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229B1 -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 Google Patents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229B1
KR100774229B1 KR1020067010866A KR20067010866A KR100774229B1 KR 100774229 B1 KR100774229 B1 KR 100774229B1 KR 1020067010866 A KR1020067010866 A KR 1020067010866A KR 20067010866 A KR20067010866 A KR 20067010866A KR 100774229 B1 KR100774229 B1 KR 10077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ealing
compound
steel sheet
mass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3517A (en
Inventor
다케시 오무라
가즈미치 사시
야스유키 하야카와
마사키 가와노
신이치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2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21D8/1283Application of a separating or insulating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6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Al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고, 또한,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함유하며, 점도가 25 mPa·s 이하인 처리액을 소둔 분리제로서 사용함으로써, 가루 분진 문제나 라인 오염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양호한 소둔 분리 효과를 얻는다. 또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공정에서의 마무리 소둔 등에 상기 소둔 분리제를 적용함으로써,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또는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얻는다. To cause powder dust problems or line contamination by using an Al compound as a annealed separator containing an Al compound in the form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and containing a compound that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nd has a viscosity of 25 mPa · s or less. A good annealing separation effect is obtained without. In addition, by applying the annealing separator in finishing annea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does not have a forsterite coating or is excell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a forsterite coating is obtained.

Description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및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Annealing method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본 발명은, 소둔시에 방향성 전자 강판끼리의 스티킹 (sticking) 을 방지하는 소둔 분리제, 및 그것을 이용한 소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nealing separator that prevents sticking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during annealing, and an annea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또한, 그 소둔 분리제를 활용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방향성 전자 강판에는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forsterite based coating) 을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이 있는데, 본 발명은 각각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tilizing the annealing separator. Here, there are those having a forsterite based coating on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b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ch manufacturing method.

전자 강판은, 변압기나 회전기의 철심 (iron core) 재료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그 중에서도, 방향성 전자 강판은, 결정 방향을 고스 (Goss) 방위라고 하는 {110} <001> 방위에 고도로 집적시킴으로써, 특히 우수한 저철손을 달성한 강판이다. 전자 강판에 요구되는 특성 중, 특히 철손 (iron loss) 특성은 제품의 에너지 손실로 직접 이어지는 특성이기 때문에 중요시되고 있다. Electronic steel sheets are widely used as iron core materials of transformers and rotors. Especially,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s a steel plate which achieved especially the low iron loss especially by highly integrated a crystal direction in the {110} <001> orientation called a Goss orientation. Among the properties required for the electrical steel sheet, in particular, iron loss (iron loss)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property that leads directly to the energy loss of the product.

또한, 전자 강판에서는, 펀칭성 (punchability) 이나 굽힘 가공성도 중요한 특성이다. 즉, 변압기나 회전기의 철심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전자 강판은 펀치, 전단 및 굽힘 등의 가공을 거쳐 소정 형상으로 된다. 또한 이들 가공을 행하기 위한 가공 라인을 강대 (steel strip) 가 통과할 때에는, 강판이 만곡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특성이 중요한 것이다. In the electrical steel sheet, punchability and bending workability are also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is, when manufacturing the iron core of a transformer and a rotating machine, an electrical steel plate becomes a predetermined shape through processes, such as punching, shearing, and bending. Moreover, when a steel strip passes through the processing line for performing these processes, a steel plate may curve. Therefore, this property is important.

일반적으로 방향성 전자 강판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1323호의 제〔0005〕단락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즉, 압연에 의해 얻어진 강판에는 재결정 소둔이 실시되고, 그 후, 마무리 소둔 (final annealing) 이라고 하는 1 회의 뱃치 소둔 (batch annealing) 이 실시된다. 이 뱃치 소둔에 의해 2 차 재결정이 촉진되고, 고스 방위의 결정립이 집적된다. Generally,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s manufactured by the process disclosed by Paragraph [0005] etc.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3-41323. That is,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performed on the steel plate obtained by rolling, and batch annealing called final annealing is performed after that. By this batch annealing,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s promoted and crystal grains of a goth orientation are integrated.

그런데, 뱃치 소둔에서는 강판은 코일 형상으로 가열되지만,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마무리 소둔은 일반적으로 고온일 필요가 있으므로, 코일 내에서 강판끼리의 스티킹이 발생한다. 이 스티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소둔에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형성시키는 기술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은, 소둔 분리제 중의 MgO 와, 강판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물 중의 SiO2 가 반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단, 그 피막 중에는 Fe 도 함유된다). By the way, in batch annealing, although the steel plate is heated in coil shape, since the finish annealing for manufactur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generally needs to be high temperature, sticking of steel sheets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a coil. In order to prevent this sticking, the technique which apply | coats the annealing separator which has Mg0 as a main component, and forms a forsterite film by annealing is used widely. The forsterite coating is considered to be formed by reacting MgO in the annealing separator with SiO 2 in the oxide formed on the steel sheet surface (however, the coating also contains Fe).

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은 소둔 분리 성능이 양호하고, 또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특성이 유리한 면도 갖는다. 예를 들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상에는, 경질의 코팅 (장력 피막) 을 밀착성 좋게 부여할 수 있어, 강판에 장력을 부여함으로 써 저철손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is forsterite coating has a good annealing separation performance and advantageous properties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For example, on a forsterite film, a hard coating (tension film) can be provided with good adhesiveness, and low iron loss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a tension to a steel plate.

반면, 포스테라이트 피막은 경질의 유리 피막이므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은 펀칭성이나 굽힘 가공성이 함께 떨어진다. 즉, 펀칭을 실시하는 금형이 빨리 마모되거나, 강판의 전단면에 버 (burr) 가 발생하기도 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굽힘 가공에서도 박리를 발생시키기 쉬우므로, 예를 들어, 변형 제거 소둔 (stress relief annealing) 후에 굽힙 등의 가공을 실시해도 박리되지 않는 양호한 내 (耐) 굽힘 박리성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rsterite coating is a hard glass coating,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the forsterite coating is inferior in punching property and bendability. That is, a problem is that the metal mold for punching wears out quickly or burrs are generat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teel sheet. Moreover, since peeling is eas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in bending processing, for example, favorable bending peelability which does not peel even if processing, such as bending after stress relief annealing, is calculated | required.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o solve these problems,

(1) 가공성이 좋은 (가공성을 중시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얻는 수단으로서, 가공성에 불리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자체를 형성시키지 않고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1) a method for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good workability (important focus), without producing a forsterite coating itself, which is disadvantageous in formability,

(2) 저철손 등을 중시하고, 변형 제거 소둔 후에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해도 박리되지 않는 양호한 내굽힘 박리성을 갖는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 (2) a method of forming a forsterite coating having a good bending peel resistance that does not peel off even if processing such as bending after deforming annealing is carried out with emphasis on low iron loss or the like;

등이 제안되고 있다.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1) 의 방법으로는, 소둔 분리제의 성분을 변화시키는 방법, 즉, 강판 표면의 SiO2 와 반응하는 MgO 를 함유하지 않는 소둔 분리제를, 재결정 소둔 후에 도포하고,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Method as in (1), a method of applying a method of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at is, the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no SiO 2 reacts with MgO to the steel sheet surface claim, after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subjected to final annealing This is being tried.

여기에서, MgO 이외의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로는, 일본 공개특 허공보 평6-1364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875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56362호에 개시되어 있는, 알루미나 (분말) 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6126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34542호에 개시되어 있는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소둔 분리제는 정전 도포되거나, 물 슬러리 또는 알코올류 등에 현탁시킨 현탁액으로서 강판에 도포된다. 그러나, 이들 소둔 분리제는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부족하므로, 소둔 분리제 도포 후의 제조 라인을 통판 중에 박리시키기 쉽다. 그 결과, 1) 도포량의 제어가 어렵다. 2) 소둔 분리제의 수율이 나쁘다. 3) 분진의 발생이나, 그로 인한 라인 오염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Here, as annealing separator which has a thing other than MgO as a main component, it i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136448, Unexamined-Japanese-Patent No. 7-118750,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156362, It is known to have alumina (powder) as a main component, or to have alumina and / or silica disclosed in JP-A-11-61261 and JP-A-8-134542 as a main component. These annealing separators are electrostatically applied or applied to steel sheets as suspensions suspended in water slurries or alcohols. However, since these annealing separators lack th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a steel plate, it is easy to peel a manufacturing line after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 coating in a board | plate. As a result, 1)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coating amount. 2) The yield of the annealing separator is bad. 3) There were problems such as generation of dust and fear of line contamination.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소둔 분리제로는, 콜로이드 상태의 알루미나의 집합체가 깃털 형상으로 된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21142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소둔 분리제는 강판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어렵다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소둔 분리제는, 절연 피막을 추가로 형성하기 전에, 산 세척 또는 알칼리 세정에 의한 제거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있고, 조업상 불편하다.  As an annealing separator excellent in adhesiveness to a steel sheet, an annealing separator mainly composed of a colloidal alumina aggregate in the form of a feather is disclosed in JP-A-10-121142. However, this annealing separato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uniformly to the steel sheet. In addition, this annealing separator requires an acid washing or alkaline washing step before further forming an insulating coating, which is inconvenient in operation.

결국, 종래에는, 한번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형성한 후에, 산 세척 (pickling), 화학 연마 또는 전해 연마 등의 수단에 의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제거한다는, 비용이나 수고가 드는 방법이, 가장 실용적인 방법으로 행해져 왔다. After all, conventionally, the most costly and laborious method of removing the forsterite coating by means of acid pickling, chemical polishing or electropolishing after forming the forsterite coating once It has been done in a practical way.

또한, 소둔 분리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공성이 양호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29356 호는, 인히비터 형성 성분 (inhibitor forming element) 을 함유하지 않는 성분계에 의해 고스 방위 결정립을 2 차 재결정시키는 기술을 제안하고, 이 방법에 의해서 마무리 소둔 온도가 저온화하여, 소둔 분리제가 불필요해진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방향성 전자 강판의 마무리 소둔으로는 저온에서도, 강판의 스티킹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고, 안정 생산이라는 관점에서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duce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good workability without using an annealing separator.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129356 proposes a technique for secondary recrystallization of goth orientation grains by a component system not containing an inhibitor forming element, and a finish annealing temperature by this method. It is said that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annealing separator is unnecessary. However, as the finish annealing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ven at low temperatures,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stable production, not at a level that can completely prevent sticking of the steel sheet.

한편, (2) 의 방법으로는,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1323호에, 재결정 소둔 후에, 연속 소둔을 포함하는 2 회의 뱃치 소둔을 실시함으로써, 자기 특성과 피막 특성을 양립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마무리 소둔에서 2 차 재결정의 진행과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형성의 양방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알맞은 소둔 조건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자기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면 피막 특성이 열화되고, 반대로 피막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면 자기 특성이 열화된다. 이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1323호에 개시된 기술은, 2 회의 뱃치 소둔에서 마무리 소둔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고, 1 회째의 배치 소둔에서 2 차 재결정을 촉진하여, 2 회째의 뱃치 소둔에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the method of (2),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41323,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by performing two batch annealing including continuous annealing, a technique for achieving both magnetic properties and film characteristics is disclosed. have. That is, in the prior art, both the progress of th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forsterite coating are realized in the finish annealing. However, since the respective annealing conditions do not coincide, the film properties deteriorate when the magnetic properties are to be improved, and the magnetic properties are deteriorated when the film properties are improved. In contrast,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41323 is intended to achieve the function of finishing annealing in two batch annealing, to promot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n the first batch annealing, and to posture in the second batch annealing. It is to form a light coating.

이 공보에서는 1 회째의 뱃치 소둔시에 강판끼리의 밀착이 걱정되는 경우, 소둔 분리제를 도포해도 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재결정 소둔 후의 1 회째의 뱃치 소둔에 MgO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사용하면, 2 회째의 뱃치 소둔에서의 포스테라이트 피막 성형에 악영향을 미치고, 양호한 피막 특성을 얻는 것이 매우 곤란해져 버린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1323호의 방 법에서는, 1 회째의 뱃치 소둔 후에 탈탄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포스테라이트질 피막과 같은 피막은 탈탄을 저해한다는 문제도 있다. In this publication, when annealing of steel sheets is concerned about the first batch annealing, annealing separator may be applied. However, using an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MgO as the main component in the first batch annealing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dversely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forsterite coating in the second batch annealing, and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obtain good film characteristics. . Further, in the method of JP-A-2003-41323,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ecarburization after the first batch annealing,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a film such as a forsterite coating inhibits decarburization.

한편, MgO 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사용하지 않고 1 회째의 뱃치 소둔을 실시하고자 하면, (1) 과 동일한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batch annealing is to be performed without using an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MgO as a main component, various problems similar to those in (1) arise.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 to Solv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MgO 를 함유하지 않고, 또한 강판에 대한 도포성 및 도포 후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분진 문제나 그로 인한 라인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소둔 분리제, 및 그것을 이용한 소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it does not contain MgO, and is excellent in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to the steel plate and the adhesiveness after application, and manufactures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out generating a dust problem or the resulting line contamination. It is proposed an annealing separator that can be used and an annealing method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그 소둔 분리제를 사용한, 변압기나 회전기의 철심 재료에 바람직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피막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 및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가공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suitable for the iron core material of a transformer and a rotor using the annealing separato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ilm-forming properties of a forsterite coating and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without a forsterite coating.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의 형태는, (1)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2) 소둔 분리제로서의 사용, (3)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및 (4)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 구별된다. The aspect of this invention is (1) annealing method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2) use as an annealing separator, (3) a manufacturing method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forsterite coating, and (4) a forsterite coating It is distinguish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does not have a.

(1) 강판의 소둔 방법 (1) annealing method of steel sheet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강판에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강판을 소둔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으로서, 상기 소둔 분리제가, Al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고, 또한,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함유하며, 또한 점도가 25 mPa·s 이하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이다. A method of anneal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by applying an annealing separator to an steel sheet and annealing the coated steel sheet, wherein the annealing separator contains an Al compound in a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and further contains a compound that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nd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ose viscosity is 25 mPa * s or less.

상기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 상기 소둔 분리제를 베이킹하는 베이킹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baking process which bakes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after application | coating of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여기에서,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은, 대상으로 하는 소둔에서, 그 화합물이 강판 표면 또는 강판 표면의 산화물 등과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것, 및, 그 화합물 자체가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예시된다. 또한, MgO 는 단독으로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지만, 강판 표면의 산화물과 반응하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고온에서 안정」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Here, the compound stable at high temperature is, in the annealing to be subjected, the compound does not react with the steel sheet surface or the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or is difficult to cause a reaction, and the compound itself does not react or is hard to cause a reaction. Points to Specifically, at least 1 type selected from the group of Si compound, Sr compound, Ca compound, Zr compound, Ti compound, and Ba compound is illustrated. In addition, MgO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lone, but reacts with oxides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thus does not correspond to "stable at high temperatures".

또한, 여기에서, Al 화합물은 용액 상태 또는 콜로이드 용액 상태에 있으므로,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을 형성하는 액체 (편의상 용매라고 총칭한다) 와 친화성을 갖는 구조부 (관능기 (functional group) 등) 를 갖는 물질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반적인 슬러리나 현탁액에 사용되는 알루미나 입자 등은 화학적으로 상이한 물질이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이, 존재 형태에서도 슬러리나 현탁액과 상이하다. In addition, since the Al compound is in a solution state or a colloidal solution state, the Al compound is a substance having a structural portion (such as a functional group) having affinity with a liquid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olvent for convenience) forming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 Thus, for example, alumina particles used in general slurries and suspensions are chemically different materials. Needless to say, the present forms differ from the slurry and the suspension.

용매는 물을 베이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l 화합물은, 수산기 및 유기산기를 갖는 Al 화합물, 및 수산기 및 유기산기를 갖는 Al 화합물의 탈수 반응물 (일부 탈수 반응물도 포함함), 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Al 화합물은, 염기성 아세트산 Al, 염기성 포름산 Al, 염기성 염화 Al, 염기성 질산 Al, 염기성 옥살산 Al, 염기성 술파민산 Al, 염기성 락트산 Al 및 염기성 시트르산 Al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The solvent is preferably based on water. The Al compound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n Al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organic acid group, and a dehydration reactant (including some dehydration reactants) of the Al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organic acid group. More preferably, the Al compound is one selected from basic acetate, basic formic acid, basic chloride, Al, basic nitrate, basic oxalic acid Al, basic sulfamic acid Al, basic lactic acid Al and basic citric acid Al, or 2 Mixtures of species or more.

또한, 상기 소둔 분리제가, 상기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해도 된다. Moreover,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may contain the compound which is stable at the said high temperature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또한, 상기 Al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기 식 (1)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said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 = (상기 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의 고형분 (합))}······ 식 (1)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said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said Al compound) + (solid content (the sum) of the compound stable at the said high temperature)} ... Formula (1)

단, 상기 Al 화합물의 고형분은 Al2O3 로 환산하고, 상기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은, 상기 소둔 분리제를 도포한 후에 베이킹한 경우에 생성되는 주요 화합물로 환산하는 것으로 한다. However, the solid component of the Al compound is converted to Al 2 O 3, the stable compoun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at in terms of the major compound produced in the case of baking after applying the annealing separator.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강판에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강판을 소둔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으로서, As an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apply | coats an annealing separator to a steel plate, and anneales the applied steel plate,

상기 소둔 분리제가, Al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고, 또한,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여, 상기 Al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이고, 또한, 상기 소둔 분리제의 점도가 25 mPa·s 이하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이다. The annealing separator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Si compounds, Sr compounds, Ca compounds, Zr compounds, Ti compounds, and Ba compounds, which contains an Al compound in a solution or colloidal solution state. It is an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containing, and content of the said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2), and the viscosity of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is 25 mPa * s or less.

여기에서, From here,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Al 화합물의 고형분)/{(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의 고형분(합))} ······ 식 (2)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the sum) of the said at least 1 sort (s))} ... Formula (2)

여기에서 각 화합물의 고형분은 하기의 각 화합물의 중량으로 환산된 값인Herein, the solid content of each compound is a value converted from the weight of each compound described below.

Al 화합물···Al2O3, Si 화합물···SiO2, Al compound ... Al 2 O 3 , Si compound ... SiO 2 ,

Sr 화합물···SrO, Ca 화합물···CaO, Sr compound ... SrO, Ca compound ... CaO,

Zr 화합물···ZrO2, Ti 화합물···TiO2, Zr compound ... ZrO 2 , Ti compound ... TiO 2 ,

Ba 화합물···BaO. Ba compound ... BaO .

여기에서, 상기 소둔 분리제가, 상기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해도 된다. Here, the annealing separator may contain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the Si compound, the Sr compound, the Ca compound, the Zr compound, the Ti compound, and the Ba compound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특히 바람직한 발명의 형태는, 강판에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강판을 소둔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으로서, 상기 소둔 분리제가, Al 화합물 및 Si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Al 화합물과 Si 화합물의 비율이 Al2O3/(Al2O3+ SiO2) 로 환산한 값으로 40∼95 mass% 이고, 점도가 25 mPa·s 이하이며, 또한,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이다. An especially preferable aspect of this invention is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apply | coats an annealing separator to a steel plate and anneales the applied steel plate,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has Al compound and Si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Al compound and Si compound Is a ratio of 40 to 95 mass%, a viscosity of 25 mPa · s or less, and a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in the ratio of Al 2 O 3 / (Al 2 O 3 + SiO 2 ). Annealing method of steel sheet.

상기 발명에서, 상기 소둔 분리제는 추가로 S 또는 S 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상기 소둔 분리제를 도포한 후에 베이킹한 경우에 대해 요구되는 고형분 비율로 25 mass% 이하 함유해도 된다. 상기의 「S 또는 S 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황산 Sr, 황산 Mg 및 황화 Mg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invention, the annealing separator may further contain S or a compound containing S in an amount of 25 mass% or less at a solid content ratio required for baking after applying the annealing separator. It is preferable that said "compound containing S or S" is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sulfuric acid Sr, sulfuric acid Mg, and Mg sulfide.

(2) 소둔 분리제로서의 사용 (2) Use as annealing separator

본 발명은, Al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고, 또한,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액체로서, 상기 Al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식 (2)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이고, 또한, 점도가 25 mPa·s 이하인 액체의, 소둔 분리제로서의 사용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l compound in a solution or colloidal solution, and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Si compound, Sr compound, Ca compound, Zr compound, Ti compound and Ba compound. It is use as an annealing separator of the liquid whose content of the said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said Formula (2), and whose viscosity is 25 mPa * s or less.

여기에서, 상기 소둔 분리제가, 상기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해도 된다. Here, the annealing separator may contain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the Si compound, the Sr compound, the Ca compound, the Zr compound, the Ti compound, and the Ba compound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본 발명은 또한, Al 화합물 및 Si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Al 화합물과 Si 화합물의 비율이 Al2O3/(Al2O3+SiO2) 로 환산한 값으로 40∼95 mass% 이고, 점도가 25 mPa·s 이하이며, 또한,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액체의, 소둔 분리제로서의 사용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 compound and the Si compound are the main components, and the ratio of the Al compound and the Si compound is 40 to 95 mass% in terms of Al 2 O 3 / (Al 2 O 3 + SiO 2 ). Is 25 mPa · s or less, and is used as an annealing separator for a liquid in a solution or colloidal solution state.

그 밖에, (1) 에 기재된 강판의 소둔 방법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소둔 분리제는, 말할 필요도 없이, 전부 (2) 의 발명에도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ferable annealing separator used for the annealing method of the steel plate as described in (1) can be applied also to the invention of all (2), needless to say.

(3)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3) Manufacturing method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 forsterite coating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 (박 슬래브 등도 포함한다. 이하 동일) 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강판에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강판에 뱃치 소둔을 (1) 에 기재된 소둔 방법으로 실시하는 제 1 뱃치 소둔 공정을 갖고, A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Mn: 0.005 to 1.0 mass% (including thin slabs, etc.) is rolled to a final sheet thickness to obtain a steel sheet. It has a process, the process of performing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and the 1st batch annealing process of performing batch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by the annealing method as described in (1),

여기에서, 제 1 뱃치 소둔 공정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상기 소둔 분리제를 제 1 소둔 분리제로 지칭하는 것으로 하면, Here, suppose that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ed before annealing in the first batch annealing step is referred to as a first annealing separator,

상기 재결정 소둔은, 상기 제 1 의 소둔 분리제의 도포 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로서 상기 뱃치 소둔 전에 실시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제 1 소둔 분리제의 편면당 도포량을 0.005∼5g/㎡ 로 하고,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carried out before application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or after application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and before the batch annealing. The coating amount per single side is set to 0.005 to 5 g / m 2,

그 후, 상기 강판에 연속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강판에 MgO 를 함유하는 제 2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그 후 뱃치 소둔을 실시하는 제 2 뱃치 소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이다. Subsequently, manufactur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process of performing continuous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and the 2nd batch annealing process which apply | coats a 2nd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MgO to the said steel plate, and performs a batch annealing after that. Way.

본 방향성 전자 강판은, 자기 특성 및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피막 특성이 우수하다. This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s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ies and the film characteristics of the forsterite coating.

(4)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4) Manufacturing method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no forsterite coating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최종 판 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강판에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강판에 뱃치 소둔을 (1) 에 기재된 소둔 방법으로 실시하는 마무리 소둔 공정을 갖고, A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and Mn: 0.005 to 1.0 mass% is rolled to a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and the steel sheet is subjected to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a finish annealing step of performing batch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by the annealing method described in (1),

여기에서 상기 재결정 소둔은, 상기 마무리 소둔 공정에서의 소둔 분리제의 도포 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1) 에 기재된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로서 상기 뱃치 소둔 전에 실시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상기 소둔 분리제의 편면당 도포량을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이다. Here,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carried out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in the finishing annealing step, o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ccording to (1) before the batch annealing, further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makes the coating amount per single side | surface of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into 0.005-5 g / m <2>.

본 방향성 전자 강판은, 자기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This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s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ies and workability.

상기 (3) 및 (4) 의 어떠한 발명에서도, 인히비터 형성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방향성 전자 강판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슬래브가, Al 을 150 ppm 이하, N, S, Se 를 각각 50 ppm 이하로 저감시킨 조성을 갖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ny of the inventions (3) and (4) above, application to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out using an inhibitor-forming component is possib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ab is a slab made of molten steel having a composition in which Al is reduced to 150 ppm or less, and N, S and Se are reduced to 50 ppm or less, respectively.

또한, 상기 (3) 및 (4) 의 어떠한 발명에서도, 슬래브를 최종 판 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상기 공정이,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필요에 따라 상기 열연 강판을 소둔하는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 두께로 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any of the inventions (3) and (4), the step of rolling the slab to the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includes the steps of hot rolling the slab to form a hot rolled steel sheet, and optionally, the hot rolled steel sheet.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process of performing annealing hot-rolled sheet annealing, and the process of carrying out 2 times or more cold rolling containing 1 time cold rolling or intermediate annealing, and setting it as final board thickness.

(4) 의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는, A more preferable aspect of the invention of (4) is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한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함유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 두께로 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1) 에 기재된 소둔 방법으로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을 갖고, 또한, 상기 마무리 소둔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을 편면당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Hot rolling a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Mn: 0.005 to 1.0 mass%, and then 2 containing one cold rolling or intermediate annealing. And a step of performing cold rolling at least once to form a final sheet thickness, a step of subsequently performing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then a step of finishing annealing by the annealing method described in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makes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y | coated before annealing into 0.005-5 g / m <2> per side,

또는,or,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을 함유하고, 또한 Al 을 150 ppm 이하 및 N, S, Se 를 각각 50 ppm 이하로 저감시킨 성분 조성을 갖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 두께로 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다음으로 (1) 에 기재된 소둔 방법으로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을 갖고, 또한, 상기 마무리 소둔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을 편면당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이다. · A molten steel containing not less than 0.08 mass% of C, 2.0-8.0 mass% of Si, 0.005-1.0 mass% of Mn, and having a component composition of 150 ppm or less of Al and 50 ppm or less of N, S and Se, respectively. A step of hot rolling the slab manufactured by the step S, followed by two or more cold rolling including one cold rolling or intermediate annealing to make a final sheet thickness, and a step of recrystallization annealing nex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step of subjecting finish annealing to the annealing method according to (1), and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to be applied before annealing in the finish annealing is 0.005 to 5 g / m 2 per side. to be. ·

이 바람직한 발명의 형태에서는, 상기 소둔 분리제가, Al 화합물 및 Si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Al 화합물과 Si 화합물의 비율이 Al2O3/(Al2O3+ SiO2) 로 환산한 값으로 40∼95 mass% 이고, 점도가 25 mPa·s 이하이고, 또한,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rm of the preferred invention, as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l compound and the value one as a main component a Si compound, and the ratio of the Al compound to the Si compound in terms of Al 2 O 3 / (Al 2 O 3 + SiO 2) 40 It is -95 mass%, the viscosity is 25 mPa * s or less,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발명자들은, 도포성 및 도포 후의 밀착성이 우수한 소둔 분리제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우선 Al 화합물과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적어도 Al 화합물이 용액의 상태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것에 의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소둔 분리제의 바람직한 점도나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 및 강판에 적용할 때의 바람직한 도포량을 알아내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이르게 한 실험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The inventors have intensively studied annealing separators excellent in applicability and adhesion after application, and, as a result, first of all, an Al compound and a stable compound at a high temperature are the main components, and at least the Al compound is in a solution state or a colloidal solution state. It has been found that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doing so. Moreover, the present inventors found out the preferable viscosity of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the 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and the preferable coating amount at the time of applying to a steel plat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experiments that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successfully.

<실험 1> Experiment 1

C : 0.020 mass%, Si : 3.30 mass%, Mn : 0.070 mass% 및 Sb:400 mass ppm 을 함유하고, Al:38 mass ppm, N:33mass ppm, S:18ppm, Se:10 ppm 미만 (분석 한계치 미만) 으로 억제한 성분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하였다. 그 후, 그 강 슬래브에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 두께로 하였다. 다음으로, 냉간 압연된 강판은 재결정 소둔 및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였다. Contains C: 0.020 mass%, Si: 3.30 mass%, Mn: 0.070 mass% and Sb: 400 mass ppm, Al: 38 mass ppm, N: 33 mass ppm, S: 18 ppm, Se: 10 ppm (analysis limit The steel slab which consists of a component composition suppressed by below) was manufactured by continuous casting. Thereafter, the steel slab was subjected to two or more cold rollings including one cold rolling or intermediate annealing to obtain a final sheet thickness. Next, the cold rolled steel sheet was subjected to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finish annealing.

여기에서, 마무리 소둔 전에, 소둔 분리제로서 실리카졸 (콜로이드상 실리카) 의 수성 콜로이드 용액 (고형분 농도 3.0 mass%) 을 사용하고, 강판 표면 (양면) 에 편면당 0.1∼3.0g/㎡ 의 범위에서, 롤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Here, before finishing annealing, an aqueous colloidal solut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0 mass%) of silica sol (colloidal silica) is used as an annealing separator, and in the range of 0.1-3.0 g / m <2> per side to a steel plate surface (both sides). And coating using a roll coater.

도포 후는, 강판의 도달 온도 250℃ 의 조건에서 베이킹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방냉하였다. 도포 전과 베이킹 처리 후의, 강판 중량의 차로부터 소둔 분리제의 부착량을 구하고, 이것을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으로 하였다. After application | coating, the baking process was performed on the conditions of the arrival temperature of 250 degreeC of a steel plate, and it cooled after that. The adhes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steel plate weight before application | coating and after baking process, and this was made into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마무리 소둔에서는, 850℃ 에서 30 시간, 질소 분위기에서 유지한 후, 1000℃ 에서 5 시간, Ar 분위기에서 유지하였다. In finish annealing, after maintaining at 850 degreeC for 30 hours and nitrogen atmosphere, it maintained at 1000 degreeC for 5 hours and Ar atmosphere.

얻어진 강판에 대하여,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시의 소둔 분리 효과의 3 항목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About the obtained steel plate, three items of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t the time of finish annealing were tested.

각 성능 평가법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후술하는 실험 2, 3, 및 실시예에서의 평가 방법도 동일하다. The detail of each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s as follows. The evaluation method in experiment 2, 3, and an Example which are mentioned later is also the same.

·도포성 · Application

소둔 분리제를 도포한 후의 강판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The steel plate after apply | coating an annealing separator was visually evaluated.

○ : 강판 전체가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다(Circle): The whole steel plate is apply | coated uniformly.

△ : 전체적으로 도포되어 있지만 불균일하다(Triangle | delta): It is apply | coated whole but is nonuniform

× : 도포되어 있는 곳과 되어 있지 않은 곳이 있다 X: There is a place which is coated and is not

·건조 후의 밀착성 Adhesion after drying

소둔 분리제를 베이킹한 후, 강판을 브러싱하면서 10 초간, 유속 약 1.0 m/s의 조건에서 유수 세정하였다. 그 후, 링거롤로 물기를 제거하고, 200℃×10s 의 조건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 강판 중량을 재측정하여 소둔 분리제의 부착량을 다시 산출하였다. 그리고 수세 전후의 소둔 분리제 부착량의 차를 구하여, 이것을 박리량으로 하였다. 얻어진 박리량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After baking the annealing separator, the steel sheet was washed with running water under conditions of about 1.0 m / s for 10 seconds while brushing the steel sheet. Then, water was removed by Ringer's Roll, and it dried on the conditions of 200 degreeCx10s. Thereafter, the weight of the steel sheet was measured again to calculate the adhes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And the difference of the adhes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before and after washing with water was calculated | required, and this was made into the peeling amount. Based on the obtained peeling amount, it evaluated as follows.

○ : 분리제의 박리량이 도포량의 10% 이하 (Circle): Peeling amount of a separating agent is 10% or less of application amount

△ : 분리제의 박리량이 도포량의 10% 초과∼80% 미만(Triangle | delta): Peeling amount of a separating agent exceeds 10%-less than 80% of application amount

× : 분리제의 박리량이 도포량의 80% 이상X: Peeling amount of the separating agent is 80% or more of the coating amount

·소둔 분리 효과 Annealing separation effect

분리제를 도포하고, 0.74MPa 의 가압 하중을 가하면서,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였다. 그 후, 베이킹한 강판을 인장 시험기로 벗기고, 박리에 요하는 강도 (박리 강도) 를 측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The separation agent was applied, and finish annealing was performed while applying a pressurized load of 0.74 MPa. Thereafter, the baked steel sheet was peeled off by a tensile tester, and evaluated as follows by measuring the strength (peel strength) required for peeling.

○ : 강판의 베이킹 없음 (박리 강도 10N 이하)○: no baking of steel sheet (peel strength 10N or less)

△ : 강판의 베이킹이 일부분에서 확인됨 (박리 강도 10N 초과∼60N 미만)(Triangle | delta): Baking of the steel plate is confirmed by a part (more than peeling strength 10N-less than 60N)

× : 완전히 강판이 베이킹되어 있음 (박리 강도 60N 이상) ×: The steel sheet is completely baked (peel strength 60N or more)

표 1 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 1 에 사용한 소둔 분리제는, 도포성 및 소둔 분리 효과는 양호했지만, 모든 조건에서 분리제의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하였다. Table 1 shows the test results. Although the annealing separator used for the experiment 1 had favorabl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and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the steel plate was inadequate on all conditions.

도포량 (g/㎡)Coating amount (g / ㎡) 점도 (mPa·s)Viscosity (mPas) 도포성Applicability 분리제 밀착성Separator Adhesion 박리량 (g/㎡)Peel Amount (g / ㎡) 소둔 분리 효과Annealing Separation Effect 박리 강도 (N)Peel Strength (N) 0.10.1 3.13.1 0.050.05 33 0.50.5 3.13.1 0.200.20 00 1One 3.13.1 0.650.65 00 22 3.13.1 ×× 1.701.70 00 33 3.13.1 ×× 2.902.90 22

상기 실험 1 에서, 실리카졸은 마무리 소둔시의 소둔 분리 효과는 갖고 있지만 소둔 분리제로서의 강판에 대한 밀착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실리카졸을 소둔 분리제로서 사용하고, 또한, 강판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조막 성분 (film forming component) 으로서 알루미나졸을 첨가하는 것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In Experiment 1, it was found that the silica sol had an annealing separation effect during finish annealing but had a problem in adhesion to the steel sheet as the annealing separator. Then, the inventors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silica sol as an annealing separator and adding alumina sol as a film forming component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to a steel plate.

<실험 2> Experiment 2

실험 1 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마무리 소둔 전의 강판 표면 (양면) 에, 알루미나졸 (콜로이드상 알루미나) 및 실리카졸을 주성분으로 한 수성 콜로이드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소둔 분리제 (고형분 농도 2.0 mass%) 를, 편면당 0.5g/㎡ 의 도포량으로, 롤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강판의 도달 온도 250℃ 에서 베이킹하여 방냉하였다. 그 후, 실험 1 과 동일하게, 850℃ 에서 30 시간, 질소 분위기에서 유지한 후에 1000℃ 에서 5 시간, Ar 분위기에서 유지하는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였다. In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as in Experiment 1, an annealing separator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2.0 mass%) composed of an aqueous colloidal solution mainly composed of alumina sol (colloidal alumina) and silica sol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both sides) before finishing annealing. The coating amount was 0.5 g / m 2 per coat using a roll coater. Next, it bake at room temperature of 250 degreeC and cooled by cooling. Thereaft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 1, the final annealing was performed at 850 ° C. for 30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n at 1000 ° C. for 5 hours in an Ar atmosphere.

얻어진 강판에 대하여,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시의 소둔 분리 효과의 3 항목에 대하여, 실험 1 과 같은 평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bout the obtained steel plate, three items of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t the time of finish annealing were investigated by the same evaluation method as Experiment 1.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의 비율은, Al2O3/(Al2O3+SiO2) 환산으로 20∼100 mass%의 범위에서, 소둔 분리제의 점도는 3.5∼100 mPa·s 의 범위에서, 각각 변화시켰다. 또한, 소둔 분리제의 점도는, 다른 점도의 알루미나졸을 사용함으로써 변화시켰다. 알루미나졸의 점도는, 예를 들어 졸 입자의 형상이나 고형분 농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졸 입자의 외형이 깃털 형상인 경우에는 고점도가 되고, 구 형상 (또는 입자 형상) 이나 타원체 (또는 봉 형상) 에 가까운 경우에는 저점도가 된다. The ratio of the alumina sol and the silica sol is in the range of 20 to 100% by mass in terms of Al 2 O 3 / (Al 2 O 3 + SiO 2 ), and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is in the range of 3.5 to 100 mPa · s, Each changed.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changed by using alumina sol having a different viscosity. The viscosity of the alumina sol can be controlled by,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sol particles or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For example, when the outer shape of the sol particles is in the form of a feather, it becomes high viscosity, and when it is close to a spherical shape (or particle shape) or an ellipsoid shape (or rod shape), it becomes low viscosity.

표 2 에,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의 비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알루미나졸의 비율이 낮은 것은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이 불충분하였다. 한편, 알루미나졸의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조막 작용이 지나치게 강해져, 강판으로의 균일한 도포가 곤란해지고, 제품의 외관 불량을 초래하였다. 또한, 소둔 분리 효과는 모든 조건에서 양호하였다.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when the ratio of alumina sol to silica sol was changed. The low ratio of alumina sol was insufficient in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alumina sol was too large, the film forming action became too strong, making it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steel sheet, resulting in poor appearance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was good under all conditions.

또한, 표 3 에 소둔 분리제의 점도를 변화시킨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점도가 커지면 강판으로의 도포성이 현저하게 열화하고, 도포되어 있는 부분과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였다.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강판의 베이킹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양호한 도포성을 확보하고 소둔 분리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점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 which changed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in Table 3 is shown. When the viscosity increased, applicability to the steel sheet was significantly deteriorated, and portions applied and portions not applied were generated. Since baking of the steel sheet occurred in the portion not applied,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viscosity in order to secure good applicability and to hav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알루미나졸·실리카졸 비율 Al2O3/(Al2O3+SiO2): mass%Alumina sol and silica sol ratio Al 2 O 3 / (Al 2 O 3 + SiO 2 ): mass% 점도 (mPa·s)Viscosity (mPas) 도포성Applicability 분리제 밀착성Separator Adhesion 박리량 (g/㎡)Peel Amount (g / ㎡) 소둔 분리 효과Annealing Separation Effect 박리 강도 (N)Peel Strength (N) 1010 3.53.5 0.20.2 00 2020 3.53.5 0.10.1 00 4040 3.53.5 0.050.05 00 5050 3.53.5 00 00 7575 3.53.5 00 00 9090 3.53.5 00 00 100100 3.53.5 00 00

알루미나졸·실리카졸 비율 Al2O3/(Al2O3+SiO2): mass%Alumina sol and silica sol ratio Al 2 O 3 / (Al 2 O 3 + SiO 2 ): mass% 점도 (mPa·s)Viscosity (mPas) 도포성Applicability 분리제 밀착성Separator Adhesion 박리량 (g/㎡)Peel Amount (g / ㎡) 소둔 분리 효과Annealing Separation Effect 박리 강도 (N)Peel Strength (N) 6060 3.53.5 00 00 6060 1010 00 00 6060 2525 00 1010 6060 5050 ×× 00 2828 6060 100100 ×× 00 4545

<실험 3> Experiment 3

다음으로, 실험 1 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마무리 소둔 전의 강판 표면 (양면) 에 롤 코터를 사용하고, 알루미나졸 및 실리카졸을 주성분으로 한 수성콜로이드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소둔 분리제 (고형분 농도 2.5 mass%) 를, 도포량을 편면당 0.001∼6g/㎡ 범위의 각 조건으로 하여 도포하였다. 소둔 분리제의 점도는 2.5 mPa·s 로 하고, 알루미나졸과 실리카졸의 비율은 Al2O3/(Al2O3+SiO2) 환산으로 75 mass% 로 하였다. Next, in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as Experiment 1, an annealing separator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2.5 mass%) consisting of an aqueous colloidal solution containing alumina sol and silica sol as a main component, using a roll coater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both sides) before finishing annealing. The coating amount was applied under each condition in the range of 0.001 to 6 g / m 2 per single side.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2.5 mPa · s, and the ratio of alumina sol and silica sol was 75 mass% in terms of Al 2 O 3 / (Al 2 O 3 + SiO 2 ).

다음으로, 강판의 도달 온도 250℃ 의 조건에서 베이킹하여, 방냉하였다. 그 후, 실험 1 과 같이 850℃ 에서 30 시간, 질소 분위기에서 유지한 후에 1000℃ 에서 5 시간, Ar 분위기에서 유지하는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였다. Next, it baked on the conditions of 250 degreeC of the reaching temperature of a steel plate, and cooled. Thereafter, after annealing at 850 ° C. for 30 hours and a nitrogen atmosphere as in Experiment 1, finishing annealing was performed at 1000 ° C. for 5 hours and in an Ar atmosphere.

얻어진 강판에 대하여, 실험 1 과 동일한 평가 방법에 의해,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및 마무리 소둔시의 소둔 분리 효과의 3 항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bout the obtained steel plate, three items of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t the time of finish annealing were investigated by the same evaluation method as Experiment 1.

표 4 에 도포량을 변화시켰을 때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포량이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소둔 분리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강판의 스티킹이 발생하였다. 한편, 도포량이 많아지면, 소둔 분리제의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된다. 이상에서, 양호한 강판에 대한 밀착성을 확보하고, 또한 소둔 분리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ble 4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when the coating amount was changed. When the coating amount was extremely small,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was insufficient, and sticking of the steel sheet occurred. On the other hand, when an application amount increases, the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the steel plate of annealing separator will fall.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sure good adhesion to the steel sheet and to have an annealing separation effec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알루미나졸·실리카졸 비율 Al2O3/(Al2O3+SiO2): mass%Alumina sol and silica sol ratio Al 2 O 3 / (Al 2 O 3 + SiO 2 ): mass% 점도 (mPa·s)Viscosity (mPas) 도포량 (g/㎡)Coating amount (g / ㎡) 도포량Application amount 분리제 밀착성Separator Adhesion 박리량 (g/㎡)Peel Amount (g / ㎡) 소둔 분리 효과Annealing Separation Effect 박리 강도 (N)Peel Strength (N) 7575 2.52.5 0.0010.001 00 ×× 100100 7575 2.52.5 0.0050.005 00 1010 7575 2.52.5 0.050.05 00 00 7575 2.52.5 0.50.5 00 00 7575 2.52.5 1One 00 00 7575 2.52.5 22 00 00 7575 2.52.5 33 00 00 7575 2.52.5 66 1.21.2 00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소둔 분리제로서, 실리카와 같은 고온 소둔시의 안정성이 우수한 화합물과, 조막 성분으로서 용액 상태 또는 콜로이드 용액 상태의 Al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채용하고,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 및 점도를 규정함으로써, 우수한 도포성 및 도포 후의 밀착성이 얻어지는 것을 새롭게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In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as an annealing separator, a compound having excellent stability during high temperature annealing, such as silica, and an Al compound in a solution state or a colloidal solution state are employed as a main component, and the solid content ratio and viscosity of the Al compound are defined. By this, it was found out newly that the outstanding applicability | paintability and the adhesiveness after application | coating were acquired, and came to complete this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및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the annealing method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re demonstrated in detail.

우선, 소둔 분리제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정은 일반적으로, 강판에 도포하는 시점에서의 규정이다. First, the reason for limit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is demonstrated. Limitation is generally a regulation at the time of apply | coating to a steel plate.

소둔 분리제의 주성분으로 용액의 상태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Al 화합물과,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 즉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뱃치 소둔시에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Mg0 를 제외한 공지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이 Al 화합물과 함께 용액 상태 또는 콜로이드 용액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소둔 분리제가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이어도 된다.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Al compounds, which are in the state of solution or colloidal solution, and known compounds other than Mg0, which are stable at high temperatures, that is, excellent in high temperature stability and do not react or hardly react during batch annealing. Species or two or more compounds are used. Moreover, the said stable compound at high temperature may be in a solution state or a colloidal solution state with Al compound. That is, the annealing separator may be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여기에서, 용액의 상태에 있다는 것은, 물이나 유기 용제를 매체로, 상기 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콜로이드 용액 상태에 있다는 것은, 100nm 정도 이하의 상기 화합물의 입자가, 상기 매체와 친화성을 갖는, 관능기 등의 구조 부분을 개재하여, 상기 매체 중에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매체가 되는 액체는 총칭하여 용매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콜로이드 용액은 외견상 현탁이 없고 투명하기 때문에 용액과 비슷하지만, 콜로이드 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광 산란의 측정에 의해 확인된다. Here, in the state of a solution means the state which the said compound melt | dissolves in water and the organic solvent as a medium. In addition, to be in a colloidal solution state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particle | grains of the said compound of about 100 nm or less are stably disperse | distributed in the said medium through structural parts, such as a functional group, which have affinity with the said medium. In any case, the liquid serving as the medium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olvent. The colloidal solution is similar to the solution because it is apparently free of suspension and transparent, but in the presence of colloidal particles, it is confirmed by measurement of light scattering.

또한, 주성분이란, 후술하는 부제 (auxiliary agent) 또는 첨가제 이외의 조성 성분을 가리킨다. 따라서, 주성분은,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 성분 (즉 용질 또는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물질) 전체에 대하여, 약 65 mass%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mass% 이상을 차지한다. In addition, a main component refers to composition components other than the auxiliary agent or additive mentioned later. Thus, the main component accounts for at least about 65 mass%, preferably at least 75 mass%, based on the entire annealing separator component (ie, the material forming the solute or colloid) after drying.

용매가 되는 액체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물이어도, 유기 용제여도 사용 가능하다. 유기 용제로는,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을 용매로 한 것이, 비용이나 상기 화합물 선택의 다양성의 관점 등에서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 특성의 조정 등의 목적에서, 물에 약 50 mass% 이하의 유기 용제를 혼합해도 된다. 물을 주용매로 한 상기의 경우, 수계 소둔 분리제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liquid used as a solvent, Even if it is water, even if it is an organic solvent, it can be used. As an organic solvent, although methanol, isopropanol, ethylene glycol, etc. are generally used, it is not limited to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water as a solvent from the viewpoint of cost and the variety of the compound selection. In this case, about 50 mass% or less of organic solvent may be mixed with water for the purpose of adjustment of a liquid characteristic. In the above case where water is used as the main solvent, it is referred to as an aqueous annealing separator.

Al 화합물 및, 상기의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은, 종래의 소둔 분리제에 사용되는 MgO 와 같이 지철과 반응하는 것은 거의 없기 때문에, 포스테라이트질 피 막과 같은 펀칭 가공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는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펀칭 가공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공급하는 경우 매우 유효하다. Since the Al compound and the compound stable at the high temperature rarely react with the base iron like MgO used in the conventional annealing separator, the Al compound and the compound which form a film which significantly degrades punching workability such as a forsterite coating are formed. I never do that. For this reason, it is very effective when supply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xcellent in punching workability.

소둔 분리제의 주성분으로 2 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한 것은,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에 의한 큰 소둔 분리 효과와, 용액상 또는 콜로이드상의 Al 화합물에 의한 양호한 조막 효과의, 양방을 얻기 위해서이다. 이 두 가지를 복합함으로써 비로소, 도포성 및 도포 후의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강판용의 소둔 분리제로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특히 방향성 전자 강판용의 소둔 분리제에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킨다. Two or more types of compounds were used as main components of the annealing separator in order to obtain both of the larg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by the stable compound at high temperature and the favorable film forming effect by the Al compound in solution or colloidal form. By combining these two, it effectively functions as an annealing separator for steel sheet excellent in coating property and adhesion to the steel sheet after application, and particularly satisfies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an annealing separator for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l 화합물은, 조막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물 등의 용매 중에서 콜로이드를 형성하는 화합물에 한정된다. 즉, Al 화합물은 콜로이드 상태가 아니면 조막 작용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루미나를 슬러리나 현탁액으로서 도포한 경우에는 조막하지 않는다. Al 화합물 콜로이드의 입경은 약 50n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입경 한계는 없고, 분석 한계 부근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가져온다. Al compound is limited to the compound which forms colloid in solvents, such as water, in order to ensure a film forming function. That is, since the Al compound does not show a film forming action unless it is in a colloidal state, adhesion is not obtained. For example, when alumina is applied as a slurry or a suspension, no film is formed.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Al compound colloid is preferably about 50 nm or less. There is no desirable particle size limit for the lower limit, and the effect is sufficient even near the analysis limit.

수계 소둔 분리제의 경우, Al 화합물은 수산기 및 유기산기를 갖는 알루미늄화합물 및/또는 그 탈수 반응물 (일부 탈수 반응물이여도 됨. 이하 동일)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l, 수산기 및 유기산기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화합물 및/또는 그 탈수 반응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염기성 아세트산 알루미늄, 염기성 포름산 알루미늄,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염기성 질산 알루미늄, 염기성 옥살산 알루미늄, 염기성 술파민산 알루미늄, 염기성 락트산 알루미늄, 염기성 시트르산 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들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water-based annealing separator, the Al compound is preferably an aluminum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organic acid group and / or a dehydration reactant thereof (some may be a dehydration reactant.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More preferably, it is an aluminum compound and / or its dehydration reactant which consists of Al, a hydroxyl group, and an organic acid group. Specifically, for example, one selected from basic aluminum acetate, basic aluminum formate, basic aluminum chloride, basic aluminum nitrate, basic oxalate, basic aluminum sulfamate, basic aluminum lactate, and basic aluminum citrate, or selected from these 2 or more types of mixtures are mentioned.

이 중에서도 염기성 아세트산 알루미늄은 Alx(OH)y(CH3COO)z, (x, y, z 는 1 이상) 의 분자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특히 Al2(OH)5(CH3COO) 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분자 레벨에서의 용해 상태로부터 수 nm 정도의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도포액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 분석하면 약 200∼230℃ 에서 큰 탈수 반응의 피크가 있고, 가열에 의해 탈수 축합 (dehydration condensation) 에 의한 분자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막을 형성한다. 상기 염기성 아세트산 알루미늄 등은 일부 또는 전부가 탈수 반응을 발생시켜도 된다. Among these, basic aluminum acetate is represented by the molecular formula of Al x (OH) y (CH 3 COO) z , (x, y, z is one or more), and Al 2 (OH) 5 (CH 3 COO) is particularly preferable. Do. It can exist in the colloidal state about several nm from the melt | dissolution state in a molecular level, and can use it suitably as a coating liquid raw material. In the thermal analysis, there is a peak of a large dehydration reaction at about 200 to 230 ° C., and a film is formed by forming an intermolecular network by dehydration condensation by heating. Some or all of the basic aluminum acetate may generate a dehydration reaction.

유기 용제를 용매로 하는 경우에도, 바람직한 Al 화합물로서, 수계 소둔 분리제의 경우와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Also when using an organic solvent as a solvent, the thing similar to the case of an aqueous annealing separator can be applied as a preferable Al compound.

고온에서 안정적인, MgO 를 제외한 화합물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Ba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화합물로는, SiO2, SrO, TiO2, BaO, CaO 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As the compound excluding MgO, which is stable at a high temperature, a known one can be used, and the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thereof include Si compounds, Sr compounds, Ca compounds, Zr compounds, Ti compounds, and Ba compounds. 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include oxides of SiO 2 , SrO, TiO 2 , BaO, and CaO.

또한, 상기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계 소둔 분리제의 경우에는, 수산기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형태로 화학 변화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의 경우, 다른 방법으로서, 용매 중에서 공지된 친수성 물질에 표면이 덮인 상태를 만들어 내어도 된다. 유기 용제를 용매로 하는 경우에도 친유성 기 (lipophilic group) 등을 사용하여 동일한 사상으로 설계하면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ain the said stable compound at high temperature as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it is preferable to use what changed chemically in the form of hydrophilic groups, such as a hydroxyl group, in the case of an aqueous annealing separator, for example. However, in the case of a compound which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as another method,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is covered with a known hydrophilic substance in a solvent may be produc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sign in the same idea using a lipophilic group, etc. also when using an organic solvent as a solvent.

또한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인 때의 고온은, 소둔 온도를 가리키는데, 방향성 전자 강판용으로는 1200℃ 에서 안정적이면 충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0℃ 에서 안정적이면 된다. 이들 온도에서, 당해 화합물이, 그 자체, 강판, 또는 강판 표면의 산화물 등 (SiO2, FeO, Fe3O4, Fe2SiO4 등) 과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 된다. Moreover, although the high temperature at the time of being a compound stable at high temperature points out an annealing temperature, it is sufficient if it is stable at 1200 degreeC for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More preferably, it is stable at 1300 degreeC. At these temperatures, the compound does not have to substantially react with itself, the steel sheet, or an oxide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SiO 2 , FeO, Fe 3 O 4 , Fe 2 SiO 4, etc.).

상기 화합물은 어느 것이나 Al 화합물과의 공존에 의해,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얻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Si 화합물이, 도포성이나 소둔 분리 성능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Si 화합물로는 콜로이드상 실리카, 즉 이른바 콜로이달 실리카가, 알루미나졸과의 안정성이 높은 데다가 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콜로이달 실리카는 SiO2 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콜로이드이고, 아몰퍼스 (amorphous) 상인 것이 많다. Although all the said compounds coexist with an Al compound, the effect which improves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annealing separator is acquired, Especially, a Si compound is especially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an applicability | paintability, annealing separation performance, etc .. As the Si compound, colloidal silica, that is, so-called colloidal silica, is particularly preferred because of its high stability with alumina sol and relatively low cost. Colloidal silica is an inorganic colloid mainly composed of SiO 2 and is often in an amorphous phase.

또한, 알루미나 입자 등의, 용액·콜로이드 용액이 아닌 Al 화합물 (비콜로이드계 Al 화합물이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고온에서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용액·콜로이드 용액상 Al 화합물의 도포성 개선의 효과는 작다. 따라서, 주성분의 일부로서의 비콜로이드계 Al 화합물의 첨가 자체는 금지되지 않지만, 비콜로이드계 Al 화합물 이외의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콜로이드계 Al 화합물은, 후술하는 고형분 비율의 계산에서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although Al compounds (not called colloidal Al compounds) which are not solution colloidal solutions, such as alumina particles, are stable at high temperatur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solution colloidal solution Al compound is small. Therefore, the addition of the non-colloidal Al compound as a part of the main component itself is not prohibited, bu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compound that is stable at high temperatures other than the non-colloidal Al compound. In addition, a non-colloidal Al compound shall not be considered in calculation of solid content ratio mentioned later.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은, 하기 식 (1)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Al 화합물의 고형분)/{(Al 화합물의 고형분)+(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의 고형분(합))} ······ 식 (1)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compound stable at high temperature (sum))} ······

단, Al 화합물의 고형분은 Al2O3 로 환산하고, 상기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은 베이킹 후의 주요 화합물로 환산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실리카졸이면, 실리카 즉 SiO2 가 주요 화합물이 되고, 티타니아졸 (titania sol) 이면 티타니아 즉 TiO2 가 주요 화합물이 된다. 또한, 베이킹 공정을 특별히 갖지 않는 경우라도, 베이킹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 생성되는 주요 화합물로 환산한다. However, the solid content of the Al compound is a stable compound at the high temperatures and in terms of Al 2 O 3 are to be converted into the primary compound after bak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silica sol, silica, SiO 2, is the main compound, and in the case of titania sol, titania, TiO 2, is the main compound. Moreover, even if it does not have a baking process in particular, it converts into the main compound produced | generated when baking process is carried out.

고형분이 실질적으로 이들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식 (1) 은, 식(3) 으로 치환된다. When solid content consists only of these compounds substantially, Formula (1) is substituted by Formula (3).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Al 화합물의 고형분)/(전체 고형분)··· 식 (3)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total solid content) ... Formula (3)

여기에서, 고형분은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 성분에 함유되는 분량을 가리킨다. Here, solid content points out the quantity contained in the annealing separator component after drying.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이 40 mass% 이하이면, 조막 성분인 Al 화합물이 불충분해지고,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고형분 비율이 95 mass% 를 초과하면, 반응성이 높은 Al 화합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 도포액이 안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없고, 제품 외관이 불량이 된다.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mas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mas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mass% 이상이다. When the solid content ratio of the Al compound is 40 mass% or less, the Al compound as a film forming component is insufficient, and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is insufficient. Moreover, when solid content ratio exceeds 95 mass%, the quantity of highly reactive Al compound will become large too much and a coating liquid will not be stabilized. For this reason, a uniform film cannot be formed and a product appearance will be bad. 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5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6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70 mass% or more.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로서,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Al 화합물의 고형분률은 하기 식 (2) 로 치환된다. In the case of us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Si compound, Sr compound, Ca compound, Zr compound, Ti compound and Ba compound as a stable compound at high temperature, the solid content fraction of the Al compound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s replaced by.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Al 화합물의 고형분)/{(Al화합물의 고형분)+(상기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의 고형분(합))} ······ 식 (2)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sum) of said at least 1 sort (s))} Formula (2)

단, 각 화합물의 고형분은 하기의 각 화합물의 중량으로 환산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id content of each compound uses the value converted into the weight of each following compound.

Al 화합물···Al2O3, Si 화합물···SiO2, Al compound ... Al 2 O 3 , Si compound ... SiO 2 ,

Sr 화합물···SrO, Ca 화합물···CaO, Sr compound ... SrO, Ca compound ... CaO,

Zr 화합물···ZrO2, Ti 화합물···TiO2, Zr compound ... ZrO 2 , Ti compound ... TiO 2 ,

Ba 화합물···BaO. Ba compound ... BaO.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로서 Si 화합물을 채용한 경우, 즉 고형분이 Al 화합물과 Si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Al 화합물과 Si 화합물과의 비율이 Al2O3/(Al2O3+SiO2) 로 환산한 값으로 40∼95 mass%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a Si compound is employed as a stable compound at a high temperature, that is, when the solid content mainly contains the Al compound and the Si compound, the ratio of the Al compound and the Si compound is Al 2 O 3 / (Al 2 O 3 + SiO 2 )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40-95 mass% in the value converted into.

소둔 분리제의 점도는 25(mPa·s) 이하로 규정한다. 점도가 25(mPa·s) 를 초과하면 도포성이 현저하게 열화되고, 강판에 소둔 분리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데 방해가 된다. 또한, 그 결과로 도포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고, 마무리 소둔시에 강판 상호의 밀착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점도는 액온 25℃ 에서의 소둔 분리제의 점도를 오스트발드 점도계 (oswald viscometer) 에 의해서 측정한 값이다. The viscosity of annealing separator is prescribed | regulated to 25 (mPa * s) or less. When the viscosity exceeds 25 (mPa · s), applicability is significantly degraded, which hinders uniform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to the steel sheet. Moreover, as a result, the part which is not apply | coated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it becomes a cause which the adhesiveness of steel plate mutually arises at the time of finish annealing. In addition, the viscosity in this invention is the value which measured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at liquid temperature of 25 degreeC with the oswald viscometer.

또한, 콜로이드 용액이 아닌 콜로이드의 슬러리를 사용한 경우에도 도포의 균일성을 얻을 수 없다. 이것은, 점도가 적합하지 않은 것과, 슬러리 내의 콜로이드의 응집에 의해 점도 변동이 큰 것이 한가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In addition, even when a colloidal slurry other than the colloidal solution is used, uniformity of coating cannot be obtained. This is considered to be one reason that viscosity is not suitable and a viscosity fluctuation is large by aggregation of the colloid in a slurry.

더욱 상기 서술한 소둔 분리제 중에 부제로서 S (단체 (單體)) 또는 S 를 함유하는 화합물 (이하 양자를 S 함유 화합물이라고 총칭한다) 을 첨가시키면 보다, 방향성 전자 강판에 안정적으로 양호한 자기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뱃치 소둔시에 S 함유 화합물이 분해되어 S 가 강 중에 침입하고, 입계에 편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편석한 S 에 의해 입자 성장이 억제되고, 그 결과 2 차 재결정이 안정화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urthermore, when S (single) or a compound containing S (hereinafter, both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containing compound) is added to the annealing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more stable magnetic properties can be obtained in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t becomes possible to give. Although the reason is not clear, it can be considered that S-containing compound decomposes during batch annealing, S invades into steel and segregates at grain boundaries. That is, it is thought that grain growth is suppressed by segregated S, and as a result,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s stabilized.

또한, 편석하는 S 량이 과다해지면, 반대로 2 차 재결정 불량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태의 회피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S 함유 화합물의 첨가량은 베이킹 후의 소둔 분리제 성분에 대한 고형분 비율로 약 25 mas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킹 공정을 특별히 형성하지 않은 경우라도, 베이킹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 생성되는 S 함유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로 평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segregation becomes excessiv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condary recrystallization failure will occur. In the case where importance is placed on avoiding such a situ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S-containing compound is about 25 mass% or less in terms of solid content relative to the annealing separator component after baking. In addition, even when a baking process is not specifically formed, it evaluates by the solid content ratio of the S containing compound produced | generated when baking process is performed.

S 함유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황산염 (아황산염 등도 포함한다), 금속 황화물 등의 무기 S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황산 스트론튬, 황산 마그네슘 및 황화 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 containing compound, Inorganic S compounds, such as a sulfate (including sulfite and the like) and a metal sulfide, are preferable. Specifically, stront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and magnesium sulfide are mentioned.

소둔 분리제의 도포 방법은 일반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롤 코터 (roll coater), 플로우 코터 (flow coater), 스프레이 (spray), 나이프 코터 (knife coater)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As an application method of the annealing separator, various methods such as a roll coater, a flow coater, a spray, a knife coater,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used in industry, may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도포 후, 가열하여 베이킹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킹 방법에 대해서도, 통상 실시되는, 열풍식, 적외식, 유도 가열식 등의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베이킹 처리의 조건은 여러 가지 사정을 맞춰 설정하면 되지만, 통상은, 바람직한 온도가 약 150∼400℃, 바람직한 시간이 약 1∼300 초이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heat and bake after apply | coating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Also about the baking method, methods, such as hot air type, infrared type, induction heating type, which are normally performed, are applicable. Although the conditions of baking process may be set accor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normally, preferable temperature is about 150-400 degreeC and preferable time is about 1 to 300 second.

또한,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이나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라는 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면 활성제나 방청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첨가제의 함유량은, 소둔 분리제로서 충분한 소둔 분리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 성분에 대하여 10 mass%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you may mix | blend additives, such as surfactant and a rust inhibito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annealing separator, and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a steel plate. In order to maintain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sufficient as annealing separator,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preferably about 10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nnealing separator component after drying.

또한, 계면 활성제는, 시판되는 비이온계, 음이온계, 양이온계의 어떠한 것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ny of commercially available nonionic, anionic and cationic systems can be applied to the surfactant.

방청제도, 계면 활성제와 동일하게,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A rust preventive agent and a kind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similarly to surfactant, A commercial thing is applicable.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방향성 전자 강판에 대한 적용에 특히 바람직하지만, 다른 강판에 대한 적용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is especially preferable for the application to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plate, it does not prohibit application to another steel plate.

또한,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특히 강대를 코일 형상으로 감은 채 로 내에서 가열할 때에 유효하지만, 그 외에, 강판을 겹쳐 쌓아 열 처리하는 경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steel strip is heated in a coil shape while being heated in a coil shape. In addition, the annealing separator may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steel sheets are stacked and heat-treat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의 바람직한 조건을 이하에 설명한다. Next, preferable conditions in manufactur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ccording to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below.

제품판 및 출발 소재 (용강 또는 강 슬래브) 의 성분 조성에 대해서는, 방향성 전자 강판에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어떠한 성분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 대표적인 성분계에서의 바람직한 용강 성분에 대해, 각 성분의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 As for the component composition of the product plate and starting material (molten steel or steel slab), any component known to be preferable for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can be applied. The reason for limitation of each component is demonstrated about the preferable molten steel component in a typical component system below.

C : 0.08 mass% 이하 C: 0.08 mass% or less

C 는, 그 함유량이 0.08 mass% 을 초과하면, 자기 시효가 일어나지 않는 50 mass ppm 이하까지 C 를 저감시키는 것이, 제조 공정 중에서는 달성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0.08 mas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한은 불필요하지만, 공업적으로는 5 mass ppm 정도가 저감의 한계이다. When the content exceeds 0.08 mass%,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C to 50 mass ppm or less at which no magnetic aging occurs,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it is preferably set to 0.08 mass% or less. In particular, the lower limit is unnecessary, but industrially, about 5 mass ppm is the limit of reduction.

Si : 2.0∼8.0 mass% Si: 2.0-8.0 mass%

Si 는, 강의 전기 저항을 높이고, 철손을 개선하는 데 유효한 원소로서,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2.0 mass%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8.0 mass% 를 초과하면 가공성이나 자속 밀도가 저하되므로, 상한은 8.0 mass%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Si 의 함유량은, 2.0∼8.0 mass% 이다. Si is an element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steel and improving iron loss, and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it is preferable to contain Si by 2.0 mass%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8.0 mass%, since workability and magnetic flux density fall, it is preferable to set an upper limit to 8.0 mass%. Therefore, preferable Si content is 2.0-8.0 mass%.

Mn : 0.005∼1.0 mass% Mn: 0.005-1.0 mass%

Mn 은 열간 가공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유효한 원소로서, 0.005 mass% 이상의 첨가가 바람직하다. 한편, 과잉된 Mn 은 제품판의 자속 밀도를 저하시킨다. 이 관점에서 바람직한 Mn 의 함유량은, 1.0 mass% 이하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Mn 의 함유량은, 0.005∼1.0 mass% 이다. Mn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hot workability, and an addition of 0.005 mass% or more is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excessive Mn reduces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product plate. In this viewpoint,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1.0 mass% or less. Therefore, preferable Mn content is 0.005-1.0 mass%.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에서는, 2차 재결정에서 고스 방위를 발달시키기 위해 인히비터를 형성하는 원소 (인히비터 형성 성분) 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강 중의 불순물 원소를 저감시킴으로써, 인히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스 방위를 발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 최근 알려지고 있다. In manufacture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t is common to add the element (inhibitor formation component) which forms an inhibitor in order to develop a goth orientation in secondary recrystallization. However, it is recently known that by reducing the impurity element in steel,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a goth orientation without using an inhibitor.

인히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스 방위 결정립을 2차 재결정에 의해 얻기 위해서는, Al 을 150 mass ppm 이하, N, S, Se 에 대해서는 50 mass ppm 이하로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은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이 자기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Al 은 100 mass pp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해 비용이 증가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잔존시키는 것은 조금도 문제되지 않는다. 현재 상태에서는, 저감 비용에서 한정되는 함유량의 하한은 어떠한 원소도 약 10 mass ppm 정도이다. In order to obtain goth orientation grains by secondary recrystallization without using an inhibitor, it is preferable to reduce Al to 150 mass ppm or less, and for N, S and Se to 50 mass ppm or less.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s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magnetic properties, and for example, Al is more preferably 100 mass ppm or less. However, in order to reduce such a component, cost may increase, and it is not a problem to remain in the said range at all. In the present state, the lower limit of the content defined in the reduction cost is about 10 mass ppm of any element.

또한, 인히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적용하는 인히비터에 따라 이들 원소를 첨가한다. 예를 들어, 인히비터로서 AlN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Al:0.015∼0.04mass% 및 N:0.005∼0.015 mass% 를, BN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B:0.001∼0.006mass% 및 N:0.005∼0.015 mass% 를, MnSe 및/또는 Mn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e, S의 적어도 어느 한 종류를 0.005∼0.06mass%, 각각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addition, when using an inhibitor, on the contrary, these elements are added according to the inhibitor to apply. For example, when AlN is used as an inhibitor, Al: 0.015 to 0.04 mass% and N: 0.005 to 0.015 mass%, and when BN is used, B: 0.001 to 0.006 mass% and N: 0.005 to 0.015 mass When using MnSe and / or MnS, it is common to add at least any one of Se and S 0.005-0.06 mass%, respectively.

또한, 방향성 전자 강판에 Sb 및/또는 Sn 을 합계로 0.005∼0.1mass% 정도 첨가하는 것은, 자기 특성을 더욱 개선하므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dding about 0.005 to 0.1 mass% of Sb and / or Sn in total to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s preferable because the magnetic properties are further improved.

그 밖에, Ge, Mo, Te, Bi 는 각각 0.1mass% 이하, P, Cu, Cr 는 각각 0.2 mass% 이하, Ni 는 0.5 mass% 이하 함유되어 있어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또한, 잔부는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ven if Ge, Mo, Te, and Bi contain 0.1 mass% or less, P, Cu, Cr, respectively 0.2 mass% or less, and Ni contain 0.5 mass% or less, there is no problem in particular. In addition, the balance is preferably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상기 성분을 갖는 용강으로는, 통상의 조괴법 (ingot casting method) 또는 연속 주조법에 의해 통상 치수의 슬래브를 제조해도 되고, 100 mm 이하 두께의 박주편 (thin cast slab)(이른바 박 슬래브) 을 직접 주조법으로 제조해도 된다. 슬래브는 통상 방법에서 재가열하여 열간 압연하지만, 주조 후 가열하지 않고 즉시 열간 압연해도 된다. 박주편의 경우에는 열간 압연해도 되고, 열간 압연을 생략한 채 이후의 공정으로 진행해도 된다. As the molten steel having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slabs having normal dimensions may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ingot casting method or a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 thin cast slab (so-called thin slab)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or less may be directly produced. You may manufacture by a casting method. The slab is usually reheated by hot rolling and hot rolled, but may be hot rolled immediately without heating after casting. In the case of a thin cast steel, you may hot-roll or you may progress to a subsequent process, without skipping hot rolling.

열간 압연된 강판은, 이어서 필요에 따라 소둔 (열연판 소둔) 을 실시한다. 특히, 열간 압연에서 밴드 조직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정립의 일차 재결정 조직을 실현하고, 따라서 2차 재결정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 열연판 소둔의 실시가 바람직하다. The hot rolled steel sheet is then subjected to annealing (hot rolled sheet annealing) as necessary.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a band structure is formed in hot rolling, in order to realize the primary recrystallization structure of the grains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hot rolled sheet annealing is preferable.

상기 밴드 조직의 해소를 위해서는, 열연판 소둔 온도는 8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연판 소둔에 의해 입경이 지나치게 조대화하는 것은, 정립의 일차 재결정 조직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열연판 소둔 온도는 1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품판에서 고스 조직을 고도로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열연판 소둔 온도는 800℃ 이상 1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연판 소둔의 바람직한 소둔 시간은, 1∼300 초이다. In order to eliminate the band structure, the hot rolled sheet annea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800 ° C or higher. On the other hand, excessive coarsening of the grain size by hot-rolled sheet annealing is not preferable in achieving the primary recrystallization structure of the grains. Therefore, the hot-rolled sheet annea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100 ° C or lower.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goth structure highly in a product board | plate, it is preferable to make hot-rolled sheet annealing temperature 800 degreeC or more and 1100 degrees C or less. Moreover, the preferable annealing time of hot rolled sheet annealing is 1 to 300 second.

다음으로, 1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냉간 압연 강판으로 한 후, 재결정 소둔을 행한다. 또한, 냉간 압연을 2 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 냉간 압연 사이에 중간 소둔을 포함한다. 중간 소둔은, 900∼1200℃ 에서 1∼300 초 정도의 시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fter cold rolling is performed once or more to form a cold rolled steel sheet,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performed. In addition, when cold rolling is performed twice or more, intermediate annealing is included between each cold roll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n intermediate annealing at 900-1200 degreeC in the time of about 1 to 300 second.

또한, 더욱 고스 조직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냉간 압연의 온도를 100℃∼250℃ 로 상승시켜 행해도 된다. 이것은 온간 압연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원에서는 냉간 압연의 1 종으로 취급한다. 동일한 목적에서, 냉간 압연 도중에 100∼250℃ 의 범위에서의 시효 처리를 1 회 또는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 Moreover,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 goth structure, you may carry out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cold rolling to 100 degreeC-250 degreeC. Although this may be called warm rolling, this application treats it as 1 type of cold rolling. For the same purpose, the aging treatment in the range of 100 to 250 ° C may be performed once or multiple times during cold rolling.

재결정 소둔은, 주로 일차 재결정 조직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연속 소둔으로 실시된다. 재결정 소둔은, 탈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분위기를 습윤 분위기로 하지만, 탈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조 분위기에서 행해도 된다. 바람직한 재결정 소둔 조건은, 750∼1100℃ 에서, 1∼300 초 정도이다.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mainly carried out by continuous annealing, mainly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primary recrystallized structur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may make the atmosphere wet when decarburization is required, but may be performed in a dry atmosphere when decarburization is not required. Preferabl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conditions are about 1 to 300 second at 750-1100 degreeC.

또한, 2 차 재결정 소둔 (마무리 소둔, 또는 마무리 소둔을 2 개의 뱃치 소둔으로 나눈 경우의 1 회째 뱃치 소둔) 에서의 강판 중의 C 량을 100∼250 mass ppm 으로 조정하는 것은, 특히 인히비터를 함유하지 않은 방향성 전자 강판에서, 자속 밀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C 량의 조정은, 재결정 소둔에 의해 행해도 되고, 그 후에 별도로 행해도 된다. In addition, adjusting the amount of C in the steel sheet in th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first batch annealing when finishing annealing or finishing annealing is divided into two batch annealing) to 100 to 250 mass ppm does not particularly contain an inhibitor. In the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since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improved, it is preferable. The amount of C may be adjusted by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r after that.

침규법 (siliconizing method) 에 의해 Si 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예를 들어 재결정 소둔 후의 강판에 적용해도 된다. You may apply the technique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Si by the siliconizing method, for example to the steel plate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의 도포는 재결정 소둔의 전 또는 후에 실시한다.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종래의 소둔 분리제는,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재결정 소둔 전에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는 것은 재결정 소둔 중의 박리에 의한 라인 오염의 관점에서 불가능하였다. 이것은, 피막의 형성에 장시간의 가열을 필요로 하는,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의 경우에서도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고, 박리에 의한 라인 오염의 우려가 없으므로 재결정 소둔 전과 후의 어느 쪽에서도 도포가 가능하다. Since the conventional annealing separator has poor adhesiveness to a steel plate, it was impossible to apply the annealing separator befor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from the viewpoint of line contamination by peeling during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is is the same also in the case of the annealing separator which has Mg0 as a main component which requires long time heating for formation of a film. However,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good adhesion to the steel sheet, and there is no fear of line contamination due to peeling, and therefore, the annealing separator can be applied both before and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본 공정에서,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은, 강판의 밀착 방지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 0.00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착량을 5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은 0.005∼5g/㎡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g/㎡,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g/㎡ 이다. In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into 0.005 g / m <2> or more in order to exhibit the adhesion prevention effect of a steel plat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the adhesiveness of annealing separator, it is preferable to make adhesion amount into 5 g / m <2> or les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pplication amount of annealing separator into 0.005-5 g / m <2>. The minimum with more preferable is 0.05 g / m <2>, and a more preferable upper limit is 2 g / m <2>.

또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에서의 바람직한 도포량은 상기한 바와 같지만, 각각의 열처리 조건이나 요구 품질에 따라, 상기 바람직한 범위 외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able coating amount in manufacture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s as above-mentioned, it can also be used out of the said preferable range according to each heat processing condition and required quality.

소둔 분리제는, 강판의 편면에만 도포해도 되고 양면에 도포해도 되지만, 양면에 도포하는 것이, 효과를 확실히 얻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강판의 표리에서 소둔 분리제의 조성 등을 변경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정 상에서는 양면에 동일한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annealing separator may be apply | coated only to the single side | surface of a steel plate, and you may apply | coat to both sides, it is preferable in order to acquire an effect reliably. Although it is not prohibited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nd the like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teel sheet,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same annealing separator to both surfaces on the process.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자기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재결정 소둔 및 본 발명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 마무리 소둔을 뱃치 소둔에 의해 실시한다. 마무리 소둔의 목적은 2 차 재결정의 진행 및 불순물의 저감 (순화) 이다. 소둔 조건으로서는 이 목적을 달성하는 공지된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마무리 소둔 온도는, 약 750∼1300℃ 이지만, 전반부를 약 750∼1000℃, 후반부를 약 900∼1300℃ 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전반부에서는 주로 2 차 재결정이, 후반부에서는 주로 순화가 촉진된다. 바람직한 마무리 소둔 시간은 상기 온도역에서의 유지 시간으로 1∼300 시간 정도이다. When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and workability without a forsterite coating, after annealing of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annealing separator, finish annealing is performed by batch annealing. The purpose of finishing annealing is to advanc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nd to reduce (purify) impurities. As annealing conditions, well-known conditions which achieve this objective can be applied. Although the preferable finishing annealing temperature is about 750-1300 degreeC, you may make about the first half about 750-1000 degreeC, and the latter part about 900-1300 degreeC. Her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s mainly promoted in the first half and purifying is mainly promoted in the second half. Preferable finishing annealing time is about 1 to 300 hours as a holding time in the said temperature range.

또한,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적용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두꺼운 피막이 형성되기 위해, 순화에 필요한 시간은 분리제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장시간화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Al 화합물이 조막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순화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Moreover, in the prior art which applies the annealing separator which has Mg0 as a main component, in order to form a thick film, the time required for purification is prolong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o separator is applied. However, an effect was observed that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interfere with the purification even though the Al compound was formed.

자기 특성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C 를 약 100∼250 mass ppm 함유시킨 채로 마무리 소둔을 행한 경우에는, 2 차 재결정 완료 후에, 자기 시효 (magnetic aging) 가 일어나지 않는 50 ppm 이하까지 C 를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의 저감 방법으로서는, 마무리 소둔 중에 탈탄시키는 방법과 마무리 소둔 후에 탈탄 공정을 부가하는 방법이 있다. 마무리 소둔 중에 탈탄시키기 위해서는, 마무리 소둔 중, 특히 후반에 수소를 함유한 분위기에서 1000℃ 이상의 고온 소둔을 실시하면 된다. In the case where finish annealing is carried out with about 100 to 250 mass ppm of C contain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agnetic properties, after completion of th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C to 50 ppm or less at which no magnetic aging occurs. Do. As a reduction method of C, there are a method of decarburizing during finish annealing and a method of adding a decarburization step after finish annealing. In order to decarburize during finish annealing, hot annealing of 1000 ° C. or higher may be performed during finish annealing, particularly in an atmosphere containing hydrogen in the latter half.

한편, 마무리 소둔 후에 부가하는 탈탄 공정으로서는, (1)산화성 분위기에서의 소둔 (탈탄 소둔), (2)표층의 그라파이트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표면 연삭, (3)표층의 그라파이트를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전해 세정·화학 연마, 플라즈마 조사 등이 유효하다. 또한, 수단 (2) 또는 (3) 에 의한 탈탄이 가능해지는 이유는, C 가 마무리 소둔의 종료까지, 강판 표층에 그라파이트로서 석출되어, 강 중의 탈탄이 완료되어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as the decarburization step added after finishing annealing, (1) annealing in an oxidizing atmosphere (decarburization annealing), (2) surface grinding mechanically removing the graphite on the surface layer, and (3) electrolysis to chemically remove the graphite on the surface layer Cleaning, chemical polishing, plasma irradiation, etc. are effective. The reason why decarburization by means (2) or (3) becomes possible is that C is precipitated as graphite on the steel sheet surface layer until the end of finish annealing, and decarburization in steel is completed.

이와 같이 그라파이트가 강판 표층에 석출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기구를 생각할 수 있다. C 는, 강 중에서는 준안정적인 세멘타이트를 형성하지만, 표면 에너지가 높은 활성화한 상태에서는 그라파이트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냉각 중에 C 는 지철 (base iron) 중에 세멘타이트로서 석출하기 전에, 표층에 그라파이트로서 석출한다. 그런데, 순철에서의 상태도로부터 추측하면, 그라파이트의 용해도는 세멘타이트의 용해도보다도 근소하게 낮다. 따라서, 표층의 고용 C 가 그라파이트와 평형하는 농도까지 감소하므로, 표층의 고용 C 와 지철 중의 고용 C 의 농도 구배가 발생하여, 지철로부터의 탈탄이 진행하는 것으로 추찰하고 있다. Thus, the following mechanisms can be considered about the phenomenon which graphite precipitates in the steel plate surface layer. C forms metastable cementite in steel, but forms graphite in an activated state with high surface energy. For this reason, during cooling, C precipitates as graphite in the surface layer before depositing as cementite in base iron. By the way, inferring from the state diagram in pure iron, the solubility of graphite is slightly lower than the solubility of cementite. Therefore, since the solid solution C of surface layer decreases to the density | concentration equilibrium with graphite, it is inferred that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the solid solution C of surface layer and the solid solution C in the ground iron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decarburization from a ground iron advances.

다만, 마무리 소둔에서 표면에 치밀한 또는 강고한 피막층이 형성되면 (예를 들어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의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경우), 표면 활성화가 저해되는 결과, 그라파이트의 강판 표층 석출도 저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은 밀착성이 우수한데,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그라파이트의 강판 표층 석출에도 악영향을 주지 않고, 바람직하게 상기 탈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However, if a dense or firm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during finishing annealing (for example, when a conventional annealing separator mainly composed of Mg0 is applied), surface activation is inhibited, and the precipitation of the surface of the graphite steel sheet is also inhibited. However, although the film formed by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veness, although the reason is not clear,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recipitation of the steel plate surface layer of graphite, Preferably the decarburization method can be used.

마무리 소둔 후에는, 평탄화 소둔에 의해, 장력을 부가하여 형상을 교정하는 것이 철손 저감이므로 유효하다. 이 평탄화 소둔을 습윤 분위기에서 행하는 점에서, 동시에 탈탄을 행해도 된다 (상기 (1) 방법의 일종). After finishing annealing,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iron loss by applying tension to correct the shape by flattening annealing. Since this planarization annealing is performed in a humid atmosphere, you may decarburize simultaneously (one kind of said (1) method).

또한, 마무리 소둔 후에 침규법에 의해 Si 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추가로 적용해도 된다. 이 기술은 철손을 추가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Moreover, you may further apply the technique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Si by the immersion method after finish-annealing. This technique is useful if you want to further reduce iron loss.

강판을 적층하여 철심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탄화 소둔 후에 강판 표면에 절연 피막을 실시함으로써, 적층체의 철손을 개선하는 것이 유효하다. 특히 양호한 펀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절연 피막으로서, 수지를 함유하는 유기계 피막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접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무기계 피막을 절연 피막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laminating steel sheets and using them for iron cores or the like, it is effective to improve iron loss of the laminate by applying an insulating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fter planarization annealing. In order to ensure especially good punching property, as an insulating film, the organic type film containing resin is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emphasis is placed on weldability, it is preferable to apply an inorganic coating as an insulating coating.

또한, 특히 소둔 분리제를 제거만 하는 공정은 불필요하다. In addition, a step of only removing the annealing separator is particularly unnecessary.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특성 및 자기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재결정 소둔 및 본 발명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 2 차 재결정을 발현시키기 위해 1 회째의 뱃치 소둔을 행한다. 이 때의 소둔 조건은 2 차 재결정이 진행되는 공지된 소둔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조건은 약 750∼1100℃ 에서 약 1∼300시간이다. When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sterite coating properties and magnetic properties, after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atch annealing is performed to express secondary recrystallization. The annealing conditions at this time can apply the well-known annealing conditions to which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dvances. Preferred conditions are about 1 to 300 hours at about 750 to 1100 ° C.

그 후, 2 회째의 뱃치 소둔에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형성시키는데, 그 준비 단계로서, 우선 연속 소둔에 의한 서브스케일 (subscale) 을 형성한다. 자기 특성 개선의 목적으로 C 를 소정량 함유시킨 채로 1 회째의 뱃치 소둔을 행한 경우에는, 이 서브스케일을 형성하는 연속 소둔에서, 동시에 탈탄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 소둔의 소둔 조건 (시간·온도·분위기 등) 은, 후속의 뱃치 소둔에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형성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공지된 소둔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소둔 온도는 약 750∼1000℃, 바람직한 소둔 시간은 약 1∼300초, 바람직한 분위기는 수소 가스와 질소 가스로 이루어지는 산화성 분위기이다. Thereafter, a forsterite coating is formed in the second batch annealing, and as a preparation step, a subscale is first formed by continuous annealing. In the case where the first batch annealing is perform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 contain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agnetic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decarburization in continuous annealing forming this subscale. The annealing conditions (time, temperature, atmosphere, etc.) of the said continuous annealing can apply well-known annealing conditions so that formation of a forsterite film | membrane can be formed easily and stably in subsequent batch annealing. Preferable annealing temperature is about 750-1000 degreeC, a preferable annealing time is about 1-300 second, and a preferable atmosphere is an oxidative atmosphere which consists of hydrogen gas and nitrogen gas.

상기 연속 소둔 전에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를 제거하는 공정은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 상에서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부여하더라도,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밀착성은 양호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의 존재에 의한 순화의 방해도 발생하지 않는다. The step of removing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tinuous annealing is unnecessary. That is, even if a forsterite coating is provided on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dhesion of the forsterite coating is good, but also no obstruction of purification due to the presence of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rs.

다음으로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강판 표면에 도포하고, 2 회째의 뱃치 소둔을 행한다. 이 2 회째의 뱃치 소둔은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형성 및 불순물의 순화를 목적으로서 행하므로, 이 두가지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공지된 소둔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소둔 온도는 약 900∼1300 ℃, 바람직한 소둔 시간은 약 1∼300시간이다. 또한,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로서는 공지된 것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형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MgO:약 80∼99mass%, 필요에 따라 나머지를, TiO2, SrSO4, MgSO4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Next, the annealing separator which contains Mg0 as a main component is apply | coated to the steel plate surface, and 2nd batch annealing is performed. Since this second batch annealing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forsterite coating and purifying impurities, known annealing conditions in which these two objects can be achieved can be applied. Preferable annealing temperature is about 900-1300 degreeC, and a preferable annealing time is about 1 to 300 hours. Moreover, a well-known thing is applicable as annealing separator which has Mg0 as a main component. For example, as solid content, preferably MgO: the rest according to the about 80~99mass%, necessary, TiO 2, SrSO 4, it is preferably used as the at least one selected from MgSO 4 and the like.

2 회째의 뱃치 소둔 후에, 침규법에 의해 Si 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추가로 적용해도 된다. After the second batch annealing, a techniqu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Si by the immersion method may be further applied.

그리고 최후에 필요에 따라 장력 피막을 도포하여, 베이킹한다. 또한, 평탄화 소둔에 의해 형상을 갖추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장력 피막의 베이킹을 겸한 평탄화 소둔을 실시할 수도 있다. Finally, a tension coating is applied as necessary and baked.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shape by planarization annealing, and also planarization annealing which served as baking of a tension film can also be performed.

본 발명에서의 방향성 전자 강판은 2 차 재결정이 발현한 전자 강판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스 방위 뿐만 아니라, 큐브 (Cube) 방위 ({100} <001> 방위 또는 {100} <011> 방위) 가 2 차 재결정하는 경우도 본 특허의 청구범위로 한다. 큐브 방위로의 집적은 기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압연 집합 조직 (rolling texture) 을 제어하여 행할 수 있지만, 재결정 소둔 이후의 공정은, 고스 방위가 집적한 2 차 재결정을 발현시키는 경우와 큰 줄기에서 동일하다.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electrical steel sheet in which secondary recrystallization is expressed. Therefore, not only the goth orientation but also the case in which the cube orientation ({100} <001> orientation or {100} orientation) re-determines the secondary claims is also a claim of the present patent. The integration into the cube orientation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 known method, for example, by controlling the rolling texture, but the process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produces a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ccumulated by the goth orientation. The same is the case with large stems.

실시예 1Example 1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특성 및 자기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By the following method,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was excellent in the characteristic and magnetic property of a forsterite film was produced.

C : 0.020 mass%, Si : 3.35 mass%, Mn : 0.050 mass% 및 Sb : 380 mass ppm 을 함유하고, 또한 인히비터 형성 성분으로서 Al : 320 mass ppm 및 N : 80 mass ppm 을 함유하며, 잔부는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연속 주조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그 강 슬래브를 1200℃ 로 가열한 후, 열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2.0 mm 의 열연판에 마무리하여, 1050℃ 에서 60초의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0.30 mm 의 냉연판으로 마무리하고, 노점이 -45℃ 인 건조 분위기 속에서 900℃, 10초의 조건에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였다. It contains C: 0.020 mass%, Si: 3.35 mass%, Mn: 0.050 mass% and Sb: 380 mass ppm, and also contains Al: 320 mass ppm and N: 80 mass ppm as inhibitor forming components, A steel slab made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was produced by the continuous casting method. The steel slab was heated to 1200 ° C., and then hot rolled to finish a hot rolled plate having a plate thickness of 2.0 mm, followed by hot rolled sheet annealing at 1050 ° C. for 60 seconds. Next, it cold-rolled and finished with the cold rolled plate of 0.30 mm, and recrystallized annealing on 900 degreeC and the conditions of 10 second in a dry atmosphere with dew point -45 degreeC.

재결정 소둔 후, 1 회째의 뱃치 소둔을 실시하였다. 소둔 분리제는 표 5 에 따라, 재결정 소둔의 전 또는 후에 도포하였다. 소둔 분리제의 도포는, 롤 코터를 사용하여 행하고, 그 후, 강판의 도달 온도 (판온도) 를 250℃ 로 하는 베이킹 처리를 실시하여, 방냉하였다. 베이킹은 프로판 가스 직화 베이킹으로 행하였다. 1 회째의 뱃치 소둔은 질소 분위기 속에서 850℃, 40시간 유지하는 조건에서 실시하여, 2 차 재결정을 완료시켰다.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first batch annealing was performed. The annealing separator was applied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ccording to Table 5.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performed using a roll coater, and then subjected to a baking treatment in which the attained temperature (plate temperature) of the steel sheet was 250 ° C, followed by cooling. Baking was performed by propane gas direct baking. The first batch anneal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maintained at 850 ° C. for 40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to complet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그 후,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1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각각 조사하고, 이들의 특성이 양호했던 샘플에 대해서는, 후속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하였다. Then,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1st batch annealing were examined, respectively, and about the sample which was excellent in these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process is further performed, It was made into the product version.

후속 공정에서는, 우선, 양호한 서브스케일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소둔을 실 시하고, 그 후,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였다. 1 회째의 뱃치 소둔은 C 가 100∼150 mass ppm 잔류한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므로, 이 서브스케일 형성을 위해 행한 연속 소둔에서는 동시에 탈탄도 행하였다. 연속 소둔은, 노점 55℃ 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835℃, 120초로 행하였다. In a subsequent step, first, continuous annealing was performed to form a good subscale, and then an annealing separator mainly containing Mg0 was applied. Since the first batch annealing was carried out in a state where 100 to 150 mass ppm of C remained, decarburization was also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continuous annealing performed for this subscale formation. Continuous annealing was performed at 835 degreeC and 120 second in an oxidative atmosphere of dew point 55 degreeC.

2 회째의 뱃치 소둔용의 소둔 분리제는 고형분으로서 MgO : 95 mass%, Ti02: 5 mass% 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2 회째의 뱃치 소둔을 건수소 분위기 속에서 1200℃, 5시간 유지하는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The annealing separator for the second batch annealing was used as a solid containing MgO: 95 mass% and Ti0 2 : 5 mass%. Next, the second batch anneal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maintained at 1200 ° C. for 5 hours in a dry hydrogen atmosphere.

그리고 마지막에 장력 피막의 도포·베이킹 및 변형 제거 소둔을 행하였다. 장력 피막은 인산, 크롬산 및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고, 800℃ 의 온도에서 베이킹하였다. 변형 제거 소둔에 대해서는 질소 분위기 속에서 800℃, 3 시간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And finally, application | coating, baking, and distortion removal annealing of the tension film were performed. The tension coating was used containing phosphoric acid, chromic acid and colloidal silica, and bak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Strain removal anneal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800 ° C. and 3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표 5 에 소둔 분리제의 성분 및 도포 조건을 나타낸다. SiO2, Al2O3 의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는 No.26 을 제외하고 물 슬러리 (aqueous slurry) 에 의해 도포하고, No.26 은 알코올 중에 고형분 5 mass% 가 되도록 현탁시켜 스프레이로 도포하였다. 분말 이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은, 도포량에 의해 희석 비율은 상이하지만, 물로 희석하여 콜로이드 용액으로서 도포하였다. 부제로서 첨가한 황산 스트론튬, 황산 마그네슘 및 황화 마그네슘은 각각 3wt% 첨가하였다. 표 5 에 기재한 이외의 고형분은 첨가되어 있지 않지만, 적절하게, 계면 활성제 (비이온계) 등을 0.5 mass% 이하 첨가하였다. Table 5 shows the component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nd the application conditions. The annealing separator mainly composed of powders of SiO 2 and Al 2 O 3 is applied with an aqueous slurry except No. 26, and No. 26 is suspended by spraying to 5 mass% of solids in alcohol. Applied. The main ingredients of powders other than powder differ in the dilution ratio depending on the coating amount, but were diluted with water and applied as a colloidal solution. 3 wt% of stront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and magnesium sulfide added as a subsidiary were added. Solid content other than those shown in Table 5 was not added, but 0.5 mass% or less of surfactant (nonionic) or the like was appropriately added.

1 회째의 뱃치 소둔에 사용한 소둔 분리제에 대해, 표 6 에 소둔 분리제 도포 공정의 순서 (재결정 소둔의 전이나 후로 구분),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및 1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나타낸다. About the annealing separator used for the first batch annealing, the procedure of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process (divided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n Table 6, the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1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first batch annealing is shown.

No.14 및 19 는 소둔 분리제의 점도가 본 발명 범위 외이므로 도포성이 현저하게 나쁘고,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강판의 밀착이 발생하였다. No.12 및 15 는 Al 화합물과 Si 화합물의 비율이 본 발명의 적당한 범위 외에서, No.12 는 조막 성분인 Al 화합물이 적으므로, 소둔 분리제의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진다. 한편, No.15 는 반응성이 높은 Al 화합물의 양이 많으므로, 도포액이 안정적이지 못해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외관 불량이 되었다. Nos. 14 and 19 were markedly poor in applicability because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outside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hesion of the steel sheet occurred at the portions not coated. Nos. 12 and 15 have a small Al compound which is a film forming component in the ratio of the Al compound and the Si compound outside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to the steel sheet is inferior. On the other hand, No. 15 had a large amount of highly reactive Al compounds, so that the coating liquid was not stable and a uniform coating could not be formed. As a result, the appearance was poor.

No.1∼4 는, 소둔 분리제의 주성분이 본 발명 외이므로,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하였다. No.5 는, 소둔 분리제 도포량이 불충분하므로, 마무리 소둔시에 강판의 밀착이 발생하였다. No.17 은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많으므로,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하여 박리가 발생하였다. Nos. 1 to 4 had insufficient adhesion to the steel sheet because the main compone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n No. 5, sinc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insufficient, adhesion of the steel sheet occurred at the time of finish annealing. In No. 17, sinc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too large, the adhesion to the steel sheet was insufficient, and peeling occurred.

No.3, 4, 6, 7, 12 및 26 에서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 순서를 재결정 소둔의 전과 후의 두가지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소둔 분리제 도포 공정의 순서에 관계 없이, 양호한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및 1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인 No.3, 4 및 26 에서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 순서에 의해, 소둔 분리 효과에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재결정 소둔 전에 도포한 경우,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좋지 않은 이들 소둔 분리제는 재결정 소둔시에 박리하고, 그 결과 1 회째의 뱃치 소둔시에 강판에 부착되어 있는 소둔 분리제 양이 적어졌으므로, 강판의 밀착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재결정 소둔 후에 도포한 것은, 박리량이 적고 강판의 밀착의 방지에 필요한 양이 강판에 잔류하고 있었으므로 강판의 밀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In Nos. 3, 4, 6, 7, 12, and 26, the application sequence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performed two times before and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step,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ble to obtain good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first batch annealing. In Nos. 3, 4 and 26 which are comparative examples, the difference in annealing separation effect was seen by the application procedure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is is because when applied befor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se annealing separators having poor adhesion to the steel sheet are peeled off during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annealing separator attached to the steel sheet during the first batch annealing decreases. It is thought that adhesion of the steel sheet occurred.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thought to be that the adhesion of the steel sheet did not occur since the peeling amount was small and the amount necessary for preventing the adhesion of the steel sheet remained on the steel sheet.

표 7 에,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샘플에 후속 공정을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한 경우의, 자기 특성,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특성 및 2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Al, C, N, S, Se 함유량 (지철 중, 즉 강판 표면의 피막을 제거하여 분석한 결과) 을 나타낸다. 포스테라이트질피막 특성은, 변형 제거 소둔 후의 샘플을 원주에 휘감고, 피막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던 최소 굽힘 반경으로 평가하였다. 자기 특성은, 30×300 mm 의 엡스타인 시험편을 사용하고, JIS C 2550 에 따라 측정하였다. B8 은 자화력 800A/m 에서의 자속 밀도 (T), W17/50 은 주파수 50Hz, 최대 자속 밀도 1.7T 에서의 철손값 (W/kg) 이다. Table 7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l, C, N, S, after magnetic annealing, forsterite coating properties, and the second batch annealing, when the sample to which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ubjected to a subsequent step to form a product plate. Se content (the result of removing and analyzing the film | membrane of a steel plate surface in a base iron) is shown. Forsterite coating properties were evaluated as the minimum bending radius in which the sample after the strain removal annealing wa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and no film peeling occurred. Magnetic properti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JIS C 2550 using an Epstein test piece of 30 × 300 mm. B 8 is a magnetic flux density of characters (T), W 17/50 in thermal 800A / m is an iron loss value (W / kg) at a frequency of 50Hz, the maximum magnetic flux density of 1.7T.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경우, 자기 특성과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특성의 양립이 달성되어 있고, 나아가 불순물의 순화도 문제없이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S 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부제로서 소둔 분리제에 첨가한 경우 (No.8, 10 및 11), 자기 특성의 더욱 향상된 개선을 볼 수 있다. When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oth the magnetic properties and the forsterite coating properties are achieved, and further, the impurities are purified without problems. In addition, when the compound containing S was added to the annealing separator as a subsidiary agent (Nos. 8, 10 and 11), further improved improvement of the magnetic properties can be seen.

Figure 112006039375186-pct00012
Figure 112006039375186-pct00012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2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2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3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3

실시예 2Example 2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의 특성 및 자기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By the following method,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was excellent in the characteristic and magnetic property of a forsterite film was produced.

C : 0.019mass%, Si : 3.28 mass%, Mn : 0.073mass% 및 Sb:330 mass ppm 을 함유하고, 또한 Al:38 mass ppm, N:30 mass ppm, S:18 mass ppm 및 Se:10 mass ppm 미만 (분석 한계치 미만) 으로 각각 억제한, 인히비터 형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강 슬래브를 연속 주조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잔부는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하였다. 그 강 슬래브를 1200℃ 로 가열한 후, 열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2.0 mm 의 열연판으로 마무리하고, 1050℃ 에서 60초의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였다. It contains C: 0.019mass%, Si: 3.28 mass%, Mn: 0.073mass% and Sb: 330 mass ppm, and also Al: 38 mass ppm, N: 30 mass ppm, S: 18 mass ppm and Se: 10 mass Steel slabs that did not contain inhibitor-forming components, respectively, inhibited to less than ppm (less than the assay limit) were produced by continuous casting. The balance here was made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steel slab was heated to 1200 ° C., and then hot rolled to finish a hot rolled sheet having a thickness of 2.0 mm, and then subjected to hot rolled sheet annealing at 1050 ° C. for 60 seconds.

다음으로,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0.30 mm 의 냉연판에 마무리하고, 노점이-45℃ 인 건조 분위기 속에서 900℃, 10초의 조건에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였다. Next, it finished to the cold rolled plate of 0.30 mm of plate | board thickness by cold rolling, and performed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n 900 degreeC and the conditions of 10 second in a dry atmosphere with dew point -45 degreeC.

재결정 소둔의 후, 1 회째의 뱃치 소둔을 실시하였다. 소둔 분리제는, 표 8 에 따라서 재결정 소둔 전 또는 후에 도포하였다. 소둔 분리제의 도포는, 롤 코터를 사용하여 행하고, 그 후, 도달 온도 250℃ 에서 베이킹하여, 방냉하였다. 베이킹은 프로판 직화 베이킹으로 행하였다. 1 회째의 뱃치 소둔은 질소 분위기 속에서 865℃, 50시간 유지하는 조건에서 실시하여 2 차 재결정을 완료시켰다. After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first batch annealing was performed. The annealing separator was applied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ccording to Table 8.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performed using a roll coater, and then baked at an arrival temperature of 250 ° C. and allowed to cool. Baking was performed by propane direct baking. The first batch anneal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maintained at 865 ° C. for 50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to complete th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그 후,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1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조사하여, 결과가 양호했던 샘플에 대해서는, 후속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하였다. After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first batch annealing were examined. It was.

후속 공정에서는, 우선, 양호한 서브스케일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소둔을 실시하고, 그 후, Mg0 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였다. 1 회째의 뱃치 소둔을 C 가 100∼150 mass ppm 잔류한 채로 실시하였으므로, 이 서브스케일 형성을 위해 행한 연속 소둔에서는 동시에 탈탄도 행하였다. 연속 소둔은 노점 60℃ 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850℃, 80초로 행하였다. 또한, 소둔 분리제는 고형분으로서 Mg0 : 92.5 mass%, Ti02 : 7.5 mass% 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In a subsequent step, first, continuous annealing was performed to form a good subscale, and then an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Mg0 as a main component was applied. Since the first batch annealing was carried out with 100 to 150 mass ppm of C remaining, decarburization was also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continuous annealing performed for this subscale formation. Continuous annealing was performed in 850 degreeC and 80 second in the oxidative atmosphere of dew point of 60 degreeC. In addition, the annealing separator used was Mg0: 92.5 mass% and Ti0 2 : 7.5 mass% as solid content.

다음으로 2 회째의 뱃치 소둔을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강 조성에서는 인히비터 성분의 순화에 필요한 1200℃ 부근에서의 고온 소둔을 할 필요가 없고,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형성이 가능한 조건이면 된다. 그래서, 2 회째의 뱃치 소둔에서는, 종래보다도 저온인 1100℃ 에서 5시간 유지하고, 분위기는 건조 수소로 하였다. Next, the second batch annealing was performed. In the steel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high temperature annealing at around 1200 ° C, which is necessary for purifying the inhibitor component, so long as it is possible to form a forsterite coating. Therefore, in the 2nd batch annealing, it hold | maintained at 1100 degreeC which is lower temperature than before, for 5 hours, and made atmosphere into dry hydrogen.

그리고 최후에 장력 피막의 도포·베이킹 및 변형 제거 소둔을 행하였다. 장력 피막은 인산, 크롬산 및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고, 800℃의 온도에서 베이킹하였다. 변형 제거 소둔에 대해서는 질소 분위기 속에서 800℃, 3시간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소둔 분리제의 성분 및 도포 조건으로서는, 실시예 1 과 같이, 표 5 에 나타내는 각 No. 에 대응하는 조건에 의해 행하였다. And finally, application | coating, baking, and distortion removal annealing of the tension film were performed. The tension coating used was one containing phosphoric acid, chromic acid and colloidal silica, and bak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Strain removal anneal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800 ° C. and 3 hours in a nitrogen atmosphere. As a component and application | coating conditions of annealing separator, like No. 1, each No. It carried out by th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표 8 로 분리제 도포 공정의 순서 (재결정 소둔 전 또는 후),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및 1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과 같이,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철강에 대해서는 소둔 분리제 도포 공정의 순서에 관계없이, 양호한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및 1 회째 뱃치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가 인히비터를 함유하지 않은 성분계에 적용하더라도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Table 8 shows the procedure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first batch annealing. As in Example 1, with respect to the steel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process, the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after the first batch annealing Separation effect can be obtained. Thereby, it turns out that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is effective even if it applies to the component system which does not contain an inhibitor.

표 9 에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샘플에 후속 공정을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한 경우의, 자기 특성,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특성 및 2 회째의 뱃치 소둔 후의 Al, C, N, S, Se 함유량을 나타낸다. 각 특성의 조사 방법은 실시예 1 과동일하게 하였다. Table 9 shows the magnetic properties, the forsterite coating properties, and the Al, C, N, S, Se after the second batch annealing, when the sample to which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ubjected to a subsequent step to form a product plate. It shows content. The investigation method of each characteristic was made the same as Example 1.

본 발명 범위 내의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경우, 자기 특성과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특성의 양립이 달성되고 있고, 또한 불순물 농도도 문제없는 수준이었다. When the annealing separator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compatibility between the magnetic properties and the forsterite coating properties was achieved, and the impurity concentration was also in a level of no problem.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4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4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5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5

실시예 3Example 3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자기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By the following method,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does not have a forsterite coating and was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y and workability was produced.

C : 0.020 mass%, Si : 3.31mass%, Mn : 0.060 mass% 및 Sb : 450 mass ppm 을 함유하고, 또한 인히비터 형성 성분으로서 Al : 300 mass ppm 및 N : 70 mass ppm 을 함유하며, 잔부는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라브를 연속 주조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그 강 슬래브를 1200℃ 로 가열한 후, 열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1.8 mm 의 열연판에 마무리하고, 950℃ 에서 60초의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0.27mm 의 냉연판으로 마무리하고, 노점이 -45℃ 인 건조 분위기 하에서 880℃, 1Os 의 조건에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고, 그 후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였다. It contains C: 0.020 mass%, Si: 3.31 mass%, Mn: 0.060 mass% and Sb: 450 mass ppm, and also contains Al: 300 mass ppm and N: 70 mass ppm as inhibitor forming components, and the balance is Steel slabs made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were produced by continuous casting. After heating the steel slab to 1200 ° C, the hot rolled plate was finished to a hot rolled plate having a plate thickness of 1.8 mm by hot rolling, and then subjected to hot rolled sheet annealing at 950 ° C. for 60 seconds. Next, it cold-rolled and finished with the cold rolled plate of 0.27 mm in thickness, recrystallized annealing on conditions of 880 degreeC and 10Os in the dry atmosphere whose dew point is -45 degreeC, and finish-annealed after that.

소둔 분리제는, 표 10 에 따라서 재결정 소둔의 전 또는 후에 도포하였다. 도포는, 롤 코터를 사용하여 행하고, 도달 판 온도 250℃ 에서 베이킹한 후 방냉하였다. 베이킹은 프로판 직화 베이킹으로 행하였다. 마무리 소둔에서는 860℃에서 45시간 N2 분위기 속에서 유지함으로써 2 차 재결정시킨 후, 1200℃ 에서 5시간 H2 분위기 속에서 유지함으로써 순화를 행하였다. 소둔 분리제의 성분 및 도포 조건으로서는, 실시예 1 과 같이, 표 5 에 나타내는 각 No. 에 대응하는 조건에 의해 행하였다. The annealing separator was applied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ccording to Table 10. Application | coating was performed using the roll coater, and it cooled after baking at 250 degreeC of reaching board temperature. Baking was performed by propane direct baking. In the final annealing, after recrystallization by holding in N 2 atmosphere for 45 hours at 860 degreeC, it refine | purified by holding in H 2 atmosphere at 1200 degreeC for 5 hours. As a component and application | coating conditions of annealing separator, like No. 1, each No. It carried out by th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그 후,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각각 조사하고, 결과가 양호했던 샘플에 대해서는, 후속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하였다. Then,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finishing annealing were examined, respectively, and about the sample with the favorable result, the following process was further performed and it was set as the product plate.

후속 공정에서는, 절연 피막의 도포·베이킹 및 변형 제거 소둔을 행하였다. 절연 피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 수지를 함유한 크롬산염계의 것을 사용하고, 300℃ 의 온도에서 베이킹하였다. 변형 제거 소둔에 대해서는 질소 분위기 속에서 750℃, 2시간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In a subsequent step, the coating, baking and strain removal annealing of the insulating coating were performed. The insulating film was baked at a temperature of 300 ° C. using a chromate-based one containing an organic resin generally used. The strain removal annealing was carried out under nitrogen atmosphere at 750 ° C. for 2 hours.

표 10 에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 자기 특성, 절연 피막 특성 및 마무리 소둔 후의 Al, C, N, S, Se 함유량을 나타낸다. No.14 및 19 는 소둔 분리제의 점도가 본 발명 범위 외이므로 도포성이 현저하게 나쁘고,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강판의 밀착이 발생하였다. No.12 및 15 는 Al 화합물과 Si 화합물의 비율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외에서, No.12 는 조막 성분인 Al 화합물이 적으므로, 소둔 분리제의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진다. 한편, No.15 는 반응성이 높은 Al 화합물의 양이 많으므로, 도포액이 안정적이지 못해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외관 불량이 되었다. Table 10 shows the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finish annealing, the magnetic properties, the insulation coating properties, and the Al, C, N, S, and Se content after the finish annealing. Nos. 14 and 19 were markedly poor in applicability because the viscos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outside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hesion of the steel sheet occurred at the portions not coated. Nos. 12 and 15 have a small Al compound which is a film forming component in the ratio of the Al compound and the Si compound outside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to the steel sheet is poor. On the other hand, No. 15 had a large amount of highly reactive Al compounds, so that the coating liquid was not stable and a uniform coating could not be formed. As a result, the appearance was poor.

No.1∼4 는, 소둔 분리제의 주성분이 본 발명 외이므로,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하였다. No.5 는, 소둔 분리제 도포량이 불충분하므로, 마무리 소둔시에 강판의 밀착이 발생하였다. No.17 은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많으므로, 강판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하여 박리가 발생하였다. No.1-1, 4-1, 5, 6-1, 14 및 19 는 강판의 밀착에 의해 자기 특성 및 내 굽힘 박리성의 평가는 불가능하였다. Nos. 1 to 4 had insufficient adhesion to the steel sheet because the main compone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n No. 5, sinc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insufficient, adhesion of the steel sheet occurred at the time of finish annealing. In No. 17, sinc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was too large, the adhesion to the steel sheet was insufficient, and peeling occurred. No.1-1, 4-1, 5, 6-1, 14, and 19 were unable to evaluate magnetic property and bending peel resistance by adhesion of the steel plate.

No.1, 4, 6, 11 및 16 은 소둔 분리제의 도포 순서를 재결정 소둔의 전과 후의 두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소둔 분리제 도포 공정의 순서에 관계없이 양호한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분리제의 밀착성, 및 마무리 소둔시의 소둔 분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교예인 No.1 및 4 에서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 순서에 의해, 소둔 분리 효과에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실시예 1 과 같은 이유에서, 마무리 소둔시의 소둔 분리제 부착량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Nos. 1, 4, 6, 11 and 16 carried out the application procedure of the annealing separator in two ways before and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good applicability of the separator, adhesion of the separator after drying, and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t the time of annealing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step. In No. 1 and 4 which are comparative examples, the difference in annealing separation effect was seen by the application procedure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dhesion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during finish annealing for the same reason as in Example 1.

본 발명에 따르는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것은 양호한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 자기 특성, 절연 피막 특성 및 지철의 불순물의 순화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피막 특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 2 에 나타낸 포스테라이트질 피막 보다도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고온 소둔에 의한 순화를 필요로 하는 인히비터를 이용하는 타입의 방향성 전자 강판에서도,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가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good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finishing annealing, magnetic properties, insulation coating properties, and the purity of the impurities in the iron. Can be. In particular, the coating properti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forsterite coatings shown in Examples 1 and 2. Thereby, it turns out that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is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also to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plate of the type which uses the inhibitor which requires purification by high temperature annealing.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6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6

실시예 4Example 4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포스테라이트질 피막을 갖지 않는, 자기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By the following method,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does not have a forsterite coating and was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y and workability was produced.

C : 0.018 mass%, Si : 3.32mass%, Mn : 0.070 mass% 및 Sb : 300 mass ppm 을 함유하고, 또한 Al : 40 mass ppm, N : 25 mass ppm, S : 15 mass ppm 및 Se : 10 mass ppm 미만으로 각각 억제한 인히비터 형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강 슬라브를 연속 주조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잔부는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하였다. 그 강 슬래브를 1200℃ 로 가열한 후, 열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1.8 mm 의 열연판으로 마무리하고, 950℃ 에서 60초의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냉간 압연에 의해 판두께 0.35 mm 의 냉연판에 마무리하고, 노점이 -45℃ 인 건조 분위기 하에서 880℃×10s 의 조건에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여, 그 후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였다. C: 0.018 mass%, Si: 3.32 mass%, Mn: 0.070 mass% and Sb: 300 mass ppm, Al: 40 mass ppm, N: 25 mass ppm, S: 15 mass ppm and Se: 10 mass Steel slabs that did not contain inhibitor-forming components, respectively, suppressed to less than ppm were produced by continuous casting. The balance here was made of iron and unavoidable impurities. The steel slab was heated to 1200 ° C., and then hot rolled to finish a hot rolled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8 mm, followed by hot rolled sheet annealing at 950 ° C. for 60 seconds. Next, it finished to the cold rolled sheet of 0.35 mm of plate | board thickness by cold rolling, and recrystallized-annealed on condition of 880 degreeC * 10s in the dry atmosphere whose dew point is -45 degreeC, and finish-annealed after that.

소둔 분리제는, 표 11 에 따라서 재결정 소둔 전 또는 후에 도포하였다. 도포는, 롤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도달판 온도 250℃ 에서 베이킹 한 후 방냉하였다. 베이킹은 프로판 직화 베이킹으로 행하였다. 마무리 소둔에서는 875℃ 에서 45시간 N2 분위기 속에서 유지함으로써 2 차 재결정시켜, 그 후 1000℃ 에서 5시간 Ar 분위기 속에서 유지하였다. 마무리 소둔 후, 산화성 분위기에서 탈탄 소둔을 실시하고, 지철 중의 C 량을 저감하였다. The annealing separator was applied before or after recrystallization annealing according to Table 11. Application | coating was performed using the roll coater, and it was left to cool after baking at the reaching plate temperature of 250 degreeC. Baking was performed by propane direct baking. In the final annealing, secondary recrystallization was carried out by maintaining in a N 2 atmosphere at 875 ° C. for 45 hours, and then maintained in Ar atmosphere at 1000 ° C. for 5 hours. After finish annealing, decarburization annealing was performed in an oxidizing atmosphere to reduce the amount of C in the iron.

그 후, 소둔 분리제의 성분 및 도포 조건으로서는, 실시예 1 과 같이, 표 5 에 나타내는 각 No. 에 대응하는 조건에 의해 행하였다. 그 후,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를 각각 조사하고, 결과가 양호했던 샘플에 대해서는, 후속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제품판으로 하였다. Then, as a component and application | coating conditions of annealing separator, each No. shown in Table 5 is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It carried out by th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n, the applicability | paint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veness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and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finishing annealing were examined, respectively, and about the sample with the favorable result, the following process was further performed and it was set as the product plate.

후속 공정에서는, 절연 피막의 도포·베이킹 및 변형 제거 소둔을 행하였다. 절연 피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 수지를 함유한 크롬산염계의 것을 사용하고, 300℃ 의 온도에서 베이킹하였다. 변형 제거 소둔에 대해서는 질소 분위기 속에서 750℃, 2시간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In a subsequent step, the coating, baking and strain removal annealing of the insulating coating were performed. The insulating film was baked at a temperature of 300 ° C. using a chromate-based one containing an organic resin generally used. The strain removal annealing was carried out under nitrogen atmosphere at 750 ° C. for 2 hours.

표 11 에 소둔 분리제의 도포성, 건조 후의 소둔 분리제의 밀착성, 마무리 소둔 후의 소둔 분리 효과, 자기 특성, 절연 피막 특성 및 마무리 소둔 후의 Al, C, N, S, Se 함유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3 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소둔 분리제를 적용한 강에서는, 소둔 분리제 도포 공정의 순서에 관계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able 11 shows the applicability of the annealing separator, the adhes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after drying,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fter the finish annealing, the magnetic properties, the insulation coating properties, and the Al, C, N, S, and Se content after the finish annealing. In the steel to which the annealing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as in Example 3, good results were obtained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step.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7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7

실시예 5Example 5

표 12 에 기재된 소둔 분리제를 적용하고,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제조 공정은 표 13 에 기재된 것과 같고, 공정 A 및 B (1 회의 마무리 소둔에 의한 방법) 는 실시예 3, 공정 C 및 D (2 회의 뱃치 소둔에 의한 방법) 는 실시예 1 의 강 슬래브 및 제조 조건을 적용하였다. 소둔 분리제에 대해서도, 주성분 이외의 성분이나 도포 조건은 실시예 1 에 의하였다. 또한, No.6 는 광산란법에서 실질적으로 산란이 인식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용액으로 판단되었다. The annealing separator of Table 12 was applied and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as produc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s shown in Table 13, Processes A and B (method by one finishing annealing) are Example 3, Processes C and D (method by two batch annealing) are the steel slab and preparation of Example 1 Conditions were applied. Also about annealing separator, components other than a main component and application conditions were based on Example 1. In addition, No. 6 was hardly recognized as scattering in the light scattering method, and was judged as a solution substantially.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소둔 분리제는 어느 것이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고온에서 안정적인 화합물로서, Si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의 소둔 분리 효과가 높고, 그 중에서도 Si 화합물 단독으로 고온이며 안정적인 화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 12 에 나타낸 No.1∼5, 7 과 도포량 및 점도가 같고, 콜로이드 용액 형상의 Si 화합물 (콜로이달 실리카) 을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1 (표 6 의 No.13) 이나 실시예 3 (표 1O 의 No.13) 이 가장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고, 표 13 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결과보다 양호하였다.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ut the annealin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excellent results. Especially, as a compound stable at high temperature, the annealing separation effect at the time of containing a Si compound is high, and it is preferable to use it as a high temperature stable compound among Si compounds alone especially. That is, Example 1 (No.13 of Table 6) and Example 3 which apply | coated amount and viscosity are the same as No. 1-5 and 7 shown in Table 12, and used the colloidal solution-shaped Si compound (colloidal silica) independently. (No. 13 of Table 10) showed the best characteristic, and was better than the result of this Example shown in Table 13.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8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8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9
Figure 112006039224853-pct00009

*A : 재결정 소둔→소둔 분리제 도포→마무리 소둔 * A: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 finishing annealing

B : 소둔 분리제 도포→재결정 소둔→마무리 소둔  B: application of annealing separator →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finishing annealing

C : 재결정 소둔→소둔 분리제 도포→1 회째의 뱃치 소둔→연속 소둔∼2 회째의 뱃치 소둔  C: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application of annealing separator → first batch annealing → continuous annealing to second batch annealing

D : 소둔 분리제 도포→재결정 소둔→1 회째의 뱃치 소둔→연속 소둔∼2 회째의 뱃치 소둔  D: application of annealing separator →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first batch annealing → continuous annealing to second batch annealing

실시예 6Example 6

표 14 에 기재된 성분의 각 강 슬라브를 용강보다 연속 주조법에 의해 제조하고, 실시예 5 와 동일한 요령으로 표 15 의 분류에 따라서,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작하였다. 다만, No.2 에 대해서는 2 차 재결정시키기 전의 C 량은 특별히 조정하지 않고, 따라서 탈탄 처리도 생략하였다. 또한, No.1 및 No.7 에 대해서는 재결정 소둔을 노점 30℃ 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행하고, 2 차 재결정 소둔 전의 C 량을 100∼150 mass ppm 으로 조정하였다. Each steel slab of the component of Table 14 was manufactured by the continuous casting method rather than molten steel, and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as produc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able 15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5. However, about No. 2, the amount of C befor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was not specifically adjusted, and the decarburization process was also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about No. 1 and No. 7, recrystallization annealing was performed in oxidizing atmosphere of dew point 30 degreeC, and the amount of C before secondary recrystallization annealing was adjusted to 100-150 mass ppm.

소둔 분리제 및 도포 조건은, 표 5 의 No.13 에 따랐다. The annealing separator and the application conditions were in accordance with No. 13 of Table 5.

결과를 표 15 에 나타낸다. 자기 특성은 강판의 성분에도 의존하는데, 어느 것이나 각 성분에서 기대되는 자기 특성을 실현하고 있다.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5. The magnetic properties also depend on the components of the steel sheet, and all of them realize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expected from each component.

Figure 112006039224853-pct00010
Figure 112006039224853-pct00010

Figure 112006039224853-pct00011
Figure 112006039224853-pct00011

* A : 재결정 소둔→소둔 분리제 도포→마무리 소둔 * A: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annealing separator application → finishing annealing

B : 소둔 분리제 도포→재결정 소둔→마무리 소둔   B: application of annealing separator →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finishing annealing

C : 재결정 소둔→소둔 분리제 도포→1 회째의 뱃치 소둔→연속 소둔∼2 회째의 뱃치 소둔   C: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application of annealing separator → first batch annealing → continuous annealing to second batch annealing

D : 소둔 분리제 도포→재결정 소둔→1 회째의 뱃치 소둔→연속 소둔∼2 회째의 뱃치 소둔   D: application of annealing separator → recrystallization annealing → first batch annealing → continuous annealing to second batch annealing

본 발명에 의한 방향성 전자 강판용 소둔 분리제는 양호한 도포성 및 강판에 대한 밀착성을 갖고 있고, 소둔 분리제 도포 과정 및 그 이후의 공정에서 안정적인 조업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밀착성을 달성하면서, 순화나 탈탄의 저해도 수반하지 않고, 게다가 피막 제거 작업도 필요하지 않는 등의 우수한 조업성도 갖는다. The annealing separator for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good applicability and adhesion to the steel sheet, and can ensure stable operation in the annealing separator coating step and subsequent steps. Moreover, while achieving adhesiveness, it also has the outstanding operability, such as not accompanied by inhibition of purification and decarburization, and also not requiring a film removal operation | work.

이 소둔 분리제를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자기 특성 및 포스테라이트 피막 특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 및 포스테라이트 피막을 갖지 않는 자기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By applying this annealing separator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is excellent in a magnetic characteristic and a forsterite film characteristic, and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is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y and workability which do not have a forsterite film It becomes possible.

Claims (25)

강판에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강판을 소둔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으로서, As an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apply | coats an annealing separator to a steel plate, and anneales the applied steel plate, 상기 소둔 분리제가, The annealing separator, Al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고, Al compound in the state of solution or colloidal solution, 추가로, 소둔 온도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함유하며, 점도가 25 (mPa·s) 이하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Furthermore,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containing a compound stable at annealing temperature, and having a viscosity of 25 (mPa * s)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둔 분리제가, 상기 소둔 온도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을 함유할 때에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contains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when it contains a compound which is stable at the said annealing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l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기 식 (1)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ose content of the said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상기 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소둔 온도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의 고형분 (합))} ···· 식 (1)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said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said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compound stable at the said annealing temperature (sum))} ... Formula (1) (단, 상기 Al 화합물의 고형분은 Al2O3 로 환산하고, 상기 소둔 온도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은, 상기 소둔 분리제를 도포한 후에 베이킹한 경우에 생성되는 주요 화합물로 환산하는 것으로 함.) (However, the solid content of the Al compound is converted into Al 2 O 3 , and the compound stable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is to be converted into the main compound produced when baking after applying the annealing separa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둔 온도에서 안정적인 화합물이,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The compound stable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is composed of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Si compound, Sr compound, Ca compound, Zr compound, Ti compound and Ba compound 상기 Al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ose content of the said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2):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Al 화합물의 고형분)/{(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의 고형분 (합))} ······ 식 (2)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the sum) of the said at least 1 sort (s))} ... Formula (2) 여기에서 각 화합물의 고형분은 하기의 각 화합물의 중량으로 환산된 값: Wherein the solid content of each compound is a value converted into the weight of each of the following compounds: Al 화합물···Al2O3, Si 화합물···SiO2, Al compound ... Al 2 O 3 , Si compound ... SiO 2 , Sr 화합물···SrO, Ca 화합물···CaO, Sr compound ... SrO, Ca compound ... CaO, Zr 화합물···Zr02, Ti 화합물···TiO2, Zr compound ... Zr0 2 , Ti compound ... TiO 2 , Ba 화합물···BaO.Ba compound ... BaO.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소둔 분리제가, 상기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n which the annealing separator contains the at least one compound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강판에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강판을 소둔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으로서, As an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apply | coats an annealing separator to a steel plate, and anneales the applied steel plate, 상기 소둔 분리제가, The annealing separator, Al 화합물 및 Si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Al 화합물과 Si 화합물과의 비율이 Al2O3/(Al2O3+Si02) 로 환산한 값으로 40∼95 mass% 이며, 점도가 25 mPa·s 이하이고, 또한,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Al compound and Si compound as a main component, the ratio of Al compound and Si compound is 40-95 mass% in terms of Al 2 O 3 / (Al 2 O 3 + Si0 2 ), and the viscosity is 25 mPa.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below s and being a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Al 화합물이, 수산기 및 유기산기를 갖는 Al 화합물, 및, 수산기 및 유기산기를 갖는 Al 화합물의 탈수 반응물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ose said Al compound is either one or both of the Al compound which has a hydroxyl group and an organic acid group, and the Al compound which has a hydroxyl group and an organic acid group.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Al 화합물이, 염기성 아세트산 Al(basic Al acetate), 염기성 포름산 Al(basic Al formate), 염기성 염화 Al(basic Al chloride), 염기성 질산 Al(basic Al nitrate), 염기성 옥살산 Al(basic Al oxalate), 염기성 술파민산 Al(basic Al sulfamate), 염기성 락트산 Al (basic Al lactate) 및 염기성 시트르산 Al(basic Al citrate)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The Al compound, basic Al acetate (basic Al acetate), basic Al formate (basic Al formate), basic Al chloride (basic Al chloride), basic Al nitrate (basic Al nitrate), basic oxalate Al (basic Al oxalate), An annealing method for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is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basic sulfamic acid Al (basic Al sulfamate), basic lactic acid Al (basic Al lactate) and basic citric acid Al (basic Al citrat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소둔 분리제가, 추가로 S 또는 S 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상기 소둔 분리제를 도포한 후에 베이킹한 경우에 요구되는 고형분 비율로 25 mass% 이하 함유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in which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contains 25 mass% or less of the compound containing S or S further at the solid content required when baking after apply | coating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S 또는 S 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황산 Sr, 황산 Mg 및 황화 Mg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소둔 방법. The anneal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ose said S or S containing compound is 1 or more types chosen from sulfuric acid Sr, sulfuric acid Mg, and Mg sulfide. Al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고, 또한, Al compound is contained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Si 화합물, Sr 화합물, Ca 화합물, Zr 화합물, Ti 화합물 및 Ba 화합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액체로서, As a liquid further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of Si compound, Sr compound, Ca compound, Zr compound, Ti compound and Ba compound, 상기 Al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기 식 (2) 로 표시되는 고형분 비율로 40∼95 mass% 이고, Content of the said Al compound is 40-95 mass% in solid content ratio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2), 또한, 점도가 25 mPa·s 이하인, 액체를 방향성 전자강판에 소둔 분리제로서 사용하는 방법: Moreover, the method of using the liquid whose viscosity is 25 mPa * s or less as an annealing separator to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l 화합물의 고형분 비율=(Al 화합물의 고형분)/{(Al 화합물의 고형분)+(상기 1 종 이상의 화합물의 고형분 (합))} ······ 식 (2)Solid content ratio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Al compound) + (solid content of said 1 or more types of compounds (sum))} ... Formula (2) 여기에서 각 화합물의 고형분은 하기의 각 화합물의 중량으로 환산된 값: Wherein the solid content of each compound is a value converted into the weight of each of the following compounds: Al 화합물···Al2O3, Si 화합물···SiO2, Al compound ... Al 2 O 3 , Si compound ... SiO 2 , Sr 화합물···SrO, Ca 화합물···CaO, Sr compound ... SrO, Ca compound ... CaO, Zr 화합물···ZrO2, Ti 화합물···TiO2, Zr compound ... ZrO 2 , Ti compound ... TiO 2 , Ba 화합물···Ba0. Ba compound ... Ba0.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액체가, 상기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에서 함유하는, 액체를 방향성 전자강판에 소둔 분리제로서 사용하는 방법. A method in which the liquid contains the at least one compound in the state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and uses the liquid as an annealing separator in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l 화합물 및 Si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Al 화합물과 Si 화합물과의 비율이 Al203/(Al2O3+SiO2) 로 환산한 값으로 40∼95 mass% 이고, 점도가 25 mPa·s 이하이며, 또한, 용액 또는 콜로이드 용액의 상태인, 액체를 방향성 전자강판에 소둔 분리제로서 사용하는 방법. Composed mainly of Al compound and a Si compound, and the ratio of the Al compound to the Si compound Al 2 0 3 / (Al 2 O 3 + SiO 2) 40~95 mass% as a value converted to a viscosity of 25 mPa · A method of using a liquid, which is s or less and in the form of a solution or a colloidal solution, as an annealing separator in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Rolling the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Mn: 0.005 to 1.0 mass% to a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Performing a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뱃치 소둔 (batch annealing) 을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하는 제 1 뱃치 소둔 공정을 갖고, It has a 1st batch annealing process which carries out batch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6, 여기에서, 제 1 뱃치 소둔 공정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상기 소둔 분리제를 제 1 소둔 분리제라고 부르기로 하고, 또한, Here,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ed before annealing in the first batch annealing step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annealing separator, and 여기에서 상기 재결정 소둔은, 상기 제 1 소둔 분리제의 도포 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로서 상기 뱃치 소둔 전에 실시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Here,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carried out before application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or after application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before the batch annealing, further 제 1 소둔 분리제의 편면당 도포량을 0.005∼5g/㎡ 로 하고, The coating amount per single side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is 0.005 to 5 g / m 2, 그 후, 상기 강판에 연속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Thereafter, the step of performing continuous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Mg0 를 함유하는 제 2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그 후 뱃치 소둔을 실시하는 제 2 뱃치 소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the 2nd batch annealing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2nd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Mg0 to the said steel plate, and then performing batch annealing.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슬래브가, Al 을 150 ppm 이하, N, S, Se 를 각각 50 ppm 이하로 저감한 조성을 갖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slab is a slab made of molten steel having a composition in which Al is reduced to 150 ppm or less and N, S and Se to 50 ppm or less, respectively.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상기 공정이, The above step of rolling the slab to the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Hot rolling the slab to form a hot rolled steel sheet; 상기 열연 강판을 소둔하는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Performing a hot rolled sheet annealing for annea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두께로 하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process of performing one cold rolling or two or more cold rolling containing intermediate annealing, and making it into final board thickness.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Rolling the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Mn: 0.005 to 1.0 mass% to a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Performing a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뱃치 소둔을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하는 마무리 소둔 공정을 갖고, It has a finishing annealing process which performs a batch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6, 여기에서 상기 재결정 소둔은, 상기 마무리 소둔 공정에서의 소둔 분리제의 도포 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그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로서 상기 뱃치 소둔 전에 실시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Here,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carried out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in the finishing annealing step, o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before the batch annealing, further 상기 소둔 분리제의 편면당 도포량을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makes the coating amount per single side of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into 0.005-5 g / m <2>.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슬래브가, Al 을 150 ppm 이하, N, S, Se 를 각각 50 ppm 이하로 저감한 조성을 갖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인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slab is a slab made of molten steel having a composition in which Al is reduced to 150 ppm or less and N, S and Se to 50 ppm or less, respectively.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상기 공정이, The above step of rolling the slab to the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Hot rolling the slab to form a hot rolled steel sheet; 상기 열연 강판을 소둔하는 열연판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Performing a hot rolled sheet annealing for annealing the hot rolled steel sheet;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두께로 하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process of performing one cold rolling or two or more cold rolling containing intermediate annealing, and making it into final board thickness.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한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공정과, Hot rolling a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8.0 mass%, Mn: 0.005-1.0 mass%, 다음으로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두께로 하는 공정과, Next, a step of performing cold rolling at least once including one cold rolling or intermediate annealing to obtain a final sheet thickness, 다음으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Next, the step of performing recrystallization annealing, 다음으로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을 갖고, Next, it has the process of performing finish annealing by the method of Claim 6, 또한, 상기 마무리 소둔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을 편면당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Moreo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makes the coating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y | coated before annealing at the said finish annealing 0.005-5 g / m <2> per side.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고, 또한 Al 을 150 ppm 이하 및 N, S, Se 를 각각 50 ppm 이하로 저감한 성분 조성을 갖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공정과, A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8.0 mass%, Mn: 0.005-1.0 mass%, and having a component composition of 150 ppm or less of Al and 50 ppm or less of N, S, and Se, respectively. Hot rolling the slab manufactured by 다음으로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두께로 하는 공정과, Next, a step of performing two or more cold rollings including one cold rolling or intermediate annealing to form a final sheet thickness, 다음으로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Next, the step of performing recrystallization annealing, 다음으로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을 갖고, Next, it has the process of performing finish annealing by the method of Claim 6, 또한, 상기 마무리 소둔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소둔 분리제의 도포량을 편면당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Moreo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makes the coating amount of the annealing separator apply | coated before annealing at the said finish annealing 0.005-5 g / m <2> per side.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상기 공정이, The above step of rolling the slab to the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Hot rolling the slab to form a hot rolled steel sheet;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두께로 하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process of performing one cold rolling or two or more cold rolling containing intermediate annealing, and making it into final board thickness.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or 18,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상기 공정이, The above step of rolling the slab to the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Hot rolling the slab to form a hot rolled steel sheet; 1 회의 냉간 압연, 또는, 중간 소둔을 포함하는 2 회 이상의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최종 판두께로 하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a process of performing one cold rolling or two or more cold rolling containing intermediate annealing, and making it into final board thickness.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Rolling the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Mn: 0.005 to 1.0 mass% to a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Performing a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뱃치 소둔 (batch annealing) 을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하는 제 1 뱃치 소둔 공정을 갖고, It has a 1st batch annealing process of performing batch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by the method of Claim 9, 여기에서, 제 1 뱃치 소둔 공정에서 소둔 전에 도포하는 상기 소둔 분리제를 제 1 소둔 분리제라고 부르기로 하고, 또한, Here, the annealing separator applied before annealing in the first batch annealing step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annealing separator, and 여기에서 상기 재결정 소둔은, 상기 제 1 소둔 분리제의 도포 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로서 상기 뱃치 소둔 전에 실시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Here,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carried out before application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or after application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before the batch annealing, further 제 1 소둔 분리제의 편면당 도포량을 0.005∼5g/㎡ 로 하고, The coating amount per single side of the first annealing separator is 0.005 to 5 g / m 2, 그 후, 상기 강판에 연속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Thereafter, the step of performing continuous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Mg0 를 함유하는 제 2 소둔 분리제를 도포하고, 그 후 뱃치 소둔을 실시하는 제 2 뱃치 소둔 공정을 갖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has the 2nd batch annealing process of apply | coating the 2nd annealing separator containing Mg0 to the said steel plate, and then performing batch annealing. C : 0.08 mass% 이하, Si : 2.0∼8.0 mass%, Mn : 0.005∼1.0 mass% 를 함유하는 용강으로 제작된 슬래브를 최종 판두께까지 압연하여 강판으로 하는 공정과, Rolling the slab made of molten steel containing C: 0.08 mass% or less, Si: 2.0 to 8.0 mass%, Mn: 0.005 to 1.0 mass% to a final sheet thickness to form a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재결정 소둔을 실시하는 공정과, Performing a recrystallization annealing on the steel sheet; 상기 강판에 뱃치 소둔을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하는 마무리 소둔 공정을 갖고, It has the finishing annealing process of performing batch annealing to the said steel plate by the method of Claim 9, 여기에서 상기 재결정 소둔은, 상기 마무리 소둔 공정에서의 소둔 분리제의 도포 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그 소둔 분리제의 도포 후로서 상기 뱃치 소둔 전에 실시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Here, the recrystallization annealing is carried out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in the finishing annealing step, o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nnealing separator before the batch annealing, further 상기 소둔 분리제의 편면당 도포량을 0.005∼5g/㎡ 로 하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제조 방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hich makes the coating amount per single side of the said annealing separator into 0.005-5 g / m <2>.
KR1020067010866A 2003-12-03 2004-12-03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KR1007742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4520 2003-12-03
JPJP-P-2003-00404520 200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517A KR20060103517A (en) 2006-10-02
KR100774229B1 true KR100774229B1 (en) 2007-11-07

Family

ID=3465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866A KR100774229B1 (en) 2003-12-03 2004-12-03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1698706B1 (en)
KR (1) KR100774229B1 (en)
CN (1) CN100513597C (en)
ES (2) ES2643750T3 (en)
TW (1) TWI272311B (en)
WO (1) WO200505452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3423B2 (en) * 2015-09-25 2018-05-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0133B1 (en) * 2016-10-26 2018-04-19 주식회사 포스코 Annealing separating agent composition for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S11781196B2 (en) 2016-11-28 2023-10-10 Jfe Steel Corporation Grai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KR101906962B1 (en) * 2016-12-22 2018-10-11 주식회사 포스코 Annealing separating agent composition for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BR112021012939A2 (en) * 2019-01-08 2021-09-14 Nippon Steel Corporation ELECTRIC STEEL SHEET WITH ORIENTED GRAIN, METHOD TO MANUFACTURE ELECTRIC STEEL SHEET WITH ORIENTED GRAIN, AND, ANNEALING SEPA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7006A (en) 1978-11-28 1981-09-01 Nippon Steel Corporation Annealing separator for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trips
JPS6147887B2 (en) * 1978-11-28 1986-10-21 Nippon Steel Corp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4520A (en) * 1967-11-06 1974-02-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Nonreactive refractory separating coatings for electrical steels
US3785882A (en) * 1970-12-21 1974-01-15 Armco Steel Corp Cube-on-edge oriented silicon-iron having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674917B2 (en) 1991-12-06 1997-11-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high magnetic flux density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without forsterite coating
DE69326792T2 (en) * 1992-04-07 2000-04-27 Nippon Steel Corp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with low iron losse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JPH06136448A (en) 1992-10-26 1994-05-17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JP2679944B2 (en) 1993-10-26 1997-1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mirror-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low iron loss
JPH08134542A (en) 1994-11-08 1996-05-28 Sumitomo Metal Ind Ltd Production of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lanking property
JPH08188828A (en) * 1995-01-06 1996-07-23 Nippon Steel Corp Suspension for separating agent during annealing
JPH10121142A (en) 1996-10-11 1998-05-12 Sumitomo Metal Ind Ltd Separation agent for annealing and production of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using it
JPH1161261A (en) * 1997-08-08 1999-03-05 Kawasaki Steel Corp Manufacture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xcellent in magnetic characteristic
JP3707268B2 (en) 1998-10-28 2005-10-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P1279747B1 (en) * 2001-07-24 2013-11-27 JFE Steel Corpora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JP4196550B2 (en) 2001-08-02 2008-12-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US6676771B2 (en) * 2001-08-02 2004-01-13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7006A (en) 1978-11-28 1981-09-01 Nippon Steel Corporation Annealing separator for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trips
JPS6147887B2 (en) * 1978-11-28 1986-10-21 Nippon Steel Cor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73149T3 (en) 2018-06-20
ES2643750T3 (en) 2017-11-24
TW200525042A (en) 2005-08-01
EP1698706A4 (en) 2007-05-30
EP1698706A1 (en) 2006-09-06
CN1890390A (en) 2007-01-03
EP2559775A1 (en) 2013-02-20
TWI272311B (en) 2007-02-01
EP2559775B1 (en) 2018-04-18
CN100513597C (en) 2009-07-15
KR20060103517A (en) 2006-10-02
WO2005054523A1 (en) 2005-06-16
EP1698706B1 (en)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2236A (en) Method for producing a super low watt loss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6327364B2 (e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80498B1 (e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5143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iented electrical steels
WO2020149347A1 (en) Method for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omagnetic steel sheet
KR100774229B1 (en) Method for anneal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KR101796751B1 (en) Annealing separating agent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 using the same
US7435304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ilicon electrical steel sheet using thereof
KR101089303B1 (en) Method for making forsterite film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JPH05263135A (en) Production of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having metallic luster and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y
JP2683036B2 (en) Annealing agent
JP4569281B2 (en) Annealing separator for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method for anneal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KR10257654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JP2861702B2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an insulating film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5793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ilicon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with superior magnetic properties
JPH08239771A (en)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insulating film and formation of the same insulating film
EP427328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an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trip
JP2005068525A (en) Method for producing grain-oriented magnetic steel sheet having low core loss and high magnetic flux density
JP270603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irror-oriented silicon steel sheet
JPH04350124A (en) Production of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reduced in thickness
JPH11158555A (en) Production of separation agent for annealing and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
JP2895645B2 (en) Method of forming insulating coating on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JPS59215488A (en) Protective coating material for annealing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KR10054473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Superior Punchability and Low Core Loss after Stress Relief Annealing
JP2001192737A (en) Method for producing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 excellent in glass film characteristic and magnetic proper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