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085B1 - 컨베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085B1
KR100767085B1 KR1020060024623A KR20060024623A KR100767085B1 KR 100767085 B1 KR100767085 B1 KR 100767085B1 KR 1020060024623 A KR1020060024623 A KR 1020060024623A KR 20060024623 A KR20060024623 A KR 20060024623A KR 100767085 B1 KR100767085 B1 KR 100767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allet
elevating
plate
elev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551A (ko
Inventor
정종호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0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라인에 사용되는 컨베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물을 팔레트에 올려 놓고 공정이 진행될 때마다 작업자가 밀어서 이동시키는 무동력 컨베어인 상부 컨베어와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을 탈거하고 팔레트를 리턴시키는 동력 컨베어인 하부 컨베어로 컨베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라인에서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컨베어 장치에 있어서, 2층의 컨베어가 복층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컨베어는 작업자에 의하여 팔레트가 이동하는 무동력 컨베어이고, 하부 컨베어는 구동력에 의하여 빈 팔레트를 리턴 시키는 동력 컨베어이며, 상기 하부 컨베어의 일측에 상기 하부 컨베어로 이송된 팔레트를 상부 컨베어와 동일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한 승하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어 장치를 제공한다.
컨베어 장치, 승하강 유닛

Description

컨베어 장치{Coveyer Device}
도 1은 종래의 컨베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에 승하강 유닛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의 승하강 유닛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베어 장치 110 : 상부 컨베어
120 : 하부 컨베어 122 : 컨베어 제품감지센서
125 : 스토퍼 150 : 승하강 유닛
152 : 승하강 실린더 155 : 승하강 플레이트
157 : 돌기
본 발명은 생산라인에 사용되는 컨베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물을 팔레트에 올려 놓고 공정이 진행될 때마다 작업자가 밀어서 이동시키는 무동력 컨베어인 상부 컨베어와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을 탈거하고 팔레트를 리턴시키는 동력 컨베어인 하부 컨베어로 컨베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베어 장치는 상부 컨베어(10)와 하부 컨베어(20)로 이루어지는 2층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 컨베어(10)는 동력이 없는 것으로 롤러(15)가 수평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어서 팔레트(5)가 상기 롤러(15)작업을 완료한 작업자가 팔레트(5)와 함께 제품을 다음 작업자에게 밀어 이동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하부 컨베어(20)는 상부 컨베어(1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 컨베어로서 공정의 마지막 작업자가 팔레트(5)를 최초 작업자측으로 리턴 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어 장치는 하부 컨베어(20)로 리턴된 빈 팔레트(5)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들어올려 상부 컨베어(10) 위에 올려 놓고 작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가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심하고 또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 시키는 하부 컨베어에서 빈 팔레트를 상부 팔레트로 집어 올리는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컨베어에서 이송되어 온 빈 팔레트를 안착한 상태에서 상부 컨베어와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하는 승하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컨베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라인에서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컨베어 장치에 있어서, 2층의 컨베어가 복층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컨베어는 작업자에 의하여 팔레트가 이동하는 무동력 컨베어이고, 하부 컨베어는 구동력에 의하여 빈 팔레트를 리턴 시키는 동력 컨베어이며, 상기 하부 컨베어의 일측에 상기 하부 컨베어로 이송된 팔레트를 상부 컨베어와 동일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한 승하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승하강 유닛은 무동력 컨베어의 형태를 가진 승하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를 승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에 팔레트 안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제품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가 하사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하부 컨베어의 일측에 상기 돌기에 의하여 눌려지는 스토퍼를 구비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100)는 작업자들이 작업 진행에 따라 제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밀어 이동시키는 무동력 컨베어인 상부 컨베어(110)와, 공정이 완료된 제품을 탈거한 빈 팔레트(5)를 리턴 시키는 동력 컨베어인 하부 컨베어(120)와, 상기 하부 컨베어(120)를 통해 리턴된 빈 팔레트(5)를 적재한 채로 상승하여 상기 상부 컨베어(110)와 동일 높이 까지 상승하는 승하강유닛(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 유닛(150)은 빈 팔레트(5)가 적재여부를 감지하여 빈 팔레트(5)가 안착된 것을 감지하면 상승하여 상부 컨베어(110)와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한 후 정지한다. 작업자가 빈 팔레트(5) 작업위치로 끌어 옮겨 승하강 유닛(150)에서 빈 팔레트(5)가 이탈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고 다시 하강하여 하부 컨베어(120)와 동일 높이가 될 때까지 하강한 후 정지하고, 다음의 빈 팔레트(5)가 적재되면 이를 감지하여 다시 상승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에 승하강 유닛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의 승하강 유닛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유닛(15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부 컨베어(110)의 시작 지점이며 하부 컨베어(120)의 종료 지점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승하강 유닛(150)은 하부의 승하강 실린더(152)와 상기 승하강 실린더 (152)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승하강 플레이트(155)를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는 일종의 무동력 컨베어로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152)는 승하강 플레이트(155)를 하부 컨베어(120)와 상부 컨베어(110) 사이에서 승하강 시키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의 일측에는 돌기(157)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157)에 의하여 눌려지는 스토퍼(125)를 하부 컨베어(120)측에 구비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가 하강하여 하사점에 이르면 상기 돌기(157)가 스토퍼(125)를 눌러 하부 컨베어(120) 작동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컨베어(120)의 종료점 부근에는 팔레트(5)의 유뮤를 감지하는 컨베어 제품감지센서(122)를 구비하고, 승하강 플레이트(155)에도 팔레트(5)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플레이트 제품감지센서(156)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컨베어(120)의 종점에 빈 팔레트(5)가 도달하면 이를 컨베어 제품감지센서(122)가 감지하여 하부 컨베어(120)의 작동을 멈추고, 승하강 플레이트(155)가 하강하기 시작한다(S-1).
다음으로 승하강 플레이트(155)가 하강하면서 승하강 플레이트(155)에 부착된 돌기(157)가 하부 컨베어(120)의 스토퍼(125)를 누르게 된다. 스토퍼(125)가 눌려지면 하부 컨베어(120)는 다시 작동하여 빈 팔레트(5)가 승하강 플레이트(155)에 안착될 때 까지 이루어진다(S-2, S-3). 이때, 승하강 실린더(152)에 의해 하강하는 승하강 플레이트(155)의 높이는 하부 컨베어(120)의 높이보다 낮아 팔레트(5)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에는 플레이트 제품감지 센서(156)가 구비되어 빈 팔레트(5)가 안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승하강 플레이트(155)가 상승하여 상부 컨베어(110)와 승하강 플레이트(155)의 표면과 일치할 때 까지 상승하게 된다(S-4).
이렇게, 승하강 플레이트(155)가 빈 팔레트(5)를 안착한 채로 상승하면 최초 작업자가 빈 팔레트(5)를 자신의 작업위치까지 끌어당겨 작업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빈번하게 허리를 굽혀 빈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빈 팔레트(5)를 끌어가면 승하강 플레이트(155)의 플레이트 제품감지 센서(156)가 이를 감지하고 승하강 플레이트(155)는 다시 S-1과 같이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장치는 승하강 장치를 구비하여 하부 컨베이어로 리턴된 팔레트를 상부 플레이트와 동일 높이로 이송시켜 준다. 따라서 작업자가 허리를 굽혀 팔레트를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상부 컨베어(110)는 작업자에 의하여 팔레트(5)가 이동하는 무동력 컨베어이고, 하부 컨베어(120)는 구동력에 의하여 빈 팔레트를 리턴 시키는 동력 컨베어가 복층의 형태로 이루어진 컨베어 장치에 있어서,
    무동력 컨베어의 형태를 가진 승하강 플레이트(155);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를 승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52);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에 구비되어 팔레트(5) 안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제품 감지센서(156);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가 하사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55)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157); 및
    상기 하부 컨베어(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에 의하여 눌려지는 스토퍼(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부 컨베어(120)로 이송된 팔레트(5)를 상부 컨베어(110)와 동일 높이로 상승시키는 승하강 유닛(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어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024623A 2006-03-17 2006-03-17 컨베어 장치 KR100767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623A KR100767085B1 (ko) 2006-03-17 2006-03-17 컨베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623A KR100767085B1 (ko) 2006-03-17 2006-03-17 컨베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495U Division KR200416461Y1 (ko) 2006-02-28 2006-02-28 컨베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551A KR20070089551A (ko) 2007-08-31
KR100767085B1 true KR100767085B1 (ko) 2007-10-18

Family

ID=3861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623A KR100767085B1 (ko) 2006-03-17 2006-03-17 컨베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37B1 (ko) * 2012-05-24 2014-01-16 이승범 탄두 자동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224U (ja) * 1984-02-09 1985-08-31 株式会社リコー 物品の受渡し装置
JPS6448717A (en) * 1987-08-12 1989-02-23 Yoshida Sharyo Kiki Kk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ation using pallet
KR200416461Y1 (ko) * 2006-02-28 2006-05-16 경신공업 주식회사 컨베어 장치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224U (ja) * 1984-02-09 1985-08-31 株式会社リコー 物品の受渡し装置
JPS6448717A (en) * 1987-08-12 1989-02-23 Yoshida Sharyo Kiki Kk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rtation using pallet
KR200416461Y1 (ko) * 2006-02-28 2006-05-16 경신공업 주식회사 컨베어 장치
KR20190000910U (ko) * 2019-04-04 2019-04-16 주식회사 알씨엔이 병렬 링크형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551A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8181B (zh) 一种自动上料送板机
US4002332A (en) Automatic feed mechanism for power brake or the like
KR200416461Y1 (ko) 컨베어 장치
KR100586465B1 (ko) 파장형 스트로크 배가리프트장치
KR100767085B1 (ko) 컨베어 장치
KR100862795B1 (ko)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CN110921335A (zh) 方木自动分拣设备
KR102081653B1 (ko) 파레트형 이동 적재장치
CN206318680U (zh) 油缸升降平台
CN107628445A (zh) 一种板材堆垛装置
CN217574242U (zh) 一种复合板自动上料装置
CN218260502U (zh) 一种板材自动上料装置
CN216548706U (zh) 片材翻转机
CN213974744U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翻板机结构
KR100986863B1 (ko) 불량블랭크배출장치
CN204038634U (zh) 轮胎拆垛机
CN110153607B (zh) 一种钢板自动切割装置
KR101133170B1 (ko) 중간소재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42019Y2 (ko)
CN219372218U (zh) 铁芯加压机
CN110127493A (zh) 一种方便运输货物至电梯的装置
CN216470860U (zh) 一种1500张供版系统
CN218111909U (zh) 一种便于出料的压痕机
JPH0741196A (ja) 板材供給装置
CN218985707U (zh) 一种瓶胚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