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701B1 -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 Google Patents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701B1
KR100769701B1 KR1020060111815A KR20060111815A KR100769701B1 KR 100769701 B1 KR100769701 B1 KR 100769701B1 KR 1020060111815 A KR1020060111815 A KR 1020060111815A KR 20060111815 A KR20060111815 A KR 20060111815A KR 100769701 B1 KR100769701 B1 KR 10076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mold structure
manufactur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철
김미영
우에다 미노루
Original Assignee
이석철
김미영
우에다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철, 김미영, 우에다 미노루 filed Critical 이석철
Priority to KR102006011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교대로 적층하여 결합하고,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작은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의 외주면간의 높이 차이에 따라 그 외주면에 밀착되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에 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와, 이러한 금형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의 골구조에 유색잉크를 충진하고 그 외주면에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PET)등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을 코팅하여 용이하고 정밀하게 제조된 보안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안필름, 금형, 골구조, 플레이트, 불투명층

Description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MOLD STRUCTURE FOR MANUFACTURING OF SECURING FIL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의 플레이트 결합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가 구비된 회전축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결합된 회전축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적층된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금형 구조체에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이 결합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금형 구조체에서 분리된 합성수지필름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금형 구조체에 의해 제조된 보안필름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안필름 110 - 합성수지필름
120 - 유색잉크층 130 - 투명층
200 - 제1플레이트 300 - 제2플레이트
210, 310 - 원판 220, 320 - 천공부
230, 330 - 가이드홈 240, 340 - 공기배출공
400 - 회전축 410 - 가이드부
420 - 지지판
본 발명은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교대로 적층하여 결합하고,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작은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의 외주면간의 높이 차이에 따라 그 외주면에 밀착되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에 골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와, 이러한 금형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의 골구조에 유색잉크를 충진하고 그 외주면에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PET)등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을 코팅하여 용이하고 정밀하게 제조된 보안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필름은 광제어필름(Light control film)이라고도 불리며 최근 개인 사생활이 중시되는 경향에 따라 CRT, LCD 등의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시되는 내용에 대한 개인보안용도로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필름에 대한 연 구는 상당히 활발히 진행되며 근래에는 창문 등에 블라인드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필름은 정면에서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측면에서의 시야각을 줄이기 위해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투명층과 불투명층을 교대로 적층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미국특허 제2,053,173호에서 투명물질과 불투명층을 교대로 적층한 후 수직으로 절단하여 루버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었고, 미국특허 제2,689,387호에서 투명필름과 점착성의 광차단필름을 교대로 위치시켜 고착시킨 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블라인드가 개시되었다.
또한, 불투명층의 깊이와 그에 수직한 투명층의 넓이 간의 거리관계에 따른 시야각을 약 30° 정도로 확보하기 위해 ㎛단위에 이르는 정밀한 수치로 불투명한 유색잉크층을 형성할 것이 요구됨에 따라, 근래에는 이러한 정밀가공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노광기법을 이용해 유색잉크 등이 채워지기 위한 층을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이 소개되었으나, 형성하고자 하는 유색잉크층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빛의 도달이 약화되면서 유색잉크층의 저면으로 갈수록 기울어져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시야각이 불균일하게 나오거나, 일정 깊이 이상으로는 유색잉크층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원판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교대로 적층하고, 그 적층된 두 플레이트의 외 주면에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이 감기면서 열원에 의해 플레이트 외주면에 밀착되어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에 의해 유색잉크가 충진되는 불투명층을 형성할 골구조를 이루고, 작은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에 의해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투명층을 형성함으로써, 불투명층의 깊이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불투명층을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금형 구조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원판으로 이루어진 금형 구조물에 밀착되어 불투명층과 투명층이 구형파(矩形波) 형상을 이루면서 정밀한 골구조로 형성된 합성수지필름에 유색잉크를 충진하고 그 외주면에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투명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하면서도 정밀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안필름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보안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는, 중앙이 천공된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직경차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된 제1플레이트에 의해 유색잉크층이 형성될 골구조를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에 형성하고, 중앙이 천공된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천공된 부분에 끼워지는 회전축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회전축은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중앙에 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에 교대로 결합할 때 플레이트 사이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공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회전축에 끼워진 후 가장 외곽부의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결합하는 볼트결합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SUS)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플레이트는 직경이 300mm이고, 제2플레이트는 직경이 299.85 ~ 100mm로 이루어져, 유색인쇄층을 갖는 골구조의 깊이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높이 차이인 0.075 ~ 100㎜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플레이트는 두께가 20㎛이고, 제2플레이트는 두께가 50 ~ 500㎛로 이루어져, 유색잉크층의 폭이 20㎛가 되고, 투명층의 폭이 50 ~ 500㎛가 되어 다양한 시야각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체를 이용한 보안필름은, 상기 금형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의 골구조에 유색잉크가 충진되어 불투명층을 이루는 유색잉크층; 및 상기 유색잉크가 충진된 합성수지필름의 상부와 하부를 코팅하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층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플레이트(200)와, 상기 제1플레이트 사이에 교대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플레이트(300)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중심을 일치되게 고정시키는 회전축(4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얇은 원판(210)으로 구성되며, 원판의 중앙부분에는 회전축(400)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천공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천공부의 일부에는 회전축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후술하는 회전축의 가이드부(410)가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2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200)의 평면에는 상기 회전축(400)에의 결합시 전후면에 놓이는 제2플레이트(300)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레이트 사이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공(240)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플레이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원판(3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200) 사이에 교대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300)도 제1플레이 트(200)와 동일하게 원판(310)의 중앙부분에는 회전축(400)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천공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 일부에는 회전축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410)가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330)이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 사이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공(340)도 다수개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내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강(SUS : Steel Use Stainless)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가 교대로 적층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을 갖는 제1플레이트(200)와 그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플레이트(300)간에 단차진 높이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110)이 그러한 단차진 면을 따라 굴곡된 골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필름(110)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필름(110)이 상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 사이의 단차진 면을 따라 골구조를 형성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이 더 구비됨은 물론이며, 액상의 합성수지를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에 흘려서 골구조를 형성할 경우 액상의 합성수지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에 따라,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필름(110)에서 큰 직경을 갖는 제1플레이 트(200)의 외주면에 접한 부분은 직경 차이만큼 절곡되어 후공정에서 유색잉크가 충진됨으로써 불투명층을 형성하고, 제2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 접한 부분은 직경 차이만큼 절곡되어 불투명층 주변에 투명층(1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200)의 직경이 300㎜로 구성되고 제2플레이트(300)의 직경이 299.85㎜로 구성되어 0.15㎜의 직경차이가 발생되면, 이러한 직경차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진 면을 따라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이나 액상의 합성수지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외주면에 접하면서 반지름 차이인 0.075㎜의 깊이를 갖는 골구조를 구형파(矩形波)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직경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깊이를 갖는 골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플레이트(200)의 직경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플레이트(300)의 직경만을 200㎜ 또는 100㎜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골구조의 깊이를 양 플레이트 간의 반지름 차이에 해당하는 50㎜ 또는 100㎜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200)가 20㎛의 두께를 갖는 원판(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300)가 80㎛의 두께를 갖는 원판(310)으로 구성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200)에 의해 20㎛의 폭을 갖는 불투명층과 80㎛의 폭을 갖는 투명층(130)이 구형파(矩形波) 형상을 이루며 교대로 형성된 골구조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제1플레이트(200)의 폭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플레이트(300)의 폭을 50㎛에서 500㎛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불투명층의 폭은 20㎛ 로 유지하면서 투명층의 폭을 50㎛에서 500㎛에 이르도록 다양하게 형성하여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시야각을 갖는 보안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플레이트의 폭을 유지하여 투명층의 폭을 유지하면서 제1플레이트의 폭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유색잉크가 충진되는 불투명층의 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400)은 상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천공부(220,320)에 끼워져 동일한 중심축을 이루면서 플레이트간의 직경차이가 외주면을 통해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40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외주면 일측이 돌출된 가이드부(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가 교대로 모두 끼워진 후 플레이트간의 이탈과 공간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외곽부의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판(420)과, 이러한 지지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볼트결합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구조체에 의해 제조된 보안필름의 구성을 설명한다.
보안필름(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간의 직경 차이에 따라 형성된 정밀한 골구조가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의 골구조에 유색잉크가 충진되어 불투명층을 이루는 유색잉크층(120)과, 상기 유색잉크가 충진된 합성수지필름의 외주면을 코팅하는 투명층(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색잉크층(120)은 상기 금형 구조체에 의해 골구조가 형성된 투명한 합성수지필름(110)을 금형구조체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1플레이트(20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된 골구조에 유색잉크를 흘려 넣고 냉각시켜 불투명층을 균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층(130)은 유색잉크층(120)의 상부와 하부를 코팅하는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PET)등의 투명한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직경이 다른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를 교대로 회전축(400)에 적층하여 끼우고, 결합된 플레이트의 가장 외곽부에 지지판(420)을 결합한 후 볼트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는 원판에 형성된 공기배출공(240,340)을 통해 내부공기가 배출되므로 완전히 밀착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PC)나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필름(110)이나 액상의 합성수지를 상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 접하게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들의 외부에 구비된 가열수단에서 열을 전달함으로써 합성수지필름(110)을 플레이트간의 단차진 면에 밀착시켜 골구조를 형성하고, 송풍팬이나 냉각수에 의해 플레이트들에 밀착되어 있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고형화시켜 골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합성수지필름(110)을 상기 제1플레이트(200)와 제2플레이트(300)에서 분리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고 정밀한 골구조가 형성된 투명한 합 성수지필름(110)을 제조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골구조가 형성된 합성수지필름(110)을 금형 구조체에서 분리한 후, 얇고 깊게 형성된 골구조에 유색잉크를 흘려 넣어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한 유색잉크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유색잉크층(120)이 형성된 합성수지필름(110)의 상부와 하부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코팅하여 불투명층과 시야각이 정밀하게 제어된 보안필름(100)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안필름을 사용하고자 하는 제품에 적합하게 절단하여 보안필름(10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특유한 효과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원판에 의해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에 정밀한 골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함으로써, 불투명층의 깊이에 제한받지 않으면서 보안필름의 정밀한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원판으로 이루어진 금형 구조물에 의해 정밀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보안필름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함과 아울러, 기계적인 제작의 용이성과 결합되는 원판의 수를 증가시킴에 의한 용이한 확대성으로 인해 불투명층과 투명층이 다양하게 형성된 보안필름의 크기를 자유롭 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중앙이 천공된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직경차이로 인해 외부로 돌출된 제1플레이트에 의해 유색잉크층이 형성될 골구조를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에 형성하고, 중앙이 천공된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천공된 부분에 끼워지는 회전축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중앙에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에 교대로 결합할 때 플레이트사이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공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회전축에 끼워진 후 가장 외곽부의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호간을 결합하는 볼트결합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SU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직경이 300mm이고, 제2플레이트는 직경이 299.85 ~ 100mm로 이루어져, 유색인쇄층을 갖는 골구조의 깊이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의 높이 차이인 0.075 ~ 100㎜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두께가 20㎛이고, 제2플레이트는 두께가 50~500㎛로 이루어져, 유색잉크층의 폭이 20㎛가 되고, 투명층의 폭이 50~500㎛가 되어 다양한 시야각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KR1020060111815A 2006-11-13 2006-11-13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KR10076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815A KR100769701B1 (ko) 2006-11-13 2006-11-13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815A KR100769701B1 (ko) 2006-11-13 2006-11-13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701B1 true KR100769701B1 (ko) 2007-10-24

Family

ID=3881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815A KR100769701B1 (ko) 2006-11-13 2006-11-13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7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207A (ko) * 2004-03-25 2005-01-17 (주)세화피앤씨 보안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207A (ko) * 2004-03-25 2005-01-17 (주)세화피앤씨 보안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6294B2 (ja) 微小穿孔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497122B (zh) 擴散片、背光、液晶顯示裝置及擴散片之製造方法
KR20110117688A (ko) 내부 정합성 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JP5520778B2 (ja) 押出樹脂板の製造方法
US20180180778A1 (en) Retroreflective traffic sign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9114557B2 (en) Diffusion sheet, backlight,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ffusion sheet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vex shapes that are irregularly spaced and aligned relative to each other
JP2006241588A (ja) グラジエント式光学薄膜形成装置及びその治具
WO2019228024A1 (zh) 柔性显示面板
KR100769701B1 (ko) 보안필름 제조용 금형 구조체
US20130010243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oller for phase retardatio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retardation film by roller and phase retardation film thereform
JP2007225716A (ja) 膜厚を平坦化する隔壁
CN107916409B (zh) 一种零件切换装置以及蒸镀系统
JP4806074B2 (ja) 保護フィルム製造用金型構造体
WO2022151789A1 (zh) 显示面板及具有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CN106660263B (zh) 模具和模具的制造方法
JP5441326B2 (ja) スペーサの印刷装置及びスペーサの印刷方法
JPS63124247A (ja) 光デイスクの製造方法
JP2014136304A (ja) 成形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1399B1 (ko) 유기물 코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패널 제조방법
US20230416138A1 (en) Apparatus for cutting glass laminated substrate
WO2021235310A1 (ja) Led基板、積層体、およびled基板の製造方法
JP5076808B2 (ja) 磁気記録媒体用基板
WO2007148606A1 (ja) 精密微細空間の形成方法、精密微細空間を有する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感光性積層フィルム
JP2009103858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3090636B2 (ja) 光ディスクを構成する液止め溝を備えたディスク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