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911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911B1
KR100769911B1 KR1020060087965A KR20060087965A KR100769911B1 KR 100769911 B1 KR100769911 B1 KR 100769911B1 KR 1020060087965 A KR1020060087965 A KR 1020060087965A KR 20060087965 A KR20060087965 A KR 20060087965A KR 100769911 B1 KR100769911 B1 KR 10076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mood state
unit
data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악재생 선택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기분상태를 판단하고, 기분상태에 따른 음악이 재생함으로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음악이 자동 선곡되어 재생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자동선곡, 생체정보, 생체리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재생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곡 분류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감지부 20: 상태판단부
30: 제어부 40: 재생부
50: 오디오부 60: 데이터부
70: 표시부 80: 입력부
90: 통신부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악재생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음악을 자동 선곡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가능 하도록 하는 이동식 통신장치로서, 최근 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인터넷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그 이용이 크게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음악재생장치 등이 구비되어, 음성통화 뿐 아니라,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음악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저장된 음악의 재생 및 소정의 통신망을 통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저장된 음악리스트 중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음악에 대한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음악을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악 재생시 마다, 사용자가 음악을 선곡해야하므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의해 특정 곡리스트가 별도로 저장하더라도, 새로운 곡이 다운로드 되어 저장된 경우, 사용자가 저장된 곡 리스트를 갱신하 여 새로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재생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생체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음악을 자동 선곡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악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와, 생체리듬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악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분상태별로 음악데이터가 분류되어 저장장되도록 하며,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기분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음악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감지되는 단계,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0),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20), 저장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40), 음악데이터를 소정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입출력하는 오디오부(50), 음악데이터, 생체정보 데이터, 및 기분상태 판단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60), 판단된 사용자의 기분상태에 따라 음악을 자동선곡하여 재생부(40)를 통해 재생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작상태가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부(70),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80),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90),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SPK), 소리를 오디오 신호로 입력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90)는 소정의 통신망으로의 호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90)은 인터넷 접속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며, 특히 음악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부(60)에 저장 가능하도록 한다.
입력부(80)는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제어부(30)로 인가하여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며, 특히 음악재생시 자동선곡을 위한 설정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80)는 자동 선곡된 리스트의 변경 및 사용자의 임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표시부(7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메뉴 및 소정의 화면을 출력하며, 특히 음악재생시 음악재생기 화면 및,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의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70)는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며, 그와 함께 상태판단부(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데이터부(60)는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감지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분상태 판단을 위한 기분상태 판단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60)는 통신부(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다운로드된 음악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악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60)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중 생성되는 임시데이터 및 입력부(8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설정데이터가 저장된다.
오디오부(50)는 재생부(40) 및 제어부(30)에 의해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가능 하도록 변환 및 증폭하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입력 및 통신부(90)를 통해 외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한다.
감지부(10)는 생체정보를 감지하기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된다. 감지부(10)는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 데이터를 상태판단부(20)로 인가한다. 이때, 감지부(10)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심박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태판단부(20)는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 보를 데이터부(60)에 저장된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상태 판단부(20)는 감지된 생체정보를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생체정보 데이터수치 및 변화율에 따라 기분상태를 판단 할 수 있으며, 또는 감지된 생체정보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변화량에 대응되는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분상태 판단데이터는 사용자에 따라 기본적인 생체정보가 상이하므로, 사용자별 기본데이터가 측정되어 저장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 설정된 평균적인 생체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0)는 상기와 같은 기분상태 판단 데이터가 데이터부(60)에 저장되도록 하며, 사용자 기본 생체정보 데이터와의 비교결과에 따라 기분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태판단부(20)는 데이터부(60)에 저장된 생체리듬 데이터와, 감지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태판단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와, 생체리듬에 대하여,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분상태를 판단한다.
즉, 상태판단부(20)는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에 따라 해당 데이터에 중점을 두고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어부(30)는 입력부(80)를 통해 음악재생이 선택되면, 감지부(10)를 구동하여 생체정보가 자동 감지되도록 하고, 감지된 생체정보 또는 생체리듬을 바탕으로 상태판단부(20)에 의해 판단된 기분상태 정보를 재생부(40)로 인가하여, 음악이 재 생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부(90)을 통해 음악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외부로부터 예를들어, 케이블 연결을 통해 음악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부(60)에 저장하며, 이때 음악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분상태별로 분류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수신된 음악데이터에 포함되는 태그정보를 바탕으로 장르에 따라 기분상태를 구분하여 음악데이터를 분류저장하며, 그 외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음악데이터를 분류저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수신된 음악데이터가 댄스곡인 경우, 기분상태 '우울'인 경우 재생 가능하도록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장르, 앨범, 아티스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되는 음악데이터를 지정된 기분상태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예를들어, 제어부(30)는 ABC라는 아티스트에 대해 사용자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ABC 아티스트의 음악데이터를 별로도 분리하여, 선택된 특정 기분상태로 분류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수신된 음악데이터에 태그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와 같은 사용자 설정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부(80)를 통해 수동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표시부(70)를 통해 안내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재생부(40)는 데이터부(60)에 저장된 음악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악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음악을 재생한다. 이때, 재생부(40)는 입력부(80)에 의해 입력되는 소 정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30)로부터 음악재생 명령이 인가되면, 음악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재생리스트를 생성한다.
재생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음악데이터 중,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소정의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부(60)로부터 호출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고, 입력부(8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생부(40)는 판단된 기분상태가 '우울'인 경우, 기분상태가 '우울'로 설정된 '댄스'장르의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악을 재생한다. 기분상태가 '흥분'인 경우, 그에 대응되는 '클래식' 장르의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한다.
또한, 재생부(40)는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에 대한 재생시간, 현재 남은 시간, 태그정보, 재생정보 등을 관리한다.
여기서, 상태판단부(20)에 의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기분상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분상태판단을 위한 기준값인 기분상태 판단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평균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기준값 설정메뉴가 호출되면, 감지부(10)를 통해 적어도 3회 생체정보가 감지되고, 감지된 생체정보의 평균값에 의해 기분상태 판단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상태판단부(20)는 음악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감지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온,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와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의 비교결과 및 데이터부(60)에 저장된 생체리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상태 판단부(20)는 체온과 심박수를 기준값인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체온 또는 심박수가 포함되는 단계에 대응되는 기분상태를 판단하거나, 또는 기분상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변화율을 산출하여, 변화율에 대응되는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체온 또는 심박수를 값의 범위에 따라 소정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된 체온 또는 심박수가 포함되는 단계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체리듬과의 가중치 및 우선순위에 따라 최종 기분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체온 또는 심박수를 변화율에 따라 소정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된 체온 또는 심박수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화율이 포함되는 단계 및, 생체리듬과의 우선순위 및 가중치에 따라 기분상태를 판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수가 소정 기준값 이상 또는 소정 변화율 이상이면 '기쁨' 상태로 판단하고, 심박수가 기준값 및 변화율 이하이면, '우울'로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감지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한다.
도 2의 (a)와 같이, 제 1감지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바디인 제 2 바디(B02)의 키패드(81)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부(11)는 제 1 바디(B01)가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며, 제 1 바디(B01)가 하향 슬라이딩 되면, 제 1 바디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감지부(12)는 제 2 바디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하나 이상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감지부(12)는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있어서, 중심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쥐는 경우, 사용자와의 접촉에 따른 생체정보 감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 1 감지부(11) 및 제 2 감지부(1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감지부(13)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단 폴더인 제 2 바디(B04)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제 4 감지부(14)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단 폴더인 제 1 바디(B03)의 상면 중 어느 일면에 배치되어 생체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상면의 하단 좌, 우에 각각 제3 감지부(13a, 13b)가 구비되거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c)와 같이, 제 5 감지부(15a, 15b)는 이동통신 단말기 배면에 위치 될 수 있으며, 좌, 우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악재생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 및 생체리듬에 대응하여 음악 재생을 위한 리스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된다.
즉, 감지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상태판단부(20)에 의해 사용자의 기분상태가 판단되면, 기분상태 정보를 제어부(30)에 의해 재생부(40)로 인가되고, 재생부(40)는 기분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부(60)로부터 호출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입력부(80)에 의해 음악재생이 선택되면, 바로 감지부(10)를 구동하여, 생체정보가 감지되도록 하고, 상태판단부(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기분상태 정보를 재생부(40)로 인가하게 된다.
생성된 재생리스트는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어부(30)는 입력부(80)에 의해 음악재생이 선택되면, 감지부(10)를 구동하여, 생체정보가 감지되도록 하고, 상태판단부(2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기분상태 정보를 재생부(40)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표시부(70)는 생성된 리스트를 출력함에 있어서,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메뉴 제목(72), 즉 재생 리스트임을 나타내는 메뉴 제목을 출력하고, 선택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의 목록(71)이 출력된다. 상기 목록(71)에 대하여 선택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화면 버튼(74)이 하단에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음악데이터의 목록(71)은 입력부(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하며, 선택된 음악에 대하여 선택표시 'V'가 음악데이터 제목에 출력된다.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와 같이 출력된 리스트 중 선택된 음악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재생부(40)에 의해 재생되고,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에 대한 오디오신호가 오디오부(50)를 통해 변환되어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된다.
음악 재생 중, 표시부(70)는 도 3의 (b)와 같이, 현재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의 제목(73)이 출력되고, 하단에는 음악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재생제어버튼(76)이 출력된다. 이때, 현재 재생상태, 즉 재생 시간, 남은 재생 시간 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으며, 상태표시창(75)에는 현재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재생되는 음악데이터의 오디오 신호에 따른 소정의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곡 분류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부(90)를 통해 음악데이터가 다운로드되거나, 케이블 연결을 통해 외부로부터 음악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부(60)에 저장하며, 이때, 음악데이터의 태그정보 및 사용자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음악데이터를 기분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게 된다.
새로운 음악데이터가 수신되면(S200), 음악데이터를 분석하여(S205), 음악데이터에 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10).
음악데이터에 태그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이 존재하는 지 판단한다(S215). 여기서 사용자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장르, 앨범, 아티스트 정 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음악데이터 존재하는 경우, 해당되는 음악데이터를 지정된 기분상태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설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데이터가 음악데이터에 포함되는지 파난한다(S220). 즉, 음악데이터가 사용자 설정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ABC인 음악에 대하여 분류 저장하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음악데이터의 아티스트정보를 상기와 같은 사용자 설정과 비교한다. 음악데이터의 아티스트 정보가 사용자 설정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설정에 따른 기분상태로 음악데이터를 설정하고, 분류하여 저장한다.
한편, 음악데이터에 태그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음악데이터의 장르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분상태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고, 키입력이 존재하는 경우(S230), 키입력에 대응되는 기분상태로 음악데이터의 설정하여 분류 저장한다(S235).
한편, 음악데이터에 태그정보가 존재하고, 사용자 설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르정보를 바탕으로 음악데이터를 분류하고(S240), 해당 장르에 따른 기분상태를 설정한다(S245).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곡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이 음악데이터가 기분상태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면, 입력부(80)를 통한 음악재생 선택 시, 감지되는 사용자의 기분상태에 따라 재생할 음악데이터의 재생리스트가 생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재생이 선택되면(S300), 감지부(10)가 구동되어, 감지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감지된다(S305). 이때, 감지부(10)는 사용자의 체온, 심박수와 같은 생체정보를 감지한다.
상태판단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한다(S310).
이때, 상태판단부(20)는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데이터부(60)에 저장된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한다. 즉, 감지된 생체정보를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 수치에 따라 기분상태를 판단 할 수 있으며, 또는 감지된 생체정보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변화량에 대응되는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판단부(20)는 데이터부(60)에 저장된 생체리듬 데이터와, 감지된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기분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와, 생체리듬에 대하여,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분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태감지부(20)에 의해 사용자의 기분상태가 판단되기 위한 기분상태 판단데이터가 설정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감지부(10)를 통해 감지되는 생체정보에 따라 기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기분상태 판단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생체정보를 적어도 3회 감지하여, 감지된 생체정보 데이터의 평균값을 기분상태 판단데이터로서 설정 할 수 있 다.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를 데이터부(60)로부터 검색하여(S315), 음악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를 호출한다(S320).
호출된 음악데이터를 바탕으로 재생리스트를 생성하고, 음악데이터의 목록이 표시부(70)를 통해 화면에 출력된다(S325).
한편,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분상태에 따른 음악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생성되고, 화면에 출력된다(S330).
이때, 입력부(80)를 통한 키입력이 감지되면(S335),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음악데이터를 선택하고 호출한다(S340).
상기와 같이 기분상태에 의해 선곡된 음악데이터 또는 키입력을 통해 선택된 음악데이터에 대한 재생 리스트가 생성되어 화면에 출력되고(S325), 선택된 음악데이터가 재생부(40)에 의해 재생된다(S3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어도 하나 감지하여, 생체정보 및 생체리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를 자동 호출하여 재생함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선곡 없이도, 음악재생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기분상태 및 기호에 따라 음악이 선곡되어 재생됨으로, 사용자의 기분전환에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음악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와, 생체리듬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악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분상태별로 음악데이터가 분류되어 저장장되도록 하며,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기분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음악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상기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온,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기준값인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감지된 생체정보의 데이터수치 및 변화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 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와, 생체리듬에 대한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입력에 따라 음악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재생부를 동작시키고, 감지된 생체정보에 따라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기분상태 정보를 상기 재생부로 인가하여, 음악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및 케이블 연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음악데이터의 태그정보를 분석하여, 장르에 따라 음악데이터의 기분상태를 설정하고, 음악데이터가 기분상태에 따라 분류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음악데이터가 사용자 설정데이터를 만족하는 경우, 장르에 관계없이 지정된 기분상태로 분류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감지되는 단계;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기분상태에 대응되는 음악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리스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기준값인 기분상태 판단데이터와 비교하여, 감지된 생체정보의 데이터수치 및 변화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 및 생체리듬에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기분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신규 수신된 음악데이터를 분석하여, 장르에 따라 기분상태를 설정하고, 음악데이터를 기분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음악데이터가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장르에 관계없이 설정된 기분상태로 분류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생체정보를 적어도 3회 반복 감지하여, 감지된 생체정보의 평균값을 기분상태 판단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60087965A 2006-09-12 2006-09-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6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965A KR100769911B1 (ko) 2006-09-12 2006-09-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965A KR100769911B1 (ko) 2006-09-12 2006-09-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911B1 true KR100769911B1 (ko) 2007-10-24

Family

ID=3881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965A KR100769911B1 (ko) 2006-09-12 2006-09-1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9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23B1 (ko) * 2009-03-12 2009-08-13 (주)이랜서 신체정보에 따른 음악자동선곡 및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1142679B1 (ko) * 2009-01-23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이용한 음악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6561B1 (ko) * 2013-07-19 2015-03-27 전자부품연구원 감정 분석을 통한 선호 음원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047A (ko) * 2005-06-03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이오리듬을 이용한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모드 변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047A (ko) * 2005-06-03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이오리듬을 이용한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모드 변경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6-0126047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679B1 (ko) * 2009-01-23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이용한 음악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2123B1 (ko) * 2009-03-12 2009-08-13 (주)이랜서 신체정보에 따른 음악자동선곡 및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1506561B1 (ko) * 2013-07-19 2015-03-27 전자부품연구원 감정 분석을 통한 선호 음원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0766B (zh) 服务器装置、终端装置、再生装置
JP4871550B2 (ja) 録画再生装置
US808250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recording media,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7756993B2 (en)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program
AU2006220720A1 (en) Scan shuffle for building playlists
CN101099196A (zh) 处理可再现数据的装置和方法
KR1007699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99418A (ko) 사용자의 반응에 기반한 동적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558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content data
JP5293712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KR101585830B1 (ko) 시청자 감정에 따른 스토리 전개 시스템 및 방법
JP4781490B2 (ja) ミキサー装置、プレーヤー、音声制御システム、ミキサー装置の制御方法、プレーヤーの制御方法、音声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689193B (zh) 根据影像资讯判断是否播放音乐的方法及其系统
JP5002227B2 (ja) 再生装置
JP2008042499A (ja) 音量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音声データ再生装置
JP5763764B2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dj機器、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82652B2 (ja) 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310769B2 (ja) プログラム、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23125037A (ja) 映像作成プログラム
JP2011244468A (ja) 音声制御システム、ミキサー装置、音声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66879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3125033A (ja) 映像作成プログラム
JP2023125039A (ja) 映像作成プログラム
JP2023125040A (ja) 映像作成プログラム
JP2023125041A (ja) 映像作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