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896B1 - 프레스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896B1
KR100773896B1 KR1020060109742A KR20060109742A KR100773896B1 KR 100773896 B1 KR100773896 B1 KR 100773896B1 KR 1020060109742 A KR1020060109742 A KR 1020060109742A KR 20060109742 A KR20060109742 A KR 20060109742A KR 100773896 B1 KR100773896 B1 KR 10077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vity
resin
upper mold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조
Original Assignee
(주)동아이엔지
강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이엔지, 강병조 filed Critical (주)동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10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07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성형 금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프레스 성형 금형은 저면에 수지가 충진되어 성형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금형 및 이 상부금형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캐비티를 폐쇄하는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스 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외곽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면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홈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은 외면이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될 수 있게 외곽 테두리부가 하부측으로 진행하면서 축소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은 가압시 캐비티에서 유출된 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 외곽 테두리부에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부 내주면측이 요입되어 미처리된 유출 수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프레스 성형 금형은 캐비티 상에 충진된 수지를 가압성형할 때 높은 압력에 의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의 형합경계면을 통해 수지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소한 구조에 의해 금형에서 수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성형품의 품질 개선과 금형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프레스, 금형, 수지, 충진, 가압

Description

프레스 성형 금형{Press Mol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프레스 성형 금형에서의 수지 도포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형
10 : 상부금형
11 : 캐비티
13 : 단차
15 : 끼움부
20 : 하부금형
25 : 끼움홈부
26 : 수용홈
30 : 수지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과 글라스 파이버를 혼합한 수지를 캐비티내에 충진시키고 이를 가압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력에 의해 수지가 상·하부금형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하여 성형품의 품질을 높이면서 금형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프레스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내부에 성형품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금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금형은 성형품의 형태로 가공되어 있는 공간부인 캐비티(110)가 형성된 상부금형(100)의 상측에 수지(3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을 형합시키면 수지가 캐비티(110) 내에서 균일하게 퍼지면서 충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비티(110)내에 충진된 수지(300)는 고화되면서 결과적으로 성형품의 형태를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금형은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은 상호 강한 압력으로 형합되는 것에 의해 캐비티(110)내에 충진된 수지의 일부가 이들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의 형합경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흘러나와 결과적으로 성형품의 품질 불량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수지의 낭비와 성형후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의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상호 형합될 때 형합경계면 사이로 수지가 흘러나오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하여 성형품의 품질향상과 금형의 외관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프레스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금형은, 저면에 수지가 충진되어 성형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금형 및 이 상부금형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캐비티를 폐쇄하는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스 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외곽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면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홈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은 외면이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될 수 있게 외곽 테두리부가 하부측으로 진행하면서 축소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은 가압시 캐비티에서 유출된 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 외곽 테두리부에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부 내주면측이 요입되어 미처리된 유출 수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금형의 단차부가 위치되는 하부금형의 모서리부분은 라운딩 가공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금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프레스 성형 금형에서의 수지 도포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 금형은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은 성형품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인 캐비티(11)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캐비티(11)에는 수지(30)를 일정량 도포하여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을 형합시키는 것에 의해 성형품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2는 비교 적 연질이면서 단일 재질로 된 수지(30)를 성형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이고, 도 3은 폴리우레탄과 파이버 글라스와 같이 이종의 소재를 성형하고자 할 때 도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수지(30)의 도포 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성형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금형(1)은 크게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으로 구성되며, 이들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은 상호 성형품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인 캐비티(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부금형(10)에 캐비티(11)를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부금형(20)에 캐비티(11)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에 대칭되게 캐비티(11)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금형(10)은 하부금형(20)과 맞닿는 대향면으로 캐비티(11)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이에 대향되는 하부금형(20)은 평탄한 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금형(1)은 종래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이 상호 형합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캐비티(11)내의 수지(30)가 금형(1)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여 수지(30)의 소모량을 줄이면서 성형품의 양호한 성형상태를 보장하고 금형(1)의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을 상호 끼움구조로 결합 구비시켜 형합 경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캐비티(11)내의 수지(30)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중 어느 하나는 외곽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는 끼움홈부(25)를 돌출 형성하고, 이에 대향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금형은 그 외주면이 상기 끼움홈부(25)에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끼움부(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끼움홈부(25)와 끼움부(15)는 모서리 부분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로 라운딩 가공되어 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금형(20)은 외곽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면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홈부(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10)은 외면이 상기 끼움홈부(25)에 끼움될 수 있게 외곽 테두리부가 하부측으로 진행하면서 축소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10)은 가압시 캐비티(11)에서 유출된 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 외곽 테두리부에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단차(13)가 형성되고, 상 기 하부금형(20)은 상부 내주면측이 요입되어 미처리된 유출 수지를 수용하는 수용홈(2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프레스 성형 금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이 상·하로 분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1)에 소정량의 수지(30)를 도포한다. 이때의 수지(30)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도포될 수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캐비티(11) 또는 그 일면에 수지(30)를 도포한 뒤에는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을 상호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형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이 상호 형합되면서 상기 캐비티(11) 또는 그 일면에 도포된 수지(30)가 캐비티(11)의 빈 공간을 채우면서 성형품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 작용시 수지(30)에는 상당한 압력이 가해지지만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이 상호 끼움 구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수지(30)의 유출량을 억제하며,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의 틈 사이로 유출되는 수지는 상부금형(10)의 단차(13)에 의하여 확장된 공간부에 의하여 지나치게 많은 수지를 도포하였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외부까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단차(13) 부분에서 미처 수용하지 못한 미처리된 유출 수지는 하부금형(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26)에서 수용되므로 결과적으로 수지가 금형(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되게 차단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프레스 성형 금형은 캐비티 상에 충진된 수지를 가압성형할 때 높은 압력에 의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의 형합경계면을 통해 수지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소한 구조에 의해 금형에서 수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성형품의 품질 개선과 금형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저면에 수지가 충진되어 성형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금형 및 이 상부금형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캐비티를 폐쇄하는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는 프레스 성형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외곽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융기되면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홈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은 외면이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될 수 있게 외곽 테두리부가 하부측으로 진행하면서 축소되는 형태를 갖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은 가압시 캐비티에서 유출된 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 외곽 테두리부에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부 내주면측이 요입되어 미처리된 유출 수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단차부가 위치되는 하부금형의 모서리부분은 라운딩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금형.
KR1020060109742A 2006-11-08 2006-11-08 프레스 성형 금형 KR10077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42A KR100773896B1 (ko) 2006-11-08 2006-11-08 프레스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42A KR100773896B1 (ko) 2006-11-08 2006-11-08 프레스 성형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896B1 true KR100773896B1 (ko) 2007-11-07

Family

ID=3906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742A KR100773896B1 (ko) 2006-11-08 2006-11-08 프레스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8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344A (ja) * 1996-03-31 1997-10-14 Press Kogyo Kk 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用金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344A (ja) * 1996-03-31 1997-10-14 Press Kogyo Kk 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用金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39903B (zh) 树脂制品
CN107009580A (zh) 一种无飞边模具
KR100773896B1 (ko) 프레스 성형 금형
JP2008201461A (ja) 内容物充填ボトルの製造方法
US11572220B2 (en) Paper lid
CN206065218U (zh) 一种磨具成型模具
JP4869678B2 (ja) 圧縮木製品の製造方法
CN102133734B (zh) 具有侦测窗的研磨垫及其制造方法
CN107262672B (zh) 一种冒口结构、砂芯及防止冒口渗漏铁水的方法
KR100592059B1 (ko) 브라더 가류용 금형
KR101285308B1 (ko) 화학적 기계연마장치의 리테이너 링 제조방법
CN210525433U (zh) 异形浸入式成型模具顶盖
CN206297110U (zh) 一种成型模具司筒顶出组件
CN204123282U (zh) 一种新型砂轮磨具
JP6830982B2 (ja) 2色成形品の製造方法
CN202399476U (zh) 一种防溢胶的模具结构
CN207681314U (zh) 金属圆片拉丝上模
CN202344415U (zh) 砂轮模具
JP5285482B2 (ja) 樹脂成形金型
CN207273717U (zh) 一种无飞边模具
CN206598362U (zh) 一种耐磨损胶套
CN105081997B (zh) 砂轮节块成型模具及其上压头和下压头
CN206689298U (zh) 一种简易普冲冲凹模具
CN209595407U (zh) 一种杯身及其智能保温杯
CN205904380U (zh) 一种新型节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