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724B1 - 스로틀 밸브 조절기 - Google Patents

스로틀 밸브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724B1
KR100771724B1 KR1020010020854A KR20010020854A KR100771724B1 KR 100771724 B1 KR100771724 B1 KR 100771724B1 KR 1020010020854 A KR1020010020854 A KR 1020010020854A KR 20010020854 A KR20010020854 A KR 20010020854A KR 100771724 B1 KR100771724 B1 KR 10077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conductor
valve regulator
servo motor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710A (ko
Inventor
귄터 벤더
Original Assignee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filed Critical 만네스만 파우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9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moved only by an electric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로틀 밸브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조절 장치를 갖는 자동차 엔진용 스로틀 밸브 조절기의 전위차계(2) 및 서보 모터의 브러시 홀더(1)를 연결시키기 위해 도체 브리지(3)가 사용된다. 상기 도체 브리지(3)는 지지부(8, 9)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8, 9)에 의해 상기 도체 브리지(3)는 스로틀 밸브 조절부 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도체 브리지(3)는 서보 모터의 에너지 공급을 위한 2개의 고정 도체 레일(4, 5) 및 전위차계의 도체 스트립(21 내지 24)을 접촉시키기 위한 도체를 갖는다. 각각의 도체 레일(4, 5) 및 도체는 각각 도체 브리지(3)의 플러그 수용부(10)에 있는 플러그 핀(11 내지 16)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스로틀 밸브 조절기 {THROTTLE VALVE REGUL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체 브리지를 갖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의 부품들의 사시도,
도 2는 도체 브리지의 사시도, 및
도 3은 도체 브리지의 부품들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브러시 홀더 2: 전위차계
3: 도체 브리지 4, 5: 도체 레일
8, 9: 지지부 10: 플러그 수용부
11 내지 16: 플러그 핀 21 내지 24: 도체 스트립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 서보 모터 및 상기 서보 모터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스로틀 밸브의 샤프트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위차계를 갖는 자동차 엔진용 스로틀 밸브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스로틀 밸브 조절기는 소위 전자 가속기(E-gas)를 갖는 오늘날의 자동차 내에 존재하므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식의 스로틀 밸브 조절기에서 전력 조절은 더 이상 스로틀 밸브와 가속 페달의 기계적 커플링에 의해서가 아니라, 가속 페달 위치에 따른 전기 조절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위차계를 전자 조절 장치에 연결시키고 서보 모터를 전자 조절 장치에 의해 제어된 전기 에너지에 연결시키기 위해, 케이블 하니스가 스로틀 밸브 조절기 내로 가이드된다. 이러한 케이블에 의한 전기 접속에서의 문제점은, 고유 공진으로 진동함으로써 케이블이 비교적 쉽게 끊어질 수 있다는데 있다. 또한, 조립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위에 배치된 커버 간의 케이블이 핀칭되는 위험이 종종 나타난다. 장치 내부의 플러그인 접속에 있어서 전기 접속 영역에서의 운동에 의해, 그리고 온도의 영향하에 콘택 프레팅(마찰 산화)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전기 접속이 가능한 한 간단하게 형성되지만, 진동 및 자동차 내에서 나타나는 고온 현상에 대해 가급적 민감하지 않은, 서두에 언급된 방식의 스로틀 밸브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스로틀 밸브 조절기가 지지부에 의해 스로틀 밸브 조절기 내에 단단하게 지지된, 서보 모터의 에너지 공급을 위한 2개의 고정 도체 레일 및 전위차계의 도체 레일을 접촉시키기 위한 도체를 갖는 도체 브리지를 가지며, 각각의 도체 레일 및 도체가 각각 도체 브리지의 플러그 수용부에 있는 플러그 핀에 접속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밸브 조절기 내에 지지된 도체 브리지에 의하면, 전류는, 진동하지 않고 전자 조절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해 플러그를 꼽거나 뽑을 때 전위차계 및 서보 모터와의 전기 접속부 내로 힘이 유도되지 않는 고정 부품을 통해 분배된다. 또한, 도체 브리지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내에 개별 케이블을 설치하고 개별 전기 접속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를 통해,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케이블을 위한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로틀 밸브 조절기의 하우징 상에 커버를 배치할 때 전기 라인이 트래핑될 수 없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체 브리지는 심지어 부가 부품들, 예컨대, 간섭 제거 스로틀, 유도 저항, 피그테일을 포함하는 모터 카아본 브러시 등을 위한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내에 제공된 소정의 파괴 지점은 노출될 도체 레일 부품들을 파괴함으로써 공차가 보상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구조상으로 볼 때, 도체 브리지는 도체 레일이 사출 성형 모울드 내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각각 지지부 중 하나를 갖는 2개의 플라스틱 바디를 서로 연결시킬 경우에 형성된다.
상기 도체 브리지는 본 발명의 다른 개선예에 따라, 도체 레일이 도체 및 플러그 핀과 함께 사출 성형 모울드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플라스틱 바디를 형성하기 위해 단부에 사출되는 삽입부로서 형성될 경우에, 2개의 플라스틱 바디에 의해 단일 작업 과정시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가 플라스틱 바디의 영역 내에서 도체 레일과 도체 사이에 자유 천공부에 의하여 사출성형 후 제거될 수 있는 연결 리지를 가질 경우에, 상기 삽입부는 사출 성형 모울드 내로 삽입하기 위한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콘택 브리지의 터미널 러그와 전위차계의 도체 레일간의 상대 운동에 의한 콘택 부식은, 탄성 터미널 러그를 갖는 도체가 전위차계의 도체 레일 위에 제공되고 각각 레이저광 용접에 의해 상기 도체 레일과 연결될 경우에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전기 도체는 부식에 대해 매우 적합하게 보호될 수 있고, 전기 도체를 높은 고광도의 금속 층으로 커버하고 특히 도금하거나 은을 입힐 경우에는 높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팅은 높은 반사율을 가짐으로써, 레이저 용접을 위해 높은 전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레이저 광선에 의해 용접될 재료에서 구멍이 너무 쉽게 생성되기 때문에, 용접 결합은 나타나지 않는다. 높은 반사율에 의한 레이저 용접시의 어려움은 삽입부가 전도성 고광택 금속층으로 완전히 커버되고, 터미널 러그가 레이저 용접의 영역에서 엠보싱에 의해 거친 표면을 가질 경우에 피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저광의 예기치 않은 높은 반사가 방지된다.
삽입부는 특히 양호한 전도성 및 특히 적은 전기 천이 저항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가 완전히 은으로 덮일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거의 부식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예에 따라, 서보 모터에 배치된 플라스틱 바디 내에 있는 도체 레일이 2개의 콘택 스테이크로 끝나고, 상기 서보 모터가, 이러한 콘택 스테이크에 대해 예각으로 놓이며 절연 변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터미널 러그를 가질 경우에, 도체 브리지를 밀어넣음으로써 서보 모터의 접촉이 간단히 가능해지며, 이때 콘택 프레팅이 나타날 위험은 없다.
스로틀 밸브 조절기는, 플러그 핀이 스로틀 밸브 조절기로부터 밖으로 가이드된, 밀봉된 외부 장치 플러그 내에 배치될 경우에 하우징 내에서 플러그인 접속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많은 실시예를 갖는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 중 하나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 기술된다.
도 1은 서보 모터에 있는 브러시 홀더(1) 및 상기 브러시 홀더(1) 옆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전위차계(2)를 도시하며, 상기 전위차계(2)는 스로틀 밸브 샤프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부품들의 전기 접속을 위해 도체 브리지(3)가 사용된다. 상기 도체 브리지(3)는 2개의 도체 레일(4, 5)을 가지며, 상기 도체 레일(4, 5)의 단부는 상기 2개의 도체 레일(4, 5)에 공통되는 각각의 플라스틱 바디(6, 7)로 압출된다. 상기 2개의 플라스틱 바디(6, 7)는 하단부에 지지부(8, 9)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8, 9)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바디(6, 7)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내에 설치되고 고정된다.
플라스틱 바디(7)는 플러그 핀(11 내지 16)을 갖는 플러그 수용부(10)를 갖는다. 오른편에 있는 2개의 플러그 핀(15, 16)은 각각 도체 레일(4, 5) 중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플라스틱 바디(7)로부터 탄성 터미널 러그(17 내지 20)가 전위차계의 도체 스트립(21 내지 24)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터미널 러그(17 내지 20)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도체 스트립(21 내지 24)에 접속되며, 각각의 터미널 러그는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전에 엠보싱이 제공된다.
도 2는 개별 부품으로서의 도체 브리지(3)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플라스틱 바디(6)의 지지부(9) 내에 위로 돌출한 2개의 콘택 스테이크(25, 26)를 볼 수 있다. 상기 콘택 스테이크(25)는 도체 레일(5)에 연결되며, 콘택 스테이크(26)는 도체 레일(4)에 연결된다. 각각의 콘택 스테이크(25, 26)에 대해 조립된 상태에서 브러시 홀더(1)의 도시되지 않은 터미널 러그는 예각 상태에 있기 때문에, 브러시 홀더(1)는 상부로부터 콘택 스테이크(25, 26) 상에 가압되지만, 브러시 홀더(1)를 재차 뽑아내려 할 경우, 터미널 러그는 갈고리 형태와 같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 2의 왼쪽 부분에서 부품을 미리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조립시 전위차계(2)의 상응하는 영역 위로 이동되는 플러그 수용부(33)를 볼 수 있다.
도 3에서는 콘택 스테이크(25, 26)를 포함하는 도체 레일(4, 5), 플러그 핀(11 내지 16) 및 터미널 러그(17 내지 20)를 갖는 삽입부(27)를 볼 수 있다. 각각의 터미널 러그(17 내지 20)는 도체(28)에 의해 플러그 핀(11 내지 15) 중 하나에 전기 접속된다. 삽입부(27)가 우선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도체 레일(4, 5) 및 도체(28)는 연결 리지(29, 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앞에 설명된 도 2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지점에 자유 천공부(31, 32)를 볼 수 있다.
도체 브리지(3)를 제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삽입부(27)를 사출 성형 모울드 내로 삽입한 후에, 플라스틱 바디(6, 7)를 단일 작업으로 사출한다. 그리고 나서, 제조된 부분은 사출 성형 모울드로부터 제거되고 자유 천공부(31, 32)가 별도의 작업으로 제조되어 연결 리지(29, 30)에 제공되며, 그에 따라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 전류 경로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전기 접속이 가능한 한 간단하게 형성되지만, 진동 및 자동차 내에서 나타나는 높은 온도에 대해 가능한 한 민감하지 않은, 서두에 언급된 방식의 스로틀 밸브 조절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 서보 모터, 및 상기 서보 모터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스로틀 밸브 샤프트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위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엔진용 스로틀 밸브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밸브 조절기는 지지부(8, 9)에 의해 상기 스로틀 밸브 조절기 내에 단단하게 지지된 도체 브리지(3)를 가지며, 상기 도체 브리지(3)는 서보 모터의 에너지 공급을 위한 2개의 고정 도체 레일(4, 5) 및 전위차계의 도체 스트립(21 내지 24)과 접촉시키기 위한 도체(28)를 가지며, 각각의 도체 레일(4, 5) 및 도체(28)는 각각 도체 브리지(3)의 플러그 수용부(10)의 플러그 핀(11 내지 16)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레일(4, 5)은 사출 성형 모울드 내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2개의 플라스틱 바디(6, 7)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플라스틱 바디(6, 7)는 각각 지지부(8, 9) 중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레일(4, 5)은 상기 도체(28) 및 플러그 핀(11 내지 16)과 함께, 사출 성형 모울드 내로 삽입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사출 성형 모울드에서 플라스틱 바디(6, 7)를 형성하기 위해 단부에 사출되는, 삽입부(2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7)는 상기 플라스틱 바디(6, 7)의 영역에서 사출 성형 후에 자유 천공부(31, 32)에 의해 제거되는, 도체 레일(4, 5)과 도체(28) 간의 연결 리지(29, 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5. 제 3 항에 있어서,
    탄성 터미널 러그(17 내지 20)를 갖는 도체(28)가 상기 전위차계(2)의 도체 스트립(21 내지 24) 위에 배치되어, 레이저광 용접에 의해 각각 상기 도체 스트립(21 내지 2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7)는 전도성 고광택 금속층으로 완전히 커버되고, 상기 터미널 러그(17 내지 20)는 레이저광 용접의 영역에서 엠보싱에 의해 거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7)는 은으로 완전히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레일(4, 5)은 서보 모터에 할당된 플라스틱 바디(6) 내에서 2개의 콘택 스테이크(25, 26)로 끝나고, 상기 서보 모터는 상기 콘택 스테이크(25, 26)에 대한 예각을 형성하는, 절연 변위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터미널 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핀(11 내지 16)이 밀봉 방식으로 스로틀 밸브 조절기로부터 밖으로 가이드된, 외부 장치 플러그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조절기.
KR1020010020854A 2000-04-18 2001-04-18 스로틀 밸브 조절기 KR100771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9117.7 2000-04-18
DE10019117A DE10019117A1 (de) 2000-04-18 2000-04-18 Drosselklappenste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710A KR20010098710A (ko) 2001-11-08
KR100771724B1 true KR100771724B1 (ko) 2007-10-30

Family

ID=763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854A KR100771724B1 (ko) 2000-04-18 2001-04-18 스로틀 밸브 조절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78012B2 (ko)
EP (1) EP1148223B1 (ko)
KR (1) KR100771724B1 (ko)
BR (1) BR0101490A (ko)
DE (2) DE10019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2427A1 (de) * 2001-03-15 2002-09-19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ische Stelleinheit für ein Zumeß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5615A1 (de) * 2002-02-11 2003-08-28 Leoni Ag Vorrichtung mit einer einen elektrischen Anschluss aufweisenden Einheit
DE10341394A1 (de) * 2003-09-05 2005-04-28 Pierburg Gmbh Stellvorrichtung
DE10353432B4 (de) 2003-11-15 2009-07-09 Pierburg Gmbh Kontakteinheit
DE102004059171A1 (de) * 2004-12-08 2006-06-14 Siemens Ag Teileinheit zur Betätigung einer drehbar gelagerten Welle, deren aktueller Drehwinkel kontinuierlich zu erfassen ist
JP4378662B2 (ja) * 2008-01-31 2009-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製造方法
DE102009006529A1 (de) * 2009-01-28 2010-08-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ositionssensor
CN112582820A (zh) * 2020-12-15 2021-03-30 浙江胜华波电器股份有限公司 一体式减速箱盖板插针组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890A (en) * 1991-09-30 1992-08-18 Olin Corporation Silver-coated electrical components
US5672818A (en) * 1995-07-13 1997-09-30 Robert Bosch Gmbh Throttle valve adjusting unit
US6373212B1 (en) * 1998-01-10 2002-04-16 Mannesmann Vdo Ag Electri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7950A1 (de) * 1993-05-28 1994-12-01 Siemens Ag Beschichtetes Metallband als Halbzeug für elektrische Kontaktstücke und Verfahren zum Aufbringen derartiger Kontaktstücke auf einen Träger
US5415144A (en) * 1994-01-14 1995-05-1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Throttle position validation method and apparatus
DE19540323B4 (de) * 1995-10-28 2008-06-05 Robert Bosch Gmbh Drosselklappenstutzen
DE19628379A1 (de) * 1996-07-13 1998-01-15 Pierburg Ag Kunststoff-Drosselklappenstutzen
JP3361031B2 (ja) * 1997-03-19 2003-01-0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内燃機関の電子制御式スロットル弁装置
EP0911506A3 (en) * 1997-10-21 2000-12-27 Hitachi, Ltd.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apparatus for an engine
JP2000130210A (ja) * 1998-10-29 2000-05-09 Aisin Seiki Co Ltd スロットル制御装置
WO2000068556A1 (fr) * 1999-05-10 2000-11-16 Hitachi, Ltd. Dispositif etrangleur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9890A (en) * 1991-09-30 1992-08-18 Olin Corporation Silver-coated electrical components
US5672818A (en) * 1995-07-13 1997-09-30 Robert Bosch Gmbh Throttle valve adjusting unit
US6373212B1 (en) * 1998-01-10 2002-04-16 Mannesmann Vdo Ag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56008A1 (en) 2001-12-27
EP1148223A3 (de) 2003-09-24
EP1148223A2 (de) 2001-10-24
US6478012B2 (en) 2002-11-12
DE50108130D1 (de) 2005-12-29
DE10019117A1 (de) 2001-12-13
EP1148223B1 (de) 2005-11-23
BR0101490A (pt) 2001-11-13
KR20010098710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228B2 (e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KR100715061B1 (ko) 자동차의 연료 펌프용 커넥터
US6300565B1 (e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US6695632B2 (en) Shield connector
US6193564B1 (en) Electric connecting configuration
US6011318A (en) Wire harness for vehicle seat
KR100771724B1 (ko) 스로틀 밸브 조절기
KR100627591B1 (ko)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소자를 전기 회로와 접점 접속하기 위한 장치
EP3930105B1 (en) High-current contact device
KR20020035753A (ko) 밸브 하우징
JP2007179986A (ja) 雄端子構造
KR101853973B1 (ko) 전기 연결 장치
GB2321795A (en) Ultrasonic cable connection
JP2000064674A (ja) 自動車ドアロック、伝動装置ハウジング又は同様な伝導担体用ハウジング、特に錠ハウジング
KR100519868B1 (ko) 전기장치
US6259184B1 (en) Load shifting device
CN110235326B (zh) 壳体元件、电线路装置和其制造方法
KR100540852B1 (ko) 전기 커넥터
KR100635677B1 (ko) 플러그-인 전기 접속부
US6264493B1 (en) Electrical plug connection between a knife-edge contact and the contact end of a connector
KR20080110948A (ko) 차량의 배선 고정용 클립
JP200929594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と一体化された電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9134A (ja) コネクタ
JP2002299856A (ja) 自動車のため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07179987A (ja) 雌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