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898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898B1
KR100766898B1 KR1020060043860A KR20060043860A KR100766898B1 KR 100766898 B1 KR100766898 B1 KR 100766898B1 KR 1020060043860 A KR1020060043860 A KR 1020060043860A KR 20060043860 A KR20060043860 A KR 20060043860A KR 100766898 B1 KR100766898 B1 KR 10076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pixel
organic light
pixe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우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 기판과 화소 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들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가 배열되는 화소 기판, 화소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봉지 기판, 및 화소 기판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화소 기판과 봉지 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밀봉 부재가 위치하는 기판들 사이의 접합 부분에서 기판들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이 샌드 블라스트 처리되어 거친 표면을 갖는다.
유기발광표시장치, 샌드블라스트, 화소기판, 봉지기판, 밀봉부재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지 기판과 화소 기판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 장치는 큰 부피와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음극선관과 달리 두께가 얇고 저전압으로 동작하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물질에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recombination)하여 여기자(exciton)을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와 같은 별도의 광원이 요구되지 않아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광시야각 및 빠른 응답속도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구동 방식에 따라 수동 구동형(passive matrix type)과 능동 구동형(active matrix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에 화상 표현의 기본 단위인 화소(pixel)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각각의 화소가 적(Red; R), 녹(G; Green), 청(Blue; B)을 내는 각각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양극의 제1 전극과 음극의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풀 칼라(full color)를 구현한다.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각 화소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배치되어 화소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의 수분 등으로부터 화소가 보호되도록 화소가 형성된 기판(이하, 설명의 편의상 화소 기판이라 칭함)이 금속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캡 형상의 봉지 기판이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등의 박막에 의해 봉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봉지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밀봉 부재가 화소 기판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밀봉 부재 내부에 스페이서가 삽입되어 화소 기판과 봉지 기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서로 접합되며, 접합에 의해 형성된 화소 기판과 봉지 기판 사이의 내부 공간에 질소(N2), 아르곤(Ar) 등의 불활성 가스가 채 워지게 된다.
그런데, 밀봉 부재 내부에 스페이서가 삽입되면 화소 기판과 봉지 기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반면 밀봉 부재 내부에서 스페이서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화소 기판과 봉지 기판 사이의 접착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봉지 기판과 화소 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들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소가 배열되는 화소 기판, 화소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봉지 기판, 및 화소 기판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화소 기판과 봉지 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밀봉 부재가 위치하는 기판들 사이의 접합 부분에서 기판들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이 샌드 블라스트 처리되어 거친 표면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샌드 블라스트 처리된 접합면 표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6 내지 25㎛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화소 기판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강(SUS)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봉지 기판은 금속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화소가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 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P1)가 배열되는 화소 기판(100), 화소 기판(100)에 대향 배치되고 금속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캡 형상을 가지는 봉지 기판(200), 및 화소 기판(100)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화소 기판(100)과 봉지 기판(200)을 서로 접합하는 밀봉 부재(300)를 포함한다.
화소 기판(100)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SUS)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화소 기판(100)과 화소(P1) 사이에 절연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화소(P1)는 화소 기판(100) 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발광 소자(L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발광 소자(L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FT, T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 소자(L1)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l, Mg-Ag, Ca, Ca/Ag, Ba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기 발광층 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은 경우에 따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200)은 도 2와 같이 화소 기판(100)과의 접합면, 즉 밀봉 부재(300)가 위치하는 부분이 샌드 블라스트 처리되어 거친 표면을 갖는다. 이때, 접합면 표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봉지 기판(200)과 화소 기판(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들 사이의 접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6 내지 25㎛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샌드 블라스트 처리 시 0.1 내지 10 ㎛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샌드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봉지 기판(200)의 화소 기판(100)과의 접합면이 거친 표면을 가지게 되면 접합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밀봉 부재(300)에 의해 접합되는 봉지 기판(200)과 화소 기판(100) 사이의 접착력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접합면의 거친 표면에 의해 봉지 기판(200)과 화소 기판(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스페이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접착력은 더욱 더 개선될 수 있으며,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의 침투에 대해서도 더욱 더 유리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 기판(200)의 화소 기판(100)과의 접합면이 샌드 블라스트 처리되어 거친 표면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와 달리 화소 기판(100)의 봉지 기판(200)과의 접합면이 샌드 블라스트 처리되어 거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봉지 기판과 화소 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들 사이의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화소가 배열되는 화소 기판;
    상기 화소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화소 기판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화소 기판과 상기 봉지 기판을 접합하는 밀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기판들 사이의 접합 부분에서 상기 기판들 중 어느 하나의 접합면이 샌드 블라스트 처리되어 거친 표면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 블라스트 처리된 접합면 표면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6 내지 25㎛의 높이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기판이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강(SUS)를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기판이 금속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캡 형상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가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060043860A 2006-05-16 2006-05-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6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860A KR100766898B1 (ko) 2006-05-16 2006-05-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860A KR100766898B1 (ko) 2006-05-16 2006-05-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898B1 true KR100766898B1 (ko) 2007-10-12

Family

ID=3942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860A KR100766898B1 (ko) 2006-05-16 2006-05-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8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851A (ko) * 2001-05-29 2002-12-05 이충훈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14370A (ko) * 2002-08-09 2004-0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계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발광 장치
KR20050058502A (ko) * 2002-08-30 2005-06-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제조 시스템, 발광 장치, 및 유기 화합물 함유 층의 제조방법
KR20050097392A (ko) * 2004-04-03 2005-10-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851A (ko) * 2001-05-29 2002-12-05 이충훈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14370A (ko) * 2002-08-09 2004-0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계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발광 장치
KR20050058502A (ko) * 2002-08-30 2005-06-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제조 시스템, 발광 장치, 및 유기 화합물 함유 층의 제조방법
KR20050097392A (ko) * 2004-04-03 2005-10-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850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WI543666B (zh) 有機發光顯示裝置之製造方法
WO2018113019A1 (zh)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909501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4003100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5258395A (ja) 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US923123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9741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94513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055281B1 (ko) 표시 장치
WO2019227784A1 (zh) Oled显示器封装结构
KR10203787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WO2020124805A1 (zh) 显示屏及显示装置
KR2011005017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0237952A1 (zh) 双面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1174873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200170106A1 (en) Flexible circuit board protection layer and oled display device
US10355065B2 (en) Double-sided display and method of packaging the same
US7851998B2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protective cap and method of forming a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protective cap
KR20100118870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을 활용한 유기전계 발광장치
KR2015004308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668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0135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1588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3442B1 (ko) 공냉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