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275B1 -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275B1
KR100775275B1 KR1020010066161A KR20010066161A KR100775275B1 KR 100775275 B1 KR100775275 B1 KR 100775275B1 KR 1020010066161 A KR1020010066161 A KR 1020010066161A KR 20010066161 A KR20010066161 A KR 20010066161A KR 100775275 B1 KR100775275 B1 KR 10077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bar
centering
guide
frame
gu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540A (ko
Inventor
유기현
안희동
조환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27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기에서 주편의 인발에 사용되는 더미바(Dummy Bar)를 센터링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좁은 공간에 간단한 구조를 갖고서 장착가능하고, 정확하게 더미바의 센터링작업과 안내가 이루어짐으로써 품질향상과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롤의 사이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센터링 유닛들을 구비하고, 이들 센터링 유닛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 실린더를 가지며, 상기 센터링 유닛에는 상기 제 1구동 실린더에 의해서 회전되는 복수의 편심롤들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롤사이에 위치된 더미바를 가이드롤의 중심에 센터링시키는 중심조절부;와, 상기 가이드롤의 상부측에 위치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으로 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터링 유닛과 가이드롤의 사이 공간에서 승하강하는 리프팅 암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과 리프팅 암을 승하강시키는 제 2구동 실린더를 구비하여 가이드롤상으로 부터 더미바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연주기, 주편 인발, 더미바(Dummy Bar), 가이드롤, 편심롤, 더미바 안내장치

Description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AN APPARATUS FOR GUIDING DUMMY BAR OF CASTER}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의 하나의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의 유닛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의 작동상태도;
제 6도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의 구동 실린더가 전,후진하는 경우의 작동상태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에서 브룸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에서 브룸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제 9도는 일반적인 연주설비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제 10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더미바 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 1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더미바 안내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심조절부 15..... 센터링 유닛
20..... 편심롤 22..... 수직축
25..... 래크기어 33..... 크램프 후크
40..... 연결봉 40a.... 나사산
70..... 승하강부 73..... 프레임
80..... 리프팅 암 87..... 베이스 블록
95..... 제어부 200.... 연주기
232.... 더미바 250.... 가이드롤
본 발명은 연주기에서 주편의 인발에 사용되는 더미바(Dummy Bar)를 센터링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좁은 공간에 간단한 구조를 갖고서 장착가능하고, 정확하게 더미바의 센터링작업과 안내가 이루어짐으로써 품질향상과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주기(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몰드(210)를 구비한 턴디쉬설비(212)의 하부측에 캐스팅보우 설비(215) 가 있고, 그 하류(downstream)측으로는 롤러 이송테이블(220)이 있으며, 그 하류측에는 더미바 안내장치(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철소의 연주기(200)는 턴디쉬설비(212)로 부터 용강이 캐스팅 보우설비(215)를 거치면서 주편, 브룸 또는 빌레트등으로 고형화되고, 하류측의 롤러 이송테이블(220)을 거쳐서 후속공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연주기(200)에서 상기와 같은 더미바 안내장치(230)는 더미바(232)를 캐스팅보우 설비(215)의 내부로 삽입시켜 턴디쉬(212)의 몰드(210)로 부터 주편(219)을 초기 인발하는 경우, 주편(219)을 이끌고 나오기 위하여 필요한 설비로써,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비바(232)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더미바 안내장치(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에 설치된 감속기(240)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구동 샤프트(242)를 회전시키고, 이는 체인(245)을 통하여 더미바(23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더미바 안내장치(230)는 캐스팅 보우 설비(215)의 하부측을 통하여 캐스팅 보우(215)를 거슬러 올라가 턴디쉬(212)하부의 몰드(210)까지 상승하여야 되며, 이를 위하여 더미바 안내장치(230)는 더비마(232)를 상승시켜 더미바(232)의 헤드폭을 조절하고, 이를 하강시켜 가이드롤(25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롤(250)의 측방에 위치된 센터링 장치(260)를 통하여 가이드롤(250)상에서 중심센터에 위치시킨 다음, 가이드롤(250)을 구동하여 캐스팅 보우설비(215)의 내부로 진입시키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미바 안내장치(230)는 가이드롤(250)상에서 더미바(232)의 센터링을 실시하는 센터링 장치(260)가 가이드롤(250)의 일측에 치우쳐서 한쪽으로만 센터링조정을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가이드롤(250)상에서 센터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없고, 더미바(232)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개의 구동 실린더(270)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설비의 대형화가 초래되고, 주위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여러개의 스트랜드(strand)로 이루어진 브룸및 빌레트설비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브룸및 빌레트설비에서는 적절한 센터링 장치(260)가 구비되지 못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더미바(250)가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미바 안내장치(230)는 각각 그 구조가 크고 복잡하여 설비사고를 다발적으로 일으킬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더미바(250)가 안내되지 못하도록 하여 설비유지관리에 많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개의 스트랜드를 가지는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및 사용이 가능하고, 정확하게 센터링및 안내작업이 가능함으로서 주편의 품질향상을 이루고, 설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연속작업을 이룸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주기에서 주편의 인발에 사용되는 더미바(Dummy Bar)를 센터링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롤의 사 이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센터링 유닛들을 구비하고, 이들 센터링 유닛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 실린더를 가지며, 상기 센터링 유닛에는 상기 제 1구동 실린더에 의해서 회전되는 복수의 편심롤들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롤사이에 위치된 더미바를 가이드롤의 중심에 센터링시키는 중심조절부;와, 상기 가이드롤의 상부측에 위치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으로 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터링 유닛과 가이드롤의 사이 공간에서 승하강하는 리프팅 암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과 리프팅 암을 승하강시키는 제 2구동 실린더를 구비하여 가이드롤상으로 부터 더미바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1)는 도 7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기(200)에서 주편(219)의 인발에 사용되는 더미바(Dummy Bar)(232)를 센터링하고 안내하는 장치이며, 더미바(232)를 가이드롤(250)의 중심에 센터링시키는 중심조절부(10)와, 가이드롤(250)상으로 부터 더미바(232)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부(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심조절부(10)는 도 1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롤(250)의 사이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센터링 유닛(15)들을 구비하고, 이들 센터링 유닛(15)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 실린더(17)를 가지며, 상기 센터링 유닛(15)에는 상기 제 1구동 실린더(17)에 의해서 회전되는 복수의 편심롤(20)들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롤(20)사이에 위치된 더미바(232)를 가이드롤(250)의 중심에 센 터링시킨다.
즉, 상기 센터링 유닛(15)들은 다수개가 직렬로 배치되고, 이들 센터링 유닛(15)들의 일측에 제 1구동 실린더(17)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링 유닛(15)들은 각각 서로 동일한 구성및 작용효과를 갖추고 서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도 2및 도 3을 참조하여 그중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상술하고, 나머지 것들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동일 구성요소에 부여하여 표기함으로써 설명의 간략화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센터링 유닛(15)은 상,하커버(19a)(19b)를 갖는 사각형의 일정 크기의 케이싱(19)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축(22)들이 베어링(24)을 통하여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직축(22)의 중간에는 일정크기의 호를 이루는 원호형의 래크기어(25)들이 고정되어 서로 치차결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축(22)의 상단은 케이싱(19)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 편심롤(20)들이 대향하여 고정되는 바, 이들 편심롤(20)들은 상기 수직축(22)의 상단에 키(key)(28)를 통하여 연결되어 수직축(22)의 회전에 따라서 수직축(2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축(22)중 일측의 중간에는 크램프 후크(33)의 일측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크램프 후크(33)의 타측단부는 각각 2갈래로 분지되어 상기 케이싱(19)의 일측벽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크램프 후크(33)는 수직축(22)과의 연결부분에 복수의 스냅링(35)들과 키(37)들이 장착되어 수직축(22)들과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크램프 후크(33)의 다측단부들은 케이싱(19)의 외측에서 각각 연결봉(4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들 연결봉(40)들은 중간부분이 2분할되어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40a)들이 형성되고, 이들 나사산(40a)에는 턴 버클(turn buckle)부재(47)들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40)들은 턴 버클부재(47)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서로 2분할 된 나사산(40a)부분에서 그 사이 간격이 줄어들어나 늘어나게 되어 인접한 센터링 유닛(15)들의 크램프 후크(33)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봉(40)들을 통하여 센터링 유닛(15)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롤(250)의 사이 간격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중심 조절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센터링 유닛(15)들이 서로 연결봉(40)들로 연결되고, 가장 전방측의 센터링 유닛(15)의 연결봉(40)은 케이싱(19)의 외부로 돌출한 크램프 후크(33)의 일측에 제 1구동 실린더(17)의 로드(17a)가 핀(5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장 후방측의 센터링 유닛(15)의 연결봉(40)은 크램프 후크(33)중의 하나만이 인접한 크램프 후크(33)에 연결봉(40)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심 조절부(10)는 상기 제 1구동 실린더(17)의 작동으로 로드(17a)가 전,후진하게 되면, 이는 가장 전방측의 센터링 유닛(15)의 크램프 후크(33)가 수평으로 회동되고, 이는 연결봉(40)을 통하여 인접한 두번째의 센터링 유닛(15)의 크램프 후크(33)를 회동시키며, 두번째의 센터링 유닛(15)의 크램프 후크(33)는 세번째의 센터링 유닛(15)의 크램프 후크(33)를 연이어서 회동시키는 이와 같은 작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하강부(70)는 상기 가이드롤(250)의 상부측에서 승하강 가능한 프레임(73)과 이 프레임(73)으로 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터링 유닛(15)과 가이드롤(250)의 사이 공간에서 승하강하는 리프팅 암(80)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73)과 리프팅 암(80)을 승하강시키는 제 2구동 실린더(77)를 구비하여 가이드롤(250)상으로 부터 더미바(232)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하강부(70)는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73)의 일측으로 각각 다수개의 ㄴ형 리프팅 암(80)들이 하향 연장되고, 이들 리프팅 암(80)들은 상기 센터링 유닛(15)과 가이드롤(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73)의 일측에는 연결 블록(83)이 다수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 블록(83)에는 각각 작동바(85)의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작동바(85)의 중간부분은 베이스 블록(87)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85)의 하단은 다수개의 제 2구동 실린더(77)의 로드(77a)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제 2구동 실린더(77)의 구동으로 작동바(85)들은 베이스 블록(87)들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작동바(85)의 회전은 연결 블록(83)들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73)과 리프팅 암(80)들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제 1및 제 2유압실린더들은 공압실린더 또는 수압실린더들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미설명부호(92a)(92b)는 리미트 스위치들이고,(95)는 제어부(95)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1)는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작업시 주편인발이 완료된 더미바(232)는 주편(219) 과 분리되어 승하강부(70)의 리프팅 암(80)에 얹혀져서 상승된 상태이고, 상기 중심조절부(10)의 편심롤(20)은 그 사이가 크게 확장된 상태이어서 그 사이로 주편(219)이 가이드롤(250)에 의해서 인출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주조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편심롤(20)사이의 주편(219)들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면, 다음 주조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리프팅 암(80)에 있던 더미바(232)가 상기 편심롤(20)의 사이로 하강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승하강부(70)의 제 2구동 실린더(77)들이 작동하여 리프팅 암(80)들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이드롤(250)의 상부에 더미바(232)가 놓여지는 과정에서, 제 2구동 실린더(77)는 작동중에 리미트 스위치(92b)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92b)는 제어부(95)를 통하여 중심조절부(10)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 더미바(232)는 가이드롤(250)상에서 일직선의 중심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상태로 연주기(200)로 삽입되면, 더미바(232)의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주편(219)의 인발과정에서 문제점들을 일으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조절부(10)의 제 1구동 실린더(17)가 1회작동되어 로드(17a)를 전,후진시키면, 상기 로드(17a)는 각각의 연결봉(40)들을 통하여 직렬로 연결된 크램프 후크(33)들을 밀고, 상기 크램프 후크(33)들은 이들이 연결된 수직축(22)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며, 상기 수직축(22)에 연결된 래크기어(25)들은 서로 치차결합된 래크기어(25)들을 회전시켜서, 결과적으로는 케이싱(19)의 상부측에 위치된 편심롤(20)들이 케이싱(19)의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여준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며, 이와 같이하여 상기 더미바(232)는 가이드롤(250)상에서 중심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중심조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1구동 실린더(17)의 로드(17a)는 1회 전진하면서 리미트스위치(92a)를 동작시키고, 바로 후진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상기 편심롤(20)들은 더미바(232)를 가이드롤(250)의 중앙으로 밀어 위치이동시키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사이 간격을 벌리게 된다.
그 후, 상기 리미트 스위치(92a)는 제어부(95)를 통하여 가이드롤(250)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250)들을 회전시키는 체인(120)과 스프로켓(140)들을 별도의 미도시된 구동장치들을 통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롤(250)의 상단에 올려진 더미바(232)가 연주기(200)의 하부로 부터 몰드(210)까지 반대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롤(250)상에서 중심이 정렬된 더미바(232)는 연주기(200)의 몰드(210)까지 상승되어 주편(219)에 연결되고, 주편(219)을 인출하게 되며, 가이드롤(250)상으로 주편(219)이 인출되면 상기 주편(219)과 더미바(232)는 별도의 절단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며, 이와 같이 더미바(232)가 주편(219)으로 부터 분리되면, 승하강부(70)의 제 2구동 실린더(77)가 작동하여 로드(77a)를 후진시킴으로써 작동바(85)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스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상태로 회동하여 더미바(232)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더미바(232)가 가이드 롤(250)로 부터 상승하면 상기 가이드롤(250)이 연이어서 회전하여 주편(219)으로 하여금 서로 사이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상기 편심롤(20) 사이로 진입하도록 하고, 가이드롤(250)을 따라서 계속적 으로 인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이 간격이 떨어진 상태의 편심롤(20)들은 주편(219)이 가이들롤(250)의 측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브룸 연주기및 빌레트 연주기와 같이 설치장소가 협소하고 다수개의 스트랜드(strand)를 가지는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및 사용이 가능하고, 정확하게 센터링및 안내작업이 가능함으로서 주편(219)의 품질향상을 이룬다.
그리고, 주편(219)이 주변 설비에 충돌되는 등과 같은 설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연속작업을 이룸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편(219)이 안정된 상태로 가이드롤(250)을 따라서 인출됨으로써 외부의 불규칙한 충격등에서 벗어나게 되어 내부 크랙(crack)등이 발생하지 않고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연주기에서 주편(219)의 인발에 사용되는 더미바(Dummy Bar)를 센터링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롤(250)의 사이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센터링 유닛(15)들을 구비하고, 이들 센터링 유닛(15)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구동 실린더(17)를 가지며, 상기 센터링 유닛(15)에는 상기 제 1구동 실린더(17)에 의해서 회전되는 복수의 편심롤(20)들이 구비되어 상기 편심롤(20)사이에 위치된 더미바(232)를 가이드롤(250)의 중심에 센터링시키는 중심조절부(10);와,
    상기 가이드롤(250)의 상부측에 위치된 프레임(73)과 이 프레임(73)으로 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터링 유닛(15)과 가이드롤(250)의 사이 공간에서 승하강하는 리프팅 암(80)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73)과 리프팅 암(80)을 승하강시키는 제 2구동 실린더(77)를 구비하여 가이드롤(250)상으로 부터 더미바(232)를 승하강시키도록 된 승하강부(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닛(15)들은 다수개가 직렬로 배치되고, 이들 센터링 유닛(15)들의 일측에 제 1구동 실린더(17)를 연결하며, 상기 센터링 유닛(15)은 상,하커버(19a)(19b)를 갖는 사각형의 일정 크기의 케이싱(19)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축(22)들이 베어링(24)을 통하여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직축(22)의 중간에는 일정크기의 호를 이루는 원호형의 래크기어(25)들 이 고정되어 서로 치차결합되며, 상기 수직축(22)의 상단은 케이싱(19)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 편심롤(20)들이 대향하여 고정되는 한편,
    상기 수직축(22)중 일측의 중간에는 크램프 후크(33)의 일측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크램프 후크(33)의 타측단부는 각각 2갈래로 분지되어 상기 케이싱(19)의 일측벽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 후크(33)의 다측단부들은 케이싱(19)의 외측에서 각각 연결봉(4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들 연결봉(40)들은 중간부분이 2분할되어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40a)들이 형성되고, 이들 나사산(40a)에는 턴 버클(turn buckle)부재(47)들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연결봉(40)들은 턴 버클부재(47)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서로 2분할 된 나사산(40a)부분에서 그 사이 간격이 줄어들어나 늘어나게 되어 인접한 센터링 유닛(15)들의 크램프 후크(33)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70)는 상기 프레임(73)의 일측으로 각각 다수개의 ㄴ형 리프팅 암(80)들이 하향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73)의 일측에는 연결 블록(83)이 다수개 돌출형성되며, 상기 연결 블록(83)에는 각각 작동바(85)의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작동바(85)의 중간부분은 베이스 블록(87)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편, 상기 작동바(85)의 하단은 다수개의 제 2구동 실린더(77)의 로드(77a)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제 2구동 실린더(77)의 구동으로 작동바(85)들은 베이스 블록(87)들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작동바(85)의 회전은 연결 블록(83)들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73)과 리프팅 암(80)들을 상하로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KR1020010066161A 2001-10-26 2001-10-26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KR10077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161A KR100775275B1 (ko) 2001-10-26 2001-10-26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161A KR100775275B1 (ko) 2001-10-26 2001-10-26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540A KR20030034540A (ko) 2003-05-09
KR100775275B1 true KR100775275B1 (ko) 2007-11-08

Family

ID=2956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161A KR100775275B1 (ko) 2001-10-26 2001-10-26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51B1 (ko) * 2006-11-28 2008-05-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기의 더미바 헤드 안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352A (ja) * 1982-12-28 1984-07-11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ダミ−バ−の蛇行防止装置
JPS60184452A (ja) * 1984-03-02 1985-09-19 Hitachi Zosen Corp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ダミ−バガイド装置
JPH0639247U (ja) * 1992-10-27 1994-05-24 川崎製鉄株式会社 ダミーバー専用体用吊り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352A (ja) * 1982-12-28 1984-07-11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ダミ−バ−の蛇行防止装置
JPS60184452A (ja) * 1984-03-02 1985-09-19 Hitachi Zosen Corp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ダミ−バガイド装置
JPH0639247U (ja) * 1992-10-27 1994-05-24 川崎製鉄株式会社 ダミーバー専用体用吊り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540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7462A (ko) 몰드 보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US4944175A (en) Universal rolling mill stand with adjustable sets of horizontal rolls and vertical rolls
KR101435460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US3763923A (en) Extractor for withdrawing or inserting roll-clusters
KR100775275B1 (ko) 연주기의 더미바 안내장치
US6145575A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20110034269A (ko) 연속주조기의 롤러 안착장치
JP2010532716A (ja) 特にスチールスラブ連続鋳造装置用のストランドガイド
KR101389861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기용 세그먼트
CN107470387A (zh) 一种线材高处放线装置
US4106550A (en) Pinch roll stand for use in multi-strand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3113950B2 (ja) 注湯装置
KR101197850B1 (ko) 연속 주조용 가이드장치
RU22726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металлов, в частности стали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RU27367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замены направляющих блоков в машине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заготовок
US3698469A (en) Dummy bar handling system
CN216420645U (zh) 一种吐丝机用线材防护机构
KR100583989B1 (ko) 연주몰드의 더블워엄감속기 교환장치
CN212495273U (zh) 一种用于连铸拉矫机的脱坯设备
KR101071361B1 (ko) 연속주조설비의 세그먼트용 호이스팅 어셈블리
JP4124550B2 (ja) 形鋼圧延設備における中間ガイド装置
KR101923099B1 (ko) 세그먼트 롤의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세그먼트 롤 작업 장치
KR100584729B1 (ko) 연속주조용 세그멘트롤 정렬장치
JPH04284903A (ja) 水平圧延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