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764B1 -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764B1
KR100772764B1 KR1020050104139A KR20050104139A KR100772764B1 KR 100772764 B1 KR100772764 B1 KR 100772764B1 KR 1020050104139 A KR1020050104139 A KR 1020050104139A KR 20050104139 A KR20050104139 A KR 20050104139A KR 100772764 B1 KR100772764 B1 KR 10077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n
weight
coating film
multilay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423A (ko
Inventor
박영태
장용호
연종륜
박평삼
오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7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도막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함유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도 도막층 및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부터 형성된 상도 도막층을 포함하는 다층 도막은 기재와의 접착성, 내수성 및 색의 구현이 좋을 뿐만 아니라, 유성 도료와 물성이 유사하여,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 등 다양한 소재 및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MULTI COATED LAYERS FOR ELECTRONIC APPLIANCE OR MOBILE PHONE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전자가전용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에 적용된 소재로는 플라스틱 소재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응용은 초기 자동차 범퍼 및 일부 부품에서의 적용에서 컴퓨터, 핸드폰과 같은 사무, 전기 부품 및 일반적인 가정용품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플라스틱은 가볍고 열에 의한 성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도 내구성 및 충격성이 강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플라스틱을 도장하는 이유는 미적인 외관을 통한 소비효과의 증대도 있으나, 도장을 통한 소재의 오염성 증가, 내화학적으로 스크래치 및 용제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플라스틱 소재는 다음과 같은 도장상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첫째, 플라스틱이 열에 대하여 민감하기 때문에 각 플라스틱 소재가 견딜 수 있는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폴리머가 파괴된다.
둘째, 용제에 대한 민감성으로 플라스틱 성형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셋째, 유연성으로 플라스틱 제조시 적용되는 가소제로 인하여 도막의 부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넷째, 낮은 표면장력으로 도막의 소재에 대한 부착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유성 도료를 자극적인 강한 용제를 적용하여 플라스틱 소재에 도장해왔으나, 이는 도장 작업시 용제 냄새로 인하여 작업자들의 건강에 막대한 악영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도장 후 다량의 강력한 용제로 인한 소재의 크랙 발생률이 높아 제품의 불량품이 생기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특히, 핸드폰이나 가전제품의 경우 신체와의 접촉 빈도수가 많으므로 도막을 다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와 같은 유기 용매 도료계는 환경 문제로 인해 지지를 잃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성 시스템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핸드폰 하도 도료/상도 도료 시스템에 적절한 저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는 도료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하도막/상도막의 다층 도막 시스템은, 특히 자동차 도장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169,719호에는 자동차 수성 하도 도료 중의 주요 수지 및 안료 분쇄물 수지로서 유용한 수-희석성 폴리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고, 플라스틱용 수용성 2액형 도료로서 한국특허 제 2001-0060098호 에는 수용성 아크릴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저온경화형 플라스틱용 상도 도료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용성 도료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해야 하는 핸드폰용 하도 도료로 사용하기에는 색상의 혼용성, 소재의 부착성, 상도도료와의 접착성이 미흡하며, 상도 도료는 특히 내수성, 내알콜성이 미흡하여 핸드폰용으로 적용하기에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및 상도 도막과의 접착이 우수하며 색의 구현이 좋은 하도 도료 조성물과, 유성 도료와 물성이 유사한 상도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다층구조 도막 및 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하도 도막층 및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상도 도막층을 포함하는 다층 도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i) 기재 상에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수성 하도 도료 조성물을 1차 도장한 후 건조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고, ii) 상기 하도 도막 위에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성 상도 도료 조성물로 2차 도장한 후 건 조하여 상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다층 도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 도막은 전자가전용 또는 핸드폰용으로 적용하기에 매우 유리한 상도/하도 시스템으로서, 하도용 도료 조성물이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고 상도용 도료 조성물이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은 도장층의 색의 구현을 좋게하고, 기재와의 접착과 상도 도막과의 접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도 도료 조성물은 유성도료와 유사한 물성을 지니고, 작업성의 개선과 낮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유로 작업자의 유해성 감소 및 환경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도용 수성 도료 조성물은 전체 하도 도료 조성물의 함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30 ∼ 50 중량%, 물 30 ∼ 50 중량%, 안료 2 ∼ 20 중량% 및 용제 5 ∼ 1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선형의 카보네이트 폴리올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합성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통상의 시판되는 수분산 형태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pH가 6.5∼7.5, 점도는 8∼15 sec(ZAHN cup #3 점도계)이고, MFT(Minimum film forming temperature)가 5℃ 이하인 제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고형분의 함량은 35 내지 45 중량%이고, 하도 도료조성물 중의 상기 수지 고형분의 함량은 대략 10.5 내지 22.5 중량%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기재에 대한 부착력, 상도 도막과의 결착력, 도료의 저장 안정성, 입자가 큰 메탈릭 안료의 배향에 유리하다. 도막이 젖은 상태에서 판상의 메탈릭 안료는 표면과 평행으로 배열되어야 메탈릭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그 역할을 최대화하며, 물성적인 측면에서는 소재 및 상도와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상도 도료 도장 후 내수성 측정시 뛰어난 물성 증대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료로는 메탈릭 안료로서 표면처리된 메탈릭 안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플레이크, 마이카 플레이크 등이 있으며, 착색 안료로는 산화티타늄, 산화철, 산화크롬, 카본블랙과 같은 무기안료와 프탈로이소시아닌 그린, 프탈로 이소시아닌 블루, 인단쓰론 블루, 퀴나크리돈 바이올렛과 같은 유기안료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료를 증류수, 용제 및 분산제와 혼합하여 수분산액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수분산액 형태인 안료 분산물은 10 ∼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제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이써 아세테이트, 에톡시에탄올, 부톡시에탄 및 프로필알코올 등이 있으며, 특히 부틸아세테이트는 안료의 분산 및 표면 형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하도도료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제로서 통상의 웨팅(wetting)제, 레벨링제, 분산제, 증점제 및 중화제 등이 효과량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성 하도도료 조성물은 점도가 20 ∼ 40 sec(ZAHN cup #3 점도계) 범위인 것이 도료액의 안정성 및 도장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도용 수성 도료 조성물은 전체 상도 도료 조성물의 함량에 대하여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 30 ∼ 70 중량%, 경화제로서 친수성기를 지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 40 중량%, 용제 1 ∼ 10 중량% 및 증류수 1 ∼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도용 수성 도료 조성물은, 수용성 수지로서 사용된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에스테르수지의 혼합수지가 경화제로서 사용된 친수성을 지닌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가교되어 도막으로 형성되며, 안료를 함유한 하도 도막과의 접착력이 좋으면서도 유성 도료와 유사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고광택용으로 또는 실리카와 같은 소광제를 첨가하여 무광택용으로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일반적으로 불용성 단량체들이 쉽게 분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면활성제와 아크릴 단량체로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매크로 니트릴, 메타크로 니트릴,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실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단량체, 말레산, 아이타콘산, 아크릴 아마이드, n-메틸올 아크릴 아마이드, 디아세톤 아크릴 아마이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클로라이드 등을 조합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통상의 시판되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2 ∼ 3 당량의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2 ∼ 3 당량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되며, 통상의 시판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도 수지인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혼합수지는 고형분함량 30 ∼ 50%의 수분산 형태로 사용되며, OH%는 고형분 대비 3.0 ∼ 4.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상기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형분 대비 20:80 ∼ 8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성 상도 도료용 경화제로는 친수성기를 지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10 ∼ 40 중량% 사용하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헥사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HDI)과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가 있으며, 이중 NCO%가 12 ∼ 22%인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상도 도료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수용성 수지의 하이드록시기([NCO]/[OH])의 당량비는 1/1 ∼ 1.5/1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성 상도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용제로는 에스테르계 또는 아세테이트계 용제를 1 ∼ 10 중량%를 사용하며, 이는 수용성 수지와의 상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수성 상도도료 조성물에는 통상적인 기타 첨가제로 웨팅제, 레벨링제 등을 1 ∼ 10 중량%를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수성 상도도료 조성물은 점도가 8 ∼ 20sec(ZAHN cup #3 점도계)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하도 도료 조성물과 상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층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보네이트 폴리올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합성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물에 넣고 충분히 분산시킨후, 안료를 미리 증류수, 용제 및 분산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수분산액 형태인 안료분산물, 용제 및 첨가제를 순서대로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시켜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도 도료 조성물로서,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에 물을 넣어 충분히 분산시킨 후, 경화제로서 친수성기를 지닌 이소시아네이트 화 합물, 용제 및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시켜 상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을 플라스틱 기재에 1차 도장하여 건조한 다음, 얻어진 하도 도막상에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을 2차 도장하여 건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도막이 적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 (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BS), 폴리비닐클로라이트(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하이임펙트폴리스타이렌(HIPS)등이 있으며, 도장 작업은 통상의 방법, 예컨대 스프레이법을 사용하여, 도막 두께는 하도의 경우 4 ∼ 15㎛가 되도록 도장하며, 상도의 경우 15 ∼ 30㎛가 되도록 도장한다. 도장 후 건조 온도는 50 ∼ 80℃가 바람직하며, 이는 소재 및 작업장의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층 도막에 있어서, 하도 도막은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수성 하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재 및 상도 도료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색의 구현이 좋으며, 상도 도막은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는 수성 상도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유성 도료와 동일한 물성 및 작업상의 개선과 환경 오염 방지 효과를 제공하므로,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수성 하도 도료 조성물 제조
다음의 표 1의 함량으로 표면 처리된 알루미늄 플레이크(Eckrt사 Hydrolan-2197)와 증류수, 용제(n-부틸 셀로솔브, 웨팅제(wetting agent)(Air product사의 AD-01), 분산제(BYK사 BYK-180)를 혼합하여 수분산액 형태인 안료분산물을 미리 제조하고, 카보네이트 폴리올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여 합성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고형분이 40%인 Bayer사 VPLS-2952)에 물을 넣고 충분히 분산시킨 후, 상기 안료분산물, 용제 및 레벨링제(levelling agent)(BYK사 BYK-346), 분산제(BYK사 BYK-180), 증점제(Rhoman Hass사 RM-825) 및 중화제로서 3차 아민을 각각 순서대로 첨가하고 교반하여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합성수지는 에멀젼(고형분이 40%인 스타이렌-아크릴계 에멀젼 타입의 ALBERDINK 사의 AS-261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표 1]
Figure 112005063010852-pat00001
시험예 1 : 하도 도막 제조 및 이의 물성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수성 도료 조성물들을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시편에 10㎛ 두께로 스프레이 한 후, 건조기에서 7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하도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도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소재 부착성 시험
각각의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2㎜ 크로스 컷 (cross cut) 테이프 부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2) 도막 외관 시험 및 휘도
각각의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도막의 외관을 육안관찰 하였다.
(3) 상도 부착성
각각의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 상에 바스프(BASF)사의 수성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PE 22WN)을 20㎛ 두께로 스프레이 하여 건조기에서 60℃에서 5분 건조하고, 이를 IR 구간에서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2㎜ 크로스 컷(cross cut)테이프 부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4) 내수성 시험
각각의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 상에 바스프(BASF)사의 수성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PE 22WN)을 20㎛두께로 스프레이 하여 건조기에서 60℃에서 5분 건조하여 IR 구간에서 경화시킨 다음,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물을 100℃에서 1시간 끓인 다음 헝겊으로 물을 제거하여 실온 2시간 방치하여 외관을 확인하고 2㎜ 크로스 컷(cross cut) 테이프 부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2]
Figure 112005063010852-pat00002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성 하도 도료 조성물로부터 얻은 하도 도막은 각 소재와의 부착성 및 상도와의 부착성이 뛰어나며, 이로 인해 내수성 또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막외관 및 휘도면에서도 뛰어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 수성 상도 도료 조성물 제조
다음 표 3과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를 수지와 수용성 아크릴 수지 혼합물(수지 1) (AKZO NOVEL사, AQ-47 OH% 4.2)에 물을 넣고 충분히 분산시킨 후, 웨팅제(wetting agent)(BYK사 BYK-346) 및 레벨링제(levelling agent)(BYK사 BYK-380), 용제(에틸에톡시프로피노네이트) 및 경화제로 친수성기를 지닌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중 HDI 타입으로 NCO%가 22%인 화합물(Rhodia사 WAT-1)을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수용성 상도도료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2
통상의 시판제품인 하이드록시기를 지닌 수용성 아크릴 우레탄 수지(애경사의 AUD-5900)(수지 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상도 도료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통상의 시판제품인 하이드록시기를 지닌 수용성 아크릴 수지(ALBERDINK사의 AC-2957VP)(수지 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상도 도료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112005063010852-pat00003
시험예 2 : 상도 도막 제조 및 이의 물성 시험
실시예 2 및 비교예 2 ∼ 3에서 얻은 도료조성물을 각각 하도 도막 시편에 25㎛ 두께로 스프레이 한 후 건조기에서 7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상도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도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1) 도막 외관 및 광택
하도 도장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육안관찰 하였다.
(2) 상도 부착성
하도 도장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2㎜ 크로스 컷(cross cut) 테이프 부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3) 내수성
하도 도장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물 100℃에서 1시간 동안 끓인다음, 헝겊으로 물을 제거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방치하여 외관을 확인하고 2㎜ 크로스 컷(cross cut)테이프 부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4) 내 알코올성
하도 도장 시편위에 형성된 도막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순도 99%의 메탄올 하에 하중 추에 고정된 고무 지우개 왕복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4]
Figure 112005063010852-pat00004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상도 도료 조성물로부터 얻은 상도 도막은 도막 외관 및 광택, 내알콜성 및 상도부착성이 뛰어나며, 이로 인해 내수성 또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 특정의 하도/상도 도막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하도 도막은 상도 도막 및 각종 소재와의 부착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며, 도막외관 및 휘도가 뛰어나고, 상도 도막은 하도 도막과의 부착성, 도막 외관 및 광택, 내알콜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상도/하도 도막 시스템은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 등 다양한 소재 및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30 ∼ 50 중량%, 물 30 ∼ 50 중량%, 안료 2 ∼ 20 중량% 및 용제 5 ∼ 10 중량%를 함유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하도 도막층, 및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 30 ∼ 70 중량%, 경화제로서 친수성기를 지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 40 중량%, 용제 1 ∼ 10 중량% 및 물 1 ∼ 30 중량%를 함유하는 수성 도료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상도 도막층을 포함하는 다층도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형분 함량 35 내지 45 중량%의 수분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막.
  4.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선형의 카보네이트 폴리올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합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막.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형분 대비 20:80 ∼ 80:2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는 고형분 함량 30 내지 50 중량%의 수분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막.
  8. 제1항에 있어서, 혼합수지의 하이드록시기 함량(OH%)을 고형분 대비 3.0 ∼ 4.5 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도막.
  9.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하이드록시기([NCO]/[OH])의 당량비가 1/1 ∼ 1.5/1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도막.
  10. i) 기재 상에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수성 하도 도료 조성물을 1차 도장한 후 건조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고,
    ii) 상기 하도 도막 위에 수용성 아크릴수지와 하이드록시기-함유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성 상도 도료 조성물로 2차 도장한 후 건조하여 상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다층 도막의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도 도료 조성물의 점도는 20 내지 40sec(ZAHN cup #3 점도계)이고, 상도 도료 조성물의 점도는 8 내지 20 sec(ZAHN cup #3 점도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하도 도막의 두께는 4 ∼ 15㎛, 상도 도막의 두께는 15 ∼ 3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도 또는 하도 도막 형성시의 건조온도가 50 ∼ 8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의 다층도막을 포함하는 전자가전.
  15. 제1항의 다층도막을 포함하는 핸드폰.
KR1020050104139A 2005-11-02 2005-11-02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77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39A KR100772764B1 (ko) 2005-11-02 2005-11-02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39A KR100772764B1 (ko) 2005-11-02 2005-11-02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423A KR20070047423A (ko) 2007-05-07
KR100772764B1 true KR100772764B1 (ko) 2007-11-01

Family

ID=3827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39A KR100772764B1 (ko) 2005-11-02 2005-11-02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74B1 (ko) * 2008-07-22 2010-10-04 이성민 플라스틱 도장용 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플라스틱 케이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512B1 (ko) * 2016-01-15 2017-12-22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655A (ja) * 1995-03-30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耐食性、耐指紋性に優れた塗装鋼板
JP2000072984A (ja) 1998-08-31 2000-03-07 Mizuno Corp 金属ゴルフクラブヘッド用塗料、該塗料の塗膜で被覆された金属ゴルフクラブヘッド塗装体、金属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塗装方法並びにゴルフクラブ
JP2004025668A (ja) 2002-06-26 2004-01-29 Kawatetsu Galvanizing Co Ltd プレコート金属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655A (ja) * 1995-03-30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耐食性、耐指紋性に優れた塗装鋼板
JP2000072984A (ja) 1998-08-31 2000-03-07 Mizuno Corp 金属ゴルフクラブヘッド用塗料、該塗料の塗膜で被覆された金属ゴルフクラブヘッド塗装体、金属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塗装方法並びにゴルフクラブ
JP2004025668A (ja) 2002-06-26 2004-01-29 Kawatetsu Galvanizing Co Ltd プレコート金属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274B1 (ko) * 2008-07-22 2010-10-04 이성민 플라스틱 도장용 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플라스틱 케이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423A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9301B (zh) 用于水性涂料组合物的粘合增进剂
EP2986681B1 (en) A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JP4836542B2 (ja) 塗料組成物
CN113652134B (zh) 耐污染性消光水性涂料组合物及耐污染性消光涂膜形成方法
CN101020727B (zh) 水性乳液聚合物
US11572487B2 (en) Water based sealer with superior durability
KR101811512B1 (ko) 다층 코팅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5187622B2 (ja) 遮熱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遮熱塗膜の形成方法並びに遮熱塗膜
AU701707B2 (en) Method of forming multi-layer paint films, base coat composition and method of painting
KR100772764B1 (ko) 전자가전 또는 핸드폰용 다층 도막 및 이의 형성방법
JP5775800B2 (ja) 1液常温架橋型水性被覆組成物
JP4477995B2 (ja) 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JP4847680B2 (ja) 水性塗料、該水性塗料の製造方法及び塗装方法
JP2013215887A (ja) 金属調プラスチック及びプラスチックの塗装方法
KR20010060098A (ko) 저온경화형 수용성 플라스틱용 도료 조성물
CN110036076A (zh) 用于面漆的具有丙烯酸系树脂和三聚氰胺树脂作为主要树脂的漆料组合物
US6613826B2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KR101057615B1 (ko) 레이저 에칭용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JP5342457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
JP2000178500A (ja) 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仕上げ方法
KR102463072B1 (ko) 특수 무늬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
JP5053508B2 (ja) 被覆用樹脂組成物
JP2005270896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および光輝性塗装物
JP2010167402A (ja) 表面仕上げ方法
KR20110116715A (ko) 유성 아크릴 하도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2액형 유성 아크릴 하도 도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