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456B1 -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56B1
KR100775456B1 KR1020010040497A KR20010040497A KR100775456B1 KR 100775456 B1 KR100775456 B1 KR 100775456B1 KR 1020010040497 A KR1020010040497 A KR 1020010040497A KR 20010040497 A KR20010040497 A KR 20010040497A KR 100775456 B1 KR100775456 B1 KR 10077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haft
mud gun
mud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811A (ko
Inventor
이영황
이정효
손익택
공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0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4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1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comprising breaking tools, e.g. hammers, drills,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36Devices for plugging tap holes, e.g. plugs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모터(22)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아암(26)을 매개로 고정되고 선단이 개방된 중공원통형의 동체(30)와, 상기 동체(30)의 내부 후방에 장착되어 배관(34)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전, 후진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의 로드(36)에 연결부재(38)를 매개로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42)이 형성되며 선단에 굴삭날(44)이 형성된 축(40)과, 상기 축(40)의 스플라인(42)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시키고 상기 동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력 전달기어(50)와,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5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4) 및, 상기 동체(30)의 선단 내측을 집진후드(62)쪽에 연결시키기 위한 신축성 배관(60)으로 이루어지며, 머드건에 접근하지 않고 간단하게 노즐 내부의 고착물과 유해가스를 제거시킬 수 있다.
머드건, 노즐, 유해가스, 출선구

Description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s sticked into the nozzle of mud gun}
도1은 용광로의 출선구를 머드건에 의해 폐쇄시키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명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라 머드건 노즐 내부의 고착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을 제거하는 작업 설명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2 : 스트라이커
20 : 회전축 22 : 구동모터
24 : 리미트스위치 30 : 동체
32 : 피스톤 34 : 배관
36 : 로드 38 : 연결부재
40 : 축 42 : 스플라인
44 : 굴삭날 46 : 스크류축
50 : 회전력 전달기어 54 : 구동모터
60 : 배관 62 : 집진후드
본 발명은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드건에 접근하지 않고 간단하게 노즐 내부의 고착물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된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용광로의 용융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은 용광로(101)의 다수개소에 형성된 출선구(102)를 통해 이루어지고, 용융물을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개공기에 의해 출선구(102)를 굴착하여 구멍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구멍을 통해 노내의 압력에 의해 용융물(103)이 배출되며, 이렇게 용융물(103)의 배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열풍 및 가스 등이 상기 용융물과 함께 배출된다.
이때, 다른 출선구를 개공시킴과 함께 머드건(110)을 이용해 상기 출선구(102)에 부정형 내화물의 일종인 머드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출선구(102)를 폐쇄시킨다.
상기에서 출선구를 폐쇄시키기 위한 머드건(110)의 선단 노즐(112)의 내부 상태가 매우 중요하며, 노즐(112)의 내부가 깨끗한 경우 출선구(102) 폐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만약 노즐(112)의 내부에 머드가 고착된 상태로 잔류하고 있는 경우 상기 노즐(112)을 통해 머드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아 출선구(102) 폐쇄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머드건 노즐의 내부 상태를 깨끗하게 소제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29443호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드건(110)의 선단 노즐(112)을 굴삭스크류(130)를 이용하여 소제시키는 것으로, 상기 굴삭스크류(130)는 에어실린더(132)와 전동모터(13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우선, 머드건 노즐 내부에 고착된 머드재를 굴착시키기 위한 스크류(130) 외경과 형상이 머드건 노즐팁 내경과 일치되지 않아 노즐(112) 내부의 전방측에 고착된 머드재만이 제거되고 다른 부분의 머드재는 제거되지 않는바, 제거되지 않은 머드재를 수작업에 의해 제거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음에, 출선구 폐쇄작업후 머드건 내부는 머드재가 소성되면서 발생된 유해 가스등이 유출되지 못하므로 이 유해가스가 높은 압력으로 존재하고 있다가 머드건을 후퇴시켜 스크류(130)를 전진시키는 경우 상기 유해가스가 순간적으로 폭발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스크류(130)의 표면에 타르가 고착되어 굴삭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머드건 노즐팁 내부에 고착된 머드재를 굴삭시키면 머드재가 주상으로 낙하되고 이를 작업자가 다시 수거하여 폐기 처분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 다. 즉, 작업자가 머드건 주변에 접근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큰 것은 물론 유독한 가스에 노출되어 건강에 위협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열의 출선구 부근에 설치된 머드건에 작업자가 접근하지 않으면서 머드건의 노즐 내부에 고착된 머드재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된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모터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아암을 매개로 고정되고 선단이 개방된 중공원통형의 동체와, 상기 동체의 내부 후방에 장착되어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전, 후진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로드에 연결부재를 매개로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이 형성되며 선단에 굴삭날이 형성된 축과, 상기 축의 스플라인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시키고 상기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력 전달기어와,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동체의 선단 내측을 집진후드쪽에 연결시키기 위한 신축성 배관으로 이루어진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구성도로써, 주상 바닥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10)에는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대략의 원추형으로 된 회전축(20)이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정도를 제한시키기 위한 스트라이커(12)를 상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고, 상기 스트라이커(12)에 의해 동작되어 내부 접점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24)를 상기 회전축(20)에 장착시킨다.
상기 회전축(20)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아암(26)이 반경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고정되고, 상기 아암(26)의 선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원통형으로 된 동체(30)의 중앙 외측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암(26)과 동체(30)의 결합 상태를 변화시켜 상기 동체(30)의 기울기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동체(30)는 후단이 폐쇄되고 선단이 개방된 형태이고, 이 동체(30)의 내부 후방에는 피스톤(32)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32)은 배관(34)을 통해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전, 후진되게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2)의 일측에는 로드(36)가 고정되고, 상기 로드(36)의 단부에는 축(40)의 후단이 연결부재(38)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8)는 상기 축(40)이 상기 로드(3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축(40)은 상기 피스톤(32)이 이동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격벽(39)을 관통하여 상기 동체(30)의 선단쪽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축(40)의 중앙부 외표면에는 상기 격벽(39)에 대하여 동체(30)의 선단쪽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속된 스플라인(42)이 형성되며, 상기 축(40)의 선단에는 굴삭날(44)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굴삭날(44)의 선단 중앙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드릴 형상의 스크류축(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40)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상기 축(40)의 다수개소가 베어링부재(4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동체(30)에는 회전력 전달기어(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력 전달기어(50)의 중앙부를 통해 상기 축(40)의 스플라인(42)이 미끄럼 가능하되 서로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끼워지고,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50)는 기어(52)를 통해 구동모터(54)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동체(30)의 선단부에는 가스배출공(31)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배출공(31)은 신축성 배관(60)을 통해 집진후드(62)쪽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구성요소들은 콘트롤러(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감지신호를 콘트롤러(64)에 제공하거나 콘트롤러(6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물론, 상기 콘트롤러(64)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시켜 본 장치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머드건 선단의 노즐이 위치한 방향으로 본 발명의 통체(30) 선단이 이동되게 아암(26)의 선회거동을 적절하게 설정시킨다.
상기 머드건이 동작되고 있는 동안 본 발명의 장치는 초기 상태에서 유지되며, 머드건의 노즐 내부에서 머드재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구동모터(22)를 구동시켜 아암(26)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아암(26)에 고정된 동체(30)의 선단이 상기 머드건 노즐의 선단에 안착되게 한다. 이 상태는 도4에 도시된다.
이는 베이스(10)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2)의 위치를 사전에 적정하게 설정시킴에 의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아암(26)의 회전은 상기 스트라이커(12)에 의해 아암(26)의 리미트스위치(24)가 동작되는 순간에 정지된다.
계속하여, 후진되어 있던 축(40)을 전진시키며, 이는 배관(34)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동체(3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2)을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축(40)이 전진된다.
상기 축(40)을 전진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5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이 기어(52)를 매개로 회전력 전달기어(50)에 제공되고, 따라서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50)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축(40)이 회전된다.
즉, 상기 축(40)은 전진과 동시에 회전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축(40)의 선단부가 머드건의 노즐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축(40)의 선단이 머드건의 노즐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날(44)에 의해 상기 머드건 노즐의 내부에 고착된 머드가 긁혀 제거되며, 또한 상기 축(40)의 선단에 위치되는 스크류축(46)이 소성된 머드에 작은 구 멍을 형성시킴으로써 머드건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배관(60)을 통해 집진후드(62)쪽으로 배출시킨다. 물론, 상기 머드건 노즐에서 제거된 머드도 상기 배관(60)을 통해 집진후드(62)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머드건 노즐의 내부를 깨끗하게 소제시킨 후에 본 발명의 장치를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차기 작업을 위해 대기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머드건 노즐의 내부 고착물과 유해가스를 매우 간단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수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아 작업자가 고온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유해가스에 중독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모터(22)로부터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아암(26)을 매개로 고정되고 선단이 개방된 중공원통형의 동체(30)와, 상기 동체(30)의 내부 후방에 장착되어 배관(34)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전, 후진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의 로드(36)에 연결부재(38)를 매개로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스플라인(42)이 형성되며 선단에 굴삭날(44)이 형성된 축(40)과, 상기 축(40)의 스플라인(42)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시키고 상기 동체(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력 전달기어(50)와,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5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4) 및, 상기 동체(30)의 선단 내측을 집진후드(62)쪽에 연결시키기 위한 신축성 배관(60)으로 이루어진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삭날(44)의 선단에 드릴 형상의 스크류축(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KR1020010040497A 2001-07-06 2001-07-06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KR10077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497A KR100775456B1 (ko) 2001-07-06 2001-07-06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497A KR100775456B1 (ko) 2001-07-06 2001-07-06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811A KR20030004811A (ko) 2003-01-15
KR100775456B1 true KR100775456B1 (ko) 2007-11-12

Family

ID=2771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497A KR100775456B1 (ko) 2001-07-06 2001-07-06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685B1 (ko) * 2001-08-09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머드건 선회를 이용한 출선구 깊이 확인장치
KR100488993B1 (ko) * 2003-06-26 2005-05-11 주식회사 포스코 머드건 노즐팁의 고착 머드재 제거장치
KR101858893B1 (ko) * 2017-02-13 2018-05-16 주식회사 포스코 머드 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009A (en) * 1976-08-10 1978-02-27 Sumitomo Metal Ind Ltd Cleaner for mud gun nozzle
JPH07126723A (ja) * 1993-10-29 1995-05-16 Nkk Corp 出銑口閉塞用マッドガンのノズル清掃装置
KR960014542U (ko) * 1994-10-14 1996-05-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머드건 선단노즐의 소성머드 제거장치
KR19990016059U (ko) * 1997-10-23 1999-05-15 이구택 용광로 출선구 폐쇄기의 고착제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009A (en) * 1976-08-10 1978-02-27 Sumitomo Metal Ind Ltd Cleaner for mud gun nozzle
JPH07126723A (ja) * 1993-10-29 1995-05-16 Nkk Corp 出銑口閉塞用マッドガンのノズル清掃装置
KR960014542U (ko) * 1994-10-14 1996-05-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머드건 선단노즐의 소성머드 제거장치
KR19990016059U (ko) * 1997-10-23 1999-05-15 이구택 용광로 출선구 폐쇄기의 고착제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811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08714A (ja) 円筒状構造物内壁面の汚染部除去方法および装置
KR100775456B1 (ko) 출선구 폐쇄용 머드건의 노즐 내부 고착물 제거장치
EA002048B1 (ru) Фрез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азмещаемое в скважине
US6216959B1 (en) Nozzle for centrifuge rotors and method of removing same
JPS6124446B2 (ko)
RU1836565C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 подземного туннел и установка дл осуществлени
CA1179281A (en) Pipework
JP3873249B2 (ja) 煙突の解体方法及びその装置
EP0231720B1 (en) Apparatus for the obtention of annular cavities at the bottom of drills made on surfaces of any kind
US5603136A (en) Pipe cleaning machine for driving spiral wire rods
JP2001065017A (ja) 配管構造、既設管切削工法および不断水工法
JP2003266027A (ja) 固着触媒除去装置
JP2001012678A (ja) 不断水分岐配管の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3013066B2 (ja) 切削装置
JPH08120950A (ja) 建物の解体方法および塵埃除去装置
RU21572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внутренней фаски труб
KR20020050323A (ko) 소성로 장입피더의 부착물 제거장치
JP2007118501A (ja) 穿孔ビット装置及び穿孔機
JPH0465198B2 (ko)
JP2003334816A (ja) 減容機などの残存プラスチック排除機構
JP3631842B2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掘削方法
JP2000039044A (ja) 作動油回収装置
KR100381509B1 (ko) 머드 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591285B2 (ja) トンネル掘削機の先端検査装置
JPH07317475A (ja) 灰溶融炉の穿孔方法及び穿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