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774B1 -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774B1
KR100771774B1 KR1020060075497A KR20060075497A KR100771774B1 KR 100771774 B1 KR100771774 B1 KR 100771774B1 KR 1020060075497 A KR1020060075497 A KR 1020060075497A KR 20060075497 A KR20060075497 A KR 20060075497A KR 100771774 B1 KR100771774 B1 KR 10077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lower
protective guard
dust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839A (ko
Inventor
시게키 코바야시
이사오 타치바나
츠토무 타카하시
토시카즈 니시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F05D2260/607Preventing clogging or obstruction of flow paths by dirt, dust, or foreign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50Control logic embodiments
    • F05D2270/52Control logic embodiments by electrical means, e.g. relays or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과제
흡입구에 필터나 보호 가드를 갖는 송풍기에 있어서, 필터나 보호 가드 등에 진애를 용이하게 부착시키지 않도록 한 송풍 장치를 얻는다.
해결 수단
배면측에 흡입구(12) 및 정면측에 취출구(13)를 갖는 본체 상자(11)와, 이 본체 상자 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15)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축류 팬(14)과,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21) 및 타임 스위치(22)와, 상기 흡입구에 마련된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와, 상기 축류 팬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판(19)을 구비하고, 이 원판을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장착한다.
송풍 장치

Description

송풍 장치{Blower Unit}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송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보호 가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상면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송풍 장치의 회로도.
도 5는 1대의 송풍기를 갖는 송풍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상면도.
도 7은 도 5의 배면도.
도 8은 3대의 송풍기를 갖는 송풍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상면도.
도 10은 도 8의 배면도.
도 11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송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송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환기 팬의 경우의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면도.
도 15는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송풍 장치의 배면도.
도 16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송풍 장치의 상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상자 12 : 흡입구
13 : 취출구 14 : 축류 팬
15 : 모터 16 : 오리피스
17 : 에어 가이드 18 : 필터 또는 보호 가드
19, 19A, 19B : 원판 20 : 장착 다리
21 : 릴레이 스위치 21a, 21b : 접점
21c : 코일 22 : 타임 스위치
22a : 접점 25 : 필터 장착 테두리
26 : 필터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흡입구에 필터나 보호 가드를 갖는 송풍기에 있어서, 필터나 보호 가드 등에 진애(塵埃)를 용이하게 부착시키지 않는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예를 들면 실내의 송풍을 행하는 송풍기의 경우, 실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진애가 송풍기의 흡입구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를 통과할 때에 부착되고,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위에 쌓여 간다. 특히 실내의 진애 농도가 높은 경우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가 단시간에 막힘이 일어나 버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막힌 채로 송풍 장치를 사용한 것으로는, 소정의 송풍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거나 쌓인 먼지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송풍기의 흡입구가 진애에 의해 막힌 경우 소정의 송풍 능력을 발휘시키기 위해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되지만, 송풍 장치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막힘 제거 작업시 비계를 만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당한 중노동이 되고 또한 위험을 수반하는 작업이 된다. 그 때문에 거액의 메인터넌스 비용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송풍기에서 흡입구의 청소를 행하는 송풍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건물의 옥외 측 및 옥내 측에 각각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옥내 측의 단부에 마련된 흡기·배기 겸용의 환기 팬과, 상기 환기 팬의 옥외 측전방에 마련된 흡기·배기 겸용의 환경 필터와, 상기 환경 필터의 양면측을 셔터로 둘러싸고 구획·형성된 재생 공간과, 상기 재생 공간 내의 상기 환경 필터의 양면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그 밖에 종래의 송풍기로 흡입구의 청소를 행하는 송풍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외부 공기를 옥내로 유도하는 통풍로와, 상기 통풍로에 유도된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집진(集塵)하는 집진 필터와, 집진된 진애를 제거하는 집진 필터 청소 수단과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는 통상은 옥내 측으로의 급기(給氣)를 행하고, 집진 필터 청소 종료 후의 진애를 배출하는 동안은 옥외 측으로의 배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그 밖에 종래의 송풍기로 흡입구의 청소를 행하는 송풍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배면측에 흡입구 및 정면측에 취출구(吹出口)를 갖는 본체 상자와, 이 본체 상자의 내부에 마련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축류(軸流) 팬과, 상기 흡입구에 장착된 필터 또는 보호 가드에 축류 팬의 중심부 정면으로 원판을 장착하고, 또한 상기 모터의 제어 회로에 그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하는 스위치 수단과, 이 스위치 수단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타임 스위치를 마련하고, 어떤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역회전 운전을 행하여,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에 부착한 진애를 불어 날려서 청소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4-301423호 공보(청구항 1, 도 1)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5-241093호 공보(청구항 1, 도 1)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5-299493호 공보(청구항 1, 도 1)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환경 필터의 양면 측을 세척용 설비 등을 마련하여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자동 재생형 환기 장치에서는, 환경 필터가 더러워지는 상황에 따른 세척을 행하고 환경 필터의 막힘이 해소됨에 의해 메인터넌스 작업의 경감을 할 수 있지만, 환기 장치와는 별도로 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살수용, 배수용 배관구, 세척용 급수 설비 를 마련하여야 하고 비용이 든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집진 필터와 집진된 진애를 제거하는 브러시와 브러시 회전 장치와 브러시 회전 장치 이동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집진 필터 청소 수단을 구비하고, 통상은 옥내 측으로의 급기(給氣)를 행하고, 집진 필터의 청소시의 동안은 진애를 배출하기 위해 옥외로 배기를 행하는 것으로 하는 환기 송풍 장치에서도, 환기 설비와는 별도로 집진 필터 청소 수단을 마련하여야 하고 비용이 든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가동하는 기구를 위해 집진 필터 청소 수단 자체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송풍기의 흡입측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축류 팬의 중심부 정면으로 원판을 장착하고, 축류 팬을 역회전시킴에 의해 흡입구의 청소를 행하는 송풍 장치에서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에 대한 세척 기구나 가동하는 청소 수단을 마련할 필요는 없지만, 보호 가드와 원판이 접하는 부분이나 원판의 단면 등 먼지가 걸리거나 얽히거나 하는 부분은, 이윽고 먼지가 성장하여, 결과적으로 송풍기의 먼지 제거를 위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다. 한편, 먼지 제거를 위해 원판을 크게 하여 가면 송풍기의 송풍 능력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흡입구에 필터나 보호 가드를 갖는 송풍기에 있어서, 필터나 보호 가드 등에 진애를 용이하게 부착시키지 않도록 한 송풍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송풍 장치는, 배면측에 흡입구 및 정면측에 취출구(吹出口)를 갖는 본체 상자와, 이 본체 상자 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축류 팬과,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타임 스위치와, 상기 흡입구에 마련된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 상기 축류 팬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판을 구비하고, 이 원판이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송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이 송풍 장치가, 예를 들면 3대의 송풍기를 구비한 경우의 보호 가드 부분을 흡입구 측에서 본 정면도, 도 3는 이 보호 가드의 상면(上面)도이다. 도 4는 송풍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 송풍 장치는, 실내의 송풍이나 설비의 냉각용으로서 천정에 매달거나 또는 바닥에 설치 또는 벽에 장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송풍 장치는, 6면 상자 형상의 본체 상자(11)를 구비하고, 본체 상자(11)에는 배면측에 흡입구(12)가, 전면측에 취출구(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 상자(11)의 내부는 송풍기의 대수에 따라 구획되어 있고, 송풍기 1대에 관해, 오리피스(16)의 내부에 마련된 축류 팬(14)과, 회전축에 장착된 축류 팬(14)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15)가 장착되고, 또한 전면측의 취출구(13)를 형성하기 위한 공통의 에어 가이드(1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에는, 본체 상자(11) 내부로 진애 또는 이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호 가드(18)를 대신하여 필터를 마련한 경우도 같은 구성이다. 또한, 도 5부터 도 7은 송풍기가 1대인 것을 나타내고, 도 8부터 도 10은 송풍기가 3대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부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19)이 축류 팬(14)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의 중앙부에 장착 다리(2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즉, 원판(19)은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와의 사이에 장착 다리(20)에 의해 간극을 두고(들뜨게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송풍 장치의 모터(15)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릴레이 스위치(21)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수단과, 이 스위치 수단의 동작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타임 스위치(22)가 모터 구동 회로에 마련되어 있다. 타임 스위치(22)는 송풍 장치의 운전(회전 방향)을 정기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3상 교류 모터(15)는 릴레이 스위치(21)의 접점(21a, 21b)이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1, 2)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 장치는 배면의 흡입구(1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정면의 취출구(13)로부터 공기를 취출하는 통상의 송풍 운전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리고, 타임 스위치(22)에 의해 설정된 시각이 되면, 타임 스위치(22) 내의 접점(22a)이 닫혀 온으로 됨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21)의 코일(21c)에 통전되기 때 문에, 접점(21a, 21b)은 파선으로 도시한 위치(3, 4)로 전환된다. 이로써, V상(相)과 W상이 교체되기 때문에, 모터(15)는 정회전 상태로부터 역회전 상태로 전환되고, 송풍이 역으로 흡입구(12)로부터 나가는 방향으로 행하여지고, 흡입구(12)에 장착된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에 쌓인 진애를 그것이 고착되기 전에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에 흘러가지 않는 축류 팬(14)의 허브 부분에 불어 날리지 않는 먼지가 남기 때문에, 그 부분에 먼지의 부착을 막기 위해 원판(19)을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게다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류 팬(14)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의 중앙부에는 원판(19)이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에 접하는 일 없이 그 사이에 간극을 두고 들뜬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15)의 역회전시에, 흡입구(12)로부터 취출되는 바람의 일부가 원판(19)에 닿아 주위의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를 따라 흘러가기 때문에, 원판(19)의 단부 부근의 진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의 외면에 부착하고 있는 진애를 불어날릴 수 있다. 따라서 원판(19)의 지름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송풍기의 송풍 능력이 저하되는 일 없이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에 부착한 진애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진애를 용이하게 부착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의 청소 메인터넌스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송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 원판(19A)의 외주 단부(19a)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원판(19A)은, 예를 들면 금속의 판금(板金) 가공이나 수지의 성형 가공 등에 의해 만들 수 있다. 그때, 원판(19A)의 외주 단부(19a)를 컬링하는 등에 의해 모서리(角)를 도려서 둥글게 형성한 구조로 한다. 이로써, 먼지 등이 원판(19A)의 외주 단부에 걸리는 일이 더 적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효과에 더하여, 먼지 등이 원판(19A)의 외주 단부에 걸리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송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 원판(19B)의 형상을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중 어느 하나의 흐름에 있어서도 진애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먼지 등이 원판(19B)의 외주 단부에 걸리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18)와 원판(19)은 별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 가능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가드(18)의 일부를 절곡(折曲)하여 장착 다리(20)를 형성하고, 그 장착 다 리(20)의 부분에 원판(19)을 용접하여, 원판(19)과 보호 가드(18)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는 도 13의 환기 팬의 보호 그릴에 있어서의 실시예와 같이 플라스틱 등으로 보호 가드(18)와 원판(19)을 일체 성형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필터의 경우에도 필터와 원판(19)을 일체 성형으로 만들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송풍기를 조립하기 쉽게 되어 보다 염가로 진애의 부착을 방지하는 수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5)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3대의 송풍기를 갖는 송풍 장치의 배면도로서, 특히 필터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도 16은 1대의 송풍기를 갖는 송풍 장치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 2, 3에서,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19)을 마련한 필터 장착 테두리(25)를 송풍 장치의 흡입구(12)에 장착하고, 이 필터 장착 테두리(25)에 대해 필터(26)를 착탈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필터(26)와 원판(19)이 붙은 필터 장착 테두리(25)를 별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하고, 필터(26)만을 교체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송풍기의 송풍 능력을 저하하는 일 없이 필터(26)에 부착하는 진애량이 억제되고, 필터 교환 회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필터 교환시에 있어서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에 마련되어 있는, 필터 또는 보호 가드에 부착한 진애를, 그것이 고착되기 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축류 팬을 역회전시켜, 불어날림에 의해 청소를 행하고, 흡입구 막힘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원판이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즉 들뜬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역회전시의 송풍에 의해, 원판의 단부(端部) 등 먼지가 걸리거나 얽히거나 하는 부분의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고 자동적으로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필터나 보호 가드를 막히게 하는 일 없이, 양호하게 송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메인터넌스 회수를 줄일 수 있고, 메인터넌스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면측에 흡입구 및 정면측에 취출구를 갖는 본체 상자와, 이 본체 상자 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축류(軸流) 팬과,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타임 스위치와, 상기 흡입구에 마련된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 상기 축류 팬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판을 구비하고, 이 원판이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의 외주 단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외형이 유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상기 필터 또는 보호 가드와 일체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과 상기 필터 또는 상기 보호 가드를 일체 구조로 구성한 필터 장착 테두리를 상기 흡입구에 장착하고, 이 필터 장착 테두리에 필터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KR1020060075497A 2006-02-17 2006-08-10 송풍 장치 KR100771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0243A JP4679387B2 (ja) 2006-02-17 2006-02-17 送風装置
JPJP-P-2006-00040243 2006-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39A KR20070082839A (ko) 2007-08-22
KR100771774B1 true KR100771774B1 (ko) 2007-10-30

Family

ID=3849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497A KR100771774B1 (ko) 2006-02-17 2006-08-10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79387B2 (ko)
KR (1) KR100771774B1 (ko)
CN (1) CN100462569C (ko)
HK (1) HK1105539A1 (ko)
TW (1) TWI3137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695B1 (ko) * 2022-05-24 2023-06-05 유지홍 정/역회전을 위한 송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75B1 (ko) * 2012-08-02 2013-04-02 이춘우 진공 청소기
CN103598948A (zh) * 2013-10-29 2014-02-26 余贞勇 风屏式防护镜
CN103968529A (zh) * 2014-04-03 2014-08-06 新乡市平原工业滤器有限公司 板式过滤器及使用该板式过滤器的空气净化器
CN105743000B (zh) * 2016-04-13 2017-10-24 南通东源电力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型预装式箱式变电站
CN105937794B (zh) * 2016-06-07 2019-02-12 浙江普瑞泰环境设备股份有限公司 反冲洗自洁净化通风装置
CN107725427B (zh) * 2017-09-26 2019-09-10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空调风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37U (ko) * 1993-08-28 1995-03-21 선풍기
KR20000002117U (ko) * 1998-06-24 2000-01-25 정규철 선풍기
KR20010109261A (ko) * 2001-11-15 2001-12-08 김정호 테이블용 자동송풍기
JP2005299493A (ja) * 2004-04-12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467A (ja) * 1991-11-05 1993-05-21 Hirano Tecseed Co Ltd 乾燥機等の熱処理装置
KR100434397B1 (ko) * 2001-08-31 2004-06-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방충 및 방진장치
JP2004301423A (ja) * 2003-03-31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再生型換気装置
JP4567346B2 (ja) * 2004-02-18 2010-10-20 フルタ電機株式会社 農事用等の撹拌扇
JP2005241093A (ja) * 2004-02-25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37U (ko) * 1993-08-28 1995-03-21 선풍기
KR20000002117U (ko) * 1998-06-24 2000-01-25 정규철 선풍기
KR20010109261A (ko) * 2001-11-15 2001-12-08 김정호 테이블용 자동송풍기
JP2005299493A (ja) * 2004-04-12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送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695B1 (ko) * 2022-05-24 2023-06-05 유지홍 정/역회전을 위한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05539A1 (en) 2008-02-15
TWI313732B (en) 2009-08-21
JP4679387B2 (ja) 2011-04-27
CN101025170A (zh) 2007-08-29
CN100462569C (zh) 2009-02-18
TW200732566A (en) 2007-09-01
KR20070082839A (ko) 2007-08-22
JP2007218185A (ja)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774B1 (ko) 송풍 장치
JP4839814B2 (ja) レンジフード
JP4588350B2 (ja) 送風装置
JP2011512240A (ja) 空気フィルタ
JP4401387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4340507A (ja)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EP4035758B1 (en) Filter cleaning system, filter cleaning method, and data center
JP503172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839815B2 (ja) レンジフード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KR102319068B1 (ko) 냉,난방 및 환기 그리고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복합형 팬코일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JP490969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213766A (ja) 空気調和機
JPWO2007145254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8196715A (ja) 空気調和装置
JP4860131B2 (ja) 空気調和機の塵埃吸引装置の制御方法
JP2013044471A (ja) レンジフード
JP2008190837A (ja) 空気調和機
JP4134768B2 (ja) 空気調和機
JP2006118737A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10107150A (ja) 空気調和機
JP2007071494A (ja) 空気調和機
JP2007101107A (ja) 空気調和機
CN103551340A (zh) 风洞式除尘系统
KR102555065B1 (ko) 지하철 역사의 공기여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