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481B1 - 골프클럽의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클럽의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481B1
KR100771481B1 KR1020050118984A KR20050118984A KR100771481B1 KR 100771481 B1 KR100771481 B1 KR 100771481B1 KR 1020050118984 A KR1020050118984 A KR 1020050118984A KR 20050118984 A KR20050118984 A KR 20050118984A KR 100771481 B1 KR100771481 B1 KR 10077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olf club
crown
gaze
foc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753A (ko
Inventor
이재영
이재근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이재영
이재근
이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이재근, 이재환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102005011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4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 A63B53/0454Strengthening ribs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버(D),훼어웨이우드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면(F)의 상단부와 크라운면(C)이 만나는 경계선(L)에서 시작하고 상기 타면(F)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를 더 형성하고,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상기 헤드(H)의 크라운면(C) 상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가면서 면적이 발산(Diverge)되는 다양한 형상체 중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헤드(H)의 넥부(N)에서 연결되는 샤프트(S) 상의 부가적인 시선집중수단으로서, 상기 샤프트(S)에 넥부(N)에서 이격된 거리(L)를 두고 다양한 색상, 무늬, 도안체의 시선가이드라인부(EL)를 더 부여하여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시각적으로 협동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골프클럽, 헤드

Description

골프클럽의 헤드{Heads for golf clubs}
도 1 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전방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례를 도시하는 전방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례를 도시하는 전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후방을 도시하는 후방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후방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후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2실시예의 샤프트를 포함하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출원인의 선출원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드라이버
H: 헤드
F: (헤드의) 타면
C: 크라운면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를 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적용됨으로서, 다양한 작용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에 관계되는 기술은 본 출원인이 본원 발명과 기본적인 개념을 같이하는 다수의 선출원을 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선출원중 하나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개선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하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선원의 기술을 선행하면서 선원의 구성과 권리범위를 달리하면서 새로운 구성만을 부가적인 권리로서 하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드라이브, 훼어웨이우드에 적용되어 타구 시 플레이어의 방향성과 심리적 안정감을 개선시킴으로써 집중도의 향상 및 골프클럽의 파지자세의 향상, 골프클럽의 운용의 적시화를 몸에 익힐 수 있게 함으로서 실전이나 연습에서 개선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골프클럽의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골프클럽의 운용에 바람직한 자세를 골프클럽의 다양한 형 상 구성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음은 본 출원인의 다수의 선원에서와 동일하다.
선출원과 마찬가지의 본 발명의 목적이기도 본 발명 구성의 기술적인 효과를 위한 설명을 간략하게 행한다.
골프는 마인드게임이라고 할 정도로 심리적인 요소가 중요한 변수이며 개개인의 성격이 반영되기 때문에 정확한 골프감각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된다. 특히 초심자의 경우는 성급한 골프클럽의 운용으로서 소망스럽지 못한 골프자세가 체화됨으로서 실력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중요시되면서도 골퍼들이 용이하게 몸에 익히지 못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고,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는 이러한 요소들의 개선 또는 제거를 통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실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에서 제공하는 구성에 의한 작용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헤드의 골프공에 대한 타격 시, 헤드운용의 시각적이고도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골퍼의 집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넓어진 유효타구면으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보다 안정된 스윙이 가능하게 된다.
(2) 이러한 골프공에 대한 타격성이 증대되고, 골퍼는 집중하여 타격을 수행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집중성을 가지게 되어 드라이버 등의 골프클럽의 헤드의 운용이 신중하게 행하여 짐으로서 바람직한 백스윙과 다운스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소망스러운 골프클럽의 신중한 운용이 자연스럽게 골퍼의 몸에 체화된다.
(3) 시각적으로 집중되는 효과와 무의식적인 집중도를 가짐으로서 어드레스 시에 바람직한 자세의 교정이 가능하고 집중된 타격에 의한 방향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짐으로서 자신의 타구에 의한 골프공의 운용방향에 대한 감각을 익히게 된다.
(4) 드라이버와 훼어웨이우드의 중요한 스윙작동 즉 백스윙 등의 경우, 시각적으로 집중시키는 효과에 의하여 골퍼는 집중하게 되고 다운스윙 시, 시선집중형상면부의 음각처리 또는 채색처리된 시선집중형상면부에 의한 시각적 차이로 보다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다운스윙이 가능하게 해 주어, 그에 따라서 급격한 스윙동작이 지양되는 효과를 가져 옴과 동시에, 그에 따라서 지양되어야 하는 헤드업 또한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드라이버(D),훼어웨이우드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면(F)의 상단부와 크라운면(C)이 만나는 경계선(L)에서 시작하고 상기 타면(F)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를 더 형성하고,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상기 헤드(H)의 크라운면(C) 상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가면서 면적이 발산(Diverge)되는 다양한 형상체 중 선택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라이버(D),훼어웨이우드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면(F)의 상단부와 크라운면(C)이 만나는 경계선(L)에서 시작하고 상기 타면(F)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를 더 형성하고,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상기 헤드(H)의 크라운면(C) 상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가면서 면적이 발산(Diverge)되는 다양한 형상체 중 선택되고,
상기 헤드(H)의 넥부(N)에서 연결되는 샤프트(S) 상의 부가적인 시선집중수단으로서,
상기 샤프트(S)에 넥부(N)에서 이격된 거리(L)를 두고 다양한 색상, 무늬, 도안체의 시선가이드라인부(EL)를 더 부여하여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시각적으로 협동하게 하는 것은 주요한 다른 실시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종래 선출원 구성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전방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례를 도시하는 전방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례를 도시하는 전방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1실시예의 후방을 도시하는 후방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 1실시예의 후방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후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가 적용된 드라이버의 제2실시예의 샤프트를 포함하는 사시도. 도 7 은 선출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구성이 도 7 에 개시되어 있다.
훼어웨이우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D)의 헤드(H)에, 상기의 타면(F)에 시선을 유도하고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헤드(H)의 상면(U)과 타면(F)의 모서리선(L)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시선가이드선(A1-A1',A2-A2',A3-A3', . .)을 제공하고, 시선가이드선(A1-A1',A2-A2',A3-A3', . .)은 다양한 조합에서 선택되는 2 개의 선으로 가공선을 음각된 선, 또는 내구성있는 잉크로 인쇄된 선으로 구성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하는 구성의 경우,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반복적인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이동하면서 운용되는 골프클럽의 헤드의 특성상 상기하는 가공선체, 음각, 양각 등의 표식수단 만으로는 상술하는 골퍼의 심리적인 효과를 득하기 어렵고 후방으로 수렴(좁아지는) 형상은 더욱 그러함이 밝혀졌다.
이는 다양한 가공선체 만으로는 이동하는 골프클럽의 헤드에서의 시인성을 가지지 못함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밝혀졌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의 구성을 도 1 내지 변형실시예인 도 2 와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에서는 드라이버(D)의 헤드(H)에,
타면(F)의 상단부 모서리에서 크라운면(C)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시선집중형상면부(EC)란 골퍼의 즉각적인 시각적 시인성을 보장하고 또한 이러한 시인성에 기인한 심리적인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공되고 다양한 색상에 의한 채색, 예를 들면 다양한 컬러, 금색, 은색의 색상 또는 나아가서는 단순한 채색부가 아닌, 체크무늬판상 등의 다양한 무늬나 도안으로서 채색되고,
이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크라운면(C)의 분리되는 잔여크라운부(C1,C2)와는 다른 색상이나 무늬,도안을 가지는 면상부가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각적으로 대비되는 색상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시선집중형상면부(EC)의 구성은 제조된 드라이버(D)의 헤드(H) 상에 상기와 같이,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크라운면(C)의 분리되는 잔여크라운부(C1,C2)를 구분되는 색상조합의 페인팅으로 구성하거나,
시선집중형상면부(EC)를 도 3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라운면(C)의 분리되는 잔여크라운부(C1,C2)와는 분리된 영역으로서 이 시선집중형상면부(EC) 만이 음각면처리 또는 양각면으로 처리하여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잔여크라운부(C1,C2)의 단차부(h)를 두면 구분된 채색없이도 시각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내는 방법도 가능하며,
시선집중형상면부(EC) 또는 잔여크라운부(C1,C2)의 어느 하나를 샌딩처리하여 다른 질감을 가지게 하여도 무방하다.
만일 시선집중형상면부(EC)이 상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발산하는 구성이라면 시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잔여크라운부(C1,C2)의 경계선만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처리하는 선출원의 가공방법도 유효함이 밝혀졌다.
상기의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면(F)과 크라운면(C)의 경계선(L)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방으로 가면서 면적이 발산(Diverge)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도면에서는 한 쌍의 대칭되는 원호(R1,R2)에 의한 펼쳐진 부채꼴 형상을 제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역삼각형상 등의 확장되는 면적을 가지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드라이버(D)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H)의 크라운면(C)의 후방면(RF)으로 가면서 발산되는 형상의 시선집중형상면부(EC)에 부가하여 후방면(RF)의 근접한 측에 다양한 형상, 로고, 도안, 문자 , 기호 등의 시선가이드마크(EM)를 역시 인쇄, 음각, 양각, 가공선체의 기계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의 시선가이드마크(EM)는 헤드(H)의 무게중심(G)이 존재하는 타격선(SL)을 따라서 후방면(RF) 상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4 은 도 2 의 실시예를 후방에서 본것이며 도 5 는 도 4 의 변형례로서 시선집중형상면부(EC)가 헤드(H)의 바디(B)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H)의 크라운면(C)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 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함께 헤드(H)의 넥부(N)에서 연결되는 샤프트(S)에도 시선집중수단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샤프트(S)에 넥부(N)에서 이격된 거리(L)를 두고 바람직하게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보다 진한 색상으로 도포되는 시선가이드라인부(EL)를 부여한 것이다.
상기의 시선가이드라인부(EL) 역시 헤드(H)에 구비되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색상으로 도포되거나 다양한 색상의 테이프로서 권취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채색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안이나 무늬를 부가하고 상기의 시선집중형상면부(EC) 역시 대응하는 도안이나 무늬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골퍼는 샤프트(S)를 파지하여 헤드(H)를 운용하고자 할때에 샤프트(S) 상에 형성된 이격된 거리(L)를 두고 색상을 가지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골퍼는 마치 헤드(H)가 샤프트(S)로부터 미약하게 붙어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샤프트(S)의 운용 시에 신중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압박을 받게 되고 시선이 샤프트(S)의 시선가이드라인부(EL)으로부터 헤드(H)의 시선집중형상면부(EC)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효과를 가진다.
즉, 골퍼가 어드레스 시에 골프클럽의 헤드가 샤프트가 존재하지 않고 마치 매달려 있는 듯한 시각적인 감득을 하게 되고 용이하게 구부러지거나 파손될 것 같은 심리적, 시각적 효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어드레스 시에 특정 신체부위(어깨, 팔, 그립을 파지한 양손)에 힘이 배제되고 손목이나 팔이 아닌 몸 전체를 사용하여 천천히 신중하게 스윙하는 버릇이 체화되고,
백스윙 시에 급격한 코킹현상및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서 불요하게 빠른 백스윙 등을 최소화하고, 골프클럽의 헤드무게를 심리적, 시각적으로 의식하게 되어 원활한 스윙 자세를 견지하게 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헤드(H)의 후방면(RF) 측에서 타면(F) 측으로 수렴하는 하는 시선가이드부를 제공하게 되어 골퍼는 타격 시에 무의식적으로 타면(F)으로 집중하게 되어 상술하는 작용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시선가이드마크(EM)의 존재로서 이러한 시선집중은 헤드(H)의 무게중심과 일치함으로서 정확한 타구와 그에 따른 방향성의 확보가 가능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실시예의 본 발명의 골프클럽의 헤드는;
헤드의 골프공에 대한 타격 시의 집중력을 증대시킴으로서 타격성이 증대되고, 골퍼는 집중하여 타격을 수행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집중성과 방향성의 안정감을 가지게 되어 드라이버, 훼어웨이우드 등의 골프클럽의 헤드의 운용이 신중하게 행하여 짐으로서 바람직한 백스윙과 다운스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짐으로서 따라서 소망스러운 골프클럽의 신중한 운용이 자연스럽게 골퍼의 몸에 체화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드라이버(D),훼어웨이우드를 포함하는 골프클럽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D)의 헤드(H)의 타면(F)의 상단부와 크라운면(C)이 만나는 경계선(L)에서 시작하고 상기 타면(F)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를 더 형성하고,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상기 헤드(H)의 크라운면(C) 상에서 헤드(H)의 후방면(RF)으로 가면서 면적이 발산(Diverge)되는 형상체 중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채색하되, 상기 크라운면(C)의 잔여크라운부(C1,C2)와 대비되는 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상기 헤드(H)의 타면(F)과 크라운면(C)의 경계선(L)에서 시작하여 후방면(RF)으로 가면서 면적이 발산(Diverge)되는 부채꼴 또는 삼각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상기 크라운면(C)의 잔여크라운부(C1,C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양각면 또는 음각면의 형상체로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는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잔여크라운부(C1,C2)의 경계선을 양각 또는 음각선체로서 구분하여 구성한 면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집중형상면부(EC)와 상기 크라운면(C)의 잔여크라운부(C1,C2)는 상호 질감 및 색상을 다르게 하는 소재로서 피복하여 구성한 면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의 헤드.
  8. 삭제
KR1020050118984A 2005-12-07 2005-12-07 골프클럽의 헤드 KR10077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84A KR100771481B1 (ko) 2005-12-07 2005-12-07 골프클럽의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84A KR100771481B1 (ko) 2005-12-07 2005-12-07 골프클럽의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53A KR20070059753A (ko) 2007-06-12
KR100771481B1 true KR100771481B1 (ko) 2007-10-30

Family

ID=3835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984A KR100771481B1 (ko) 2005-12-07 2005-12-07 골프클럽의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25B1 (ko) * 2016-08-09 2018-06-20 이미하 퍼터 헤드 및 상기 퍼터 헤드를 포함하는 퍼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76U (ja) * 1991-09-06 1993-03-23 丸善ゴルフ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H1076034A (ja) 1996-09-03 1998-03-24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の表示部形成方法
KR200396695Y1 (ko) 2005-06-23 2005-09-26 김종구 시선을 집중시키는 헤드를 갖는 골프 퍼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76U (ja) * 1991-09-06 1993-03-23 丸善ゴルフ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H1076034A (ja) 1996-09-03 1998-03-24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の表示部形成方法
KR200396695Y1 (ko) 2005-06-23 2005-09-26 김종구 시선을 집중시키는 헤드를 갖는 골프 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53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4921B1 (en) Golf club head with visual swing indicator
US9878221B2 (en) Putter face insert
US6739980B2 (en) Golf aiming and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7101288B2 (en) Golf club having an alignment device thereon
US20160158611A1 (en) Putter face insert
US8012048B1 (en) Tennis grip reference aid
US20070004525A1 (en) Head assembly of golf club
KR100771481B1 (ko) 골프클럽의 헤드
JP2007044087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アセンブリー
US20190255401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1686931B1 (ko) 골프 퍼터
KR102460115B1 (ko) 골프클럽의 클럽헤드용 피팅필름
JP5314530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4045311B2 (ja) ゴルフ用パター
JP2002239045A (ja) パターヘッド
KR20120003225A (ko) 골프클럽의 헤드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KR20060038505A (ko) 시선가이드수단을 가지는 골프클럽
CN1895703A (zh) 高尔夫球杆的头部组件
KR20060080258A (ko) 시선가이드기능을 가지는 골프클럽헤드
JP3330119B2 (ja) ゴルフ用視準器および視準付ゴルフクラブ
KR20050087621A (ko) 교정연습을 위한 기능성 골프클럽
JP3006951U (ja)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
JP200428331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H08224324A (ja) 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