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717B1 - 투명 필름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투명 필름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717B1
KR100770717B1 KR1020060138225A KR20060138225A KR100770717B1 KR 100770717 B1 KR100770717 B1 KR 100770717B1 KR 1020060138225 A KR1020060138225 A KR 1020060138225A KR 20060138225 A KR20060138225 A KR 20060138225A KR 100770717 B1 KR100770717 B1 KR 10077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ilm
adhesive
opening
fixing structur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풍상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 및 리모컨 수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에어컨 전면 패널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에 투명 필름(20)을 고정하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부(11)의 3변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접착부(12), 개구부(11)의 3변이 아닌 1변의 일부 또는 전부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된 끼움부(14), 및 접착부(12)에 접착되는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를 포함하고, 투명 필름(20)은 끼움부(14)에 일부 삽입되고,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부(12)와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를 제공한다.
에어컨, 전면패널, 투명필름, 표시부, 리모컨 수광부

Description

투명 필름 고정 구조{Transparent film fix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투명 필름 고정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 고정 구조의 사시도, 및
도 3은 도 2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투명 필름 고정 구조 11: 개구부
12: 접착부 13: 테두리부
14: 끼움부 15: 받침부
16: 양면 테입 20: 투명 필름
본 발명은 에어컨 전면 패널의 투명 필름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테잎과 끼움부에 의해 투명 필름을 에어컨 전면 패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에어컨 전면 패널에는 에어컨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및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수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구 부가 형성된다. 표시부로부터 나오는 표시와 수광부로 들어가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표시부 및 수광부 등을 외부 먼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고기 위해, 이러한 개구부에는 투명 필름이 부착된다.
도 1은 종래의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0)를 도시한다.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에어컨 전면 패널에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0) 주위에는 접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양면 테입(130)은 접착부(120)와 거의 같거나 작은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접착부(120)에 부착되거나, 접착 스프레이가 접착층(120) 상에 도포된다. 투명 필름(140)은 접착부(120)와 양면 테입(130) 또는 접착 스프레이에 의해 고정되고 개구부(110)와 접착부(120)를 덮는다. 그리하여, 개구부(110)는 양면 테입(130) 또는 접착 스프레이로 고정된 투명 필름(140)에 의해 밀봉된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0)는 양면 테입(130) 또는 접착 스프레이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투명 필름이 에어컨 전면 패널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표시부 및 리모컨 수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에어컨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투명 필름을 고정하기 구조로서, 개구부의 3변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접착부, 개구부의 상술한 3변이 아닌 1변의 일부분 또는 전부에 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부, 및 접착부에 접착되는 양면 테입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를 포함하고, 투명 필름은 끼움부에 일부 삽입되고, 양면 테입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부와 접착하 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필름은 양면 테입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 그리고 끼움부에 의해 고정되어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접착부는 주변에 돌출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여, 투명 필름이 테두리부 및 끼움부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이 접착부와 접착한 후, 끼움부가 조여져서 투명 필름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부는 1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투명 필름 고정 구조는 1변의 나머지 부분에 접착부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개구부 내로 돌출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투명 필름이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끼움부와 받침부에 의해 투명 필름을 고정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의 사시도이다.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에어컨 전면 패널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1)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개구부(11) 내에는 에어컨의 운전 여부, 설정 온도 및/또는 현재 온도, 에어컨 운전 모드에 대한 정보, 에어컨 운전 예약에 대한 정보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위치한다. 또한, 개구부(11) 내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수광부가 위치한다.
개구부(11)의 3변 주위에는 평탄한 접착부(12)가 위치한다. 접착부(12) 주위에는 접착부(12)로부터 돌출된 테두리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13)가 접착부(12)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후술할 접착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층, 그리고 투명 필름(20)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이다.
개구부(11)의 4변 중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1변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ㄱ"자 형상으로 돌출된 끼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끼움부(14)는 상변의 중앙을 제외한 좌우측 일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끼움부(14)의 내측 두께는 후술할 투명 필름(20)의 두께와 거의 같거나 약간 크다. 끼움부(14)는 구부려서 끼움부(14) 내에 삽입된 투명 필름(20)을 고정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끼움부(14)가 1변의 일부에만 형성된 경우, 1변의 나머지 부분에는 접착부(12)와 같은 평면을 이루는 받침부(15)가 개구부(11) 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5)는 투명 필름(20)을 지지하여 투명 필름(20)이 개구부(11) 내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접착부(12), 테두리부(13), 끼움부(14) 및 받침부(15)는 에어컨 전면 패널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접착부(12)에는 접착부(12)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는 양면 테입(16)이 부착된다. 또는 접착부(12) 상에 스프레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양면 테입(16)이 접착부(12)에 부착되거나 스프레이 접착제가 도포된 후 투명 필름(20)이 고정된다.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에 고정되는 투명 필름(20)의 면적은 개구부(11) 및 접착부(12)의 전체 면적과 같고, 투명 필름(20)의 위치는 끼움부(14) 및 테두리부(13)에 의해 규정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측단면도이다. 투명 필름(20)은 끼움부(14)에 일부 삽입된 채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부(12)에 접착된다. 투명 필름(20)이 접착부(12)에 접착한 후, 끼움부(14)는 조여져서 끼움부(14)와 끼움부(14)에 인접한 접착부(12)에 의해 투명 필름(20)의 1변이 고정된다. 즉, 투명 필름(20)의 3변은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부(12)에 접착되고, 나머지 1변은 끼움부(14)에 의해 고정된다. 받침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투명 필름(20)은 또한 끼움부(14) 및 받침부(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투명 필름 고정 구조는 투명 필름의 4변을 양면 테입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로 접착하여 양면 테입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의 접착력의 저하에 따라 투명 필름이 에어컨 전면 패널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는 투명 필름(20)의 3변을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로 고정하고 1변을 끼움부(14)로 고정하여,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에 의한 투명 필름(20)과 에어컨 전면 패널의 접착을 강화시키고,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될 때에도 투명 필름(20)을 에어컨 전면 패널에 지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4)

  1. 표시부 및 리모컨 수광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에어컨 전면 패널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에 투명 필름(20)을 고정하기 구조로서,
    상기 개구부(11)의 3변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접착부(12);
    상기 개구부(11)의 상기 3변이 아닌 1변의 일부분 또는 전부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된 끼움부(14); 및
    상기 접착부(12)에 접착되는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필름(20)은 상기 끼움부(14)에 일부 삽입되고, 상기 양면 테입(16) 또는 스프레이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접착부(12)와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12)는 주변에 돌출된 테두리부(13)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13) 및 상기 끼움부(14)에 의해 규정되는 크기는 상기 투명 필름(20)의 크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20)이 상기 접착부(12)와 접착한 후, 상기 끼움부(14)가 조 여져서 상기 투명 필름(2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4)는 상기 1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1변의 나머지 부분에 상기 접착부(12)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상기 개구부(11) 내로 돌출된 받침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고정 구조(10).
KR1020060138225A 2006-12-29 2006-12-29 투명 필름 고정 구조 KR10077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25A KR100770717B1 (ko) 2006-12-29 2006-12-29 투명 필름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25A KR100770717B1 (ko) 2006-12-29 2006-12-29 투명 필름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717B1 true KR100770717B1 (ko) 2007-10-29

Family

ID=3881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225A KR100770717B1 (ko) 2006-12-29 2006-12-29 투명 필름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7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77A (ko) * 2001-08-09 2003-02-15 이충현 벽체 매입용 다용도 분배함
KR20060128888A (ko) * 2003-12-26 2006-12-14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보호패널 부착 전자기기, 보호패널 및 보호패널의 제조방법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77A (ko) * 2001-08-09 2003-02-15 이충현 벽체 매입용 다용도 분배함
KR20060128888A (ko) * 2003-12-26 2006-12-14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보호패널 부착 전자기기, 보호패널 및 보호패널의 제조방법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5779B2 (en) Display unit,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EP3276403B1 (en) Display device
JP4746981B2 (ja) 液晶表示装置、その防塵方法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7236216B2 (en) Liquid crystal module
JP5126033B2 (ja) 表示装置
JPH09251159A (ja) 入力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US795696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8763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31855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50835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21017800A1 (zh) 显示模组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20220014871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70717B1 (ko) 투명 필름 고정 구조
KR1016269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784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structure
KR20190083686A (ko) 윈도우 부재
JP3550683B2 (ja) ケースの通気構造
JP2000199890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実装方法
JP2002229006A (ja) 液晶表示装置
US20200309998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function
JP2001067002A (ja) Led発光表示器
JP2001027752A (ja) 液晶表示パネル固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0125941A (ja) 車載機器取り付け用ダミーカバー付き台座
JP2537692Y2 (ja) 透過光調整パネル
JPH1078756A (ja) 液晶パネル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