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617B1 -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617B1
KR100769617B1 KR1020060024709A KR20060024709A KR100769617B1 KR 100769617 B1 KR100769617 B1 KR 100769617B1 KR 1020060024709 A KR1020060024709 A KR 1020060024709A KR 20060024709 A KR20060024709 A KR 20060024709A KR 100769617 B1 KR100769617 B1 KR 10076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capsule
plate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265A (ko
Inventor
정근배
Original Assignee
정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배 filed Critical 정근배
Priority to KR102006002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6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5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48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캡슐을 캡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일시에 정렬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31)과, 상기 안내판(31)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향구멍(25)을 통해 각각의 안내홈(32) 내로 캡슐(C)을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한 배향판(24)과, 상기 배향판(24)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캡슐(C)이 배향구멍(25)을 통해 낙하되기 전에 각각의 배향구멍(25)에 대해 하나씩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열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배열판(28)과, 상기 안내판(3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홈(32)을 통해 낙하된 캡슐(C)을 정렬구멍(42)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41)을 포함하며, 상기 배향구멍(25)의 내주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캡슐, 캡, 바디, 안내판, 배향판, 배열판, 정렬판

Description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Device for arranging capsules semiautomaticall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 정렬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 정렬장치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캡슐 정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배열판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배열판에 형성된 개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내부에 포함되는 안내판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캡슐을 캡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일시에 정렬할 수 있도록 한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국 등에서 분말 형태의 의약을 캡슐에 충전하기 위해서, 우선 다수개의 정렬구멍이 형성된 정렬판에 캡슐을 정렬한 후, 별도의 충전장치에 캡슐이 정렬된 정렬판을 올려놓고 충전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정렬판의 정렬구멍에 캡슐을 삽입할 때, 캡슐을 하나씩 손으로 잡고 캡슐의 캡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정렬구멍에 삽입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캡슐을 일일이 정렬구멍 내에 삽입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비능률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캡슐을 직접 손으로 만지면서 작업자의 손에 존재하는 세균, 땀, 먼지 등에 의해 캡슐이 오염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1981-000047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반자동 캡슐 충전 배향기가 제안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반자동 캡슐 충전 배향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 내부에 배치되는 안내판(7)과, 이 안내판(7)의 상부에 적층되는 배향판(5) 및 배열판(3)과, 이 안내판(7)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판(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안내판(7)에는 캡슐(C)의 낙하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내홈(6)이 형성되어 있다. 배향판(5)에는 각각의 안내홈(6) 내로 캡슐(C)을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한 배향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배열판(3)에는 캡슐(C)이 배향구멍(4)을 통해 낙하되기 전에 각각의 배향구멍(4)에 대해 하나씩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열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렬판(9)에는 안내홈(6)을 통해 낙하된 캡슐(C)이 삽입될 수 있는 정렬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배향구멍(4)의 형상은, 캡슐(C)의 형상과 유사하게 기다란 타원 내지 장공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중앙 부분이 양쪽 끝 부분에 비해 넓게 형성된다. 즉, 배향구멍(4)의 양쪽 끝 부분의 폭은 캡슐의 캡(a) 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배열구멍(2) 내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던 캡슐(C)은, 배열판(3)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열구멍(2)과 배향판의 배향구멍(4)이 일치하게 되면 이들 배열구멍(2) 및 배향구멍(4)을 통과하여 안내홈(6) 내로 낙하하게 된다.
직경이 큰 캡슐의 캡(a) 부분은 배향구멍(4) 양쪽 끝 중 어느 한 쪽의 좁은 부분에 부딪혀 마찰이 일어나는 반면, 직경이 작은 캡슐의 바디(b) 부분은 배향구멍(4) 양쪽의 좁은 부분을 마찰 없이 통과하기 때문에, 캡슐(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a)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고 바디(b)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안내홈(6)을 따라 낙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배향기는, 배향판(5)에 형성된 배향구멍(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폭은 넓고 양쪽 끝 부분의 폭은 좁은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캡슐의 캡(a) 부분 양쪽이 전체적으로 배향구멍(4)의 내주면과 맞닿게 된다.
그에 따라 캡슐의 캡(a) 부분이 캡슐 제조시의 오차로 인해 조금이라도 치수가 크게 제조되거나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으로 일그러져 있는 경우, 혹은 젤라틴 등으로 제조된 캡슐(C)이 공기 중의 습기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있는 경우에, 캡 슐(C)이 배향구멍(4)을 통과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배향구멍(4)을 통과하지 못한 캡슐(C)은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눌러 강제로 통과시키거나 다른 캡슐(C)로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번거롭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었다.
나아가서는 30 ~ 40개 정도에 불과한 1회 작업 가능한 캡슐의 개수를 좀더 증가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싶어도 캡슐(C)이 배향구멍(4)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의 향상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향구멍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작업중 캡슐이 배향구멍에 걸리지 않아 효율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한 동시에 1회 작업 가능한 캡슐의 개수를 종래에 비해 열배 이상 현저하게 증대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향구멍을 통해 각각의 안내홈 내로 캡슐을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한 배향판과, 상기 배향판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캡슐이 배향구멍을 통해 낙하되기 전에 각각의 배향구멍에 대해 하나씩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배열판과, 상기 안내판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홈을 통해 낙하된 캡슐을 정렬구멍 내에 삽 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향구멍의 내주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는, 복수개의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31)과, 상기 안내판(31)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향구멍(25)을 통해 각각의 안내홈(32) 내로 캡슐(C)을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한 배향판(24)과, 상기 배향판(24)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캡슐(C)이 배향구멍(25)을 통해 낙하되기 전에 각각의 배향구멍(25)에 대해 하나씩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열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배열판(28)과, 상기 안내판(3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홈(32)을 통해 낙하된 캡슐(C)을 정렬구멍(42)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배향판(24)과 배열판(28)은 하나의 사각형 프레임(21)에 의해 모듈화된다. 즉, 상기 배향판(24), 배열판(28) 및 프레임(21)은 하나의 배향 유닛(20)을 이루며, 이때 상기 배향판(24)은 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되는 반면 상기 배열판(28)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21)에 설치된다.
상기 배향 유닛(20)의 프레임(21)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21a)가 형 성되어도 좋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열판(28)에 형성되어 있는 배열구멍(29)의 형상은, 종래와 같은 사각형상이어도 좋지만, 캡슐(C)의 형상과 유사하게 기다란 타원 혹은 장공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향판(24)에 형성되어 있는 배향구멍(25)의 형상은, 상기 배열구멍(29)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기다란 타원 혹은 장공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내측 방향으로 4개소에서 작은 돌기(26)가 돌출 형성된다.
캡슐(C)은 분말 혹은 과립 상태의 의약이 수용되는 바디(b)와, 이 바디(b) 내에 수용된 의약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바디(b)에 씌워지는 캡(a)으로 이루어진다.
캡슐(C)이 상기 배향구멍(25)을 통과할 때, 직경이 큰 캡(a) 부분은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돌기(26)에 부딪히면서 낙하속도가 느려지는 반면, 직경이 작은 바디(b) 부분은 상기 돌기(26)에 부딪히지 않거나 하나의 돌기(26)에만 부딪혀 낙하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그에 따라 캡슐(C)은 캡(a)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낙하한다.
캡슐(C)의 캡(a)이 배향구멍의 돌기(26)와 접촉하기 위해서, 돌기의 형성위치, 돌출높이 및 돌기 자체의 폭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격화된 캡슐(C)에 있어서, 의약이 수용되기 전 상태의 캡슐(C) 전체의 길이를 1 이라고 할 때, 캡(a)의 길이는 대략 0.46 ~ 0.48 의 범위 내의 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 4개의 돌기(26)는, 배향구멍(25)의 전체 길이를 L 이라 할 때, 배향구멍(25)의 양쪽 끝으로부터 L/3 ~ L/5 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L/4 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향구멍(25)의 폭을 W 라 할 때, 돌기(26)의 돌출높이 W1은, 다음 식과 같이, 사용되는 캡슐(C)의 캡(a) 부분의 외경에서 바디(b) 부분의 외경을 뺀 값을 2로 나눈 값으로 정해진다.
W1 = {(캡(a) 부분의 외경) - (바디(b) 부분의 외경)} / 2
마주하는 돌기(26) 사이의 거리 W2, 즉 배향구멍(25)의 전체 폭 W에서 한 쌍의 돌기(26)의 돌출높이 2W1를 뺀 값(W2 = W - 2W1)은, 캡슐(C)의 캡(a) 부분의 외경보다 0.3 ~ 0.5㎜ 정도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0.3㎜ 보다 작은 값만큼 클 경우, 예컨대 0.2㎜ 정도만 큰 값을 가진다면 캡슐(C)이 찌그러진 경우나 제조시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 돌기(26) 사이로 캡슐(C)의 캡(a) 부분이 통과하지 못하고 걸려 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고, 0.5㎜ 보다 큰 값만큼 클 경우, 예컨대 0.7㎜ 정도 큰 값을 가진다면 캡슐(C)이 돌기(26)와 접촉되지 않고 그대로 배향구멍(25)을 통과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돌기(26) 자체의 폭은 대략 0.8 ~ 1.5㎜ 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돌기 자체의 폭이 0.8㎜ 보다 작으면 캡슐(C)이 배향구멍(25)을 통과할 때 마찰면적이 작아 캡(a) 부분의 낙하속도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어 캡(a) 부분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낙하할 우려가 있고, 돌기 자체의 폭이 1.5㎜ 보다 크면 마찰면적이 커져 캡슐(C)이 배향구멍(25)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향판(24)은 사용될 캡슐(C)의 치수에 알맞게 여러 가지 크기의 배향구멍(25) 및 돌기(26)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21)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도시생략)에 의해서,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배열판의 배열구멍(29)과 상기 배향판의 배향구멍(25)은 서로 반 피치씩 어긋나도록 겹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열판(28) 위에 캡슐(C)을 배열시키면 각각의 배열구멍(29)마다 캡슐(C)이 하나씩 위치되고 상기 배열판(28)의 아래쪽에 설치된 배향판(24)에 의해 낙하가 방지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열판(28)을 상기 탄성수단을 압축시키면서 이동, 즉 프레임(2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푸시 버튼(22)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배열판(28)을 이동시켜 상기 배열구멍(29)과 배향구멍(25)이 일직선상에 정렬되게 하면, 캡슐(C)은 배열구멍(29)과 배향구멍(2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캡(a)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낙하한다.
그 후 푸시 버튼(22)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배열판(28)은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배열판의 배열구멍(29)과 상기 배향판의 배향구멍(25)은 서로 반 피치씩 어긋나도록 겹쳐진 상태로 되돌아간다.
낙하하는 캡슐(C)은 상기 안내판(31)에 형성된 안내홈(32)을 통하여 안내되어 상기 정렬판(41)에 형성된 정렬구멍(42) 내에 삽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판(31)에는 모두 10개의 안내홈(32)이 형성되지만, 하나의 안내판(31)에 형성되는 안내홈(32)의 개수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10개의 안내홈(32)을 형성한 총 15개의 안내판(31)이 앞뒤로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1회 작업시 150개의 캡슐(C)을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1회 작업시 정렬할 수 있는 캡슐(C)의 개수는 안내홈(32)의 형성개수를 증감하거나 안내판(31)의 사용개수를 증감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안내판(31)은 전후방의 커버부재(33)와 함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밀착 고정된 커버부재(33) 및 안내판(31)들은 하나의 안내 유닛(30)을 이룬다.
상기 안내 유닛(30)은 평판 형상의 베이스(10) 상에 배치되며, 이 베이스(10)와의 사이에 상기 정렬판(41)이 착탈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부재(11)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0) 상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안내 유닛(30)의 상부 좌우측에는 상기 배향 유닛(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안착부재(34)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재(34)에 의해 상기 배향 유닛(20)은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정렬판(41)에는 상기 안내 유닛(30)에 형성된 안내홈(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정렬구멍(42)이 배열되고, 한 쌍의 손잡이(41a)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유닛(30)의 하부에 상기 정렬판(41)을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10)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대차(45)를 활용한다.
상기 이동 대차(45)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10) 상에는 한 쌍의 이동 대차 안내용 홈(12)이 형성되고, 이동 대차(45)의 하부에는 4개의 바퀴(46)가 설치되어 이들 바퀴(46)가 상기 안내용 홈(12) 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 대차(45)의 중앙에는 상기 정렬판(41)의 정렬구멍(42) 내에 삽입된 캡슐(C)이 이동 대차(45)의 상부표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개구(47)가 형성되고, 이 개구(47)의 주위에는 정렬판(41)의 위치결정을 위해 4개의 위치결정용 구멍(48)이 형성된다. 각각의 위치결정용 구멍(48)에는 정렬판(41)의 위치결정용 핀(4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정렬판(41)은 상기 이동 대차(45) 상의 정확한 위치에 놓인다. 상기 이동 대차(45)의 전방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45a)가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정렬판(41)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정렬구멍(4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슐(C)의 캡(a) 부분을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캡슐(C)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캡슐(C)이 정렬구멍(42)을 관통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정 렬구멍(42)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정렬구멍(42)의 상측 직경은 하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에 따라 캡슐(C)의 캡(a) 부분이 정렬구멍(42)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C)이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정렬판(41)은 후속 공정, 즉 캡슐(C) 내부에 분말 혹은 과립 형상의 의약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공정을 위해 별도의 충전 장치로 옮겨진다. 이 충전 장치에서 의약이 충전된 캡슐(C)은 상기 정렬판(41)으로부터 제거되며, 작업자는 캡슐(C)이 제거된 정렬판(41)을 상기 이동 대차(45)로 옮겨 위치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은 캡슐(C)의 배향 작업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향구멍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작업중 캡슐이 배향구멍에 걸리지 않아 효율적인 작업수행이 가능한 동시에 1회 작업 가능한 캡슐의 개수를 종래에 비해 열배 이상 현저하게 증대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복수개의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31)과,
    상기 안내판(31)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향구멍(25)을 통해 각각의 안내홈(32) 내로 캡슐(C)을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한 배향판(24)과,
    상기 배향판(24)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캡슐(C)이 배향구멍(25)을 통해 낙하되기 전에 각각의 배향구멍(25)에 대해 하나씩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열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배열판(28)과,
    상기 안내판(3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홈(32)을 통해 낙하된 캡슐(C)을 정렬구멍(42) 내에 삽입시켜 보관하기 위한 정렬판(41)을 포함하며,
    상기 배향구멍(25)의 내주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기(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6)는, 상기 배향구멍(25)의 전체 길이를 L 이라 할 때, 상기 배향구멍(25)의 양쪽 끝으로부터 L/3 ~ L/5 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6)의 돌출높이는, 사용되는 캡슐(C)의 캡(a) 부분의 외경에서 바디(b) 부분의 외경을 뺀 값을 2로 나눈 값을 가지며,
    마주하는 돌기(26) 사이의 거리는, 사용되는 캡슐(C)의 캡(a) 부분의 외경보다 0.3 ~ 0.5㎜만큼 큰 값을 가지며,
    상기 돌기(26) 자체의 폭은 0.8 ~ 1.5㎜ 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판(24)과 배열판(28)은 하나의 사각형 프레임(21)과 함께 하나의 배향 유닛(20)을 이루며, 상기 배향판(24)은 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되는 반면 상기 배열판(28)은 프레임(21)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과,
    복수개의 상기 안내판(31)은 전후방의 커버부재(33)와 함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밀착 고정되어 하나의 안내 유닛(30)을 이루며, 상기 정렬판(41)이 착탈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부재(11)를 개재하여 평판 형상의 베이스(10) 상에 배치되는 것과,
    상기 안내 유닛(30)의 상부 좌우측에는 상기 배향 유닛(20)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안착부재(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30)의 하부에 상기 정렬판(41)을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10)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대차(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 상에는 이동 대차 안내용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대차(45)의 하부에는 바퀴(46)가 설치되어 상기 바퀴(46)가 상기 안내용 홈(12) 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 대차(45)는 직선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대차(45)의 중앙에는 상기 정렬구멍(42) 내에 삽입된 캡슐(C)이 상기 이동 대차(45)의 상부표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개구(47)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47)의 주위에는 상기 정렬판(41)의 위치결정용 핀(43)이 삽입되는 위치결정용 구멍(48)이 형성되며,
    삽입된 캡슐(C)이 상기 정렬구멍(42)을 관통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정렬구멍(42)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캡슐(C)의 캡(a) 부분이 상기 정렬구멍(42)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KR1020060024709A 2006-03-17 2006-03-17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KR10076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09A KR100769617B1 (ko) 2006-03-17 2006-03-17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09A KR100769617B1 (ko) 2006-03-17 2006-03-17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200U Division KR200417734Y1 (ko) 2006-03-17 2006-03-17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265A KR20070094265A (ko) 2007-09-20
KR100769617B1 true KR100769617B1 (ko) 2007-10-25

Family

ID=3868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09A KR100769617B1 (ko) 2006-03-17 2006-03-17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17Y1 (ko) 2013-03-11 2015-01-29 김기옥 반자동 캡슐 정렬 및 충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705B1 (ko) * 1974-11-25 1979-12-12 에베레트 에프 스미스 캡슐 교정 장치
KR810000470Y1 (ko) * 1980-04-01 1981-05-19 김규명 반자동 캅셀 충전 배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705B1 (ko) * 1974-11-25 1979-12-12 에베레트 에프 스미스 캡슐 교정 장치
KR810000470Y1 (ko) * 1980-04-01 1981-05-19 김규명 반자동 캅셀 충전 배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17Y1 (ko) 2013-03-11 2015-01-29 김기옥 반자동 캡슐 정렬 및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265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734Y1 (ko)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US9456957B2 (en) Device for filling soluble containers
US9914007B2 (en) Variable weight kettlebell
US20020179666A1 (en) Tablet splitting apparatus
KR100769617B1 (ko) 반자동 캡슐 정렬장치
US8955563B2 (en) Device for filling soluble containers with an improved assembly for orienting and filling capsules
KR20130079397A (ko) 정제 카세트
WO1997047534A1 (en) Pill dispenser
WO2009121983A1 (es) Maquina dispensadora de envases de tipo blister
AU2014283333B2 (en) Transporting device for an automated drug-dosing device
JP2009040431A (ja) 板状物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ペーサ
KR10092748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카세트
IT201900016091A1 (it) Apparato e metodo per neutralizzare elettricità statica presente sulla superficie di contenitori e/o vassoi portacontenitori.
JP4910054B2 (ja) 粒状物質の携帯容器
CN115768534A (zh) 骰子滚动装置
CN211893760U (zh) 一种移液器针头成盒装置
JPH08175584A (ja) 板ガラス用コンテナ
CN111697409A (zh) 一种接线柱半成品一次弯折自动移料设备
TWI694960B (zh) 用於包裝自行車的包裝結構
JP4276984B2 (ja) パーツ整列装置
JP3628130B2 (ja) 電子部品のガードリング解放治具およびガードリング解放方法
CN213170215U (zh) 支承组件和物料中转平台
EP1707091A1 (en) Dual-purpose grinder for seasoning
US2679965A (en) Capsule filling device
JP3201226U (ja) ゴルフバッグ用パター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