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970B1 -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970B1
KR100773970B1 KR1020060129972A KR20060129972A KR100773970B1 KR 100773970 B1 KR100773970 B1 KR 100773970B1 KR 1020060129972 A KR1020060129972 A KR 1020060129972A KR 20060129972 A KR20060129972 A KR 20060129972A KR 100773970 B1 KR100773970 B1 KR 10077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sheet
housing
sound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06012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970B1/ko
Priority to CNA2007101619127A priority patent/CN10120572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11Arrangements of noise-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측으로 착설되는 방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타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을 감쇄시켜 그 수명을 연장시키며, 상기 하우징 내측에 착설된 차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 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흡음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브레이커의 하우징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내부에 실린더(110)와 피스톤(120)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110)의 전방에는 피스톤(120)으로 타격되는 로드(130)가 구비되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하부 내측 벽면에는, 흡음 시이트(150)와 차음 시이트(160)가 일체로 형성된 방음 시이트(170)가 바인더로서 착설토록 되며, 상기 방음 시이트(170)의 차음 시이트(160)와 흡음 시이트(150)는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토록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브레이커, 로드, 차음 시이트, 흡음 시이트, 방음 시이트

Description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A Apparatus for Vibration and Noise prevent of Breaker Housing}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커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브레이커의 소음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 시이트가 착설된 브레이커 하우징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음 시이트가 착설된 브레이커 하우징의 개략 측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브레이커 하우징의 내측 벽면으로 착설되는 방음 시이트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브레이커 하우징 내측 벽면에 착설된 방음 시이트이 비교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브레이커 110...실린더
120...피스톤 130...로드
140...하우징 150...흡음 시이트
160...차음 시이트 170...방음 시이트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장착되는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측으로 방음 시이트를 착설하여, 상기 브레이커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타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한 브레이커의 하우징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굴삭기에 장착되는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부 하측 벽면으로, 흡음 시이트와 차음 시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방음 시이트가 바인더로서 착설토록 되며, 이때 상기 방음 시이트의 차음 시이트와 흡음 시이트는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토록 됨으로써,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측으로 착설되는 방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타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을 감쇄시켜 그 수명을 연장시키며, 상기 하우징 내측에 착설된 차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 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흡음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브레이커의 하우징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의 붐 선단의 아암과 연결되어 각종 토목작업을 수행하는 브레이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압을 통한 굴착등과 같은 작업시 실린더와 연설된 로드의 타격에 의해 소음 및 진동등이 극심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브레이커의 소음 방지구조에 있어서는 한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0529508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레이커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1)와 피스톤(2)을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의 전방에는 피스톤(2)으로 타격되는 로드(3)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로드(3)는 선단이 뾰족하게 되어 건물이나 도로를 쪼개거나 부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1)의 전방과 후방에는 굴삭기의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하우징(4)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4) 내부에는 브레이커의 로드(3)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내부에 흠음판(16)이 다수개 착설되어 이를 측판(11)과 상판(12) 및 밑판(13)으로 감싸서 고정시키고, 상기 피스톤(2)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별도의 타격 소음을 흡수시키는 흡수체(17)가 내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브레이커 소음방지 구조는, 실린더(1)와 연설된 피스톤(2)에 의해 로드(3)가 상,하강 동작을 반복하여 물체를 타격하게 되며, 이때 상기 로드(3)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하우징(4) 내부의 흡음판(16)을 통해 흡수하는 한편, 상기 피스톤(2) 내부의 흡수체(17)를 통하여 타격 소음을 흡수하는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커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3)가 상하 이동에 의한 타격시 발생되는 극심한 소음 및 진동은, 상기 로드(3)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 하여 브레이커에 전달되는 관계로, 상기 하우징 하단부가 타격에 따른 진동에 극히 취약하게 되며, 이에따라 브레이커에 전달되는 진동등을 제대로 흡수할 수 없게 됨은 물론, 브레이커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브레이커 하우징의 동력 전달계통의 정비를 위한 개방시, 하우징 전체를 분해 및 조립함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극히 저하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측으로 착설되는 방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타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을 감쇄시켜 그 수명을 연장시키며, 상기 하우징 내측에 착설된 차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 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흡음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커의 하우징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부에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는 피스톤으로 타격되는 로드가 구비되는 브레이커에 있어서,
굴삭기에 장착되는 브레이커의 하우징 하부 내측 벽면으로, 흡음 시이트와 차음 시이트가 일체로 형성된 방음 시이트가 바인더로서 착설토록 되며, 상기 방음 시이트의 차음 시이트와 흡음 시이트는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의 하우징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때, 상기 방음 시이트의 흡음 시이트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흡음재가 사용되며, 또한 차음 시이트는 니트릴부타디엔 러버(Nitrile-Butadiene Rubber), 마그네슘 철판, Cr 발포 러버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 시이트가 착설된 브레이커 하우징의 개략 정단면 및 측단면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브레이커 하우징의 내측 벽면으로 착설되는 방음 시이트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내부에 실린더(110)와 피스톤(120)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110)의 전방에는 피스톤(120)으로 타격되는 로드(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하부 내측 벽면에는, 흡음 시이트(150)와 차음 시이트(160)가 일체로 형성된 방음 시이트(170)가 바인더로서 착설토록 되며, 상기 방음 시이트(170)의 차음 시이트(160)와 흡음 시이트(150)는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굴착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브레이커(10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내부에 실린더(110)와 연설되는 피스톤(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로드(130)가 물체를 타격하여 분쇄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브레이커(100)의 로드(130)가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 내측 벽면에는 흡음 시이트(150)와 차음 시이트(160)가 일체로 적층 형성되는 방음 시이트(170)가 바인더로서 착설토록 된다.
한편, 상기 방음 시이트(170)를 구성하는 흡음 시이트(150)는, 흡음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Polyester) 계열의 흡음재를 사용하며, 상기 흡음 시이트(150)와 함께 적층되어 방음 시이트(170)를 구성하는 차음 시이트(160)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의 밀페성을 높이면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니트릴부타디엔 러버(Nitrile-Butadiene Rubber) 또는 마그네슘 철판, Cr 발포 러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하측인 로드(130)의 타격에 의해 극심한 소음이 제일 유발되는 내측 벽면을 감싸는 형태로 바인더로서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방음 시이트(170)를 구성하는 흡음 시이트(150)와 차음 시이트(160)의 적층비는, 차음 시이트(160)를 기준으로 하여 흡음 시이트(150)를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흡음 시이트(150)의 구성비가 차음 시이트(160) 보다 1:4 이하일 경우에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내부의 밀폐성은 우수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로드(130)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흡음 시이트(150)의 구성비가 차음 시이트(160) 보다 1:6 이상일 경우에는, 로드(130)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력은 우수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내부를 밀폐시키는 차음 시이트(160)의 두께가 너무 얇게되어, 소음의 밀폐성이 저하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음 시이트(170)를 구성하는 흡음 시이트(150)와 차음 시이트(160)의 적층비가, 차음 시이트(160)를 1을 기준으로 하여 흡음 시이트(150)를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레이커 하우징 내측 벽면에 착설된 방음 시이트이 비교 그래프도로서, 로드(130)의 타격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종래의 브레이커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값이, 본 발명의 방음 시이트(170) 설치에 따라 소음이 감소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브레이커 하우징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에 의하면, 브레이커의 하우징 내측으로 착설되는 방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로드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극심한 타격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을 감쇄시켜 그 수명을 연장시키며, 상기 하우징 내측에 착설된 차음 시이트를 통하여 브레이커 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흡음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내부에 실린더(110)와 피스톤(120)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110)의 전방에는 피스톤(120)으로 타격되는 로드(130)가 구비되는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커(100)의 하우징(140) 하부 내측 벽면에는, 흡음 시이트(150)와 차음 시이트(160)가 일체로 형성된 방음 시이트(170)가 바인더로서 착설토록 되며, 상기 방음 시이트(170)의 차음 시이트(160)와 흡음 시이트(150)는 1:4 ~ 1:6의 비율로 적층 형성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하우징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시이트(170)를 구성하는 흡음 시이트(150)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흡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하우징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시이트(170)를 구성하는 차음 시이트(160)는, 니트릴부타디엔 러버(Nitrile-Butadiene Rubber), 마그네슘 철판, Cr 발포 러버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하우징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 치.
KR1020060129972A 2006-12-19 2006-12-19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077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72A KR100773970B1 (ko) 2006-12-19 2006-12-19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CNA2007101619127A CN101205727A (zh) 2006-12-19 2007-09-26 碎石器的防振/防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972A KR100773970B1 (ko) 2006-12-19 2006-12-19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970B1 true KR100773970B1 (ko) 2007-11-08

Family

ID=3906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972A KR100773970B1 (ko) 2006-12-19 2006-12-19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3970B1 (ko)
CN (1) CN101205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78B1 (ko) 2008-04-24 2010-05-07 문병윤 브레이커의 소음방지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1183U (ja) * 1983-09-29 1985-04-27 株式会社山田重機 コンクリ−トブレ−カの空打防止機構
JPH0661183A (ja) * 1992-08-05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パッタエッチング装置
KR20000012876A (ko) * 1998-08-01 2000-03-06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1183U (ja) * 1983-09-29 1985-04-27 株式会社山田重機 コンクリ−トブレ−カの空打防止機構
JPH0661183A (ja) * 1992-08-05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パッタエッチング装置
KR20000012876A (ko) * 1998-08-01 2000-03-06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번호 실2000-0012876
일본공개실용공보 소60-61183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78B1 (ko) 2008-04-24 2010-05-07 문병윤 브레이커의 소음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5727A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9270B2 (ja) 遮音材付仮設足場
KR101121076B1 (ko)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철골구조물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2009413B1 (ko) 저소음 브레이커
KR100773970B1 (ko)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20120005908A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0773971B1 (ko) 브레이커의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0647466B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저소음 장치
KR100906468B1 (ko) 저소음형 유압 타격 장치
KR101197158B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200459112Y1 (ko) 브레이커의 본체 결합구조
CN204006567U (zh) 一种发电层通风口减震消声装置
CN104110813A (zh) 一种发电层通风口减震消声装置
KR20200000073U (ko) 저소음형 중장비 브레이커
JP2006022568A (ja) 防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加工装置
KR200437301Y1 (ko) 저소음형 브레이커
KR200448270Y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KR200432315Y1 (ko) 저소음형 유압 브레이커
KR200405525Y1 (ko) 파일 해머의 소음 저감 장치
KR100630438B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200372342Y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저소음 구조
KR20080098285A (ko) 치즐로의 소음 노출이 저감될 수 있는 유압 브레이커
KR200390190Y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CN201232365Y (zh) 一种新型密目式安全网
JP6686102B2 (ja) 防振型防音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