이 걸릴 수 있다. 거치부(360)는 이러한 장력을 극복하고 연결부재(300) 및 덕트(210)를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에 지지시킨다.
만일 연결부재(300)에 거치부(360)가 없는 경우에 덕트(210)를 천장개구(40) 가까이의 위치에 지지하고자 한다면, 덕트(210)를 천장개구(40)를 통해 천장(10)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야 한다. 이 경우에는 천장(10) 아래로 늘어뜨리는 길이만큼 덕트(21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덕트(210)를 이동하는 공기의 유로 또한 늘어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0)는 거치부(360)가 적용됨으로써, 덕트(210)의 길이가 이와 같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개구(40)를 통해 본체(100)가 천장(10) 하측으로부터 천장(10) 상측으로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본체(100)가 천장(10)에 설치되는 동안, 거치부(360)에 의해 연결부재(300) 및 덕트(210)는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본체(100)가 설치되면, 본체(100)의 개구(111)와 연결부재(300)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는 천장(10) 하측에서, 천장개구(4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거치부(360)를 파지하고 본체(100)의 방향으로 민다. 이에, 걸림부(340)가 마련된 연결부재(300)의 앞단이 개구(111)를 통과하며 이동한다. 걸림부(340)가 본체(100)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연결부재(300)는 개구(111)를 커버하며 본체(100)에 연결되도록 지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및 연결부재(300)가 연결됨으로써, 덕트(210) 내의 유로는 본체(100)와 연통된다. 연결부재(300)의 핀(330)이 본체(100)의 외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연결부재(300)가 본체(100) 내부로 더 이상 진입하는 것이 차단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연결부재(300)는 본체(100) 및 덕트(2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에 마련된 개구(111)의 위치가 본체(100)의 측면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개구(111)의 위치가 천장개구(40)에 거치된 연결부재(300)와 마주하므로, 상기한 과정에 따라서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개구의 위치가 본체의 측면이 아니라 상면이라면, 설치 과정은 약간 달라진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천장의 천장개구에 연결부재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연결부재를 본체에 연결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천장(10)에 매립하기 위해 천장(10)이 타공됨으로써 천장개구(510)가 마련된다. 덕트(210)에 결합된 연결부재(300)는, 거치부(360)가 천장개구(510)의 가장자리에 거치됨으로써 천장개구(510)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500)는 연결부재(300)가 연결되도록 마련된 개구(510)를 가지는데, 본 개구(510)는 본체(500)의 상측면에 마련된다. 사용자는 연결부재(300)를 천장개구(510)의 가장자리에 지지시키고, 본체(500)를 천장개구(510)가 근접하게 올린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본체(500)가 천장개구(510)에 근접하게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재(300)는 사용자에 의해 천장개구(510)로부터 이탈된다. 사용자가 천장개구(510)의 가장자리에 거치된 거치부(360)를 파지하여 이탈시킴으로써, 연결부재(300)는 천장개구(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이탈한다. 연결부재(300)가 본체(500)의 개구(510)에 연결됨으로써, 덕트(210)는 본체(500)와 연결된다.
연결부재(300)가 본체(5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본체(500)는 천장개구(510)를 통해 천장(10) 상측으로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 및 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부의 한 예시로서 걸림부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구현 가능한 결합부의 방식은 걸림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결합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10)는 하우징(611)의 일 측면 상에 형성된 개구(612)를 가진다. 덕트(620)에 결합된 연결부재(630)는 덕트(620)의 유로와 연통된 홀(631)을 가진다. 본체(610)와 연결부재(630)가 연결되면 개구(612)와 홀(631)이 연통된다. 연결부재(630)는 홀(631) 주위에 하우징(611)을 마주하는 판면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의 핀(fin)(632)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재(630)는 천장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도록 마련된 거치부(634)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610)와 연결부재(630)를 연결시키는 결합부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본체(610)와 연결부재(630)가 연결될 때, 개구(612)가 형성된 하우징(611)의 일측면과 핀(632)의 판면은 상호 마주하게 마련된다. 핀(632)이 하우징(611)의 일측면에 접촉하므로 연결부재(630)가 본체(610)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본체(610)는 상기한 하우징(611)의 일측면 상에 마련된 제1자석부(613)를 포함한다. 한편, 연결부재(630)는 제1자석부(613)에 대응하는 인력을 가지고, 본체(610) 및 연결부재(630)의 연결 시 제1자석부(613)에 부착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제2자석부(633)를 포함한다. 제1자석부(613) 및 제2자석부(633)는 자석을 포함하는데, 상호 접착이 가능하도록 반대 극성을 가진다.
자석에 의한 접착 구조는, 본 실시예와 다른 설계 변경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610)는 하우징(611)의 일측면에 마련된 강판을 포함한다. 연결부재(630)는 본체(610) 및 연결부재(630)의 연결 시 하우징(611)의 상기한 강판에 부착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자석부를 포함한다. 즉, 연결부재(630)가 자석부를 포함하고, 이 자석부가 본체(610) 및 연결부재(630)의 연결 시에 하우징(611)의 강판에 접착된다.
또는, 본체(610)가 자석부를 가지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630)가 강판을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본체(610) 및 연결부재(630)의 연결 시, 하우징(611)의 자석부에 연결부재(630)의 강판이 접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결합부의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연결부재(630) 및 본체(61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하우징
111 : 개구
300 : 연결부재
310 : 연결부재본체
340 : 걸림부
360 : 거치부
110 : 하우징
111 : 개구
300 : 연결부재
310 : 연결부재본체
340 : 걸림부
360 : 거치부
Claims (10)
-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 공간의 천장에 매립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본체와,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를 가진 덕트와,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를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본체로 제공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연결 또는 연결해제가 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일단에 마련된 결합부와,
상기 본체의 설치 중 상기 덕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시 거치를 위해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구조물에 대응하는 거치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개구 가장자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서 돌출 연장되고, 연장되는 단부가 상기 덕트와의 연결 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거치부가 절곡되는 부분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가 매립되는 천장의 두께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걸림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단에 상기 걸림지지부에 대응하는 걸림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시 상기 걸림지지부와 걸림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해제 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지지부로부터 걸림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동작시키는 걸림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거치부를 파지한 상태의 사용자의 손이 도달 가능한 거리 범위 이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일단에 상기 제1자석부에 대응하는 인력을 가지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시 상기 제1자석부에 부착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공기가 흐르도록 회전하는 팬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594A KR20210089434A (ko) | 2020-01-08 | 2020-01-08 | 공기조화기 |
PCT/KR2021/000039 WO2021141340A1 (ko) | 2020-01-08 | 2021-01-05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594A KR20210089434A (ko) | 2020-01-08 | 2020-01-08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434A true KR20210089434A (ko) | 2021-07-16 |
Family
ID=7678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594A KR20210089434A (ko) | 2020-01-08 | 2020-01-08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89434A (ko) |
WO (1) | WO202114134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6248B1 (ko) * | 2023-12-18 | 2024-04-11 | 지영정보통신(주) | 맨홀 내 밀폐공간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휴대가 쉬운 친환경 무선 송·배풍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840U (ja) * | 1992-08-07 | 1994-03-11 | 株式会社大林組 | ダクトの連結構造 |
JP3913663B2 (ja) * | 2002-10-23 | 2007-05-09 | 三洋電機株式会社 | 浴室暖房機の換気装置 |
JP2009030938A (ja) * | 2007-07-30 | 2009-02-12 | Toshiba Carrier Corp | 空調装置 |
KR101355402B1 (ko) * | 2011-11-28 | 2014-01-28 | 주식회사 힘펠 | 토출관 기반의 환풍기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풍기 설치 방법 |
WO2015000016A1 (en) * | 2013-07-01 | 2015-01-08 | Air Diffusion Agencies Pty Ltd | Plenum chamber improvements |
-
2020
- 2020-01-08 KR KR1020200002594A patent/KR2021008943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01-05 WO PCT/KR2021/000039 patent/WO202114134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6248B1 (ko) * | 2023-12-18 | 2024-04-11 | 지영정보통신(주) | 맨홀 내 밀폐공간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휴대가 쉬운 친환경 무선 송·배풍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41340A1 (ko) | 2021-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327937A1 (en) |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640411B1 (ko) | 공기조화기 | |
EP1788317A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190039793A (ko) |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 |
EP1688676A3 (en) | Ventilation system | |
US20060199520A1 (en) | Ventilation system and pressure intensifying apparatus | |
US20050287945A1 (en) | Ventilating system | |
KR20210064778A (ko) |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배관 설치 장치 | |
KR20210089434A (ko) | 공기조화기 | |
CN110307594B (zh) | 空气调节器 | |
CN115046248A (zh) | 空调器 | |
JP5660060B2 (ja) | 室内機 | |
JP2019056515A (ja) | 熱交換形換気装置 | |
KR102165465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US20100062704A1 (en) | Air diffuser cover flap and method | |
JP4154766B2 (ja) | 天井取付型の空気吹出器 | |
KR20180113711A (ko) | 천장형 공기 조화기 | |
WO2012140861A1 (ja) | 熱交換形換気装置 | |
US20210404704A1 (en) | Filter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appliance | |
KR20090043361A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 |
KR20190041605A (ko) | 냉난방 공조시스템용 공기필터 | |
KR20050064963A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 |
CN216203853U (zh) | 一种一体式空调 | |
KR102165466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217685348U (zh) | 室内机及空调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