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668B1 -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668B1
KR100774668B1 KR1020050093764A KR20050093764A KR100774668B1 KR 100774668 B1 KR100774668 B1 KR 100774668B1 KR 1020050093764 A KR1020050093764 A KR 1020050093764A KR 20050093764 A KR20050093764 A KR 20050093764A KR 100774668 B1 KR100774668 B1 KR 10077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ixing rod
fixed
cylinder
trun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626A (ko
Inventor
장길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6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25Means acting between hinged edge an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나 트렁크 리드의 배면에 대한 도장 작업을 위해 이들을 차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함에 있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개방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여 도장 공정의 작업성을 개선함과 더불어, 다양한 차종의 후드나 트렁크 리드에 대한 배면의 도장 공정에서 범용적으로 활용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선회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춘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상부 고정로드에 제1 피벗 지점을 매개로 연결되고, 차체의 고정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춘 하부 고정로드 및;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 사이의 설치 각도의 조절시 조작력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조절된 설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유체 봉입식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는 상기 하부 고정로드에 대해 일단이 제2 피벗 지점을 매개로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로드에 대해 일단이 제3 피벗 지점을 매개로 고정되는 작동 로드 및, 상기 작동 로드의 자유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봉입된 동작 유체를 통과시켜 이로부터 감쇠력의 발생을 도모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로드의 피벗 지점에는 상기 작동 로드의 전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이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 에 상기 작동 로드의 수납시 상기 실린더의 외주로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프로텍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장, 트렁크 리드, 개방, 지지, 댐퍼

Description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stay rod assembly for supporting trunk li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로드 조립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체 봉입식 댐퍼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부 고정로드에 추가로 설치되는 록킹 브라켓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하부 고정로드에 추가로 설치되는 탄성 플레이트의 설치 및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트렁크 리드 12-상부 고정로드
14-하부 고정로드 16-유체 봉입식 댐퍼
18-스트라이커 20-백 플레이트
22-잠금부 24-연결로드
26-록킹 브라켓트 28-탄성 플레이트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 리드의 배면을 도장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함에 있어 개방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지속시켜 주기 위한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조 공정중에서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 다양한 형태인 패널류의 각종 구조물 파트는 용접 등의 접합 과정을 통해 일체로 완성된 형태의 차체(BIW;Body In white)를 이루고, 완성된 차체는 도장 공정을 거쳐 각 파트의 표면에 걸쳐 도장 및 방청 작업을 실시한 다음, 파워 트레인 계통의 부품과 현가와 조향 및 제동 계통의 부품 등을 조립하고 도어와 트렁크 리드 및 후드 등을 조립하는 등의 의장 공정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조 공정중 차체의 도장 공정에 있어, 후드나 트렁크 리드에 대한 도장 작업은 후드나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조립한 다음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드나 트렁크 리드의 도장 공정에 있어, 각각의 배면에 대한 도장 작업은 차체에 대해 후드나 트렁크 리드를 개방된 상태로 지속시킨 다음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 차체에 대해 후드나 트렁크 리드를 각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차체와 후드 및 트렁크 리드 사이에는 후드나 트렁크 리드를 개방 상태로 지속시켜 주기 위한 로드를 끼워 설치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도장 공정중 차체와 후드 및 트렁크 리드 사이에 설치된 로드는 도장 작업중 외력에 의해 이탈될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장 공정중 개방된 상태에 있던 후드 내지 트렁크 리드가 갑작스럽게 닫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후드나 트렁크 리드의 배면에 대한 도장 작업을 위해 이들을 차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함에 있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개방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여 도장 공정의 작업성을 개선함과 더불어, 다양한 차종의 후드나 트렁크 리드에 대한 배면의 도장 공정에서 범용적으로 활용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렁크 리드의 선회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상부 고정로드에 제1 피벗 지점을 매개로 연결되고, 차체의 고정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고정로드 및;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 사이의 설치 각도의 조절시 조작력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조절된 설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유체 봉입식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는 상기 하부 고정로드에 대해 일단이 제2 피벗 지점을 매개로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로드에 대해 일단이 제3 피벗 지점을 매개로 고정되는 작동 로드 및, 상기 작동 로드의 자유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봉입된 동작 유체를 통과시켜 이로부터 감쇠력의 발생을 도모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로드의 피벗 지점에는 상기 작동 로드의 전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이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의 수납시 상기 실린더의 외주로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프로텍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로드 조립체는 차체의 도장 공정중 후드나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지속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 바,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 로드 조립체의 구성에 따른 기능을 트렁크 리드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 로드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10)의 선회 단부에 일측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고정로드(12)와,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타측과 일측이 제1 피벗 지점(P1)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이 차체의 고정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고정로드(14) 및,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14) 사이의 설치 각도의 조절시 조작력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조절된 설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유체 봉입식 댐퍼(1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16)는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에 대해 일단이 제2 피벗 지점(P2)을 매개로 고정되는 실린더(16a)와, 상기 실린더(16a)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에 대해 일단이 제3 피벗 지점(P3)을 매개로 고정되는 작동 로드(16b) 및, 상기 작동 로드(16b)의 자유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6a)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시 상기 실 린더의 내부에 봉입된 동작 유체를 통과시켜 이로부터 감쇠력의 발생을 도모하는 밸브체(도시안됨)를 갖춘 피스톤(16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 로드(16b)의 피벗 지점에는 상기 작동 로드(16b)의 전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이고, 상기 실린더(16a)의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16b)의 수납시 상기 실린더(16a)의 외주로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프로텍터(16d)가 설치되어 있어, 고온의 도장 공정중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16)의 작동 로드(16b)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16)의 실린더(16a)는 내부에 내열성의 씰링부재(16e)를 갖추고 있어, 도장 공정중 고온의 작동 환경에 노출되는 상기 실린더(16a)에 있어 내부에 봉입된 동작 유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로드(12)는 상기 트렁크 리드(10)의 선회 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8)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 돌기(12a)를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2a)의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탄성 걸림편(12b)이 부착되어 있어, 내부에 상기 스트라이커(18)의 수용시 이탈을 억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자유 단부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1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스테이 로드 조립체를 조작함에 있어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로드(14)는 차체의 고정 단부에 해당하는 백 플레이트(20)에 끼워지는 요홈부(14b)를 갖춘 끼움 브라켓트(14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로드(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 플레이트(20)에 대한 결합부의 고정을 위한 나사체결방식의 잠금부(22)를 부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잠금부(22)는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의 선회 단부에 피벗결합되는 연결로드(24)와, 상기 연결로드(24)에 피벗결합되는 록킹 브라켓트(26) 및, 상기 록킹 브라켓트(26)에 나사체결되어 설치된 체결나사(26a)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 피벗 지점(P2)은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의 외측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트(14-1)에 설정되고, 상기 제3 피벗 지점(P3)은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외측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트(12-1)에 설정되는 바, 이는 상기 제1 피벗 지점(P1)을 매개로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와 하부 고정로드(14)에 대해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16)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와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감싸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성 플레이트(28)가 설치되는 바, 상기 탄성 플레이트(28)는 이의 전장을 따라 다수로 굴곡된 안착부(28a)가 다수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28a)는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외측면에 대한 고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에 설치된 상기 탄성 플레이트(28)는 차종 에 따라 트렁크 리드(10)의 개방 각도가 상이할 경우에 있어,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에 대한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게 되는 바, 즉 상기 탄성 플레이트(28)에 형성된 다수의 안착부(28a)내에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고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테이 로드 조립체는 도장 공정의 이전 단계에서 차체로부터 트렁크 리드(10)를 상방향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차체의 백 플레이트(20)상에 하부 고정로드(14)의 끼움 브라켓트(14a)의 요홈부(14b)를 끼워 지지한 다음, 상부 고정로드(12)의 걸림 돌기(12a)를 스트라이커(18)에 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14) 사이의 설치 각도는 유체 봉입식 댐퍼(16)의 작동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14) 사이의 설치 각도의 조절은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에 설치된 탄성 플레이트(28)의 안착부(28a)내에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고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트렁크 리드(10)의 스트라이커(18)에 대한 상기 상부 고정로드(12)의 결합부에 대한 견고한 고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12a)의 내측에 위치한 탄성 걸림편(12b)을 매개로 스트라이커(18)의 이탈을 강제적으로 저지시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백 플레이트(20)에 대한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의 결합부에 대한 견고한 고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고정로드(14)의 선회 단부에 연결로드(24)를 매개로 별도의 록킹 브라켓트(26)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상기 록킹 브라켓트(26)에 나사체결된 체결나사(26a)의 체결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에 의하면, 차체의 도장 공정중 트렁크 리드의 배면에 대한 도장 작업을 위해 트렁크 리드의 개방된 상태를 스테이 로드 조립체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도장 공정의 전 과정중 작업자가 갑작스런 트렁크 리드의 닫힘으로부터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차종에 따른 차체의 도장 공정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 로드 조립체는 보다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활용도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9)

  1. 트렁크 리드의 선회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상부 고정로드에 제1 피벗 지점을 매개로 연결되고, 차체의 고정 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고정로드 및;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로드 사이의 설치 각도의 조절시 조작력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조절된 설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유체 봉입식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봉입식 댐퍼는 상기 하부 고정로드에 대해 일단이 제2 피벗 지점을 매개로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로드에 대해 일단이 제3 피벗 지점을 매개로 고정되는 작동 로드 및, 상기 작동 로드의 자유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봉입된 동작 유체를 통과시켜 이로부터 감쇠력의 발생을 도모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로드의 피벗 지점에는 상기 작동 로드의 전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이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의 수납시 상기 실린더의 외주로 끼워지는 원통 형상의 프로텍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로드는 상기 트렁크 리드의 선회 단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의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탄성 걸림편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수용시 이탈을 억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로드의 자유 단부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로드는 차체의 고정 단부에 해당하는 백 플레이트에 끼워지는 요홈부를 갖춘 끼움 브라켓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 지점은 상기 하부 고정로드의 외측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트에 설정되고, 상기 제3 피벗 지점은 상기 상부 고정로드의 외측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트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로드에는 상기 상부 고정로드와의 설치 각도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상부 고정로드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감싸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성 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는 전장을 따라 다수로 굴곡된 안착부가 다수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부 고정로드의 외측면에 대한 고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 드 조립체.
KR1020050093764A 2005-10-06 2005-10-06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KR10077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764A KR100774668B1 (ko) 2005-10-06 2005-10-06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764A KR100774668B1 (ko) 2005-10-06 2005-10-06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626A KR20070038626A (ko) 2007-04-11
KR100774668B1 true KR100774668B1 (ko) 2007-11-08

Family

ID=3815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764A KR100774668B1 (ko) 2005-10-06 2005-10-06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0941B (zh) * 2018-04-18 2024-05-28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焊接式电动撑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489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장치
KR20020013300A (ko) * 2000-08-14 2002-02-20 이계안 트렁크 리드 닫힘 방지장치
US6568033B2 (en) 1999-12-29 2003-05-27 Hyundai Motor Company Hinge structure of trunk lid for automobile
KR20040041889A (ko) * 2002-11-12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처짐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8033B2 (en) 1999-12-29 2003-05-27 Hyundai Motor Company Hinge structure of trunk lid for automobile
KR20010066489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장치
KR20020013300A (ko) * 2000-08-14 2002-02-20 이계안 트렁크 리드 닫힘 방지장치
KR20040041889A (ko) * 2002-11-12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처짐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626A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143B1 (ko) 자동차용 상도 부스의 무인화 장치
EP1980472A3 (de) Servicepanel für ein Kraftfahrzeug
KR100774668B1 (ko) 트렁크 리드 지지용 스테이 로드 조립체
JP3572450B2 (ja) 開閉体のストッパ取付部構造
CN205423668U (zh) 黏弹性减振器
ATE332024T1 (de) Anbaugehäuse
ITTO20060151A1 (it) Gruppo sportello per il bocchettone del serbatoio del carburante di un veicolo a motore.
KR20160007436A (ko) 완충기
CN210971356U (zh) 一种发动机罩安装工具
JP4648318B2 (ja) 塗装前保護スリーブを具えるガススプリング構体
KR100628954B1 (ko) 차량의 개폐 부품 도장용 스테이
KR100764505B1 (ko) 차량용 도어 록 실린더의 마운팅장치
KR200162779Y1 (ko) 가스스프링
KR20110058539A (ko) 위치 조정이 쉬운 범퍼장치
KR200300790Y1 (ko) 차량용 번호판 보호장치
KR101735968B1 (ko) 방화문의 도어록 보호커버
KR200205051Y1 (ko) 자동차 엔진덮개의 개방수단
KR101701039B1 (ko) 바디판넬 보강구조
JP2009051457A (ja) ハーネス固定クランプの固定構造
JP4631592B2 (ja) 穴閉鎖プラグ
KR0139997Y1 (ko) 자동차의 범퍼와 휀더의 조립구조
KR20080060583A (ko) 지게차의 엔진 후드 조립구조
KR200366884Y1 (ko) 차량용 개스 스프링의 조립구조
KR20070044592A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로드 결합구조
KR200379167Y1 (ko) 산업 기계장비의 도어고정용 마그넷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